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우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우정은 1841년 설립된 홍콩의 우편 서비스 기관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적 우편 사업 조직 중 하나로, 초기에는 로열 메일이 운영했으나, 1860년부터 우편국장에게 운영 권한이 이관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Hong Kong, China"라는 이름의 우표를 발행했으며, 현재는 우편 서비스, 택배, 스피드포스트, 전자상거래 관련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한, 우표 수집을 장려하며, 122개의 우체국과 iPostal Kiosk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1년 설립된 기업 - 스베르방크
스베르방크는 1841년 설립된 러시아 최대의 국영은행으로, 푸틴 대통령의 측근인 게르만 그레프가 경영하며 러시아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나, 크림반도 합병 및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자금 세탁 연루 의혹 등 비판을 받아왔다. - 1841년 설립된 기업 - 핫셀블라드
핫셀블라드는 1841년 스웨덴에서 설립되어 코닥 제품 수입 대리점을 거쳐 항공 카메라를 제작하며 카메라 제조사로 전환, NASA 우주 비행에 사용되며 인지도를 높인 후 현재는 DJI의 자회사가 된 카메라 및 사진 장비 제조 회사이다. - 공기업 - 국유기업
국유기업은 국가가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기업으로, 시장 실패 보완, 기간산업 유지 등 다양한 경제적 및 정치적 목적으로 설립되지만, 비효율성, 관료주의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지속적인 개혁이 요구된다. - 공기업 - 공공기업체
공공기업체는 국가 또는 지방 정부가 출자하여 운영하며 국가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 안정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방만 경영, 비효율성, 정치적 낙하산 인사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공공성 강화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 우편 회사 - 일본우편
일본우편 주식회사는 일본의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기업으로, 우정민영화 후 분할되었다가 통합되었으며, 우편, 물류, 금융, 보험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면서 전국적인 우체국 네트워크를 운영하지만, 우편물 이용량 감소 등의 과제에 직면하여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다. - 우편 회사 - 포스타 (기업)
포스타는 페로 제도의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영 기업으로, 1870년 최초의 우체국 설립 후 1976년 덴마크 우체국으로부터 독립하여 '포스트베르크 푀로야'로 출범, 200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1975년부터 자체 우표를 발행하는 등 페로 제도의 통신 발전에 기여해왔다.
| 홍콩우정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홍콩 우정 |
| 원어 이름 | 香 港 郵 政 (번체 중국어) 香港邮政 (간체 중국어) |
| 병음 | Xiānggǎng Yóuzhèng |
| 광둥어 | Hoeng1 Gong2 Jau4 Zing3 |
| 다른 이름 | 우정서 (郵政署) |
| 광둥어 (다른 이름) | jau4 zing3 cyu5 |
| 표준중국어 (다른 이름) | Yóuzhèngshǔ |
| 종류 | 정부 기금 |
| 장르 | 우편 서비스 |
| 설립 | 1841년 |
| 설립자 | 영국 왕립 우편 |
| 본사 위치 | 홍콩 우정 본부, 코넛 플레이스 2번지, 센트럴, 홍콩 |
| 서비스 지역 | 홍콩 |
| 산업 | 우편, 우표 수집 |
| 상품 | 우편 배달, 우표 수집 상품 |
| 서비스 | 우편 서비스, 우표 수집 서비스 |
| 수익 | HKD$4,784,000,000 (2021/22) |
| 직원 수 | 5,951명 (2022) |
| 모회사 | 홍콩 정부 |
| 웹사이트 | 홍콩 우정 공식 웹사이트 |
| 주요 인물 | |
| 우정청장 및 우정 기금 총괄 매니저 | 레오니아 타이 |
| 관련 정보 | |
| 관련 항목 | 홍콩의 정치 홍콩 정부 홍콩의 문화 홍콩의 경제 홍콩의 교육 홍콩의 지리 홍콩의 역사 |
| 이미지 | |
![]() | |
![]() | |
2. 역사
홍콩의 우편 서비스는 1841년에 시작되어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적 우편 사업 조직 중 하나로 여겨진다. 1997년 홍콩이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될 때까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 점령 시기를 제외하고는 영국에 의해 운영되었다.
영국령 홍콩 시기에는 우표에 영국 군주의 초상이나 왕실 상징이 사용되었고, 우체국의 상징색은 빨강이었다. 1997년 반환 이후 발행되는 우표에는 'Hong Kong, China'라는 명칭이 표기되며, 상징색은 녹색으로 변경되었다. 영국령 홍콩 시기의 우표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2. 1. 초기 역사 (1841년 ~ 1860년)

영국이 난징 조약을 통해 홍콩을 차지하기 전인 1842년 이전부터 상인들은 빅토리아 항구 양쪽에서 무역 활동을 벌였다. 이들은 제대로 된 우편 서비스가 없는 것에 불만을 가졌고, 이에 따라 우편 부서 설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홍콩 우편 부서는 1841년 8월 28일에 처음 설립되었다. 최초의 우체국은 당시 書信館|서신관중국어으로 불렸으며, 1841년 11월 12일 성 요한 대성당 근처에 문을 열었다. 초기 우편 업무 운영은 로열 메일이 담당했으나, 1860년 5월 1일부로 홍콩 우편국장에게 그 권한이 넘어갔다.
홍콩 우편 부서는 1841년에 설립되어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적 우편 사업 조직 중 하나로 여겨진다.
2. 2. 우편국장 체제 전환 및 우표 발행 (1860년 ~ 1997년)
1842년 영국이 난징 조약을 통해 홍콩을 할양받기 이전부터 상인들은 빅토리아 항구 양쪽에서 무역 활동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제대로 된 우편 서비스가 없는 것에 불만을 제기했고, 이에 따라 우편 부서가 설립되었다. 이 부서는 1841년 8월 28일에 설립되었으며, 서신관(書信館)으로 알려진 최초의 우체국은 성 요한 대성당 인근에 1841년 11월 12일 문을 열었다. 초기 운영은 로열 메일이 맡았으나, 1860년 5월 1일부로 우편 업무 운영 권한이 홍콩 우편국장에게 이관되었다.
1862년 12월 8일, 홍콩 최초의 우표 세트가 발행되었다. 이전까지는 홍콩에 주둔한 영국군만 영국 우표를 사용할 수 있었고, 다른 주민들은 사용할 수 없었다. 영국령 홍콩 시대 동안 발행된 우표에는 "Hong Kong"이라는 이름과 함께 영국 군주의 초상이나 왕실 상징(예: EIIR)이 인쇄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전까지 홍콩에서 복무하는 영국군을 위한 우편물은 영국군 우체국 번호인 BFPO 1을 사용했다.[3]
1989년에는 중앙 우체국에 기계를 설치하여 자동화된 우편물 분류 시스템을 도입했다.[4]
1995년 8월부터 홍콩우정은 무역 기금으로 운영되기 시작했으며, 기관장의 공식 명칭은 "우편국장 겸 우체국 운영 기금 총괄 관리자"(香港郵政署長兼郵政署營運基金總經理중국어)가 되었다.
홍콩 우편 서비스는 1841년에 설립되어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적 우편 사업 조직 중 하나로 여겨진다. 1997년 중국에 주권이 반환될 때까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 점령 시기를 제외하고는 영국에 의해 운영되었다. 영국 식민지 시대의 기업 색상은 빨강이었다.
2. 3. 홍콩 반환 이후 (1997년 ~ 현재)
1995년 8월부터 홍콩우정은 무역 기금으로 운영되기 시작했으며, 사무소장의 공식 명칭은 "우편국장 겸 우체국 운영 기금 총괄 관리자"(香港郵政署長兼郵政署營運基金總經理중국어)가 되었다. 1997년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이후, 기존 영국 식민지 시대에 사용하던 빨간색 기업 색상이 현재의 녹색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부터 우편 번호 시스템 도입이 고려되었으나, 현재 홍콩에는 우편 번호 시스템이 없다.[5]3. 서비스
(내용 없음)
3. 1. 우편 서비스
홍콩우정은 전통적인 우편 배달 서비스 외에도 우취 상품을 판매하며, 정부 기관이나 공공 요금 납부를 대행하는 서비스도 제공한다.3. 2. 우취 서비스
전통적인 우편 배달 외에도, 홍콩우정은 우취 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정부와 공공 유틸리티 회사에서 고객의 지불을 받는 창구 역할도 한다.'''홍콩우정 우표'''는 수집가들의 홍콩 우표에 대한 수요 증가를 충족시키기 위해 1974년에 설립된 부서이다. 우표 수집을 장려하고 대중화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다음 세 가지 주요 업무를 수행한다.
- 우표 상품 디자인 및 제작
- 주문 처리 및 사전 주문 서비스
- 우취 마케팅
홍콩의 보수적인 우표 발행 정책 덕분에 홍콩에서의 우표 수집은 인기 있는 취미이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매력적인 디자인을 가진 우표 상품은 전 세계 우표 수집가들에게 인기가 있다.
3. 3. 기타 서비스
2000년부터 홍콩우정은 공인된 인증 기관이며 "e-Cert"라는 상표로 디지털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다.[13]홍콩우정은 또한 아래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서비스 종류 | 내용 |
|---|---|
| 지역 택배 | Local CourierPost |
| 스피드포스트 | Speedpost |
| 정기간행물/회람/다이렉트 메일 | 정기간행물, 회람 우편물 및 다이렉트 메일 발송 서비스 |
| e-포스트 | e-Post |
| e-Cert | 전자 상거래용 전자 인증서 |
| e-비즈니스 | e-Business |
| 우편요금계기 | Postage Metering |
| 우편 송금 서비스 | 캐나다, 중국 본토, 인도네시아, 일본, 네팔, 필리핀 대상 |
| 전자 송금 서비스 | 웨스턴 유니온을 통한 서비스 |
| 페이쓰루포스트 | PayThruPost (청구서 결제 대행) |
| 물류 | 물류 관련 서비스 |
4. 우체국 및 시설
홍콩우정은 홍콩 전역에 걸쳐 다양한 우편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120여 개의 우체국 (이동 우체국 포함)[6], 자동화된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iPostal Kiosk[7][8], 그리고 거리 곳곳에 설치된 우편함이 있다. 특히 일부 우편함은 영국 식민지 시대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어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9]
4. 1. 우체국
2023년 현재, 홍콩우정은 홍콩 전역에 122개의 우체국(이동 우체국 3개 포함)을 운영하고 있다.[6] 우체국의 상세 위치와 운영 시간은 홍콩 우정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4. 2. iPostal Kiosk
2021년 중반, 홍콩우정은 자동 우편 서비스와 공공 우편물 발송, 우표 구매, 24시간 우편 문의를 가능하게 하는 iPostal Kiosk를 출시했다.[7] 2023년 7월 기준으로, 홍콩 전역에 23개의 키오스크가 설치되어 있다.[8]4. 3. 우체통
홍콩의 우체통은 영국 식민 통치 시기부터 사용되었으며, 초기에는 영국과 같이 붉은색에 영국 군주의 왕실 암호가 새겨져 있었다.[9] 일부 오래된 우체통은 다른 지역의 영국 우편함과 다른 독특한 왕실 문장 디자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1997년 주권 이양 이후 우체통은 녹색으로 바뀌고 새로운 홍콩우정 로고가 부착되었으나, 왕실 문양이 남은 식민지 시대 우체통 일부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9] 이 역사적 우체통들의 처리 문제는 별도의 논란이 되고 있다.
4. 3. 1. 우체통 관련 논란
홍콩은 1980년대까지 영국에서 우편함을 수입했다. 1997년 주권 이양 이전에는 우편함이 영국과 마찬가지로 빨간색이었으며, 왕실 암호가 새겨져 있었다. 예를 들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을 나타내는 "''EIIR''" 문양이 대표적이다. 홍콩 역사 연구가들에 따르면, 홍콩에 남아있는 다수의 조지 5세 및 조지 6세 시대 우편함에 새겨진 왕실 문장은 다른 지역의 영국 우편함과 디자인이 달라 독특한 가치를 지닌다.[9] 1997년 중국으로 주권이 이양된 이후, 우편함은 녹색으로 바뀌었고 새로운 홍콩우정 로고가 부착되었다.[9]2015년 10월 기준으로 홍콩에는 총 1,148개의 독립형 우편함이 있으며, 이 중 영국 식민지 시대에 설치되어 왕실 문장이 남아있는 우편함은 59개뿐이다.[9] 홍콩우정은 2014년 말, 이 59개의 식민지 시대 우편함은 심각하게 손상되거나 더 이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에만 교체될 것이라는 기존 방침을 재확인했다.[10]
그러나 2015년 3월, 홍콩우정은 우체통의 왕실 문장을 가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다. 그 이유로 "다양한 영국 통치 시대의 왕실 문장이 표시된 우체통이 혼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같은 해 9월, 역사적인 가치가 인정된 7개를 제외한 나머지 식민지 시대 우체통의 왕실 문장을 금속판으로 가리기로 최종 결정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이 결정은 보존 협회, 우체통 연구 단체, 그리고 일부 활동가들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았다. 비판자들은 이 조치가 홍콩의 역사를 지우려는 탈식민지화 시도의 일환이라고 주장했으며, 특히 친중국 성향 정치인들의 입김이 작용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11][12] 시민당 소속 입법의원 모니카 모(Claudia Mo)는 홍콩우정 고위 관계자로부터 왕실 문장을 가리라는 지시가 상공경제개발국(CEDB)에서 내려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으며, 이는 단순한 행정적 결정이 아닌 정치적 판단이 개입되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12]
5. 주요 사건
- 2005년, 신문은 Cheung Sha Wan 우체국에 핀홀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폭로했고, 이는 개인 정보 침해로 인식되었다.[14] 홍콩우정은 이 카메라가 몇 건의 절도 혐의에 대한 경찰 조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15]
- 2007년 3월, 두 명의 우체국 직원이 홍콩우정 건물 관리 사무소에서 완차이와 동구로 배송될 우편물 3개를 분실했다. 홍콩우정은 결국 분실된 가방 중 하나를 찾았지만, 400통의 편지가 분실된 것으로 알려졌다.
- 2019년 12월, 홍콩우정은 새로운 우표 디자인 중 하나를 수정하겠다고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다. 원래 디자인에는 검은 옷을 입은 어린이가 등장했는데, 홍콩우정은 변경이 순전히 미적인 이유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온라인 논평가들은 이러한 변경이 당시 반정부 시위대와 검은 옷을 입은 어린이의 유사성을 피하려는 시도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16]
- 2020년 11월부터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배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사기꾼들은 홍콩우정을 사칭한 피싱 문자 메시지와 이메일을 통해 100명 이상의 홍콩인으로부터 220.00000000000003만홍콩 달러를 사취했다.[17]
6. 수상 경력
wikitext
| 연도 | 수상 내역 | 수여 기관 / 비고 |
|---|---|---|
| 2005년 | 홍콩 산업상 - 생산성 및 품질상 | 생산성 향상 및 전반적인 품질 관리 분야 성과 인정[18] |
| 2005/06년 | 배려하는 기관 로고 | 홍콩 사회복지협의회 |
| 2005년 | 만국우편연합 EMS 협력 감사 및 측정 프로그램 금상 인증 | 만국우편연합 |
| 2005년 | 웹 케어 어워드 - 금상 | 인터넷 전문가 협회 |
| 해당 없음 | 기네스 세계 기록 등재 | 가장 큰 우표 모자이크 부문[19] |
7. 역대 우정청장
海蘭
蔑祖
李士達
剌花士
譚臣
夏士廷
尊士頓
馬沙
胡樂甫
羅士
巴連
佘義
史美
巴連
韓美頓
巴連
嘉利
巴連
畢打士
榮鐘士
富勵士
榮鐘士
榮鐘士
李佐安
沙惠予
高旭
符偉略
魏達賢
潘富達
許富國
歐德理
蕭炯柱
黃星華
柏景年
霍文
陸炳泉
蔣任宏
譚榮邦
張雲正
丁葉燕薇
梁松泰
朱曼鈴
戴淑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