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다 리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쿠다 리키는 일본의 종합격투기 선수로, 2003년 프로 레슬링으로 데뷔했다. 이후 종합격투기 선수로 전향하여 2009년 DEEP 미들급 챔피언, 2015년 ROAD FC 미들급 챔피언에 올랐다. UFC에서도 활동했으며, 2004년 전일본 아마추어 슈토 선수권 크루저급에서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도핑 위반 선수 - 이리키 유사쿠
이리키 유사쿠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출신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닛폰햄 파이터스, DeNA 베이스타스에서 투수로 활동하며 최고 승률을 기록하고 올스타전에 출전하기도 했으며, 은퇴 후 코치로 복귀하여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오릭스 버팔로즈를 거쳐 현재 DeNA 베이스타스 2군 치프 투수 코치를 맡고 있다. - 일본의 도핑 위반 선수 - 요코사와 유키
요코사와 유키는 일본의 여자 유도 선수로,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 2003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08년 은퇴 후 캐나다 밴쿠버에서 유도를 지도한다. - 로드 FC 챔피언 - 오야마 슌고
오야마 슌고는 유도와 삼보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인 일본의 종합격투기 선수로, PRIDE, HERO'S, DREAM, ROAD FC 등에서 활동하며 ROAD FC 미들급 초대 챔피언을 지냈고, 은퇴 후에는 훈련 프로그램 운영 및 사회 활동을 하고 있다. - 로드 FC 챔피언 - 마이티 모
마이티 모는 강력한 펀치력을 가진 미국의 격투기 선수로 K-1과 로드 FC 등에서 활동하며, 특히 K-1에서 최홍만에게 KO승을, 로드 FC에서는 무제한급 챔피언을 차지했다. - 도핑 위반 종합격투기 선수 - 브록 레스너
브록 레스너는 NCAA 레슬링 챔피언 출신으로 WWE와 UFC에서 여러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하고 "짐승"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종합격투기 선수이지만, NFL 진출 실패, 신일본 프로레슬링 활동, 약물 논란 등으로 주목과 비판을 동시에 받고 있다. - 도핑 위반 종합격투기 선수 - 프랭크 미어
프랭크 미어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출신의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전 UFC 헤비급 챔피언으로, 유도 선수 출신이며 UFC 헤비급 최다 승리 및 서브미션 승리 기록을 세웠고, 다양한 격투기 단체 및 프로레슬링, 프로복싱 경기에도 출전하며 해설 및 분석가로도 활동했다.
후쿠다 리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후쿠다 리키 |
다른 이름 | 해당사항 없음 |
이미지 | 해당사항 없음 |
이미지 크기 | 200px |
이미지 설명 | 해당사항 없음 |
본명 | 해당사항 없음 |
출생일 | 1981년 1월 6일 (43세) |
출생지 | 기후현 기후시 |
사망일 | 해당사항 없음 |
사망 장소 | 해당사항 없음 |
사망 원인 | 해당사항 없음 |
거주지 | 해당사항 없음 |
국적 | 일본인 |
키 | 183cm |
몸무게 | 83.9kg |
체급 | 헤비급 라이트 헤비급 미들급 |
리치 | 185.4cm |
스타일 | 해당사항 없음 |
스탠스 | 사우스포 |
파이팅 스타일 | 해당사항 없음 |
소속팀 | Grabaka American Kickboxing Academy Haleo Top Team |
랭킹 | 해당사항 없음 |
활동 기간 | 2004년–현재 |
KO 승 | 12 |
서브미션 승 | 해당사항 없음 |
판정 승 | 12 |
KO 패 | 3 |
서브미션 패 | 해당사항 없음 |
판정 패 | 6 |
무승부 | 해당사항 없음 |
노 콘테스트 | 1 |
웹사이트 | 해당사항 없음 |
Sherdog | 10229 |
주석 | 해당사항 없음 |
링네임 | 그라바카의 파워홀 WJ의 자식 죠슈의 유전자 |
레슬링 정보 | |
레슬링 스타일 | 레슬링 (3단) |
음악 | |
테마곡 | 파워홀(이모한쇼) |
2. 내력
후쿠다 리키는 초등학교 및 중학교 시절 검도를 배웠고, 기후현립 기후 공업고등학교 및 야마나시가쿠인 대학 시절에는 레슬링 선수로 활동하였다. 대학교 4학년 때 전일본 학생 선수권 자유형 96kg급에서 2위를 차지했다.[21]
2003년 대학 졸업 후 죠슈 리키의 WJ 프로레슬링에 연습생으로 입단했으나, 같은 해 6월 예정된 데뷔전이 두 번 연기되면서 탈퇴했다. 이후 종합격투기 선수로 전향, 대학 시절 동료였던 야마모토 '키드' 노리후미 등이 소속된 퓨어브레드 도쿄(KILLER BEE)에서 훈련을 시작했다.
2004년 4월 16일, 하와이에서 개최된 SuperBrawl 35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으나 판정패했다. 그해 9월 제11회 전 일본 아마추어 슈토 선수권 대회 크루저급 토너먼트에서 우승했고,[22] 2005년 1월 프로 슈토 데뷔전에서도 판정승을 거두었다. 이후 판크라스, 엘리트XC 등에서 활동하며 경력을 쌓았다.
2007년 10월 그라바카로 이적하며 DEEP으로 옮겨 활동하게 된다.[25] 2008년 2월 22일, DEEP 34 IMPACT에서 개최된 DEEP 미들급 선수 결정 토너먼트에 출전하여 1회전에서 사쿠라이 류타에게 판정승을 거두었다. 5월 19일, DEEP 35 준결승에서 시라이 유야에게 판정승을 거두었지만, 결승에서 나카니시 유이치에게 판정패했다. 2009년 2월 20일, DEEP 40 IMPACT의 DEEP 미들급 왕좌 도전 선수 결정전에서 사쿠라이 류타와 재대결하여 TKO승을 거두었다.[26] 2009년 6월 30일, DEEP 42 IMPACT의 DEEP 미들급 타이틀 매치에서 챔피언 나카니시 유이치에게 도전하여 판정승을 거두며 챔피언에 올랐다.[30]
2010년 8월 27일, DEEP 49 IMPACT에서 사쿠라이 류타를 상대로 첫 타이틀 방어에 성공한 뒤[31] UFC에 진출했다. UFC에서는 승패를 반복했으며, 브래드 타바레스에게 패한 뒤 약물검사에서 금지약물 사용이 적발되어 방출되었다. 본인은 경기 전 복용했던 감기약 때문이라고 해명하였다.
2014년 7월 대한민국의 로드 FC에 입성한 후쿠다는 김희승, 윤동식, 이둘희를 연이어 꺾으며 활약했고, 2015년 7월 25일 일본에서 열린 ROAD FC 024 대회에서 전어진을 꺾고 미들급 챔피언에 올랐다. 그러나 2016년 1월 31일 ROAD FC 028 대회에서 차정환에게 패하며 타이틀을 상실했다.[19]
2. 1. 어린 시절 및 아마추어 레슬링 경력
후쿠다 리키는 초등학교 및 중학교 시절 검도를 배웠다.[21] 기후현립 기후 공업고등학교 및 야마나시가쿠인 대학 시절에는 레슬링 선수로 활동하였으며, 대학교 4학년 때 전일본 학생 선수권 자유형 96kg급에서 2위를 차지했다.[21]2. 2. 프로레슬링 선수 시절
후쿠다는 초등학교 및 중학교 시절 검도를 배웠다. 고등학교에서는 레슬링 선수로 활동하였고, 대학교 4학년 때 전일본 학생 선수권 자유형 96kg급에서 2위를 하였다.[21]2003년 대학 졸업 후 죠슈 리키의 WJ 프로레슬링에 연습생으로 입단하였다. 같은 해 6월 데뷔가 발표되었지만, 두 번 연기된 후 퇴단했다.
2. 3. 종합격투기 선수 시절
후쿠다 리키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절 검도를 수련했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는 레슬링 선수로 활약했다. 대학교 4학년 때는 전일본 학생 선수권 자유형 96kg급에서 2위를 차지했다.2003년 대학 졸업 후 프로레슬링 단체인 WJ 프로레슬링에 입단했으나, 데뷔전이 두 번 연기되어 탈퇴하고 종합격투기 선수로 전향했다. 대학 시절 동료였던 야마모토 '키드' 노리후미 등이 소속된 퓨어브레드 도쿄(킬러 비)에서 훈련하며 2004년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이후 슈토, 판크라스, 엘리트XC 등 다양한 단체에서 활동하다 2007년 그라바카로 이적, DEEP을 주 무대로 활동하며 2009년 미들급 챔피언에 올랐다. 2010년 사쿠라이 류타를 꺾고 타이틀 방어에 성공한 뒤 UFC에 진출했다.
UFC에서는 승패를 반복했으며, 브래드 타바레스에게 패배 후 금지 약물 사용이 적발되어 방출되었다. 본인은 감기약 복용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2014년 한국 로드 FC로 이적한 후쿠다는 2015년 ROAD FC 024에서 미들급 챔피언에 등극했다. 하지만 2016년 ROAD FC 028에서 차정환에게 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
2. 3. 1. 초기 경력 (슈토, 판크라스, 엘리트XC)
초등학교 및 중학교 시절 검도를 배웠다. 고등학교에서는 레슬링 선수로 활동했고, 대학교 4학년 때 전일본 학생 선수권 자유형 96kg급에서 2위를 하였다.2003년 대학 졸업 후 죠슈 리키의 WJ 프로레슬링에 연습생으로 입단하였다. 같은 해 6월 데뷔전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연기되었고, 이후 또 한 번 연기되면서 실망하여 WJ 프로레슬링에서 탈퇴했다. 이후 종합격투기 선수의 꿈을 안고 대학 시절 동료 야마모토 '키드' 노리후미, 야마모토 아츠시가 소속된 퓨어브레드 도쿄(킬러 비)에서 훈련하게 된다.
2004년 4월 16일 하와이에서 개최된 슈퍼브롤 35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으나 판정패했다. 그해 9월 제11회 전 일본 아마추어 슈토 선수권 대회 크루저급 토너먼트에서 우승하고, 2005년 1월 프로 슈토 데뷔전에서 판정승을 거두었다. 이후 판크라스, 엘리트XC 등에서 활동하며 경력을 쌓았다. 프로 종합격투기 데뷔전에서 슈퍼브롤의 조 도어크센과 판정까지 가는 접전을 벌여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다. 그는 수년간 일본의 슛오, 판크라스, K-1 등에서 활동했다. 2007년 2월, 엘리트XC 데스티니에서 엘리트XC에 데뷔했고, 2007년 9월 15일 엘리트XC: 유라이징에서 조이 빌라세노르에게 판정패했다.[3]
2. 3. 2. 딥(DEEP) 챔피언 등극
2007년 10월 그라바카로 이적하며 딥으로 옮겨 활동하게 된다.[4] 2009년 6월 나카니시 유이치에게 도전하여 승리, 딥 미들급 챔피언에 올랐고,[4],[11] 2010년 8월 사쿠라이 류타를 상대로 무릎 공격으로 인한 TKO 승리를 거두며 첫 방어전에 성공한 뒤[4],[13] UFC에 입성한다.2. 3. 3. UFC 진출
2010년 10월, 후쿠다는 UFC와 계약을 체결했다.[3] 2011년 2월 27일, UFC 127에서 TUF 11 출신 닉 링을 상대로 UFC 데뷔전을 치렀으나, 심판 전원 일치 판정패(29-28, 29-28, 29-28)를 당했다.[32] 세 명의 심판 모두 링에게 첫 두 라운드를 줬고, 후쿠다는 테이크다운으로 세 라운드를 모두 제어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라운드에서만 승리 판정을 받았다. 경기 후 UFC 대표 데이나 화이트는 트위터를 통해 "심판들이 또 엉망진창 판정을 했다! 후쿠다는 승리를 빼앗겼다!!"라고 언급하며 논란이 있는 판정이었음을 지적했다.[4][33] 며칠 후, 후쿠다에게 승리 보너스가 지급될 것이 발표되었다.2011년 6월 16일, 승용차와 접촉 사고로 왼쪽 무릎 경골 골절 진단을 받았다. UFC 133에서 라파엘 나탈과 대결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수술로 인해 출전을 포기해야 했다.[34] 같은 해 7월 8일, DEEP 미들급 챔피언십을 반납했다.
2012년 2월 26일, 1년 만의 복귀전인 UFC 144에서 스티브 캔트웰을 상대로 심판 전원 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8] 2012년 7월 7일, UFC 148에서 콘스탄티노스 필리푸에게 판정패했다.[9] 2012년 11월 10일, UFC on Fuel TV 6에서 톰 데블라스를 심판 전원 일치 판정으로 꺾었다.[10]
2013년 3월 3일, UFC on Fuel TV 8에서 브래드 타바레스에게 판정패했다.[11] 경기 후 약물 검사에서 금지 약물인 흥분제 양성 반응이 검출되었고,[35] 후쿠다는 UFC에서 방출되었다.[12] 후쿠다는 자신의 트위터에서 감기약에 포함된 성분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2. 3. 4. 로드 FC 챔피언 및 타이틀 상실
2014년 7월 대한민국 로드 FC에 입성하여 김희승, 윤동식, 이둘희를 연이어 꺾었다.[13][14][15][16][17][18] 2015년 7월 25일 일본에서 열린 ROAD FC 024 대회에서 대한민국의 전어진을 1라운드 파운딩 TKO로 꺾으며 미들급 챔피언에 올랐다.[19] 그러나 2016년 1월 31일 ROAD FC 028 대회에서 차정환에게 T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상실했다.[19]3. 종합격투기 전적
결과 | 전적 | 상대 | 승리 방식 | 대회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패 | 24–9 (1) | 김훈 | TKO (펀치) | 로드 FC 40 | 2 | 2:38 | 서울, 대한민국 | ||
승 | 24–8 (1) | 김내철 | 판정 (만장일치) | 로드 FC 36 | 3 | 5:00 | 서울, 대한민국 | ||
패 | 23–8 (1) | 차정환 | KO (펀치) | 로드 FC 28 | 2 | 2:36 | 서울, 대한민국 | 로드 FC 미들급 챔피언십 타이틀 상실. | |
승 | 23–7 (1) | 전어진 | TKO (펀치) | 로드 FC 24 | 1 | 2:52 | 도쿄, 일본 | 로드 FC 미들급 챔피언십 획득. | |
승 | 22–7 (1) | 이둘희 | TKO (펀치) | 로드 FC 22 | 2 | 3:57 | 서울, 대한민국 | ||
무효 | 21–7 (1) | 이둘희 | 무효 (고의적인 무릎 공격) | 로드 FC 19 | 2 | N/A | 서울, 대한민국 | ||
승 | 21–7 | 윤동식 | TKO (펀치) | 로드 FC 16 | 1 | 3:36 | 구미, 대한민국 | ||
승 | 20–7 | 김희승 | TKO (펀치) | 로드 FC 코리아 1 | 2 | 2:09 | 서울, 대한민국 | ||
패 | 19–7 | 브래드 타바레스 | 판정 (만장일치) | UFC on Fuel TV: 실바 vs. 스탠 | 3 | 5:00 | 사이타마, 일본 | ||
승 | 19–6 | 톰 드블라스 | 판정 (만장일치) | UFC on Fuel TV: 프랭클린 vs. 리 | 3 | 5:00 | 마카오, SAR, 중국 | ||
패 | 18–6 | 코스타스 필리푸 | 판정 (만장일치) | UFC 148 | 3 | 5:00 | 라스베이거스, 미국 | ||
승 | 18–5 | 스티브 캔트웰 | 판정 (만장일치) | UFC 144 | 3 | 5:00 | 사이타마, 일본 | ||
패 | 17–5 | 닉 링 | 판정 (만장일치) | UFC 127 | 3 | 5:00 | 시드니, 호주 | 판정단의 논란의 여지가 있는 판결로 승리 보너스 획득. | |
승 | 17–4 | 사쿠라이 류타 | TKO (무릎) | DEEP: 49 임팩트 | 2 | 0:32 | 도쿄, 일본 | DEEP 미들급 챔피언십 타이틀 방어; UFC 출전을 위해 타이틀 반납. | |
승 | 16–4 | 가네하라 히로미츠 | 판정 (만장일치) | DEEP: 46 임팩트 | 3 | 5:00 | 도쿄, 일본 | 논타이틀 경기.[20] | |
승 | 15–4 | 나카니시 유이치 | 판정 (만장일치) | DEEP: 42 임팩트 | 3 | 5:00 | 도쿄, 일본 | DEEP 미들급 챔피언십 획득. | |
승 | 14–4 | 무릴로 루아 | 판정 (만장일치) | DREAM 8 | 2 | 5:00 | 나고야, 일본 | 계약 체중 (196 lb) 경기. | |
승 | 13–4 | 사쿠라이 류타 | TKO (펀치) | DEEP: 40 임팩트 | 1 | 0:45 | 도쿄, 일본 | ||
승 | 12–4 | 제이슨 존스 | 판정 (만장일치) | DEEP: 38 임팩트 | 2 | 5:00 | 도쿄, 일본 | ||
승 | 11–4 | 오자키 히로키 | 판정 (만장일치) | DEEP: 37 임팩트 | 2 | 5:00 | 도쿄, 일본 | ||
패 | 10–4 | 나카니시 유이치 | 판정 (만장일치) | DEEP: 35 임팩트 | 2 | 5:00 | 도쿄, 일본 | DEEP 미들급 챔피언십 타이틀전. | |
승 | 10–3 | 시라이 유야 | 판정 (2:1) | DEEP: 35 임팩트 | 2 | 5:00 | 도쿄, 일본 | ||
승 | 9–3 | 사쿠라이 류타 | 판정 (만장일치) | DEEP: 34 임팩트 | 3 | 5:00 | 도쿄, 일본 | ||
패 | 8–3 | 조이 비야세뇨르 | 판정 (2:1) | 엘리트XC: 봉기 | 3 | 5:00 | 호놀룰루, 미국 | ||
승 | 8–2 | 사토 히카루 | TKO (펀치) | 판크라스: 2007 네오 블러드 토너먼트 결승전 | 1 | 1:09 | 도쿄, 일본 | ||
승 | 7–2 | 크리스 게이츠 | TKO (펀치 서브미션) | 엘리트XC 데스티니 | 1 | 1:18 | 사우스헤이븐, 미국 | 미들급으로 복귀. | |
승 | 6–2 | 사쿠라기 유지 | 판정 (만장일치) | 판크라스: 2006 네오 블러드 토너먼트 결승전 | 2 | 5:00 | 도쿄, 일본 | 헤비급 데뷔. | |
승 | 5–2 | 마에다 케이타로 | TKO (펀치) | GCM: D.O.G. 5 | 1 | 4:40 | 도쿄, 일본 | ||
패 | 4–2 | 우리타 코조 | KO (펀치) | 판크라스: 블로우 1 | 1 | 0:40 | 도쿄, 일본 | ||
승 | 4–1 | 나카무라 유타 | TKO (펀치) | 판크라스: 스파이럴 9 | 1 | 0:57 | 도쿄, 일본 | ||
승 | 3–1 | 브랜든 울프 | TKO (펀치) | K-1: 월드 그랑프리 하와이 | 2 | 2:49 | 하와이, 미국 | 미들급 데뷔. | |
승 | 2–1 | 올레그 바자예프 | KO (펀치) | GCM: D.O.G. 2 | 1 | 0:28 | 도쿄, 일본 | ||
승 | 1–1 | 이노우에 마사야 | 판정 (만장일치) | 슈토: 1/29 고라쿠엔 홀 | 2 | 5:00 | 도쿄, 일본 | ||
패 | 0–1 | 조 도어크센 | 판정 (만장일치) | 슈퍼볼 35 | 3 | 5:00 | 호놀룰루, 미국 |
3. 1. 프로 종합격투기 전적
승패 | 경기일자 | 대회 | 장소 | 상대 | 내용 | 비고 |
---|---|---|---|---|---|---|
패 | 2017년 7월 15일 | 로드 FC 40 | 대한민국 서울 | 김훈 | 2R TKO (펀치) | |
승 | 2017년 2월 11일 | 로드 FC 36 | 대한민국 서울 | 김내철 | 3R 판정 (만장일치) | |
패 | 2016년 1월 31일 | Road FC 028 | 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 | 차정환 | 2R TKO(펀치&파운딩) | 미들급 타이틀 매치 : 1차 방어전 |
승 | 2015년 7월 25일 | Road FC 024 | 일본 도쿄 아리아케 콜로세움 | 전어진 | 1R TKO(파운딩) | 미들급 타이틀 매치 : 챔피언 결정전 |
승 | 2015년 3월 21일 | Road FC 022 | 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 | 이둘희 | 2R TKO(파운딩) | 미들급 매치 |
무효 | 2014년 11월 9일 | Road FC 019 | 대한민국 구미 박정희체육관 | 이둘희 | 2R 경기 진행 불가 (로블로) | 미들급 매치 |
승 | 2014년 7월 26일 | Road FC 016 | 대한민국 서울 장충체육관 | 윤동식 | 1R TKO(파운딩) | 미들급 매치 |
승 | 2014년 1월 18일 | Road FC: Korea 1 | 대한민국 서울 그랜드힐튼호텔 컨벤션센터 | 김희승 | 2R TKO(파운딩) | 미들급 매치 |
패 | 2013년 3월 3일 | UFC on Fuel TV: Silva vs. Stann | 일본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브래드 타바레스 | 3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승 | 2012년 11월 10일 | UFC on Fuel TV: Franklin vs. Le | 중국 마카오 코타이 아레나 | 톰 드블라스 | 3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패 | 2012년 7월 7일 | UFC 148 | 미국 라스베이거스 MGM 그랜드 가든 아레나 | 코스타스 필리푸 | 3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승 | 2012년 2월 26일 | UFC 144 | 일본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스티브 캔트웰 | 3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패 | 2011년 2월 27일 | UFC 127 | 호주 시드니 에이서 아레나 | 닉 링 | 3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승 | 2010년 8월 27일 | Deep 49: Impact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사쿠라이 류타 | 2R TKO (니킥) | 미들급 타이틀 매치 : 1차 방어전 |
승 | 2010년 2월 28일 | Deep 46: Impact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가네하라 히로미츠 | 3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20] |
승 | 2009년 6월 30일 | Deep: 42 Impact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나카니시 유이치 | 3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타이틀 매치 |
승 | 2009년 4월 5일 | Dream 8 | 일본 나고야 가이시 홀 | 무릴로 닌자 | 2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승 | 2009년 2월 20일 | Deep: 40 Impact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사쿠라이 류타 | 1R TKO(파운딩) | 미들급 타이틀 도전자 결정전 |
승 | 2008년 10월 23일 | Deep: 38 Impact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제이슨 존스 | 2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승 | 2008년 8월 17일 | Deep: 37 Impact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오자키 히로키 | 2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패 | 2008년 5월 19일 | Deep: 35 Impact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나카니시 유이치 | 2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토너먼트 챔피언 결정전 |
승 | 2008년 5월 19일 | Deep: 35 Impact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시라이 유야 | 2R 불일치 판정 | 미들급 토너먼트 챔피언 4강전 |
승 | 2008년 2월 22일 | Deep: 34 Impact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사쿠라이 류타 | 3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토너먼트 챔피언 8강전 |
패 | 2007년 9월 15일 | EliteXC: Uprising | 미국 호놀룰루 닐S블라이스델 아레나 | 조이 빌라세뇨르 | 3R 불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승 | 2007년 7월 27일 | Pancrase: 2007 Neo-Blood Tournament Finals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사토 히카루 | 1R TKO(파운딩) | 미들급 매치 |
승 | 2007년 2월 10일 | EliteXC Destiny | 미국 사우스에이븐 데소토 시빅센터 | 크리스 게이츠 | 1R 서브미션(펀치) | 미들급 매치 |
승 | 2006년 7월 28일 | Pancrase: 2006 Neo-Blood Tournament Finals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사쿠라기 유지 | 2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승 | 2006년 4월 4일 | GCM: D.O.G. 5 | 일본 도쿄 디퍼 아리아케 | 마에다 케이타로 | 1R TKO(파운딩) | 미들급 매치 |
패 | 2006년 1월 26일 | Pancrase: Blow 1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우리타 코조 | 1R KO(펀치) | 미들급 매치 |
승 | 2005년 11월 4일 | Pancrase: Spiral 9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나카무라 유타 | 1R TKO(파운딩) | 미들급 매치 |
승 | 2005년 7월 29일 | K-1: World Grand Prix Hawaii | 미국 하와이 알로하 스타디움 | 브랜던 볼프 | 2R TKO(파운딩) | 미들급 매치 |
승 | 2005년 6월 11일 | GCM: D.O.G. 2 | 일본 도쿄 디퍼 아리아케 | 올레그 바자예브 | 1R KO(펀치) | 미들급 매치 |
승 | 2005년 1월 29일 | Shooto: 1/29 in Korakuen Hall | 일본 도쿄 고라쿠엔 홀 | 이노우에 마사야 | 2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패 | 2004년 4월 16일 | SuperBrawl 35 | 미국 호놀룰루 닐S블라이스델 아레나 | 조 도어크센 | 3R 만장일치 판정 | 미들급 매치 |
3. 2. 아마추어 종합격투기 전적
(크루저급 결승)(크루저급 준결승)
(크루저급 1회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