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회로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로도는 전기 회로의 구성 요소를 기호로 나타낸 그림이다. 회로도에서 부품은 고유한 축약어로 표시되며, 기호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다. 회로도는 부품의 명칭, 기호, 와이어 교차 기호, 그리고 부품 간의 연결을 나타내며, 제작 과정에서는 회로도를 기반으로 PCB 레이아웃이 생성된다. 회로도는 아마추어의 자작이나 전문가의 제품 설계 등 상황에 따라 상세 정보의 포함 여부가 달라지며, CAD 환경에서의 설계와 기호의 통일성, 그리고 회로도 정보의 한계 등을 고려하여 사용된다. 초등 및 중등 교육 과정에서 전기 회로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회로도를 활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회로 설계 - 허니웰
    허니웰은 1885년 설립된 기업으로, 항공우주, 빌딩 자동화, 안전 및 생산성 솔루션, 성능 소재 및 기술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군사 기술 개발 및 펜탁스 카메라 수입업체로 활동했고, 환경 문제 관련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회로 설계 - 스루홀 기술
    스루홀 기술은 인쇄회로기판의 구멍에 전자 부품을 삽입하여 납땜하는 실장 방식으로, 기계적 결합력이 높지만 생산 비용이 높아 SMT 기술로 대체되었으나, 특정 분야에서 여전히 사용되며 자동화 기술을 통해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 다이어그램 -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HR도표)는 항성의 광도와 표면 온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항성의 분류, 진화 단계,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이며, 주계열성, 거성, 초거성 등 다양한 항성의 종류와 분포를 보여주며 항성물리학 발전에 기여한다.
  • 다이어그램 - 런던 지하철 노선도
    런던 지하철 노선도는 해리 벡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노선의 연결 관계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하여 인기를 얻었으며, 여러 디자이너들의 개선과 새로운 교통수단의 등장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며 문화적 아이콘이자 전 세계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다.
회로도
회로도
전기 회로도 다이어그램
일반적인 회로도
기본 정보
설명전기 회로의 그래픽 표현
유형도면
표현 대상전기 회로
전자 회로
사용 목적회로 설계
유지 보수
문서화
관련 분야전기 공학
전자 공학
컴퓨터 공학
구성 요소
부품 기호회로도에 사용되는 부품의 기호, 전자 부품 기호 참조
연결선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을 연결하는 전선
노드전선이 만나는 지점
라벨회로도에 사용되는 부품 또는 지점에 대한 추가 설명 정보
회로도 종류
단선도전원, 부하, 제어기기 등을 단선으로 표현한 도면
복선도전원, 부하, 제어기기 등을 복선으로 표현한 도면
등가회로실제 회로의 동작을 단순화하여 해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도
블록 다이어그램회로의 기능을 블록 단위로 표현한 도면
배선도실제 회로의 물리적인 배선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
표준
국제 표준IEC 60617
미국 표준ANSI Y32
일본 표준JIS C 0617
작성 도구
수동 도구제도판

템플릿
CAD 소프트웨어EAGLE
KiCad
Altium
OrCAD
AutoCAD Electrical
Proteus
참고 자료
위키백과영어 위키백과 회로도
일본어 위키백과 회로도

2. 명칭

일반적인 회로도 기호


회로도에서 부품 기호는 소속된 부품 목록을 대표하는 축약어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C1은 첫 번째 콘덴서, L1은 첫 번째 인덕터, Q1은 첫 번째 트랜지스터, R1은 첫 번째 저항기를 나타낸다. 이 명칭은 R1, L1처럼 첨자로 기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부품의 값이나 명칭은 회로도의 부품 기호 옆에서 변경할 수 있지만, 상세한 특성은 부품 목록에서 결정된다.

3. 기호 (Symbols)



회로도에서 부품 기호는 해당 부품 목록을 대표하는 축약어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C1은 첫 번째 콘덴서, L1은 첫 번째 인덕터, Q1은 첫 번째 트랜지스터, R1은 첫 번째 저항기를 나타낸다. 이 명칭은 R1, L1처럼 첨자로 기록되지 않는다. 부품의 값이나 명칭은 회로도에 표시된 부품 기호 옆에 추가될 수 있지만, 자세한 특성은 부품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표준 기호

회로도는 기호를 사용한 그림이며, 국가마다 다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 왔지만, 현재는 상당 부분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었다. 간단한 부품들은 종종 장치의 물리적 구조의 특징을 나타내도록 의도된 기호를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저항의 기호는 부품이 유도성을 생성하지 않도록 특정 방식으로 감긴 긴 와이어로 만들어지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러한 권선 저항은 현재 고출력 응용 분야에서만 사용되며, 소형 저항은 탄소 조성물(탄소와 필러의 혼합물)로 주조되거나 금속 박막으로 코팅된 절연 튜브 또는 칩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저항에 대한 국제 표준 기호는 이제 지그재그 기호 대신 직사각형으로 단순화되었으며, 때로는 내부에 단위의 값이 표시되기도 한다. 덜 일반적인 기호는 도체를 나타내는 선의 한쪽에 일련의 봉우리로 표시되는 것이다.



리드 간의 연결은 한때 선의 간단한 교차였다. 컴퓨터 도면의 등장과 함께 두 개의 교차하는 와이어의 연결은 연결을 나타내는 "점" 또는 "블롭"이 있는 와이어의 교차로 표시되었다. 동시에 교차는 "점" 없이 동일한 교차로 단순화되었다. 그러나 점이 너무 작게 그려지거나 실수로 생략된 경우(예: 복사기를 여러 번 통과한 후 "점"이 사라질 수 있음) 연결된 와이어와 연결되지 않은 와이어를 혼동할 위험이 있었다.[4] 따라서 4방향 와이어 연결을 나타내는 현대적인 방법은 직선 와이어를 그리고 다른 와이어를 "점"을 연결 지점으로 엇갈리게 그리는 것이다(다이어그램 참조). 이렇게 하면 혼동의 여지가 없고 분명히 교차가 아닌 두 개의 별개의 T자형 접합부를 형성한다.[5][6]

서로 절연된 교차 와이어의 경우, 한 와이어가 다른 와이어를 "넘어가는" 것을 보여주는 작은 반원 기호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7][8] (점퍼 와이어 사용 방식과 유사함).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스타일의 도면은 T자형 접합부 교차와 "점" 연결 및 절연 교차에 대한 와이어 "점프" 반원 기호를 결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기에 너무 작거나 실수로 사라진 "점"은 여전히 "점프"와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다.[1]

회로도에서 부품의 기호는 부품 목록에 있는 설명자 또는 참조 지정자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C1은 첫 번째 커패시터, L1은 첫 번째 인덕터, Q1은 첫 번째 트랜지스터, R1은 첫 번째 저항이다. 종종 부품의 값 또는 유형 지정이 도면의 부품 옆에 표시되지만, 자세한 사양은 부품 목록에 나와 있다.

참조 지정에 대한 자세한 규칙은 국제 표준 IEC 61346에 나와 있다.

3. 2. 와이어 교차 기호



절연된 교차 와이어의 CAD 기호는 이전의 비 CAD 기호와 동일합니다(절연되지 않은 교차 와이어). 혼동을 피하기 위해, 비 CAD 도면에서는 절연 와이어에 대해 와이어 "점프"(반원)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연결되지 않은 CAD 스타일 기호를 사용하는 것과 반대되며, 원래의 이전 스타일 기호(정반대의 의미)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CAD 및 비 CAD 도면 모두에서 4방향 와이어 연결에 대한 새롭고 권장되는 스타일은 연결 와이어를 T자형 접합부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입니다.[3]

리드 간의 연결은 한때 선의 간단한 교차였습니다. 컴퓨터 도면이 등장하면서 두 개의 교차하는 와이어의 연결은 연결을 나타내는 "점" 또는 "블롭"이 있는 와이어의 교차로 표시되었습니다. 동시에 교차는 "점" 없이 동일한 교차로 단순화되었습니다. 그러나 점이 너무 작게 그려지거나 실수로 생략된 경우(예: 복사기를 여러 번 통과한 후 "점"이 사라질 수 있음), 연결된 와이어와 연결되지 않은 와이어를 혼동할 위험이 있었습니다.[4] 따라서 4방향 와이어 연결을 나타내는 현대적인 방법은 직선 와이어를 그리고 다른 와이어를 "점"을 연결 지점으로 엇갈리게 그리는 것입니다(다이어그램 참조). 이렇게 하면 혼동의 여지가 없고 분명히 교차가 아닌 두 개의 별개의 T자형 접합부를 형성합니다.[5][6]

서로 절연된 교차 와이어의 경우, 한 와이어가 다른 와이어를 "넘어가는" 것을 보여주는 작은 반원 기호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1][7][8] (점퍼 와이어 사용 방식과 유사함).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스타일의 도면은 T자형 접합부 교차와 "점" 연결 및 절연 교차에 대한 와이어 "점프" 반원 기호를 결합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기에 너무 작거나 실수로 사라진 "점"은 여전히 "점프"와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습니다.[1]

3. 3. 참조 지정자

회로도에서 부품 기호는 해당 부품 목록을 대표하는 축약어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C1은 첫 번째 콘덴서, L1은 첫 번째 인덕터, Q1은 첫 번째 트랜지스터, R1은 첫 번째 저항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명칭은 R1, L1…처럼 첨자로 기록되지 않는다.[3] 부품의 값이나 명칭은 회로도의 부품 기호 옆에 표시되기도 하지만, 자세한 특성은 부품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회로도에서 부품의 기호는 부품 목록에 있는 설명자 또는 참조 지정자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C1은 첫 번째 커패시터, L1은 첫 번째 인덕터, Q1은 첫 번째 트랜지스터, R1은 첫 번째 저항이다.[3] 종종 부품의 값 또는 유형 지정이 도면의 부품 옆에 표시되지만, 자세한 사양은 부품 목록에 나와 있다.

참조 지정에 대한 자세한 규칙은 국제 표준 IEC 61346에 나와 있다.

4. 구성 (Organization)

회로도는 일반적으로 (보편적이지는 않지만) 신호 또는 전력 경로의 흐름과 같은 순서로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페이지에 정렬하는 것이 관례이다. 예를 들어, 라디오 수신기의 회로도는 페이지 왼쪽에 안테나 입력으로 시작하여 오른쪽에 스피커로 끝날 수 있다. 각 단계의 양극 전원 공급 연결은 페이지 상단에 표시되고, 접지, 음극 공급 또는 기타 복귀 경로는 하단에 표시된다. 유지 보수를 위한 회로도는 회로를 통한 신호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주요 신호 경로가 강조 표시될 수 있다. 더 복잡한 장치는 여러 페이지의 회로도를 가지며, 도면의 여러 장 사이의 신호 흐름을 보여주는 상호 참조 기호에 의존해야 한다.

전기 기술에 사용되는 회로도 및 기타 문서 유형 작성에 대한 자세한 규칙은 국제 표준 IEC 61082-1에 명시되어 있다.

회로도는 종종 다른 기술 도면과 동일한 표준화된 제목 블록과 프레임으로 그려진다.

4. 1. 릴레이 논리 선 다이어그램

릴레이 논리 선 다이어그램( 래더 다이어그램이라고도 함)은 회로도를 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일반적인 표준화된 관례로, 왼쪽과 오른쪽에 수직 전원 공급 레일이 있고, 사다리의 가로대처럼 구성 요소가 그 사이에 배열된다.

5. 제작 (Artwork)

회로도가 완성되면 인쇄 회로 기판(PCB)에 제작될 수 있도록 레이아웃으로 변환한다. 회로도 기반 레이아웃은 회로도 캡처 과정부터 시작된다. 그 결과물은 쥐 둥지(Rat's nest)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목적지 노드로 서로 교차하는 와이어(선)들이 뒤엉킨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는 전자 설계 자동화(EDA) 도구를 사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배선된다. EDA 도구는 부품 배치를 정렬 및 재정렬하고, 다양한 노드를 연결하는 트랙의 경로를 찾는다. 이는 최종 레이아웃 아트워크를 집적 회로 또는 인쇄 회로 기판에 생성한다.[9]

5. 1. 설계 흐름

쥐 둥지


회로도가 완성되면 인쇄 회로 기판(PCB)에 제작될 수 있도록 레이아웃으로 변환된다. 회로도 기반 레이아웃은 회로도 캡처 과정부터 시작된다. 그 결과물은 쥐 둥지(Rat's nest)라고 알려져 있다. 쥐 둥지는 목적지 노드로 서로 교차하는 와이어(선)들이 뒤엉킨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는 전자 설계 자동화(EDA) 도구를 사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배선된다. EDA 도구는 부품의 배치를 정렬하고 재정렬하며 다양한 노드를 연결하는 트랙의 경로를 찾는다. 이는 최종 레이아웃 아트워크를 집적 회로 또는 인쇄 회로 기판에 생성한다.[9]

일반적인 설계 흐름은 다음과 같다.

: 회로도 → 회로도 캡처 → 넷리스트 → 쥐 둥지 → 배선 → 아트워크 → PCB 개발 및 에칭 → 부품 장착 → 테스트

6. 특징 (일본어 문서 내용)

회로도의 심볼은 IEC에서 정하고 있지만,[1] 국가별 표준 규격이나 CAD 제작사, 세트 제작사에 따라 다른 심볼이 사용되거나, 같은 심볼이라도 변형된 것이 사용되어 표기법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1]

최근에는 인쇄 회로 기판을 아트워크용 CAD로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심볼의 모양은 배선에 있어 큰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1] 한편, IC에 여러 전압(예: 1.8V, 2.5V, 3.3V, 5V, 로직용 전원, 아날로그용 전원)이 사용될 때, 과거에는 같은 심볼을 사용했지만, CAD 환경에서는 전압별로 다른 심볼을 정의해야 한다.[1]

회로도에는 실제 인쇄 회로 기판에서의 부품 위치, 배선 경로, 특성 임피던스 등의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별도 도면에서 지시),[1] 일부 아날로그 회로나 고주파 회로의 경우, 회로도 정보만으로는 제품의 성능을 보장하기 어렵다.[1]

6. 1. 아마추어 및 시험 제작

아마추어의 자작이나 원리 시험 제작, 지그 설계의 경우 대략적인 것은 기록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상세한 품번(형식이라고도 불림), 값(저항 값이나 콘덴서의 패럿 값, 내전압 등)이 생략되기도 한다.[1] 또한, 사용되는 부품(IC 주변에 자주 사용되는 바이패스 콘덴서) 자체가 생략되어 기록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1] 집적 회로 등의 전원(Vcc·GND)이나 사용하지 않는 핀은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1]

6. 2. 전문가 및 양산품 설계

전문가에 의한 제품 설계의 경우, 양산품의 회로도는 사용되는 부품의 상세한 품번, 값과 회로도가 엄밀하게 대응·관리되어 데이터 상 생략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그것을 모두 표시하면 회로도가 글자로 가득 차 오히려 판독성이 떨어지므로, 일부러 일부 정보의 표시(인쇄)를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1]

또한 인쇄 회로 기판상에 배치되는 부품과 회로도상의 심볼과의 관계도 생략되지 않는다.[1]

같은 회로 설계에서 국내용과 해외용의 차이, 제품 등급, 출하되는 지역에 적용되는 규격(NTSCPAL의 경우 등)에 따라 부품의 값이 바뀌거나 부품 자체가 바뀌거나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처리를 시무케치 쇼리(仕向地処理)라고 부르는데, 이것을 지원하는 고급 회로도 CAD도 존재한다.[1]

6. 3. CAD 환경

CAD 환경에서 전자 회로도는 전문가에 의한 제품 설계와 아마추어의 자작 또는 원리 시험 제작에 따라 다르게 처리된다.

  • 아마추어의 자작이나 원리 시험 제작, 지그 설계의 경우
  • 대략적인 회로도는 기록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상세한 품번, 값(저항 값이나 콘덴서의 패럿 값, 내전압 등)은 종종 생략된다.
  • 사용되는 부품(IC 주변에 자주 사용되는 바이패스 콘덴서) 자체가 생략되어 기록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집적 회로 등의 전원(Vcc, GND)이나 사용하지 않는 핀은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 전문가에 의한 제품 설계의 경우
  • 양산품의 회로도는 사용되는 부품의 상세한 품번, 값과 회로도가 엄밀하게 대응·관리되어 데이터 상 생략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모두 표시하면 회로도가 글자로 가득 차 판독성이 떨어지므로, 일부 정보의 표시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부품과 회로도 상의 심볼과의 관계도 생략되지 않는다.
  • 같은 회로 설계에서 국내용과 해외용의 차이, 제품 등급, 출하되는 지역에 적용되는 규격(NTSCPAL의 경우 등)에 따라 부품의 값이 바뀌거나 부품 자체가 바뀌거나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시무케치 쇼리(仕向地処理)라고 하며, 이를 지원하는 고급 회로도 CAD도 존재한다.
  • 인쇄 회로 기판 설계(일반적으로 아트워크라고 불림)용 CAD와 회로도
  • 대부분 회로도의 부품과 배선(넷)이 링크되도록 되어 있다.
  • 일반적인 개발·설계 절차를 밟은 경우, 회로도 CAD에서 아트워크용 CAD로 데이터를 읽어들이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 처음에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개발·설계 과정에서 부품이나 정수, 넷이 변경되는 경우(설계 변경)가 자주 있으며, 양쪽의 갱신·수정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논리적인 모순이 발생하여 에러가 발생한다.
  • 회로도가 정확하고 설계 과정에서 발생한 수정도 정확하게 갱신되어 있다면, 회로도와 완성된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잘못된 배선은 발생하지 않는다.
  • 회로 심볼
  • IEC에서 정해져 있다. 그러나 국가별 표준 규격에서 다르거나, 표준과 달라도 알기 쉬운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컴퓨터화 후에도 CAD 메이커, 세트 메이커에 따라 다른 심볼이 사용되거나, 같은 심볼이라도 어레인지된 것이 사용되고 있어 그 표기법은 통일되어 있지 않다.
  • 최근에는 인쇄 회로 기판을 아트워크용 CAD로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경우 심볼의 형상·디자인은 배선하는 데 있어 전혀 의미를 가지지 않고, 배선만 맞으면 아트워크 자체에는 지장이 없다(기대하는 성능이 나오는지는 별개 문제이다).
  • 종래, IC에 여러 개의 전압이 사용되는 경우(1.8V, 2.5V, 3.3V, 5V나 로직용 전원과 아날로그용 전원 등)에도 같은 심볼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CAD가 된 이후로 같은 심볼을 사용하면 CAD 측에서는 판별할 수 없어 같은 전원으로 처리해 버리기 때문에, 별도로 심볼을 정의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 회로도와 실제 인쇄 회로 기판
  • 회로도에는 실제 인쇄 회로 기판에서의 부품의 위치나 배선 경로, 등장 배선, 특성 임피던스의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별도 도면에서 지시), 일부 아날로그 회로나 고주파 회로의 경우, 회로도 정보만으로는 제대로 성능이 나오는 제품을 만들 수 없다.

6. 4. 기호의 통일성



회로도에서 사용되는 부품 기호는 대부분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지만, 국가, 시대, 제조사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기본 표기:
  • 각 부품은 고유한 축약어와 번호로 표시된다. (예: C1은 첫 번째 콘덴서, R1은 첫 번째 저항)
  • 부품 값이나 상세 특성은 부품 목록에 따로 기록된다.
  • 과거와 현재의 기호 변화:
  • 초기에는 부품의 실제 구조를 반영한 기호가 사용되었다. (예: 저항은 감긴 와이어 모양)
  • 현재는 단순화된 기호가 국제 표준으로 사용된다. (예: 저항은 직사각형)
  • 와이어 연결 및 교차:
  • 와이어 연결은 점(•)으로 표시하고, 교차는 점 없이 단순화하거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점프" 기호(반원)를 사용한다.[1]
  • CAD 도면에서는 T자형 접합으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명확하게 구분한다.[3]
  • 참조 지정:
  • 부품 기호는 부품 목록의 참조 지정자(예: C1, L1, Q1, R1)와 연결된다.
  • 자세한 규칙은 국제 표준 IEC 61346에 따른다.
  • 회로도 작성 및 관리 시 주의사항:
  • 아마추어/시험 제작: 상세 품번, 값, 바이패스 콘덴서, IC 핀 등이 생략될 수 있다.
  • 전문가/양산품: 상세 품번, 값이 엄격하게 관리되지만, 가독성을 위해 일부 정보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 인쇄 회로 기판 설계 CAD: 회로도와 아트워크 데이터 간 링크를 통해 논리적 모순을 방지한다.
  • 심볼의 다양성: IEC 표준이 있지만, 국가별, 제조사별, CAD 종류별로 다양한 심볼이 사용될 수 있다.
  • 전압 표기: CAD에서는 여러 전압을 구분하기 위해 별도 심볼을 정의해야 할 수 있다.
  • 회로도 외 정보: 실제 부품 배치, 배선 경로, 특성 임피던스 등은 별도 도면으로 관리될 수 있다.

6. 5. 전원 심볼

회로도에서 전원 심볼은 IEC에서 규정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국가별 표준 규격이나 CAD 제조사, 세트 제조사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1] 특히 인쇄 회로 기판을 CAD로 설계하는 경우, 심볼의 모양보다는 배선 연결이 중요하기 때문에 심볼 표기의 통일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1]

과거에는 IC에 여러 전압(예: 1.8V, 2.5V, 3.3V, 5V, 로직용 전원, 아날로그용 전원)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같은 심볼을 사용했으나,[1] CAD 환경에서는 전압별로 다른 심볼을 정의해야 CAD 시스템에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1]

회로도에는 실제 인쇄 회로 기판의 부품 위치, 배선 경로, 특성 임피던스 등의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1] 아날로그 회로나 고주파 회로의 경우 회로도 정보만으로는 제품의 성능을 보장하기 어렵다.[1]

6. 6. 회로도 정보의 한계

아마추어가 회로도를 제작하거나 원리를 시험하기 위한 제작, 지그 설계 시에는 대략적인 정보가 기록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1] 상세한 품번(형식)이나 값(저항의 값, 콘덴서의 패럿 값, 내전압 등)이 생략되기도 하고, 집적 회로 등의 전원(Vcc·GND)이나 사용하지 않는 핀도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1]

전문가가 제품 설계를 할 때는 양산품의 회로도는 사용되는 부품의 상세한 품번, 값과 회로도가 엄밀하게 대응·관리되어 데이터 상 생략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1] 그러나 모두 표시하면 회로도가 글자로 가득 차 판독성이 떨어지므로, 일부러 일부 정보의 표시(인쇄)를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1]

같은 회로 설계에서 국내용과 해외용의 차이, 제품 등급, 출하되는 지역에 적용되는 규격(NTSCPAL 등)에 따라 부품의 값이 바뀌거나 부품 자체가 바뀌거나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처리를 시무케치 쇼리(仕向地処理)라고 부른다.[1]

인쇄 회로 기판 설계(아트워크)용 CAD의 대부분은 회로도의 부품과 배선(넷)이 링크되도록 되어 있다.[1] 회로도가 정확하고 설계 과정에서 발생한 수정도 정확하게 갱신되어 있다면, 회로도와 완성된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잘못된 배선은 발생하지 않는다.[1]

회로의 심볼은 IEC에서 정해져 있지만, 국가별 표준 규격에서 다르거나, 표준과 달라도 알기 쉬운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1] CAD 메이커, 세트 메이커에 따라 다른 심볼이 사용되거나, 같은 심볼이라도 어레인지된 것이 사용되고 있어 그 표기법은 통일되어 있지 않다.[1]

회로도에는 실제 인쇄 회로 기판에서의 부품의 위치나 배선 경로, 등장 배선, 특성 임피던스의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일부 아날로그 회로나 고주파 회로의 경우, 회로도 정보만으로는 제대로 성능이 나오는 제품을 만들 수 없다.[1]

7. 교육 (Education)

전기 회로의 기능에 대한 교육은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교육 과정에 자주 포함된다.[10] 학생들은 회로도의 기본 원리와 기능을 이해해야 한다. 회로도의 도식적 표현을 사용하면 전기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회로도의 물리적 원리는 종종 유추를 사용하여 가르친다. 예를 들어, 회로의 기능을 펌프가 배터리에 해당하는 온수 난방 시스템과 같은 다른 폐쇄 시스템과 비교하는 것이다.[11]

참조

[1] 웹사이트 Circuit diagrams and component layouts http://www.kpsec.fre[...]
[2] 서적 Computer Concepts and Applications College of Saint Benedict/St. John's University
[3] 웹사이트 Circuit Symbols http://electronicscl[...] 2014-08-02
[4] 웹사이트 Notes on Reading Schematics http://www.siteswith[...] 2011-10-08
[5] 웹사이트 Design News Gadget Freak Submission Guidelines http://www.engr.colo[...] 2011-09-29
[6] 웹사이트 The Electronics Club: Circuit Symbols http://www.kpsec.fre[...]
[7] 웹사이트 Electronic Circuit Symbols http://www.circuitst[...] 2014-08-02
[8] 웹사이트 Electronics Circuit Symbols http://www.electroni[...]
[9] 서적 Printed circuit boards: design, fabrication, assembly and testing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10] 웹사이트 Circuits https://www.bbc.com/[...]
[11] 논문 Going with the flow: Using analogies to explain electric circuits https://www.academia[...] 2022-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