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회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칙은 원래 회람 서신을 의미했으나,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이 가톨릭 교리에 관해 보내는 사목 서한의 한 종류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1740년 교황 베네딕토 14세의 서한 ''Ubi primum''이 최초의 회칙으로 여겨진다. 현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 회칙은 교황 문헌의 범주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라틴어로 작성되고 제목은 첫 문장에서 따온다. 성공회에서도 '회칙' 용어가 사용되며, 영국 수장 주교의 회람이나 동방 총대주교의 회칙 등을 포함한다. 교황 비오 12세는 회칙의 권위에 대해 언급했고, 사회 문제에 관해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새로운 사태''(1891)를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여러 교황들이 사회 문제와 관련된 회칙을 발표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가톨릭교회의 문서 -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은 콘스탄티누스 1세가 교황에게 로마와 서방 제국을 넘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위조된 문서로, 교황권 강화에 이용되다가 르네상스 시대에 위조임이 밝혀졌다.
  • 로마 가톨릭교회의 문서 - 교황청 연감
    교황청 연감은 로마 가톨릭 교회의 공식 연감으로, 가톨릭교회의 역사, 교황 목록, 통계 자료 등을 수록하며, 1716년 처음 발행되어 여러 차례 개칭과 중단을 거쳐 1912년 현재의 이름으로 정착되었다.
  • 교황권의 역사 -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은 콘스탄티누스 1세가 교황에게 로마와 서방 제국을 넘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위조된 문서로, 교황권 강화에 이용되다가 르네상스 시대에 위조임이 밝혀졌다.
  • 교황권의 역사 - 보름스 협약
    보름스 협약은 1122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5세와 교황 갈리스토 2세가 서임권 투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체결한 협정으로, 황제가 주교 및 수도원장 서임 권한을 일부 포기하고 선거 참여 및 분쟁 시 영향력 행사 권한을 갖는 대신 제1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비준되어 교황과 황제 관계에 중요한 선례를 남겼다.
  • 교황 - 콘클라베
    콘클라베는 가톨릭 교회에서 추기경들이 모여 비밀 투표를 통해 교황을 선출하는 회의로, 13세기부터 시작되어 여러 개혁을 거쳐 현재는 시스티나 성당에서 3분의 2 이상 득표한 후보를 선출하고 흰 연기와 종소리로 결과를 알린다.
  • 교황 - 교황 요한 4세
    교황 요한 4세는 640년에 즉위하여 642년에 사망한 교황으로, 단의론을 비판하고 슬라브족 선교에 힘썼으며 고향 지역 구호 활동을 펼쳤다.
회칙
개요
유형교황의 회칙
발신인교황
대상가톨릭 교회
세계 전체 (특정 회칙의 경우)
목적가톨릭 교회 교리, 윤리, 또는 사회 문제에 대한 지침 제공
형식공식 문서
특징
권위교황의 가르침에 대한 권위를 지님
중요성가톨릭 교회의 공식적인 가르침을 반영하며, 신자들의 신앙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
내용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신앙, 윤리, 사회 문제 등에 대한 교회의 입장을 설명
언어라틴어로 작성되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배포
발표교황에 의해 공식적으로 발표되며, 교황청 공보를 통해 공지
역사
기원초기 교회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중세 시대를 거치면서 그 형태가 발전
주요 회칙평화의 모후(1917)
신앙의 옹호자(1937)
인간 생명(1968)
간추린 사회 교리(2004)
진리 안의 사랑(2009)
찬미받으소서(2015)
사랑하는 아마존(2020)
추가 정보
관련 용어교황 서한
자발 교령
사도적 권고
참고 자료가톨릭 교회 교리서
교황청

2. 역사

회칙은 통상 라틴어로 작성되어 각국어로 번역되어 공포된다. 제목은 라틴어 본문의 처음 몇 단어에서 따오는데, 이러한 제목을 붙이는 방식을 인키피트라고 한다.

고대에는 encyclicae라는 단어가 주교가 내는 문서를 가리켰지만, 7세기 이후 교황 문서를 가리키게 되었다(한국어의 회칙이라는 번역어는 후자의 의미로만 사용된다). 교황의 이름으로 발행되는 문서에는 회칙 외에, 사도적 권고(, 사도적 서간 등이 있다.

2. 1. 가톨릭 교회에서의 발전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회칙"은 더욱 구체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1740년,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Ubi primum''이라는 제목의 서한을 썼는데, 이 서한을 일반적으로 첫 번째 회칙으로 간주한다.[2]

현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 회칙'''은 교황 문헌의 특정 범주이며, 교황이 가톨릭 교리에 관해 보내는 일종의 사목 서한이다. 일반적으로 성좌와 친교를 이루는 총대주교, 수석 대주교 및 주교에게 보내진다. 주소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특정 지역의 주교와 관련된 것이거나 더 넓은 대상을 지정할 수 있다.[2] 교황 회칙은 공식적인 교황 칙서와는 달리 보다 개인적인 특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교황 서한 형태를 취한다. 라틴어로 작성되며, 대부분의 교황 문헌과 마찬가지로 회칙 제목은 그 첫 문장(''incipit'')에서 따온다.

교황 비오 12세는 교황 회칙 ''인류의 종족''에서 교황 회칙이 비록 일반 교도권에 속할지라도 특정 문제에 대한 신학적 논쟁을 종식시킬 만큼 충분히 권위적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사회 문제와 관련하여,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새로운 사태''(1891)를 반포했으며, 그 뒤를 이어 비오 11세의 ''사십 주년''(1931)과 요한 바오로 2세의 ''백주년''(1991)이 나왔다. 교황 비오 12세는 10개의 회칙을 발표했는데, 대부분 1945년 이후에 발표되었으며, 그중 3개는 1956년 헝가리 혁명을 억압한 소련헝가리 침공에 항의하는 내용이었다. 해당 회칙들은 ''최근에 주어진'', ''우리는 매우 기뻐합니다'', ''매우 슬픈 사건''이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출산 조절에 관한 회칙 ''인간 생명''을 발표했다.

2. 2. 정교회 및 성공회에서의 사용

성공회에서는 19세기 후반에 "회칙"이라는 용어가 부활했다. 이 용어는 영국 수장 주교가 발행하는 회람에 적용된다.

  • 동방 총대주교의 회칙 (1848)
  • 1895년 총대주교 회칙
  • 1920년 총대주교 회칙
  • 2012년 총대주교 회칙[4][5]

3. 가톨릭 교회에서의 회칙

"회칙"은 원래 단순히 회람 서신을 의미했지만,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더욱 구체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1740년 교황 베네딕토 14세가 ''Ubi primum''이라는 서한을 썼는데, 이 서한을 일반적으로 첫 번째 회칙으로 간주한다.[2] 현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 회칙'''은 교황이 가톨릭 교리에 관해 보내는 사목 서한의 일종으로, 성좌와 친교를 이루는 주교들에게 보내진다.[2] 교황 회칙은 교황 칙서와 달리 교황 서한의 형태를 취한다.[2]

7세기 이전에는 'encyclicae'라는 단어가 주교가 내는 문서를 가리켰지만, 7세기 이후부터는 교황 문서를 가리키게 되었다(한국어의 '회칙'은 이 후자의 의미로만 사용된다).

3. 1. 교황의 사용

교황 비오 12세는 교황 회칙 ''인류의 종족''에서 교황 회칙이 비록 일반 교도권에 속할지라도 특정 문제에 대한 신학적 논쟁을 종식시킬 만큼 충분히 권위적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3]

교황이 회칙에서 정한 것은 교황이 교도권의 최고 권한을 행사하지 않기 때문에 그 자체로 동의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문제들은 일반 교도권에 의해 가르쳐지며, 이에 관해 "너희의 말을 듣는 자는 나를 듣는 것이다." (루카 10:16)라는 말이 적절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교황 회칙에서 제시되고 주입되는 내용은 이미 가톨릭 교리에 속한다. 그러나 최고 교황들이 충분한 고려 후에 지금까지 논란이 되었던 문제에 대해 의견을 표명하는 경우, 이 문제가 동일한 교황들의 뜻과 의지에 따라 더 이상 신학자들 사이에서 자유로운 토론의 문제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모두에게 명백하다.[3]

사회 문제에 관해,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새로운 사태''(1891)를 반포했으며, 그 뒤를 이어 비오 11세의 ''사십 주년''(1931)과 요한 바오로 2세의 ''백주년''(1991)이 나왔다. 교황 비오 12세는 10개의 회칙을 발표했는데, 대부분 1945년 이후에 발표되었으며, 그중 3개는 1956년 헝가리 혁명을 억압한 소련헝가리 침공에 항의하는 내용이었다. 해당 회칙들은 ''최근에 주어진'', ''우리는 매우 기뻐합니다'', ''매우 슬픈 사건''이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출산 조절에 관한 회칙 ''인간 생명''을 발표했다.

회칙은 통상 라틴어로 작성되어 각국어로 번역되어 공포된다. 제목은 라틴어 본문의 처음 몇 단어에서 따온다(이러한 제목의 붙이는 방식을 인키피트라고 한다).

3. 2. 주요 회칙

현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 회칙'''은 교황이 보내는 가톨릭 교리에 관한 일종의 사목 서한으로, 일반적으로 성좌와 친교를 이루는 총대주교, 수석 대주교 및 주교에게 보내진다.[2] 교황 회칙은 공식적인 교황 칙서와는 달리 보다 개인적인 특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교황 서한의 형태를 취한다.[2]

교황 비오 12세는 교황 회칙 ''인류의 종족''에서 교황 회칙이 비록 일반 교도권에 속할지라도 특정 문제에 대한 신학적 논쟁을 종식시킬 만큼 충분히 권위적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3]

사회 문제에 관해,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새로운 사태''(1891)를 반포했으며, 그 뒤를 이어 비오 11세의 ''사십 주년''(1931)과 요한 바오로 2세의 ''백주년''(1991)이 나왔다. 교황 비오 12세는 10개의 회칙을 발표했는데, 대부분 1945년 이후에 발표되었으며, 그중 3개는 1956년 헝가리 혁명을 억압한 소련헝가리 침공에 항의하는 내용이었다. 해당 회칙들은 ''최근에 주어진'', ''우리는 매우 기뻐합니다'', ''매우 슬픈 사건''이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출산 조절에 관한 회칙 ''인간 생명''을 발표했다.

다음은 주요 회칙 목록이다.

교황회칙 제목발표 연도주요 내용
레오 13세노바룸 레룸(새로운 사태)1891년가톨릭 교회가 처음으로 사회 문제에 접근한 기념비적인 회칙
비오 11세Quadragesimo Anno|콰드라제시모 안노it (40주년 기념)1931년『노바룸 레룸』 40주년, 사회 문제에 관하여
미트 브렌넨더 졸게 (타오르는 듯한 근심으로)1937년나치즘나치 독일 체제에서의 인종·민족·국가의 신격화와 비인도적인 행동을 비난 (라틴어가 아닌 독일어로 정식 판이 쓰여진 드문 회칙)
요한 23세Mater et Magistra|마테르 엣 마지스트라it (어머니이자 스승)1961년『노바룸 레룸』 70주년, 사회 문제에 관하여
파쳄 인 테리스 (지상의 평화)1963년세계 평화에 관하여
바오로 6세Populorum progressio|포풀로룸 프로그레시오it (민족들의 발전)1967년개발에 따른 문제에 관하여
Humanae Vitae|후마네 비테it (인간의 생명)1968년산아 제한에 관하여
요한 바오로 2세Redemptoris Mater|레뎀프토리스 마테르it (구세주의 어머니)1987년성모 마리아에 관하여
Veritatis Splendor|베리타티스 스플렌도르it (진리의 광채)1993년도덕 윤리 문제에 관하여
생명의 복음(Evangelium Vitae|에반젤리움 비테it)1995년생명 윤리에 관하여
베네딕토 16세Deus caritas est|데우스 카리타스 에스트it (하느님은 사랑이시다)2005년
Spe salvi|스페 살비it (희망으로 구원받음)2007년
Caritas in veritate|카리타스 인 베리타테it (진리에 뿌리내린 사랑)2009년
프란치스코Lumen fidei|루멘 피데이it (믿음의 빛)2013년
''Laudato si|라우다토 시it (찬미받으소서 - 함께 살아가는 집을 소중히)'''2015년[6]


4. 한국 천주교와 회칙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비어있어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던 이전 상황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참조

[1] 뉴스 The papal encyclical: What is an 'encyclical'? https://www.usatoday[...] 2015-06-16
[2] 웹사이트 Encyclical https://www.britanni[...]
[3] 문서 Humani generis
[4] 뉴스 Orthodox Leader Deepens Progressive Stance on Environment https://www.nytimes.[...] 2017-08-30
[5] 웹사이트 Message by H.A.H. Ecumenical Patriarch Bartholomew upon the Day of Prayer for the Protection of Creation (01/09/2012) https://www.patriarc[...]
[6] 웹사이트 諸文書:回勅・使徒的勧告など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https://www.cbcj.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