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성 (기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성은 1957년 효성물산으로 시작하여 1966년 동양나이론㈜을 설립하며 섬유 부문을 중심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섬유, 중공업, 화학, 무역, 건설, 정보통신, 산업자재 등 7개의 PG(Performance Group)를 중심으로 사업을 운영하며, 스판덱스, 타이어코드, 탄소섬유, TAC 필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왔다. 현재 효성티앤씨, 효성화학, 효성중공업 등 여러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한국타이어, 효성첨단소재 등이 계열사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효성그룹 - 조홍제
    조홍제는 1906년에 태어나 1984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1948년 삼성물산공사 설립에 참여하고 1962년 효성물산을 설립하여 효성그룹을 성장시켰으며, 배명학원 이사장과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 효성그룹 - 조현준 (기업인)
    조현준은 1997년 효성티앤씨에 입사하여 효성그룹 회장까지 오른 기업인으로, 스판덱스 사업 성공을 통해 효성을 세계 1위 기업으로 성장시켰으나 횡령 혐의, 갑질 논란, 병역 기피 의혹 등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 대한민국의 지주회사 - SK (기업)
    SK 주식회사는 SK그룹의 지주회사로, 에너지, 화학, 정보통신, 반도체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대한민국 재계 서열 3위의 대기업 집단이다.
  • 대한민국의 지주회사 - KT
    KT는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설립되어 한국통신을 거쳐 2002년 KT로 사명을 변경한 대한민국의 통신 기업으로, 초고속 인터넷, 이동통신, IPTV 등의 사업을 영위하며 자회사 KTF와 합병하고 아이폰을 국내에 도입했지만, 여러 논란과 사건 사고가 있었다.
  • 1957년 설립된 기업 - 후지 TV
    후지 TV는 닛폰 방송, 문화방송, 영화 3사의 참여로 1959년 개국한 일본의 민영 방송국으로, 전국 방송망을 구축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했으나, 2010년대 이후 경영 악화로 구조조정을 단행하며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고 있다.
  • 1957년 설립된 기업 - 한보철강
    한보철강은 초석건설을 모태로 1980년 설립되어 건설 및 철강 사업을 영위했으나, 무리한 투자와 자금난으로 1997년 부도 처리되었고, 이는 외환위기의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되며 자산은 현대제철에 인수합병되었다.
효성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이름효성 주식회사
로고
유형상장 회사
설립일1966년
설립자조홍제(趙洪濟)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19
핵심 인물조현준 (최고 경영자 및 회장), 김규영 (대표이사 사장)
산업재벌
매출액미화 170억 달러 (2015년)
영업 이익미화 8억 1600만 달러 (2015년)
순이익미화 (4억 5100만) 달러 (2015년)
자산미화 120억 달러 (2015년)
자기 자본미화 29억 8000만 달러 (2015년)
직원 수25,000명 (2015년 1월 기준)
웹사이트효성 공식 웹사이트
슬로건창의성에서 영감을 얻다 (Creativity Inspired)
회사 정보 (한국어)
원어주식회사 효성
한글 표기효성
한자 표기曉星
로마자 표기Hyoseong
주식 정보
한국거래소(1973.6.30 상장)
재무 정보 (2020년)
자본금105,355,125,000원
매출액2,782,554,818,809원
영업이익138,793,355,652원
순이익1,220,252,292원
자산총액4,429,749,879,590원
주주 구성
주요 주주조현준 외 특수관계인: 55.11%, 국민연금: 11.11%
자회사
주요 자회사효성굿스프링스주식회사
주식회사 FMK
효성트랜스월드주식회사
효성티앤에스
태안솔라팜주식회사
포항신재생에너지주식회사

2. 연혁

1966년11월 효성물산이 창립되었고,[5] 1978년8월 일본 부문을 설립했다. 1993년 공덕동에 본사 사옥을 준공했다. 현재 섬유, 중공업, 화학, 무역, 건설, 정보통신, 산업자재 등 총 7개 PG 산하에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1. 창립과 성장 (1957년 ~ 1980년대)

효성그룹은 1957년에 설립된 효성물산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1966년에 설립된 동양나이론㈜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섬유 부문을 중심으로 회사를 확대해 1967년 울산에 타이어코드 공장을 완공하고 1968년에 울산공장을 준공했다. 1975년에는 한영공업㈜을 인수해 1977년 효성중공업㈜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같은 해에 창원에는 중공업 공장을 준공했다.

1980년에 한국타이어와 대전피혁을 계열 분리하였다. 1981년 창업자 만우 조홍제 회장에 이어 장남인 조석래 회장이 효성중공업 회장으로 취임했다. 1984년 ㈜토프론을 합병했고, 1985년에는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의 전신인 효성NAS를 세웠다. 끊임없는 개발을 통한 우수제품 확보는 수출 증대에 기여했고, 1990년 수출 5억불 탑 수상의 쾌거를 이루었다.

1993년에 현재의 공덕동 본사 사옥을 준공했다.

1996년, 동양나이론은 효성T&C로 사명을 변경했고 동양폴리에스터 역시 효성생활산업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같은 해 효성은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외환위기 직후 효성은 그룹 경영조직을 개편하며 큰 변화를 가지고 왔다. 1998년 효성T&C, 효성물산, 효성생활산업, 효성중공업㈜을 합병해 5개 PG와 31PU로 조직을 개편했다. 각 PG/PU는 인사, 구매, 영업, 투자 등 모든 권한을 위임하는 새로운 체제 하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1999년 4월 부도를 낸 한일약품의 새 주인 물망(2003년 말)에 오르기도 했다.[5][6]

2. 2. 기술 개발과 글로벌화 (1981년 ~ 1990년대)

1980년한국타이어와 대전피혁을 계열 분리하였다. 1981년 창업자 만우 조홍제 회장에 이어 장남인 조석래 회장이 효성중공업 회장으로 취임했다. 1984년 ㈜토프론을 합병했고, 1985년에는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의 전신인 효성NAS를 세웠다. 끊임없는 개발을 통한 우수제품 확보는 수출 증대에 기여했고, 1990년 수출 5억불 탑을 수상하였다.

2. 3. 구조조정과 재도약 (1998년 ~ 현재)

1996년 동양나이론은 효성T&C로, 동양폴리에스터는 효성생활산업으로 각각 사명을 변경했다. 같은 해 효성은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외환위기 직후 효성은 그룹 경영조직을 개편했다. 1998년 효성T&C, 효성물산, 효성생활산업, 효성중공업㈜을 합병해 5개 PG와 31PU로 조직을 개편했다. 각 PG/PU는 인사, 구매, 영업, 투자 등 모든 권한을 위임받는 새로운 체제 하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했다.[5]

현재 섬유, 중공업, 화학, 무역, 건설, 정보통신, 산업자재 등 총 7개 PG 산하에서 글로벌 효성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1999년 4월 부도를 낸 한일약품의 새 주인 물망(2003년 말)에 오르기도 했다.[6]

3. 주요 사업 분야

효성은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건설, 무역, 정보통신 등 다양한 사업 분야를 영위하고 있다.[1] 특히 타이어코드, 스판덱스 등의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공업 분야의 변압기나 차단기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1]

LCD용 편광판 보호 필름(TAC 필름), 탄소섬유 등의 첨단 소재 사업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2009년에는 LCD용 TAC 필름 공장을 완공하고 생산에 들어갔으며, 2013년에는 탄소섬유 전주공장을 준공하여 고성능 탄소섬유 양산에 나섰다.

금융자동화기기(ATM) 사업도 주요 사업 중 하나이다. 효성의 계열사인 노틸러스효성은 뉴 브랜치 솔루션(NBS) 사업을 통해 은행 업무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다.

3. 1. 섬유

타이어코드는 타이어의 내구성과 주행성•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고무 내부에 들어가는 섬유 재질의 보강재를 말하는데, 효성은 창업 초창기인 1967년부터 타이어코드 사업을 시작하였다.

1990년대 후반 들어 타이어코드를 미래 신사업으로 삼은 효성은 북미와 유럽 시장을 본격 공략하자는 전략 하에 중국, 베트남, 터키 등에 생산 기지를 구축하면서 세계 시장 진출을 가속화했다. 2002년 미쉐린과 3.5억달러 규모의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고, 2006년에는 굿이어와 세계 최대 규모인 32억달러 규모의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함으로써 Global 타이어 메이커로부터 제품의 우수한 품질과 신뢰성을 인정받고, 안정적인 성장의 계기도 마련하게 되었다.

현재 효성의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는 세계 시장 점유율 47%(2012년 기준)로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타이어코드 사업부문은 전 세계 고객들에게 보다 안정적인 제품 공급과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울산공장 외에 중국과 베트남, 미국, 브라질, 룩셈부르크 등 세계 각지에 현지 생산 체제를 구축하는 등 생산 기지를 다변화하고 있다.

효성의 스판덱스 브랜드 ‘크레오라’는 전 세계 연간 생산량 42만 톤 중 13만 톤을 차지해 세계 시장 점유율 30%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글로벌 NO.1 브랜드이다. (※ 스판덱스: ‘섬유의 반도체’라고 불리며, 신축성이 뛰어나고 발한성, 보온성, 내구성이 좋음. 수영복을 비롯한 스포츠 의류에 많이 쓰임.)

오랜 연구 개발 끝에 1997년 독자 기술로 제품 개발에 성공하였고, 2000년부터 구미 공장에서 스판덱스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효성은 초기부터 적극적인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해 2001년 중국 가흥을 시작으로 중국 주해, 중국 광동, 터키, 베트남, 브라질에 현지 생산 공장을 건설하여 운영 중이다. 이러한 현지 생산 체제와 지역별 재고 관리를 통해 고객에게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더욱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했다. 현재는 고객과 함께 성장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해외 시장 공동 진출, 특화 원사 공동 개발 등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등 후발 기업들의 추격을 뿌리치기 위해 친환경, 에너지 고효율, 고품질 차별화 원사 개발에 매진함으로써 ‘크레오라’ 브랜드를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자리매김시키고 있다.

3. 2. 산업 자재

효성은 1967년부터 타이어코드 사업을 시작하였다. 타이어코드는 타이어의 내구성과 주행성,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고무 내부에 들어가는 섬유 재질의 보강재이다. 1990년대 후반, 효성은 타이어코드를 미래 신사업으로 삼고 북미와 유럽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중국, 베트남, 터키 등에 생산 기지를 구축하며 세계 시장 진출을 가속화했다.

2002년에는 미쉐린과 3.5억달러 규모의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고, 2006년에는 굿이어와 32억달러 규모의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글로벌 타이어 제조업체로부터 품질과 신뢰성을 인정받고 안정적인 성장 계기를 마련했다. 2012년 기준으로 효성의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는 세계 시장 점유율 47%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타이어코드 사업 부문은 울산공장 외에 중국, 베트남, 미국, 브라질, 룩셈부르크 등 세계 각지에 현지 생산 체제를 구축하여 생산 기지를 다변화하고 있다.

LCD용 편광판 보호 필름인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은 TV, 모니터, 노트북, 휴대전화 등에 널리 사용되는 핵심 부품이다. 효성은 2009년 울산 용연 공장에 연간 5천만m2 규모의 LCD용 TAC 필름 공장을 완공하고 생산을 시작했다. 최근에는 충북 청원군 옥산산업단지에 연산 6천만m2 규모의 LCD용 TAC 필름 증설에 나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효성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TAC 필름 생산이 가능한 기업으로, 세계적으로도 3, 4위를 다툴 정도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효성의 TAC 필름은 필수 부품의 수입 대체 효과는 물론, 국내 디스플레이 관련 업체들의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2013년 5월, 효성은 전북 전주 친환경 첨단복합단지(182253m2)에 연산 2,000톤 규모의 탄소섬유 전주공장을 준공하고, 고성능 탄소섬유 양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탄소섬유는 철보다 무게는 1/5에 불과하지만 강도는 10배 이상 강한 최첨단 신소재로, 항공우주 산업을 비롯해 자동차, 토목, 건축, 전기, 전자, 환경, 스포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효성의 독자 기술로 개발된 탄소섬유 '탠섬(TANSOME®)'은 품질 면에서 기존 글로벌 경쟁사들과 큰 차이가 없을 만큼 우수하다. 효성 탄소섬유 공장이 들어선 전주시 일대에는 탄소섬유를 이용한 각종 부품 및 최종 제품을 제작할 기업들이 많이 들어서 '탄소밸리'가 조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3. 3. 화학

효성은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건설, 무역, 정보통신 사업 등을 영위하는 복합 기업이다. 효성은 타이어 코드, 스판덱스(폴리우레탄 섬유)의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이며, 중공업 분야의 변압기나 차단기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1]

3. 4. 중공업

효성은 중공업 분야에서 변압기나 차단기 부문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1]

3. 5. 건설

효성은 건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1]

3. 6. 무역

효성은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건설, 무역, 정보통신 사업 등을 영위하는 복합 기업이다. 타이어 코드, 스판덱스(폴리우레탄 섬유)의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이며, 중공업 분야의 변압기나 차단기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3. 7. 정보 통신

효성의 금융자동화기기 전문 계열사인 노틸러스효성은 은행 업무를 무인 은행에 가깝게 혁신적으로 자동화한 뉴 브랜치 솔루션(NBS: New Branch Solution) 사업 진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NBS는 여러 가지 기존 ATM과 은행 창구를 결합해 1명의 직원이 최대 3명의 고객을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하이브리드 ATM’, 화상 안내를 통해 금융 관련 컨설팅을 원격으로 받을 수 있는 ‘비디오뱅킹 키오스크’, 기존 홍보∙안내용 로봇에 ATM 기능 및 사진 촬영 등 각종 기능을 더해 다양한 곳에서 생활의 편리를 더할 ‘로봇키오스크’, 고객 편의성과 운용 비용 절감을 실현한 ‘차세대 ATM’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틸러스효성의 첨단 지폐 처리 기술에 한국의 첨단 IT 기술을 접목해 탄생한 NBS는 고객에게는 빠르고 편리한 거래를 제공하고, 은행은 금융 상품 판매와 같은 사람이 하던 고부가가치 업무를 자동화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노틸러스효성은 전 세계 30여 개 국에 자체 개발한 ATM을 수출하고 있으며, ATM 핵심 Unit의 독자 개발, 생산 및 맞춤형 제품의 공급 능력을 갖추는 등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NBS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4. 지배 구조 및 경영권 분쟁

조석래 명예회장은 슬하에 세 아들을 두었으며, 이들은 모두 효성그룹 관련 기업에 입사했다. 그러나 2013년 차남인 조현문 전 부사장이 장남인 조현준 회장과 경영권 분쟁을 일으키며 퇴사했다.[1] 이후 차남과 장남 간의 소송전이 벌어져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1] 조석래 명예회장은 그룹 경영에서 한 발 물러나 있었으나, 2024년 사망할 때까지 그룹을 지켜봤다.[1]

5. 사회적 책임 및 논란

효성그룹은 사회적 책임 경영을 강조하고 있지만, 여러 사회적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6. 계열사

효성은 여러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현존하는 계열사로는 효성굿스프링스, 효성티앤씨, 효성화학, 효성중공업 등이 있으며, 한국타이어제조, 효성기계공업 등은 분가되었다. 동양나이론, 효성첨단소재 등은 이전 계열사였다.

6. 1. 현존

계열사


6. 2. 분가

효성그룹에서 분가한 회사
회사명비고
한국타이어제조
한국전지
대전피혁
동성개발
효성기계공업
동성
대성
효성금속
효성알미늄
동성개발
효성 화학
효성중공업
효성 모터스현 S&T모터스


6. 3. 이전 계열사


  • 동양나이론
  • 효성첨단소재
  • 동양폴리에스터
  • 원미섬유
  • 효성바스프
  • 효성캐피탈
  • 효성ABB
  •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 효성토요타
  • PET 사업부 (현재는 삼양패키징)
  • 효성 화학
  • 효성중공업
  • 효성 모터스 (현 S&T모터스)

7. 로고 상표권 분쟁

현재 효성이 사용하는 로고는 거목(巨木)을 형상화한 것으로[7] 1981년 5월 1일부터 제정, 사용하여 왔는데, 이 로고가 황소의 머리를 형상화한 축산업협동조합의 로고(같은 해 1월 1일 제정)와 흡사하여 법정 분쟁으로 비화되었다.[8] 결국 대법원1999년 효성의 로고는 축산업협동조합과 중복되는 금융 분야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고 판결하였으나,[9] 2000년 축산업협동조합이 농업협동조합과 통합되어 문제가 된 로고의 사용이 중지되면서 이 분쟁은 자연스럽게 종결되었다.[7]

8. 본점 및 지점

참조

[1] 웹사이트 hyosung corporation (004800:Korea SE) http://investing.bus[...] businessweek.com 2014-09-01
[2] 웹사이트 Hydrogen Hope Fuels Shares Of Korean Conglomerate Hyosung, Mints New Billionaire https://www.forbes.c[...] Forbes 2021-09-17
[3] 웹사이트 韓国・暁星の趙錫来氏が死去 元韓日経済協会会長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4-03-29
[4] 웹사이트 韓国・暁星の次男 相続財産の全額寄付を表明=兄弟に和解求める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4-07-05
[5] 뉴스인용 한일약품 최종부도 직전 유상증자...소액투자자 피해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999-04-03
[6] 뉴스인용 CJ, 한일약품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https://n.news.naver[...] 서울경제 2003-12-19
[7] 뉴스 “형제 회사 아냐?” 유사 로고에 기업들 골머리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8-18
[8] 뉴스 마크 소유권놓고 「曉星(효성)」·「畜協(축협)」맞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1-07-16
[9] 뉴스 대법,"동종업종 유사로고 사용못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