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언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민정음 언해는 훈민정음의 내용을 한문과 함께 한글로 풀이한 것으로, 15장으로 구성된 여러 판본이 존재한다. 주요 판본으로는 월인석보본, 박승빈 소장본 등이 있으며, 훈민정음의 한문 원문, 각 글자에 대한 풀이, 한글 번역을 함께 제시하여 한자를 모르는 사람도 훈민정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서문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배경과 목적을 담고 있으며, 현대 한국어와 비교했을 때 닿소리, 홀소리, 표기 방식, 발음, 문법, 낱말의 의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훈민정음 언해는 대개 15장으로 되어 있다. 판본은 몇 가지가 전하고 있으며 1459년(세조 5년)에 간행된 《월인석보》 1권의 책머리에 실려 〈세종어제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으로 합본된 월인석보본과 박승빈이 가지고 있다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의 육당문고에 소장된 판본이 주로 활용되는 판본이다. 일본 궁내성과 일본인 학자가 가지고 있는 판본도 있다.[1] 박승빈이 소장했던 언해본은 단행본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정밀한 조사에 의하면 『월인석보』 책머리 부분을 따로 제책한 것이다.[1]
훈민정음 언해는 한문으로 된 훈민정음의 본문을 먼저 쓰고, 그 아래 한글로 협주를 단 뒤 한글로 새로이 한문을 풀이하는 방식으로 쓰여 있다. 따라서 훈민정음에 쓰인 한문을 읽은 뒤 그 한문의 각 글자 풀이를 읽고, 한글로 번역된 부분을 읽게 되는 것이다. 곧 한문을 모르더라도 훈민정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1]
훈민정음 언해본은 현대 한국어와 비교했을 때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문자의 사용, 표기 방식, 발음, 문법, 그리고 낱말의 의미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난다.
[1]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정음 [訓民正音]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
2. 판본
월인석보본은 두 가지 판본이 전하고 있다. 하나는 서강대학교에 소장하고 있는 판본인데, 이것이 원간본으로 보이며 예의 부분에 치두음과 정치음에 관한 규정이 새로 첨가되어 있다. 또 하나는 1572년(선조 5년) 경상북도 영주시 희방사(喜方寺)의 복각본(覆刻本)이며 이는 서강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판본보다 후세에 만들어진 듯하다. 서강대학교에 소장하고 있는 판본에서 새로 첨가된 부분이 있는 것은 중국의 한자음을 정리하기 위해 훈민정음 창제 이후 일부 규정을 더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3. 표기
예를 들면 "國之語音이"로 먼저 한문을 제시한 뒤, "國은 나라이다. 之는 입겿(어조사)이다."하는 식으로 한문의 각 글자에 대한 풀이를 하고 있다. 물론 각 글자에 대한 풀이로 제대로 된 해석을 할 수 없는 경우 한자로 된 단어를 통째로 풀이하기도 한다. 이렇게 한자에 대한 풀이 후 "나라의 말이"로 완성된 번역을 보여주는 것이다.[1]
그리고 각 한자에는 아래에 작은 글자로 해당 한자의 소리를 적어놓고 있다. 간혹 한자만을 적거나 한글을 크게 적고 아래에 한자를 작게 적는 방식으로 표기한 문헌이 발견되지만 대개 이러한 방식이 훈민정음 이래 많은 문헌에서 발견되고 있다.[1]
이렇게 한자어의 아래 작은 글자로 표기된 한글의 표기 방식은 동국정운식 표기로 불리는 것인데, 중국에서 사용되는 실제 중국 발음과 유사하게 적기 위한 표기라든지 초성, 중성, 종성이 모두 들어가야 하는 성음법을 지키고 있어 실제 사용되는 현실음의 표기와 다른 것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표기로 인해 고유어의 표기 방식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1]
4. 서문
한문 중세 한국어 현대 한국어 國之語音|귁〮징ᅌᅥᆼ〯ᅙᅳᆷ중국어이 異乎中國|잉〮ᅘᅩᆼ듀ᇰ귁〮중국어ᄒᆞ야 與文字|영〯문ᄍᆞᆼ〮중국어로 不相流通|부ᇙ〮샤ᇰ류ᇢ통중국어ᄒᆞᆯᄊᆡ〮 故|공〮중국어로〮 愚民|ᅌᅮᆼ민중국어이〮 有所欲言|우ᇢ〯송〯욕〮ᅌᅥᆫ중국어ᄒᆞ〮야도〮 而終不得伸其情者|ᅀᅵᆼ쥬ᇰ부ᇙ〮득〮신끵쪄ᇰ쟝〯중국어ㅣ 多矣|당ᅌᅴᆼ〯중국어라〮 予|영중국어ㅣ 爲此憫然|윙〮ᄎᆞᆼ〯민〯ᅀᅧᆫ중국어ᄒᆞ〮야〮 新制二十八字|신졩〮ᅀᅵᆼ〮씹〮바ᇙ〮ᄍᆞᆼ〮중국어ᄒᆞ〮노니〮 欲使人人|욕〮ᄉᆞᆼ〯ᅀᅵᆫᅀᅵᆫ중국어ᄋᆞ〮로〮 易習|잉〮씹〮중국어ᄒᆞ〮야〮 便於日用耳|뼌ᅙᅥᆼᅀᅵᇙ〮요ᇰ〮ᅀᅵᆼ〯중국어니라〮。 나랏〮말〯ᄊᆞ미〮 에〮달아〮 와〮로〮 서르 ᄉᆞᄆᆞᆺ디〮 아니〮ᄒᆞᆯᄊᆡ〮 이〮런 젼ᄎᆞ〮로〮 어린〮 이〮 니르고〮져〮 호ᇙ〮 배〮 이셔〮도〮 ᄆᆞᄎᆞᆷ〮내〯 제 ᄠᅳ〮들〮 시러〮 펴디〮 몯 ᄒᆞᇙ 노〮미〮 하니〮라〮 내〮 이〮ᄅᆞᆯ〮 ᄒᆞ〮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ᄅᆞᆯ〮 ᄆᆡᇰᄀᆞ〮노니〮 사〯람마〯다〮 ᄒᆡ〯ᅇᅧ〮 수〯ᄫᅵ〮 니겨〮 날〮로〮 ᄡᅮ〮메〮 킈〮 ᄒᆞ고〮져〮 ᄒᆞᇙ ᄯᆞᄅᆞ미〮니라〮。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한자)로 서로 통하지 아니하여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위하여 가엾이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쉬이 익혀 날마다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5. 현대 한국어와 비교하기
항목 훈민정음 언해 현대 한국어 문자의 차이 표기의 차이 발음의 차이 문법의 차이 낱말의 차이
참조
[2]
문서
PC에서만 확인 가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