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휴저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저는 허시후이 지역을 근거지로 삼았던 흉노의 한 부족으로, 사징 문화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휴저성은 현재의 우웨이 시 북쪽 약 20km 지점에 위치했으며, 곽거병의 정복 이후 한나라에 편입되었고, 민친 분지는 휴저왕의 이름을 따 휴저택으로 명명되었다. 한-흉노 전쟁에서 곽거병에게 패배한 휴저왕은 항복하려다 혼야왕에게 살해당하고 멸망했으며, 그의 아들 김일제는 한나라에 투항하여 한무제의 측근이 되었다. 휴저의 후손으로는 반씨 가문과 저거 부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흉노 사람 - 이릉
    이릉은 전한의 무장으로 이광의 손자이며 기마궁술에 능하여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흉노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항복 후 흉노의 우교왕이 되어 20여 년간 망명 생활을 하다 병사했고 그의 항복은 조국을 배신했다는 비판과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옹호론이 있다.
  • 흉노 사람 - 한왕 신
    한왕 신은 초한쟁패 시기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나, 흉노와의 관계 악화로 흉노에 투항하여 전한과 대립한 한나라 양왕의 후손이다.
휴저왕
기본 정보
생애
활동 시기기원전 2세기
민족흉노
직책휴저왕

2. 휴저의 초기 역사와 문화

휴저는 허시 회랑(하서주랑, 河西回廊) 지역을 근거지로 삼았던 흉노의 한 부족이다. 기원전 176년경 흉노가 점령하기 이전, 휴저의 선조는 아마도 월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8] 이들은 사징 문화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당시 허시 회랑에 거주하는 흉노인의 수는 약 5만 명으로 추정되며, 자연적으로 수자원이 풍부한 강을 따라 살았다.[10]

2. 1. 사징 문화와의 관계

사징 문화(기원전 700~100년)는 주예호가 후퇴하면서 하류 스양강을 따라 번성할 수 있었고, 휴저성은 훙수이 강을 따라 번성하면서 가뭄 속에서 유목 문화가 번성할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휴저 왕국은 전반적인 건조화의 생태적 맥락에서 강을 따라 번성했던 사징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휴저 문화의 기반이 되었다.[7] 특히 수자원 관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2. 휴저성

휴저성은 휴저의 중심 도시로, 현재의 우웨이 북쪽에 위치해 있었다. 곽거병의 정복(기원전 121년) 이후 한나라의 영토에 편입되었으며, 한나라 시대에 건설된 만리장성 바로 안쪽에 위치하게 되었다.[9]

우웨이에서 북쪽으로 약 2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휴저성은 고대 주예호의 경계에 기념비적인 유적을 남겼다.[9] 민친 분지는 스양강을 따라 왕의 이름을 따서 "휴저택"(休屠泽, "휴저 호수")이라고 명명되었다.[10][11]

3. 한-흉노 전쟁과 휴저의 멸망

기원전 133년부터 기원전 89년까지 이어진 한-흉노 전쟁은 휴저왕의 운명을 결정지었다. 한나라는 하서 회랑 지역을 공격했고, 이 과정에서 휴저는 멸망했다. 휴저왕은 혼야왕에게 살해되었고, 혼야왕은 한나라에 항복했다. 휴저왕의 아들 금일제는 포로가 되어 한무제의 측근이 되었다.[1]

3. 1. 곽거병의 원정

기원전 121년, 곽거병은 하서 회랑 공격을 이끌기 위해 1만 명의 기병을 이끌었다.[1] 그는 흉노 군대를 격파했다.[1] 휴저왕과 혼야왕은 군사적 실패로 흉노에게 비판받아 한나라에 항복하기로 결정했다.[1] 그러나 곽거병의 군대를 만나자 휴저왕은 약속을 어기고 혼야왕에게 살해되었으며, 혼야왕은 그의 군대를 장악했다.[1] 곽거병은 혼야왕의 군대를 공격하여 8,000명을 죽이고 나머지 4만 명의 항복을 받았다.[1]

3. 2. 휴저왕의 죽음과 혼야왕의 투항

한-흉노 전쟁 (기원전 133년-기원전 89년) 당시, 한나라는 하서 회랑 지배자들에 대한 공격을 이끌었다. 기원전 121년, 곽거병은 기병 1만 명을 이끌고 하서 회랑을 공격하여 흉노 군대를 격파했다.[1]

휴저왕과 혼야왕은 흉노에게 군사적 실패를 이유로 비판받자 한나라에 항복하기로 결정했다.[1] 그러나 곽거병과 그의 군대를 만나자 휴저왕은 마음을 바꿔 항복하지 않으려 했고, 결국 혼야왕에게 살해당했다.[1] 혼야왕은 휴저왕의 군대까지 장악했다.[1] 곽거병은 혼야왕의 군대를 공격하여 8,000명을 죽이고 나머지 4만 명의 항복을 받아냈다.[1] 혼야왕은 장안으로 보내져 한무제의 환영을 받았으며, 공작의 작위를 받았다.[1][12][13]

휴저왕에게는 기원전 134년에 태어난 금일제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그는 포로가 되어 한무제의 측근이 되었다.[1]

4. 김일제와 한나라

김일제흉노 휴저왕의 아들로, 한나라에 투항한 후 한무제의 신임을 얻었다.[1] 그는 흉노와의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4. 1. 김일제의 생애와 업적

김일제흉노 휴저왕의 장남으로, 한나라에 투항하여 한무제의 신임을 얻은 인물이다. 그는 흉노와의 관계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한나라 조정의 안정에도 기여했다.[1]

김일제는 원래 흉노 휴저왕의 태자였으나, 부왕이 곽거병에게 패하고 한나라에 투항하면서 포로가 되었다. 이후 김일제는 말을 기르는 일을 맡았는데, 뛰어난 능력으로 한무제의 눈에 띄어 중용되었다.[1]

한무제는 김일제를 매우 신임하여 그에게 많은 중요한 임무를 맡겼다. 김일제는 망하라의 반란을 진압하는 등 여러 공을 세웠으며, 한무제 사후에는 곽광, 상관걸 등과 함께 어린 한소제를 보좌하여 정국을 안정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1]

김일제는 흉노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한나라에 대한 충성심이 깊었다. 그는 흉노와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한나라의 대외 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1]

4. 2. 김일제와 금 조각상

기원전 121년, 곽거병흉노를 물리친 후 가져온 '금인(金人)' 조각상은 김일제와 관련된 중요한 유물이다. ''사기''에는 곽거병이 흉노 휴저왕이 하늘에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던 금인을 가져왔다고 기록되어 있다.[14][15] 이 금 조각상은 한 무제의 황궁 근처 감천궁으로 옮겨졌으며, 크기는 1장(약 3미터) 이상이었다.[16]

사마천은 곽거병이 가져온 금인을 직접 보았을 가능성이 있는데, ''사기''에 나오는 "금인"이라는 표현은 다소 특이하여, 자립형 인형 우상에 대한 낯섦을 드러낸 것일 수 있다.[17][15]

이 금 조각상은 불교와 관련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있다. 흉노는 불교 신자가 아니었고, 금일제는 한나라 궁정에서 인기가 많았지만 불교를 숭배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18] 다만 "휴저"(休屠)라는 용어가 부처와 불교 승려를 지칭하는 초기 번역어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휴저왕과 금 조각상이 불교적 성격을 가졌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21][22][23]

4. 2. 1. 금 조각상과 불교 전래 논란

기원전 121년, 곽거병흉노를 물리친 후 "휴저왕이 하늘에 제사 지내기 위해 사용한 금인(또는 금도금된) 조각상"을 포획했다는 기록이 ''사기''에 남아있다.[14][15] 이 조각상들은 한 무제의 황궁 근처 감천궁으로 옮겨졌으며, 크기는 1장(약 3미터) 이상이었다. 이 조각상에는 향을 피우고 절을 했다고 전해진다.[16]

이 조각상을 묘사하는 "金人"(금인)이라는 표현은 다소 특이하다. 사마천은 기원전 121년 곽거병이 가져온 것을 직접 보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사기''를 집필하면서 이러한 표현을 사용했다.[17][15] 이는 이러한 종류의 자립형 인형 우상에 대한 낯섦을 드러낼 수 있다.[17]

이 금 조각상이 불교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은 낮다. 흉노는 불교 신자로 알려져 있지 않고, 금일적은 중국 궁정에서 큰 인기를 얻었지만 불교 숭배는 아니었기 때문이다.[18] 금일적은 황궁에 있는 금 조각상을 숭배했다고만 전해지며, 한 무제는 그에게 "금"(金, Gold)이라는 성씨를 하사했다.[19][20]

하지만 "휴저"(休屠)라는 용어는 부처의 이름과 불교 승려에 대한 초기 번역으로 중국에서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1][22][23] 이는 휴저왕과 금 조각상이 불교적 성격을 가졌을 수 있다는 주장을 강화하여, 서한 시대(기원전 202년–기원후 9년)에 이미 불교가 중국에 들어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3] 크리스토프 바우머 등 일부 학자들은 이 '금인'이 부처의 조각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24][25]

세설신어(약 6세기)는 금 조각상이 10피트 이상 높았고, 한 무제가 감천궁에서 제사를 지냈으며, "이것이 불교가 점차 (중국으로) 전파된 방식"이라고 주장한다.[26] 둔황 근처 타림 분지에 있는 모가오 굴(막고굴) 323호 동굴 벽화에는 한 무제가 두 개의 금 조각상을 숭배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벽화에는 곽거병의 원정 기록을 거의 그대로 차용한 다음 비문이 있다:

모가오 굴 8세기 벽화로 "금인" 조각상을 숭배하는 한 무제를 묘사함.


한의 서부 원정과 곽거병의 전리품 획득은 잘 기록되어 있지만, 이 조각상 숭배를 중국의 불교 전파로 해석한 모가오 굴의 후대 불교 해석은 위경일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한 무제는 부처를 숭배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27]

조각상들은 진나라의 옛 수도인 시안 근처 왕실 여름 별궁 감천(현대 시안, 산시 성) 근처 윈양현에 있는 사원으로 옮겨졌다. 감천궁은 숭배 장소였고, 휴저의 아들 금일적은 한 무제의 총애를 받았다. 한 무제는 감천궁을 확장하고 그곳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으며, 금일적과의 밀접한 관계 때문에 그의 부모는 존경받았다. 금 조각상들은 휴저의 숭배를 위해 경로(귀중한 흉노 칼의 일종)의 영혼을 기리는 사원에 배치되었다. 이 지역은 백월을 기리는 또 다른 사원이 같은 장소에 있었기 때문에 외래 신에게 헌신했던 것으로 보인다. 금 조각상들은 나중에 사라졌고, 그 사원은 칼로 유명해지게 되었다.[14]

5. 휴저의 후예들

흉노 왕 휴저는 유명한 반씨 가문의 조상 중 한 명이었다.[31] 휴저에게는 김일제와 김륜(金伦) 두 아들이 있었다. 김일제는 한 무제에게 김(金)씨 성을 받았다.[30][31]

저거는 한조 시대를 건국한 흉노의 영향력 있는 지파로, 수거(秀句, Xiuchuge) 또는 수추(秀厨, Xiuchu)라고도 불렸다. 현대 중국 학자들은 저거가 휴저 왕의 후손이라고 추정한다.[32][33]

5. 1. 반(班)씨 가문



upright


흉노 왕 휴저는 유명한 반(班)씨 가문의 조상 중 한 명이었다. 휴저의 직계 후손으로는 한서의 저명한 역사가 반고, 외교관이자 장군인 반초, 여성 역사가 반소 등이 있었다.[31] 휴저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김일제는 한 무제에게 김(金)씨 성을 받았고, 다른 아들은 김륜(金伦)이었다. 김륜의 손자 중 한 명인 김창(金敞)은 한 원제(기원전 48-33년)의 시종이었으며, 그의 딸은 반씨 가문의 반지(班穉)와 결혼했다. 반지와 그의 흉노 출신 아내는 반씨 가문의 유명 인사들(반표, 반고, 반초, 반소)의 직계 조상이 되었다.[30][31] 반표가 흉노 출신이라는 점은 그의 아들과 손자들이 중국의 역사와 외교 문제에 잘 대처할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31]

5. 2. 저거(屠各) 부족

저거는 한조 시대를 건국한 흉노의 영향력 있는 지파로, 수거(秀句, Xiuchuge) 또는 수추(秀厨, Xiuchu)라고도 불렸다.[32][33] 현대 중국 학자들은 저거가 휴저왕의 후손이라고 추정한다.[32][33]

참조

[1] 서적 The General Theory of Dunhuang Stud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2-03-25
[2] 문서 Hanshu (28.2) says: “自武威以西,本匈奴昆邪王休屠王地,” meaning: “West of [[Wuwei, Gansu|Wuwei]], there was the Xiongnu king Hunye (and) the king Xiutu.”
[3] 서적 Rome, China, and the Barbarians: Ethnographic Traditions and the Transformation of Empir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23
[4] 문서 The Hanshu yin yi (漢書音義) says: "The place where the Xiongnus worshipped Heaven was originally at the foot of Mt. [[Ganquan]] (''Ganquan xia'' 甘泉下), in [[Yunyang district]] (雲陽). After the Qin (秦) took their land, they moved westward to King Xiutu. Xiutu possessed the anthropomorphic golden statue for worshipping Heaven." (匈奴祭天处本在雲陽甘泉山下、秦奪其地、後徙之休屠王右地、故休屠有祭天金人、象. 祭天人也。)
[5] 간행물 Sino-Western Cultural Exchange as Seen through the Archaeology of the First Emperor's Necropolis 2022-01-01
[6] 간행물 Cultural hybridity and social status: elite tombs on China's Northern Frontier during the third century BC https://www.academia[...] 2013-01-01
[7] 간행물 Paleo-environmental changes and human activities in Shiyang River Basin since the Late Glacial 2023-05-01
[8] 서적 Eighteen lectures on Dunhuang Brill 2013-01-01
[9] 간행물 Paleo-environmental changes and human activities in Shiyang River Basin since the Late Glacial https://www.research[...] 2023-05-01
[10] 간행물 Human settlement and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river systems in the Minqin Basin over the past 2000 years in Northwest China 2017-11-02
[11] 문서 The Minqin Basin appeared like a lake named “Xiutuze,” named after the King of the Huns- “Xiutu” (Li Citation1986)
[12] 서적 A CONCISE COMMENTARY ON MONOGRAPHS ON THE WESTERN REGIONS IN THE OFFICIAL HISTORY BOOKS OF THE WESTERN & EASTERN HAN, WEI, JIN, SOUTHERN & NORTHERN DYNASTIES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21-07-01
[13] 서적 Berkshire Dictionary of Chinese Biography https://books.google[...] Berkshire Publishing Group 2017-12-27
[14] 간행물 The "Golden Man" of Former Han Times https://www.jstor.or[...] 1937-01-01
[15] 문서 《史记》〈匈奴列传〉:“其明年春,汉使骠骑将军去病将万骑出陇西,过焉支山千馀里,击匈奴,得胡首虏(骑)万八千馀级,破得休屠王祭天金人。”
[16] 서적 Zhipan's account of the history of Buddhism in China: from the times of the Buddha to the Nanbeichao era Brill 2019-01-01
[17] 간행물 The "Golden Man" of Former Han Times https://www.jstor.or[...] 1937-01-01
[18] 간행물 The "Golden Man" of Former Han Times https://www.jstor.or[...] 1937-01-01
[19] 간행물 The "Golden Man" of Former Han Times https://www.jstor.or[...] 1937-01-01
[20] 웹사이트 《漢書》(前漢書):霍光金日磾傳第三十八 數位經典 https://www.chinesec[...]
[21] 서적 A Classical Chinese Reader: The Han Shu biography of Huo Gua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3-16
[22] 서적 Collected Works of Korean Buddhism (Vol.10) Korean Buddhist Culture: Accounts of a Pilgrimage, Monuments, and Eminent Monks (Vol.10) https://ibdigital.ui[...]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2012-01-01
[23] 웹사이트 佛學大辭典/休屠 - 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https://zh.wikisourc[...]
[24]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04-18
[25] 서적 Law, State, and Society in Early Imperial China (2 vols): A Study with Critical Edition and Translation of the Legal Texts from Zhangjiashan Tomb no. 247 https://books.google[...] BRILL 2015-11-02
[26] 서적 Buddhist Conquest of China https://www.academia[...] Brill 2007-01-01
[27] 서적 Cave Temples of Mogao: Art and History on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00-01-01
[28] 문서 In the early Western Han Dynasty (121–128 BC), the Emperor Hanwu launched three battles against Hun People and achieved a decisive victory. Since then the Minqin Basin was incorporated into the territory of the central plains dynasty. Large numbers of people in Central China were moved to the Hexi Corridor, and the system of prefectures and counties was set up. The Han Dynasty established the Wuwei Prefecture in the SRB, which contained 10 counties. Two of them, Wuwei and Xuanwei, were in the Minqin Basin. Later, the population of the two counties reached about 20,000, and during the Eastern Han Dynasty (AD 25–220), Xuanwei along had 10,000 residents (Liang Citation1997).
[29] 서적 Ban Gu's history of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a press 2008-01-01
[30] 서적 Ban Gu's history of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a press 2008-01-01
[31] 간행물 Two Notes on the Xiongnu Ancestry of the Authors of "Han-shu" https://www.jstor.or[...] 2011-01-01
[32] 서적 《魏晋杂胡考 一 屠各》 Commercial Press 2010-12-01
[33] 서적 《汉赵史论稿——匈奴屠各建国的政治史考察'' 》 Commercial Press 2009-08-01
[34] 문서 도(屠) 자의 발음은 저(儲)로 읽는다"(屠音儲), 한서(漢書) 안사고주(顏師古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