맨위로가기

홍천 용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천 용씨는 강원도 홍천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용득의는 고려 시대에 시어사, 문하시중, 통어사를 역임했으며, 몽골의 침입 시 팔만대장경 재각판을 지휘했다. 조선 시대에는 무과 급제자 10명, 진사시 2명을 배출했다. 주요 집성촌은 강원도 홍천군, 경기도 파주시, 경상북도 울진군 등에 위치하며, 현대 인물로는 용태영, 용수택, 용혜원, 용홍택 등이 있다. 2015년에는 약 14,483명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천 용씨 - 용혜인
    용혜인은 알바연대 활동과 세월호 참사 이후 사회운동에 참여하여 사회적 약자 권익 보호에 힘쓰고, 기본소득당 창당 및 대표를 거쳐 국회의원이 되어 기본소득, 사회경제, 기후위기 등 진보적 정책 의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홍천 용씨 - 용재현
    용재현 문서는 현재 내용이 없는 상태로, 위키백과 사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내용이 보강되기를 기대한다.
홍천 용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가문 정보
가문명홍천 용씨
한자 표기洪川龍氏
종류씨족
국가조선
민족한국
주가용씨
관향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시조용득의
창설알 수 없음
마지막 당주알 수 없음
현 당주알 수 없음
칭호알 수 없음
경칭알 수 없음
영지홍천군
웹사이트홍천용씨 종친회
인물 정보
주요 인물용희수
용환각
용태영
용환승
용홍택
용경빈
용덕한
용준형
용재현
용혜인
통계 정보
연도2015년
인구14,483명
순위알 수 없음

2. 역사

홍천 용씨의 시조 '''용득의'''는 고려 시대 문하시중(영상)을 지낸 인물이다. 1236년부터 16년간 1차 몽골의 난으로 소실된 팔만대장경 재각판을 총지휘하였고, 1241년 영상에 올랐다. 은퇴 후에는 홍천군에 용수사를 세우고 인재 양성에 힘썼다.[4]

조선 명종 시기 야사집인 삼한습유기에는 용씨와 신천 강씨고구려 비류국 출신이라는 기록이 있다. 비류국은 동명성왕에게 정복된 후 연노부가 되었다.[4]

조선시대에는 무과 급제자 10명, 진사시 2명을 배출하며 명맥을 이었다.[7]

2. 1. 시조 및 고려 시대

시조 '''용득의'''는 1208년(희종 4)에 시어사, 1241년(고종 28)에 문하시중, 1271년(원종 12)에 통어사를 역임하였다.[1][4] 1236년(고려 고종 23년)부터 16년 동안 1차 몽골의 난 때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이 소실되었던 것을 고려 문하시중으로서 고려 고종 12년까지 30년간 최고행정관으로 지내면서 재 각판을 지휘했으며, 총 경판수 8만 1258판에 달하는 방대한 팔만대장경을 각판하는 불사를 지휘하였다.[4] 1241년(고려 고종 28년) 영상(領三台事)에 올랐으며 항몽적인 세력이 정리되면서 벼슬에서 은퇴한 후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장항리로 낙향하였다.[4] 이후 금학산에 용수사를 세워 중생에게 희망을 갖게 하였으며 불도들의 수련도량으로 학서루를 창건하여 경서와 시례를 강의하였으며, 많은 인재를 육성하였다고 한다.[4]

조선 명종 시기 야사집인 삼한습유기에는 용씨와 신천 강씨가 본래 고구려 비류수(현재 중국 만주 혼강) 상류에 위치한 비류국 출신이라 기록되어 있는데, 비류국은 동명성왕의 정복 후에 오부 중 왕가를 배출한 계루부 다음으로 강대한 세력을 가졌던 연노부(비류나부)가 된다.

2. 2. 비류국과의 관계 (야사)

조선 명종 시기 야사집인 삼한습유기(三韓拾遺紀)에는 용씨와 신천 강씨가 본래 고구려 비류수(현재 중국 만주 혼강) 상류에 위치한 비류국 출신이라 기록되어 있다. 비류국은 동명성왕에게 정복된 후, 오부 중 왕가를 배출한 계루부 다음으로 강대한 세력을 가졌던 연노부(비류나부)가 되었다.[4]

2. 3. 조선 시대

홍천 용씨는 조선시대에 무과 급제자 10명, 진사시 2명을 배출하였다.[7] 시조 용득의는 1208년에 시어사, 1241년에 문하시중, 1271년에 통어사가 되었다.[1] 이후 강원도 홍천군 북면 노일리로 이주하여 용수사를 세우고 불교 전파에 진력했다.

2. 3. 1. 과거 급제자

홍천 용씨는 조선시대에 무과 급제자 10명, 진사시 2명을 배출하였다.[7]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7]
시험 종류이름
무과용광연(龍光淵), 용기연(龍起淵), 용득주(龍得珠), 용득택(龍得澤), 용세웅(龍世雄), 용세유(龍世裕), 용오채(龍五采), 용운(龍雲), 용유익(龍有翼)
진사시용일희(龍一羲), 용중핵(龍重翮)
취재용홍필(龍弘弼)


3. 본관

강원도 홍천군의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벌력천현(伐力川縣)이었다. 757년(경덕왕 16)에 신라에서 녹효현(綠驍縣)으로 고치고 삭주도독부(朔州都督府)의 속현(屬縣)이 되었다. 1018년(태조 23) 고려에서 홍천이라 개칭하였고, 조선시대에도 홍천현으로 계속 이어왔다. 《세종실록지리지》에 홍천의 토성(土姓)으로 (皮)·변(邊)·용(龍) 3성이 기록되어 있다.[5] 1896년 강원도 홍천군이 되었다.

4. 집성촌

5. 현대 인물


  • 용태영(1929년 ~ 2010년) : 변호사[6]
  • 용수택(1942년 ~ ) : 한국보호연예인협회 회장,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의장[6]
  • 용혜원(1952년 ~ ) : 시인, 유머자신감연구소 원장(본명은 용영덕)[6]
  • 용태순(1959년 ~ ) : 연세대학교 의과대 교수[6]
  • 용환승(1960년 ~ ) :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전자공학부 교수[6]
  • 용홍택(1962년 ~ ) : 제4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6]
  • 용성진(1975년 ~ ) :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공판부 부장검사[6]
  • 용태호(1977년 ~ ) : 대전지방검찰청 검사[6]
  • 용혜인(1990년 ~ ) : 제21대 국회의원[6]

6. 인구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2,74911,794
2000년3,93012,733
2015년14,483

[3]

참조

[1] 틀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2] 웹사이트 용씨(龍氏) 본관(本貫) 홍천(洪川)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4] 인물 용득의
[5] 간행물 세종실록 153권, 지리지 강원도 원주목 홍천현 http://sillok.histor[...]
[6] 간행물 태조실록 12권, 태조 6년 8월 1일 경진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