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점은 바둑에서 귀를 점하는 착점 중 하나로, 소목, 고목, 외목 등과 함께 사용된다. 에도 시대에는 드물게 사용되었으나, 쇼와 시대에 신 포석이 등장하며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이후 다양한 포석의 중심이 되었으며, 현재에도 굳힘, 걸침 등 다양한 수법으로 활용된다. 화점을 이용한 포석으로는 이연성, 삼연성, 중국식 포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 용어 - 컴퓨터 바둑
    컴퓨터 바둑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바둑을 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의미하며, 딥러닝 기술 발전으로 프로 기사를 이기고 바둑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바둑 용어 - 신포석
    신포석은 기타니 미노루와 우칭위안이 1933년 창안하여 중앙을 중시하는 파격적인 바둑 포석 방법으로, 바둑계에 큰 영향을 주어 현대 바둑 포석 발전에 기여했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화점
바둑 정보
종류바둑 용어
일본어星 (ほし, Hoshi)
한국어화점 (花點)
영어Star Point
정의
의미바둑판에서 돌을 놓는 위치 중 하나
위치바둑판의 네 귀퉁이에서 각각 4번째 줄과 4번째 줄이 교차하는 지점
중앙에서 4번째 줄과 4번째 줄이 교차하는 지점
개수총 9개
특징
역할주로 세력 확장에 용이
포석 단계에서 중요 거점 역할
전략적 가치귀의 화점: 실리 확보에 유리
변의 화점: 세력 구축에 유리
중앙의 화점: 큰 모양 구성에 유리
다른 점과의 관계소목, 목외, 고목 등과 함께 포석의 기본
3·3, 4·4 정석의 출발점
역사
유래고대 중국에서 유래
별을 의미하는 한자 '星' 사용
현대적 의미현대 바둑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위치
인공지능 바둑에서도 화점을 선호하는 경향
참고
관련 용어포석
정석
세력
실리

2. 역사

별은 덤으로 놓는 바둑에서 반드시 등장하는 착점이지만, 에도 시대에는 호선 바둑에서 두는 예는 거의 없었다. 막부 말기에 이르러서야 혼인보 슈와나 슈사쿠가 백번으로 별을 두는 것을 시험적으로 두는 예가 등장했다.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 혼인보 슈에이는 백으로 별을 상당히 많이 사용했으며, 타스키 별, 이연성 등의 기보도 남아 있다.

쇼와 시대에 들어 우칭위안(오청원)과 키타니 미노루(목곡실)가 내놓은 신포석에서 별의 가치는 크게 재평가되었다. 한 수로 귀를 점하고 변과 중앙으로 전개하는 것을 중시하는 방식에 별을 두는 것이 최적이었고, 단숨에 인기 있는 착점이 되었다. 별을 3연타하는 삼연성 포석도 이 시기에 등장했다.

신포석 붐이 사라진 후에도 별은 귀를 점하는 착점으로 완전히 정착했다. 다케미야 마사키(무궁정수)의 우주류 포석, 중국식 포석, 고바야시류 등 별을 중심으로 한 포석이 잇따라 개발되었다. 최근 백번 포석에서는 속도를 중시하여 이연성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1. 고대 바둑에서의 화점

고대 바둑에서는 덤이 없는 호선 바둑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화점이 자주 사용되지는 않았다. 화점은 소목, 고목, 외목 등과 함께 초반에 귀를 점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많이 착수된다. 삼삼 자리에 적이 들어오면 귀의 실리를 다 내줘야 하기 때문에 귀의 실리를 확보하는 데에는 약점이 있으나, 대신 세력을 쌓기에 유리하다.

포석에서 귀를 차지하는 착점으로서, 소목과 함께 자주 사용된다. 한 수로 귀를 차지하고 변으로 빠르게 전개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며, 중앙으로의 발전성도 풍부하다. 그만큼 귀의 실리에는 약하며, 삼삼에 침입당하면 쉽게 살아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상대의 침입을 유도하여 두터움을 쌓고 중앙에서 승부하는 것이 화점의 스타일 중 하나이기도 하다.

2. 2. 근대 바둑으로의 변화

에도 시대에는 호선 바둑에서 화점을 두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막부 말기에 이르러 혼인보 슈와나 슈사쿠 등이 백번으로 화점을 두는 것을 시험적으로 두는 예가 나타났다.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 혼인보 슈에이가 백으로 화점을 상당히 많이 사용했으며, 타스키 별, 이연성 등의 기보도 남아 있다.

2. 3. 현대 바둑에서의 화점

쇼와 시대에 우칭위안(오청원)과 기타니 미노루(목곡실)가 내놓은 신포석 이론에서 화점의 가치가 크게 재평가되었다. 한 수로 귀를 점하고, 변과 중앙으로 전개하는 것을 중시하는 방식에 화점이 최적의 수로 평가받으며, 단숨에 인기 있는 착점이 되었다. 삼연성 포석도 이 시기에 등장했다.

신포석 붐이 사라진 후에도 화점은 귀를 점하는 착점으로 완전히 정착했다. 다케미야 마사키(무궁정수)의 우주류 포석, 중국식 포석, 고바야시류 등 화점을 중심으로 한 포석이 잇따라 개발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세력 바둑의 대표 주자인 조훈현 9단이 다케미야 마사키의 우주류 포석에 영향을 받아 한국형 세력 바둑을 발전시키기도 했다. 최근 백번 포석에서는 속도를 중시하는 경향에 따라 이연성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3. 특징

포석에서 귀를 차지하는 착점으로서, 소목과 함께 자주 사용된다. 한 수로 귀를 차지하고 변으로 빠르게 전개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며, 중앙으로의 발전성도 풍부하다. 그만큼 귀의 실리에는 약하며, 삼삼에 침입당하면 쉽게 살아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상대의 침입을 유도하여 두터움을 쌓고 중앙에서 승부하는 것이 화점의 스타일 중 하나이기도 하다.

4. 화점에서의 수법

화점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수법은 백1로 날일자 걸침이다.

이에 흑 날일자로 받으면,

위는 무난한 정석이다. 또는 한 칸 협공하여

백에게 귀를 내어 주고 흑은 외세를 차지하는 것도 기본 정석이다. 흑7을 잘못 두어 흑1처럼 젖히면,

백4로 끊기면 a, b를 맞보아 흑이 곤란하다. 이때에는 흑3으로 막지 말고,

이처럼 세력을 쌓는 것이 좋다. 이 그림을 백이 싫어하면,

이 그림은 흑1과 백8의 교환이 자충이어서 흑이 좋지 않다. 만약 흑이 욕심을 내어,

백을 잡으려고 하면 오히려 흑이 곤란하다.

4. 1. 굳힘

화점에서 굳힘은 귀의 실리를 확보하면서 변으로 발전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화점에서 변으로 날일자 행마를 해 굳히는 날일자 굳힘이다. 이 수로도 삼삼 (a)이 비어 있어 귀가 완전한 집이 되지 않는다. 상대는 a, b, c, d 등으로 귀를 견제할 수 있으며, 특히 a로 들어오면 귀의 실리를 전부 내주고 외곽에 세력을 쌓을 수밖에 없다.

귀를 완전히 집으로 만들고 싶으면 2로 한 수 더 두어야 한다.

마늘모 대신 양날일자인 위의 2로도 귀를 집으로 만들 수 있다. 3으로 쳐들어와도 4면 살 수 없다. 그러나 축머리 문제가 있는 등, 뒷맛이 나빠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화점에서 변으로 한 칸 뛴 한칸 높은 굳힘이다. 귀의 실리를 지키기보다는 외세를 쌓고자 하는 수법이다.

좌상귀는 변으로 두 칸 벌린 두 칸 높은 굳힘이고, 우상귀는 변으로 눈목자 행마를 한 눈목자 굳힘이다.

좌하귀는 화점에서 4 · 3으로 쌍점을 선 것이고, 우하귀는 3 · 3으로 마늘모 행마를 한 것이다. 하변의 형태는 모두 귀의 실리를 지키고자 할 때 쓰인다. 화점에서 쌍점을 둔 형태는 단단하다 하여 '철주'(鐵柱)라고도 하며, 화점에서 쌍점을 두는 것을 '철주를 내린다'라고도 한다.

4. 2. 걸침

화점에 대한 걸침은 날일자 걸침이 가장 일반적이며, 실리와 세력의 균형을 추구한다. 다양한 정석 변화가 존재한다. 한칸 걸침은 다소 특수한 수법으로, 상황에 따라 사용된다.

흑은 우변을 중시한다면 C 또는 D로 받아두고, 공격을 지향한다면 E 방향으로의 가위로 두는 등의 수가 있다. 걸침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상황에 따라 백 F의 삼삼 걸침이나, 백 G로의 붙임도 유력하다. 특히 인공지능의 등장 이후에는, 주변에 돌이 없는 단계에서의 삼삼 침입 (다이렉트 삼삼)이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5. 화점을 이용한 포석


  • 이연성: 두 개의 화점을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균형을 중시하는 포석이다.

  • 삼연성: 한 변에 세 개의 화점을 배치하여 중앙 세력을 극대화하는 포석이다. 무궁정수의 저자 다케미야 마사키가 애용하여 유명해졌다. 실리에 약해 현재는 잘 두어지지 않는다.

  • 타스키 성: 대각선 화점을 차지하는 포석이다.

  • 중국식 포석: 화점, 소목, 변의 화점 옆을 조합한 포석으로, 1970년대부터 유행하여 현재도 자주 사용된다.

  • 높은 중국식 포석: 중국식 포석의 변형으로, 하네 야스마사가 즐겨 사용하며, 상대를 싸움으로 유도하는 포석이다. 삼연성과 마찬가지로 실리에 약해 현재는 잘 두어지지 않는다.

  • 올스타 (9연성): 흑백 모두 삼연성으로 대항하는 형태로, 1990년 전후에 유행했으나 현재는 흑에게 유리하다고 평가되어 프로 기사들은 두지 않는다.

6. 한국 현대 바둑과 화점

花點중국어은 현대 한국 바둑에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되고 있다.

이창호 9단은 화점을 기반으로 한 두터운 실리 바둑으로 세계 바둑계를 제패했으며, 이는 한국 바둑의 주류 스타일로 자리 잡았다. 박정환 9단은 화점을 활용한 다양한 포석을 구사하며, 실리와 세력의 균형을 중시하는 현대 바둑의 흐름을 이끌고 있다.

인공지능 알파고의 등장 이후, 화점과 삼삼 침입을 활용하는 새로운 전략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 바둑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신진서 9단은 인공지능의 영향을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화점을 활용한 다양한 포석과 전략을 선보이며, 세계 최정상급 기사로 활약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