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치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치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1929년 산시성 위린시에서 태어났다. 베이징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중국 공산당에 입당한 후, 톈진 시장, 중국 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 중앙서기처 서기 등을 역임했다. 1987년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톈안먼 사건으로 해임되었다. 이후 기계전자공업부 부장,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을 거쳐 쑹칭링 기금회 회장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청단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 공청단 - 보시라이
보시라이는 중국 공산당 고위 간부로서 다롄 시장, 랴오닝성 성장 등을 역임하며 '충칭 모델'로 경제 성장과 사회 안정을 추구했으나, 닐 헤이우드 사망 사건과 왕리쥔 사건으로 몰락하여 부패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정치적 논란을 야기했다. - 덩샤오핑 - 국공 내전
국공 내전은 1927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무력 충돌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중화민국 분단으로 이어진 중요한 사건이다. - 덩샤오핑 - 자오쯔양
조자양은 중국 공산당 지도자로서 1980년대 중국 경제 개혁과 개방 정책을 주도하며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1989년 톈안먼 사건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몰락하여 가택 연금 생활을 하였고 사후 복권되지 못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류윈산
류윈산은 내몽골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이념 및 선전 분야에서 활동했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언론 통제 정책을 추진했으며, 2017년 은퇴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저우융캉
저우융캉은 중국의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역임하며 사법, 정보, 공안 기관을 총괄했지만, 퇴임 후 권력 남용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후치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출생일 | 1929년 10월 6일 |
| 출생지 | 중화민국(1912–1949) 섬서성유린시 |
| 배우자 | 하오커밍 (郝克明, 2023년 사망) |
| 중국어 표기 | 간체: 胡启立 정체: 胡啟立 병음: Hú Qǐlì 웨이드-자일스: Hu2 Ch'i3-li4 |
| 정당 | |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
| 주요 경력 | |
| 직위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제1서기 |
| 재임 시작 | 1985년 9월 24일 |
| 재임 종료 | 1989년 6월 24일 |
| 전임 | 후야오방 |
| 후임 | 차오스 |
| 총서기 | 후야오방 자오쯔양 |
| 직위 2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
| 함께한 위원 | 자오쯔양 리펑 차오스 야오이린 |
| 총서기 2 | 자오쯔양 |
| 재임 시작 2 | 1987년 11월 |
| 재임 종료 2 | 1989년 6월 |
| 직위 3 |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 |
| 총서기 3 | 후야오방 |
| 재임 시작 3 | 1982년 4월 |
| 재임 종료 3 | 1983년 6월 |
| 전임 2 | 야오이린 |
| 후임 2 | 차오스 |
2. 초기 생애 및 교육
1929년 10월 6일 산시성 위린시에서 태어났다. 1946년 베이징 대학에 입학하여 물리학을 전공했다. 1948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3]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정치학으로 전공을 변경했다.[3] 1951년 베이징 대학 기계공학과를 졸업했다.[3]
1929년 10월 6일 산시성 위린에서 태어났다. 1946년 베이징 대학에 입학하여 물리학을 전공했고, 1948년 19세의 나이로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자 전공을 정치로 변경했다.[3] 1951년 베이징 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했다.
3. 초기 경력
3. 1.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활동
1951년부터 1956년까지 베이징 대학 공산주의 청년단 위원회 서기를 지냈다.[4] 1956년부터 1966년까지 전국 학생 연합회 주석을 역임했다.[4] 1958년, 마오쩌둥을 알현했다.[4] 1978년에는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중앙위원회 비서처 위원이 되었고, 중국 전국 청년 연합회 주석을 지냈다.[1]
3. 2. 문화대혁명 시기
문화 대혁명 기간(1966년 ~ 1972년) 동안 후치리는 5·7 간부 학교에 하방되어 생활했다.[3] 1972년에 복귀하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시지현 당위 부서기, 구위 부서기, 자치구 당위 판공청 주임을 역임했다.[3]
3. 3. 문화대혁명 이후
1972년 닝샤 후이족 자치구 시지 현 당위원회 부서기로 복귀했다.[3] 1972년부터 1977년까지 구위안시 당위원회 부서기, 자치구 당위원회 판공청 주임을 역임했다.[3] 1977년 칭화 대학 당위원회 부서기를 역임했다.
4. 중앙 정치 경력
1977년 칭화 대학 당위원회 부서기를 지냈고, 1978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중앙 서기처 서기 및 전국 청년 연합회 주석으로 선출되었다.[1] 1980년 톈진시 당위원회 서기와 시장을 겸임하였다. 1982년 중앙으로 복귀하여 중국 공산당 중앙 판공청 주임, 중국 공산당 중앙 서기처 서기를 역임하며 후야오방 총서기를 보좌했다.[1] 1985년 9월 중국 공산당 제12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 회의에서 중앙 서기처 상무 서기에 취임했고,[1] 1987년 11월 중국 공산당 제13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 회의에서 선전·보도 담당의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승격했다.[1]
덩샤오핑은 후야오방 실각 후 후치리를 후계자로 생각했으나, 1989년 톈안먼 사건에서 학생 운동에 동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계엄령에 반대하여 정치국 상무위원 및 서기처 서기에서 해임되고 중앙위원으로 강등되었다.[7][8]
1991년 기계 전자 공업부(현 중화인민공화국 정보산업부) 부부장으로 복귀했고, 1993년 부장이 되어 직원을 대폭 감축하고 중국 롄퉁을 설립했다.[1] 1998년 전국정치협상회의 부주석이 되었다.[1] 2001년과 2002년 방일했으며, 2002년에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와 회담했다.[1]
2003년 3월 은퇴했다. 2005년 12월, 후야오방 총서기 탄생 90주년을 계기로 후야오방이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는 '내 마음속의 야오방'이라는 글을 기고했다.[1]
4. 1. 톈진 시장 시절
1980년 톈진시 당위원회 서기와 시장을 겸임하며, 1976년에 발생한 탕산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채 방치되었던 톈진시의 부흥에 힘썼다.4. 2. 중앙 요직 역임
1982년 중앙으로 자리를 옮겨 중국 공산당 중앙 판공청 주임, 중국 공산당 중앙 서기처 서기를 역임하며 후야오방 총서기를 보좌했다.[1] 1985년 9월 중국 공산당 제12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 회의에서 중앙 서기처 상무 서기에 취임했다.[1] 1987년 11월 중국 공산당 제13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 회의에서 선전·보도 담당의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승격했다.[1]4. 3. 톈안먼 사건과 해임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 학생 시위에 온건적인 태도를 보이며 계엄령에 반대했다.[7] 자오쯔양과 함께 계엄령에 반대하는 상무위원 두 명 중 한 명이었다.[7] 이 사건으로 덩샤오핑에 의해 상무위원직에서 해임되고, 지도 일선에서 물러났다.[8]5. 정계 복귀 이후
1991년, 후치리는 기계전자공업부 부부장으로 정계에 복귀했다.[3] 1993년부터 1998년까지 기계전자공업부 부장을 역임했다.[3]
1998년, 후치리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4] 그는 당과 국가 지도자에 대한 적절한 정치적 대우를 회복하는 임무를 맡았다. 관례에 따라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위원장,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또는 그 이상의 직위를 가진 사람은 공식 언론에서 "당과 국가 지도자"(党和国家领导人)로 지칭된다.[4]
2001년 후치리는 중국 쑹칭링 기금회 회장이 되었다.[5] 2016년 11월 이 자리에서 물러났다.[5] 2003년 3월에 은퇴했다.[7]
6. 평가 및 관점
후치리는 개혁개방 정책을 지지하고 톈안문 사건 당시 학생 시위에 온건한 태도를 보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톈안문 사건 당시 계엄령 시행에 반대하여 중국 공산당 내 보수파의 비판을 받고 정치적으로 추방되었다는 비판적인 평가도 존재한다.[7][8] 중국 공산당 내에서 후치리는 민주주의와 인권을 중시하는 온건 개혁파 인사로 평가받으며, 톈안문 사건에서 그가 보인 온건한 태도는 민주주의 발전에 대한 열망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5]
6. 1. 긍정적 평가
후치리는 개혁개방 정책을 지지했으며, 톈진시 시장 시절 탕산 지진 피해 복구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1989년 톈안문 사건 당시 학생 시위에 온건한 태도를 보이며 민주적 절차를 중시했다는 평가도 있다.[5] 그는 자오쯔양의 지시에 따라 학생들과의 대화를 통해 개방과 관용의 선전 정책을 시작했다.[5] 인민일보의 사설에 대해서도 후치리는 베이징 학생 시위대가 합리적으로 행동하기 시작했으며 중국 정부는 학생들에게 더 정확한 소식을 제공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학생 운동이 오해 없이 정확하게 보도되어야 한다고 믿었으며, 자오쯔양의 연설에 동의했다.[6]6. 2. 비판적 평가
톈안먼 사건 당시 자오쯔양과 함께 계엄령 시행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7] 이는 중국 공산당 내 강경 진압을 주장하는 보수파의 비판을 받았으며, 결국 1989년 6월 23일과 24일에 열린 중국 공산당 제13기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에서 후치리와 자오쯔양, 루이싱원, 옌밍푸는 당직을 박탈당했다.[8] 이 사건 이후 후치리는 한동안 중국 정치에서 추방되었다.[8]6. 3. 중도진보적 관점
후치리는 중국 공산당 내에서 민주주의와 인권을 중시하는 온건 개혁파 인사로 평가받는다. 그의 정치 경력은 중국 공산당 내 개혁 세력의 부침을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특히 톈안먼 사건 당시 그가 보여준 온건한 태도는 민주주의 발전에 대한 열망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5]톈안먼 사건 당시, 후치리는 자오쯔양 총서기의 지시에 따라 학생들과의 대화를 통해 개방과 관용을 강조하는 정책을 추진했다.[5] 인민일보 사설을 통해 학생 시위대의 합리적인 행동을 언급하며, 정부가 학생들에게 정확한 소식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그러나 계엄령 시행에 반대하면서 그의 정치적 운명은 쇠퇴하기 시작했다.[7] 결국 중국 공산당 제13기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에서 당직을 박탈당하고 정치에서 추방되었다.[8]
7. 기타
2005년 12월, 후야오방 탄생 90주년을 맞아 '내 마음속의 야오방'이라는 글을 기고하며 후야오방이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밝혔다.
참조
[1]
뉴스
4 Removed From Their Posts As a Result of Shifts in Power
https://www.nytimes.[...]
2023-06-15
[2]
웹사이트
Hu Qili, Chairman of our association, presented awards to the winners of the first Children’s Invention Award
https://www.sclf.org[...]
2024-04-06
[3]
웹사이트
胡启立简历_人物库_新华网
http://news.xinhuane[...]
2014-04-09
[4]
웹사이트
Mao Zedong interview Hu Qili
http://www.southcn.c[...]
[5]
웹사이트
Hu Qili during June Fourth Movement
http://history.dwnew[...]
[6]
서적
The big bang of history-June Fourth Movement Record
TianDi Publish
2009-05
[7]
서적
Prisoner of the State: The Secret Journal of Premier Zhao Ziyang
Simon and Schuster
2009
[8]
서적
The Tiananmen Papers
PublicAffairs
2001
[9]
웹사이트
Orders of precedence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Leaders of the Party and the State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