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투티사촌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투티사촌류는 형태적으로 독특하며, 중간 크기의 금속성 깃털을 가진 조류이다.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곤충이나 과실 등을 먹는다. 2개 속 8종으로 분류되며, 숲후투티속과 낫부리속이 있다. 이들은 코뿔새목에 속하며, 후투티과와 자매군 관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새 - 타조
타조는 현존하는 가장 크고 무거운 새로, 아프리카 사바나와 사헬 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강력한 다리와 퇴화된 날개를 지녔고, 풀과 씨앗을 먹는 초식성이지만 잡식성도 보이며, 고기, 알, 깃털, 가죽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으나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일부 아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케냐의 새 - 회색관두루미
회색관두루미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머리에 금색 깃털 관이 있는 회색 깃털의 두루미 종으로, 우간다의 국조이며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판새류
판새류는 상어, 가오리, 홍어 등을 포함하는 연골어류 아강으로, 아가미구멍과 여러 열의 이빨을 가지며 기름으로 가득 찬 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턱 구조의 다양성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전 세계 해역과 일부 담수에 분포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후투티사촌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hoeniculidae |
명명자 | Bonaparte, 1831 |
속 | Phoeniculus Rhinopomastus |
분류학적 정보 | |
목 | 사이조목 (Bucerotiformes) |
아목 | 야츠가시라아목 (Upupes) |
과 | 모리야츠가시라과 (Phoeniculidae) |
2. 특징
후투티사촌류는 형태적으로 뚜렷한 특징을 가져 다른 종과 혼동될 가능성이 적다.[4] 몸길이는 23cm에서 46cm 사이의 중간 크기이며, 꼬리가 길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5] 깃털은 금속성 광택을 띠며 파란색, 녹색, 보라색 등을 나타내고, 머리에 볏은 없다.[6] 대부분의 종은 암수 구분이 어렵지만, 숲후투티사촌과 칼부리후투티사촌은 예외이다.[7] 부리는 빨간색 또는 검은색인데, 어린 개체는 검은 부리를 가지며 나이가 들면서 색이 변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리는 선홍색 또는 검은색이며 짧고 두꺼운 부척(발목뼈)을 가지고 있다. 나무줄기를 딱따구리처럼 기어오를 수 있으며, 땅에서는 후투티처럼 걷지 않고 깡충거리며 이동한다.[1] 꼬리는 길고 가운데 깃털이 가장 길며, 날개와 함께 눈에 띄는 흰색 무늬가 있다.[5][7]
후투티사촌과는 2속 8종을 포함한다.[11] 속 목록은 아래와 같다.
주로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먹이로는 나무 틈에 사는 곤충이나 과일 등을 먹는다.
3. 분포 및 생태
후투티사촌류는 아프리카에 서식한다. 이들은 주로 탁 트인 숲, 사바나 또는 가시 덤불에서 생활하며, 대부분 나무 위에서 활동하는 수목성 조류이다. 먹이를 찾고, 둥지를 틀며, 밤에 잠을 잘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하는 큰 나무가 필수적이다.[1] 두 종, 즉 숲칼부리사촌과 흰머리칼부리사촌은 열대 우림에서만 발견되며, 다른 모든 종들은 보다 개방된 숲이나 덤불 지대에서 서식한다.[1]
주된 먹이는 절지동물이며, 특히 썩은 나무나 나무 틈새에 긴 부리를 찔러 넣어 곤충을 찾아 먹는다.[7] 또한 땅에서도 먹이를 사냥하는데, 부리 길이의 2/3에 달하는 긴 혀를 사용하여 흙이나 풀 속의 곤충을 잡는다.[8] 이 외에 과실을 먹기도 한다.
번식기에는 덮개가 없는 나무 구멍에 둥지를 만들고, 대부분의 종은 파란색, 회색 또는 올리브색을 띠며 무늬가 없는 알을 2개에서 4개 정도 낳는다.[5]
4. 하위 분류
후투티사촌과의 자매군은 후투티과이다.[9] 이들은 파랑새목에서 분리된 코뿔새목에 속한다.
시블리-알퀴스트 조류 분류에서는 후투티사촌과에서 낫부리류(''Rhinopomastus'')를 별도의 과(Rhinopomastidaelat)로 분리하고, 이를 후투티사촌류와 함께 후투티사촌소목(Phoeniculideslat)으로 묶기도 하였다.
4. 1. 숲후투티속 (''Phoeniculus'')
숲후투티속(''Phoeniculus'')은 후투티사촌과에 속하는 조류의 한 속이다.[11] 국제 조류 학회(IOC)의 분류에 따르면 다음 6종을 포함한다.[10]
이미지 | 학명 | 한국어 이름 | 영어 이름 |
---|---|---|---|
![]() | Phoeniculus purpureus | 녹색숲후투티 | Green Wood Hoopoe |
Phoeniculus damarensis | 자주숲후투티 | Violet Wood Hoopoe | |
Phoeniculus somaliensis | 소말리아숲후투티 | Black-billed Wood Hoopoe | |
Phoeniculus bollei | 흰머리숲후투티 | White-headed Wood Hoopoe | |
Phoeniculus castaneiceps | 밤머리숲후투티 | Forest Wood Hoopoe | |
Phoeniculus granti | 그랜트자주숲후투티 | Grant's Wood Hoopoe |
4. 2. 낫부리속 (''Rhinopomastus'')

낫부리속(''Rhinopomastus'')은 스코틀랜드의 박물학자 윌리엄 자딘(William Jardine)이 1828년에 명명한 속이다. 국제 조류 학회(IOC)에 따르면 다음 3종을 포함한다.[10]
국명 | 학명 | 영문명 |
---|---|---|
검은낫부리 | Rhinopomastus aterrimus | Black Scimitarbilleng |
남부낫부리 | Rhinopomastus cyanomelas | Common Scimitarbilleng |
에티오피아낫부리 | Rhinopomastus minor | Abyssinian Scimitarbilleng |
5. 계통 분류
후투티사촌류(땅꼬마후투티과)는 코뿔새목 후투티아목에 속하는 분류군이다. 이 과는 땅꼬마후투티속Phoeniculiusla과 검은부리땅꼬마후투티속Rhinopomastusla의 두 속을 포함한다. 땅꼬마후투티과의 자매군은 후투티과Upupidaela이다.[9] 이들은 과거 파랑새목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코뿔새목으로 분리되었다.
시블리 & 알퀴스트(Sibley & Ahlquist, 1990)는 땅꼬마후투티과에서 검은부리땅꼬마후투티과(Rhinopomastidaela)를 별도의 과로 분리하고, 이들을 땅꼬마후투티소목(Phoeniculidesla)으로 묶는 분류 체계를 제안하기도 했다.
참조
[1]
논문
Tiny Hoopoe-Like Birds from the Middle Eocene of Messel (Germany)
[2]
논문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3]
논문
The Bony Stapes in the Upupidae and Phoeniculidae: Evidence for Common Ancestry
http://sora.unm.edu/[...]
[4]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6, Mousebirds to Hornbills
Lynx Edicions
[5]
서적
The Firefly Encyclopedia of Birds
Firefly Books
[6]
서적
Encyclopaedia of Animals: Birds
Merehurst Press
[7]
서적
Birds of Kenya and Northern Tanzan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논문
"Surface Morphology of the Tongue of the Hoopoe (Upupa Epops)"
https://www.research[...]
2011
[9]
간행물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10]
간행물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11]
웹인용
Mousebirds, Cuckoo Roller, trogons, hoopoes, hornbills
https://www.worldbir[...]
IOC World Bird List 10.2
2020-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