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지는 기원전 3세기 중반부터 1세기까지 중국 북서부, 중앙아시아 일대에 존재했던 민족으로, 여러 차례 이동을 거쳐 쿠샨 제국을 건국했다. 이들은 다양한 어원 설과 함께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흉노에 의해 서쪽으로 이동하여 박트리아를 점령하고 쿠샨 제국을 세웠다. 쿠샨 제국은 불교를 후원하고 간다라 미술을 발전시키는 등 문화적으로 번성했으며, 중국으로 불교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지 - 양주의 난
    양주의 난은 184년 부패한 한나라에 저항하여 강족 세력이 양주에서 일으킨 반란으로, 한나라의 통치력 약화와 삼국 시대 도래의 계기가 되었다.
  • 월지 - 오르도스 문화
    오르도스 문화는 기원전 500년부터 서기 100년까지 오르도스 고원에서 번성한 유목 문화로, 스키타이 예술 및 중국 미술과 연관된 독특한 동물 문양 장식의 "오르도스 청동" 유물을 남겼으며, 흉노, 월지, 한족 등 다양한 민족과의 교류 속에서 형성되었고, 동부 스키타이족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아프가니스탄의 고대 민족 - 캄보자
    캄보자는 베다 시대 후기 인도아리아어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부족 또는 왕국으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이란어와 언어적 연관성을 갖고 말 사육 기술이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고대 민족 - 인도-스키타이
    인도-스키타이는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세기경 중앙아시아에서 남아시아 북서부로 이주한 스키타이인(사카족)의 한 갈래로, 월지족에 밀려 간다라 지방에 왕국을 세우고 인도-그리스 왕조를 멸망시키며 서북 인도에 세력을 확장, 불교와 연관되어 예술과 종교 분야에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 파키스탄의 고대 민족 - 캄보자
    캄보자는 베다 시대 후기 인도아리아어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부족 또는 왕국으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이란어와 언어적 연관성을 갖고 말 사육 기술이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파키스탄의 고대 민족 - 인도-스키타이
    인도-스키타이는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세기경 중앙아시아에서 남아시아 북서부로 이주한 스키타이인(사카족)의 한 갈래로, 월지족에 밀려 간다라 지방에 왕국을 세우고 인도-그리스 왕조를 멸망시키며 서북 인도에 세력을 확장, 불교와 연관되어 예술과 종교 분야에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월지
지도
기본 정보
명칭월지
한자月氏
발음Yuèzhī (웨즈)
이명Ròuzhī (로우즈)
Rùzhī (루즈)
구분고대 민족
역사
기원기원전 3세기 이전
활동 시기기원전 3세기 ~ 기원후 4세기
주요 활동 지역서역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2세기)
중앙아시아 (기원전 2세기 ~ 기원후 1세기)
북인도 (기원후 1세기 ~ 기원후 4세기)
주요 사건흉노에게 패배 후 서쪽으로 이동
대월지 건국
쿠샨 제국 건국
인구
추정 인구10만 ~ 20만 명 (기마 궁수, 《사기》 기준)
40만 명 (10만 가구, 무장 가능 인구 10만 명, 《한서》 기준)
문화
언어박트리아어 (기원후 1세기 박트리아 지역)
종교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샤머니즘
조로아스터교
마니교
쿠샨 신앙
관련 유물노인 울라 고분 출토 유물
관련 국가
국가쿠샨 제국
민족토하라족
기타
관련 항목대월지
소월지
월지 문화
장건
흉노
오손
이동 경로
기원전 176년에서 기원후 30년 동안 중앙아시아를 통한 월지의 이주

2. 어원

이스탄불 메데니예트 대학교(Istanbul Medeniyet University) 조교수 하칸 아이데미르(Hakan Aydemir)는 월지의 민족명을 '아르키(Arki)' 또는 '야르키(Yarki)'로 복원했다. 이는 중국 문헌의 월지(月氏)의 고대중국어 발음 'ŋwat-tēɦ' 또는 '[ŋ]ʷat-tēɦ', 월지(月支)의 후한(後漢) 시대 발음 'ŋyat-tśe', 그리고 여러 외국 문헌과 토하라어 A방언 민족명 'Ārśi'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109] 아이데미르는 'Arki' 또는 'Yarki'가 어원적으로 인도유럽어족(Indo-European languages)에 속한다고 보았다.[109]

한나라 이전의 세 개의 텍스트에서 월지로 보이는 민족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름은 약간씩 다르다.


  • 철학 서적 ''관자'' (73, 78, 80 및 81)는 ''우지'' 또는 ''우지''로 알려진 유목 목축민에 대해 언급하며, 이들은 중국에 을 공급했다.[14]
  • 서사 소설 ''목천자전'' (기원전 4세기 초) 또한 주나라 땅의 북서쪽에 있는 ''우지''의 평원을 언급한다.
  • ''일주서''의 제59장 (기원전 4세기에서 1세기까지로 추정)은 주나라 영토의 북서쪽에 살면서 말을 조공으로 바치는 ''우지'' 민족을 언급한다. 후기 부록에는 이름이 ''월저''로 나오는데, 이는 후기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이름 ''월지''의 오기일 수 있다.


기원전 1세기에 사마천진나라 (기원전 221–206)가 뤄라는 사람이 이끄는 ''오지''라는 민족으로부터 옥과 매우 귀중한 군사 을 구매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월지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 전국 시대에 있던 화씨, 우씨, 우씨 등의 전사(轉寫)라는 설.[86][87]
  • 이란어군에서 유래했다는 설.[87]
  • 월지는 (비취)의 산지(타림 분지)를 점하고 있었으므로, 옥씨가 와전되어 월씨가 되었다는 설.[87]
  • 월지의 후손인 쿠샨 왕조의 조상에 의 상징이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부터, 월지가 달을 숭배의 상징(토템)으로 삼았기 때문에 중국 측이 그 의역으로서 월지라고 했다는 설.[87]
  • 석적지의 『금호자고』(송대)에 "월지…월음육. 지여자. 역작씨."라고 쓰여진 것으로부터, 중국의 장서만은 "대월지는 대육씨의 오기이며, 타지크 민족의 대음이다."라고 주장했고(1947년), 그것이 중국과 미국에서 지지를 받아 "월지(Yuezhi)"를 "육씨(Rouzhi)"라고 표기·발음하는 연구자가 생겨났다.[88]
  • 월지는 "토칼(토카라)인"의 음사설. 고대 중국어로 "월"은 "토칼(tokwar)" 또는 "토과르(togwar)"이며, 박트리아어에서의 "토칼(Toχwar), 투칼(tuχwar)"에 일치하는 것, "씨"는 고대 중국어로 "ke"로 재건되어 중세 서토하라어의 민족명 접미사 "~인, ~족(ke)"에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월지"는 "토칼인"의 음사이며, 월지(토하라인)는 고대에 타림 분지~간쑤에 살고 있었고, 토하라어나 토하라어족과 결부된다는 설.[89]

3. 역사

월지는 기원전 3세기 중반 경, 동남쪽으로는 섬서성부터 서북쪽으로는 알타이 산맥에 이르는 광활한 영역에 거주하며 동서 무역을 독점했다. 이들은 흉노를 압박하고 인도에도 진출할 정도로 강세를 유지했으며, 불교를 받아들여 북쪽 실크로드를 통해 동아시아에 불교를 전파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110] 당시 동아시아 국가들에 불교가 전파된 것은 해상로가 아닌 월지에 의한 실크로드 경유로 전파된 것으로 학계는 보고 있다.

틸라 테페에서 발굴된 단검


중국 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묵돌 선우(재위: 기원전 209년 ~ 기원전 174년) 말기에 월지는 흉노에 패배하여 하서주랑 지역으로 이동(제1차 이동)하였고, 노상 선우(재위: 기원전 174년 ~ 기원전 161년) 대에 월지왕이 살해당할 정도로 대패하여 천산북로 방면으로 이동(제2차 이동)하면서 월지의 영토들도 흉노의 영향권으로 들어갔다.[110] 한 무제 시기 한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하여 무위, 장액, 주천, 돈황의 하서사군을 설치하고 서역으로 향하는 길을 열었다.

소월지(小月氏)라 불린 일부는 하서주랑 지역과 동부 타림 분지 지역에 남았지만, 월지의 주류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일리강 유역에 정착했다. 이후 소월지 또한 서진을 계속하여 아무다르야강까지 이동하였다. 월지의 1차 하서 이동 때 멸망당했던 오손의 왕자 엽교미는 흉노의 보호하에 성장하여 장수가 되었고, 흉노의 힘을 빌려 월지 대신 일리강 유역을 차지하고 오손을 부활시켰다. 엽교미에게 쫓긴 월지는 더욱 서쪽의 시르다리야 강과 아무다르야 강 사이인 소그디아나로 이동하였고(제3차 이동) 이 지역은 대월지(大月氏)로 불리게 된다.[110]

대월지는 곧 박트리아를 멸망시키고 이곳을 중심으로 무역을 하며 살아갔다. 기원전 126년 전한의 장건이 반흉노 동맹을 제안하러 갔지만, 대월지는 단호하게 동맹을 거절하였다.[110]

옥수스강(현대 아무다리야 강) 유역


월지는 박트리아에 정착한 후 그리스 문자를 채택하고 그레코-박트리아 왕의 스타일로 주화를 만드는 등 어느 정도 헬레니즘화되었다.

3. 1. 쿠샨 제국

쿠샨 왕조의 영역


1세기 경, 대월지의 다섯 부족 중 하나인 구이솽(貴霜, 쿠샨) 부족이 다른 부족들을 통합하고 쿠샨 제국을 건국했다.[82] 쿠샨 제국은 인도 아대륙 북서부를 통치하며 불교를 후원하고 간다라 미술을 발전시키는 등 문화적으로 번성했다. 중국 측 기록에는 쿠샨 제국을 계속 '대월지'라고 칭했다.[110]

호조성(護澡城)의 귀상(쿠샨) 읍후인 구취각(丘就卻)은 다른 네 읍후를 멸하고 자립하여 왕이 되어 귀상왕이라 칭했다. 구취각은 안식(파르티아)에 침입하여 고부(카불)의 땅을 차지했다. 또한, 부달국, 계빈국을 멸망시키고 그 지배하에 두었다. 구취각은 80여 세에 죽자 그의 아들 염고진(閻膏珍)이 왕위를 이었다. 염고진은 천축 (인도)을 멸망시키고 장수 한 명을 두어 이를 다스렸다. 이 정권은 쿠샨 왕조를 가리키는 것이며, 구취각은 쿠줄라 카드피세스, 염고진은 비마 탁토에 비정된다.

대월씨는 소그디아나로 이동한 후, 토하리스탄을 정복하고 그곳에 5인의 읍후(諸侯)를 두었다.

오읍후거성소재《후한서》《위서》
휴밀읍후화묵성서역도호부에서 2841리, 양관에서 7802리 지점휴밀읍후가배국
쌍미읍후쌍미성서역도호부에서 3741리, 양관에서 7782리 지점쌍미읍후절설막손국
귀상읍후호조성서역도호부에서 5940리, 양관에서 7982리 지점귀상읍후겸돈국
힐돈읍후박모성서역도호부에서 5962리, 양관에서 8202리 지점힐돈읍후불적사국
고부읍후고부성서역도호부에서 6041리, 양관에서 9283리 지점도밀읍후염부알국



한서》에서의 고부읍후가 《후한서》에서는 도밀읍후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후한서》 서역열전 고부국 조에 "《한서》는 (고부를) 오읍후에 넣었으나,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정확히는) 안식에 속한 후, 월지가 안식을 깨뜨리고 고부를 얻었다."라고 하며, 대월지의 토하리스탄 정복 직후에 고부읍후를 둔 것이 아니라, 쿠샨 왕조 시대에 구취각(쿠줄라 카드피세스)의 안식(파르티아) 침공으로 처음 고부(카불)의 땅을 얻었다고 한다. 이에 대한 사실은 불분명하지만, 《위서》 및 《북사》에서는 《한서》의 고부읍후를 답습하고 있다.

4. 민족

대부분의 학자들은 월지족이 인도유럽인에 속한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월지족이 인도유럽인 중에서 어떤 분파에 속하는지에 대한 여러 가설들 중에서 아직 완전한 정설로 굳혀진 것은 없다.[111] 중앙아시아 학자인 르네 그루쎄는 당시 중국 문헌과 서방 측의 자료를 종합해보면 월지는 토하라인과 함께 인도-스키타이의 일종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는데, 당시 그리스의 사가 프톨레마이오스는 월지의 영역을 토가라(Thogara)로 기록해 두었으며, 또한 그리스의 지리학자 스트라본박트리아를 침략한 민족을 토카라인(Tokharoi)라고 부르고 있었다는 것을 근거로 제시하였다.[112] 그러나 스트라본 당시에 스키타이는 인도유럽인의 일종인 이란족 계열의 스키타이인 뿐만 아니라 다른 인도유럽인 계열의 유목민들을 가리킬 때에도 많이 사용되는 단어였으며,[113] 이로 인해 이 스키타이가 스키타이족과 같은 개념이라고 일반화할 수는 없기 때문에 반론도 존재한다.[114]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타림의 토하라인을 박트리아의 토카라인과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해 왔는데, 그 이유는 주로 이들이 상당히 다른 동부 이란 언어인 박트리아어 이외의 다른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다른 역사가들은 월지가 박트리아로 이주하기 이전에는 토하라어를 사용하다 박트리아로 이주한 이후부터 일종의 언어 이동이 일어나 현지의 교양 언어인 박트리아어를 사용하게 되었다는 가설을 내세우고 있으나, 토하라어에는 박트리아어에서 일부 차용어가 포함되어 있는 반면 박트리아어에는 토하라어의 흔적이 없다.[115] 또한 말로리 같은 학자들은 월지가 오손과 함께 인도이란인에 속한다고 가설을 제시하기도 하였다.[116]

5. 언어

월지가 어떤 언어를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111] 중앙아시아 학자인 르네 그루쎄는 당시 중국 문헌과 서방 측의 자료를 종합해보면 월지는 토하라어인과 함께 인도-스키타이의 일종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112] 당시 프톨레마이오스는 월지의 영역을 토가라(Thogara)로 기록해 두었으며, 스트라본박트리아를 침략한 민족을 토카라인(Tokharoi)라고 부르고 있었다는 것을 근거로 제시하였다.[112] 그러나 스트라본 당시에 스키타이는 인도유럽인의 일종인 이란족 계열의 스키타이인 뿐만 아니라 다른 인도유럽인 계열의 유목민들을 가리킬 때에도 많이 사용되는 단어였으며,[113] 이로 인해 이 스키타이가 스키타이족과 같은 개념이라고 일반화할 수는 없기 때문에 반론도 존재한다.[114]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타림의 토하라인을 박트리아의 토카라인과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해 왔는데, 그 이유는 주로 이들이 상당히 다른 동부 이란 언어인 박트리아어 이외의 다른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다른 역사가들은 월지가 박트리아로 이주하기 이전에는 토하라어를 사용하다 박트리아로 이주한 이후부터 일종의 언어 이동이 일어나 현지의 교양 언어인 박트리아어를 사용하게 되었다는 가설을 내세우고 있으나, 토하라어에는 박트리아어에서 일부 차용어가 포함되어 있는 반면 박트리아어에는 토하라어의 흔적이 없다.[115] 또한 말로리 같은 학자들은 월지가 오손과 함께 인도이란인에 속한다고 가설을 제시하기도 하였다.[116]

이스탄불 메데니예트 대학교 조교수 하칸 아이데미르(Hakan Aydemir)는 이들의 민족명을 '아르키(Arki)' 내지는 '야르키(Yarki)'라고 복원했다. 이는 중국 문헌의 월지(月氏)의 고대 중국어 발음 'ŋwat-tēɦ' 내지는 '[ŋ]ʷat-tēɦ', 그리고 월지(月支)의 후한 대의 발음 'ŋyat-tśe', 기타 여러 외국 문헌과 토하라어 A방언 민족명 'Ārśi'로부터 복원한 것이다.[109] 아이데미르는 'Arki' 내지는 'Yarki'는 어원적으로 인도유럽어족이라고 보았다.[109]

6. 유적

2018년, 우즈베키스탄 수르한다리야 주 바이순 시에서 중국 서북대학교 중앙아시아 고고학 조사팀이 기원전 2세기-기원후 1세기 월지 시대의 묘소를 발굴했다. 이들은 장식품, 무기, 도자기, 철기, 동기 등 수많은 매장물을 확인했다.

7. 중국 기록

본래 월지국은 둔황과 기련산 사이에 있었으나 흉노가 강성해지면서 노상 선우에게 패해 멀리 서쪽으로 이동해갔다. 서쪽에 정착한 대월지의 남쪽에는 대하, 서쪽에는 안식(Parthia), 북쪽에는 강거가 있었으며 동쪽으로 3,000리 떨어진 곳엔 대완이 있었다.[110]

사마천이 쓴 사기의 대완열전에 따르면 월지는 묵돌 선우(재위: 기원전 209년 ~ 기원전 174년) 말기에 흉노에 패배하여 하서주랑 지역으로 이동하였으며(제1차 이동), 노상 선우(재위: 기원전 174년 ~ 기원전 161년) 대에 월지왕이 살해당할 정도로 대패하여 천산북로 방면으로 이동하였다(제2차 이동).[110]

기원전 210년경, 월지는 진나라의 북서쪽에 거주했다.


한서 96A편에는 월지가 박트리아 전체를 점령하고 있으며, 5개의 주요 부족 또는 ''시후''(xīhóu)로 구성되어 있다고 묘사된다.[16] 이 부족들은 중국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알려졌다.

  • 서부 와칸과 지바크의 ''슈미'' (休密)
  • 바다흐샨과 옥수스강 북쪽 인접 영토의 ''구이솽'' (貴霜)
  • 슈그난 또는 치트랄 지역의 ''솽미'' (雙靡)
  • 발흐 지역의 ''시둔'' (肸頓)
  • 테르메즈 지역의 ''두미'' (都密)


후한서 (5세기)는 기원전 2년에 중국 수도에 파견된 월지 사절들의 방문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들은 한 학생에게 불교 경전에 대한 구두 가르침을 주어 일부 월지가 이미 기원전 1세기에 불교 신앙을 따랐음을 시사한다.[16]

후한서 88편은 1세기 후반에 반초의 원정을 바탕으로 한 반용의 보고서에 의존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월지의 다섯 부족 중 하나인 ''구이솽''이 부족 연맹을 장악했다.[16]

장수절의 ''사기''에 나오는 후기 중국 주석에는 쿠샨(또는 ''구이솽'')인들이 인도 북쪽 같은 지역에 살고 있으며, 그리스-로마 양식의 도시에서 살고 있으며, 정교한 수공예품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한다.[16] 중국 자료는 쿠샨(또는 ''구이솽'')을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하는 대신 월지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했다.

북사』, 『수서』, 『신당서』에 보이는 소무구성은 모두 월지의 후손이며, 월지가 둔황과 기련산에 있던 시대에 장액 기련산 북쪽의 소무성에 근거했기 때문에, 중앙아시아로 이동한 후 자신들의 고향을 잊지 않기 위해 소무씨를 국성으로 삼았다.

8. 불교 전래

전한 애제의 원수 원년(기원전 2년)에 대월지국 왕의 사자 이존(伊存)이 '부도교(浮屠教)'라는 경전을 구전했다는 기록이 『석로지』에 전해진다.[96] 이는 여러 설 중 가장 빠른 것으로 여겨진다. 대월지는 불교를 받아들여 북쪽 실크로드(북비단길)를 통해 동아시아에 불교를 전파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당시 동아시아 국가들에 불교가 전파된 것은 해상로가 아닌 월지에 의한 실크로드 경유로 전파된 것으로 학계는 보고 있다.

참조

[1] 학술지 Sur quelques vestiges et indices nouveaux de l'hellénisme dans les arts entre la Bactriane et le Gandhāra (130 av. J.-C.-100 apr. J.-C. environ) https://www.academia[...] 2020-01-01
[2] 학술지 Nouvelles découvertes de tentures polychromes brodées du début de notre ère dans les "tumuli" n o 20 et n o 31 de Noin-Ula (République de Mongolie) https://www.jstor.or[...] 2015
[3] 학술지 KHALCHAYAN https://referencewor[...] Brill 2020-12-14
[4] 학술지 Yuezhi on Bactrian Embroidery from Textiles Found at Noyon uul, Mongolia http://www.silkroadf[...] 2012
[5] 학술지 History Embroidered in Wool https://scfh.ru/en/p[...] 2012
[6] 학술지 We Drank Soma, We Became Immortal… https://scfh.ru/en/p[...] 2010
[7] 서적 China in Central Asia: The Early Stage: 125 B.C.-A.D. 23: An Annotated Translation of Chapters 61 and 96 of the History of the Former Han Dynasty Leiden. E. J. Birll. 1979
[8]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The Slavic Kings and the Islamic conquest, 11th–13th centuries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Stone Tower: Ptolemy, the Silk Road, and a 2,000-Year-Old Riddle Penguin Viking
[10] 인용 1990
[11] 인용 1997
[12] 정보
[13] 서적 Tocharian Texts in Contex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ocharian Manuscripts and Silk Road Culture, June 25-29th, 2013 Hempen
[14] 서적 Les Saces
[15] 서적 Distinguishing and Correcting the pre-Qin Forged Classics Xi'an: Shaanxi People's Press 2004
[16] 서적 China in Central Asia: The Early Stage: 125 BC – AD 23; an Annotated Translation of Chapters 61 and 96 of the History of the Former Han Dynasty Brill
[17] 서적 Indo-Scythian Studies: Being Khotanese Tex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학술지 We Drank Soma, We Became Immortal… https://scfh.ru/en/p[...] 2010
[19] 서적 The Cultures of Ancient Xinjiang, Western China: Crossroads of the Silk Roads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Publishing Ltd 2019-12-19
[20] 학술지 Yuezhi on Bactrian Embroidery from Textiles Found at Noyon uul, Mongolia http://www.silkroadf[...] 2012
[21] 학술지 History Embroidered in Wool https://scfh.ru/en/p[...] 2012
[22] 학술지 Sur quelques vestiges et indices nouveaux de l'hellénisme dans les arts entre la Bactriane et le Gandhāra (130 av. J.-C.-100 apr. J.-C. environ) https://www.academia[...] 2020-01-01
[23] 학술지 The Yuezhi Migration and Sogdia http://www.transoxia[...] Transoxiana 2015-05-29
[24] 서적 Early Türks: Essays on History and Ideology
[25] 문서 Book of Han, vol. 61 http://zh.wikisource[...]
[26] 서적 Th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Peoples of Eastern Central Asia https://archive.org/[...]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Man in collaboration with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Publications 1998
[27] 인용 "Les pays d'occident d'après le ''Heou Han chou''" 1907
[28]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29] 웹사이트 Silk Road, North China http://www.megalithi[...]
[30] 서적 Foreign Influence o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Northern Book Centre 1992
[31] 인용 2004
[32] 서적 KHALCHAYAN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33] 학술지 Graeco-Bactrian Art and Gandhāra: Khalchayan and the Gandhāra Bodhisattvas 1971
[34] 서적 Splendeurs des oasis d'Ouzbékistan Louvre Editions 2022
[35] 문서 後百餘歲,貴霜翕候丘就卻攻滅四翕候,自立為王,國號貴霜王。侵安息,取高附地。又滅濮達、罽賓,悉有其國。丘就卻年八十餘死,子閻膏珍代為王。復滅天竺,置將一人監領之。月氏自此之後,最為富盛,諸國稱之皆曰貴霜王。漢本其故號,言大月氏云。 http://www.guoxue.co[...]
[36]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Western Regions Zhongzhou Guji Press 2003
[37] 웹사이트 Notes to Section 13 http://depts.washing[...]
[38] 간행물 Yuezhi on Bactrian Embroidery from Textiles Found at Noyon uul, Mongolia http://www.silkroadf[...] 2012
[39] 간행물 Sur quelques vestiges et indices nouveaux de l'hellénisme dans les arts entre la Bactriane et le Gandhāra (130 av. J.-C.-100 apr. J.-C. environ) https://www.academia[...] 2020-01-01
[40] 서적 The Cultures of Ancient Xinjiang, Western China: Crossroads of the Silk Roads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Publishing Ltd 2019-12-19
[41] 간행물 Yuezhi on Bactrian Embroidery from Textiles Found at Noyon uul, Mongolia http://www.silkroadf[...] 2012
[42] 간행물 Yuezhi on Bactrian Embroidery from Textiles Found at Noyon uul, Mongolia http://www.silkroadf[...] 2012
[43]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7
[44] 서적 The history of Afghanistan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45] 웹사이트 Tocharian Online: Series Introduction https://lrc.la.utexa[...]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16-11-21
[46] 문서 11-8-1 https://www.perseus.[...]
[47]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48] 간행물 Yuezhi on Bactrian Embroidery from Textiles Found at Noyon uul, Mongolia http://www.silkroadf[...] 2012
[49] 서적 On the Cusp of an Era: Art in the Pre-Kuṣāṇa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07-04-30
[50] 서적 The history of Afghanistan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51] 간행물 Land route or sea route? Commentary on the study of the paths of transmission and areas in which Buddhism was disseminated during the Han period http://www.sino-plat[...]
[52] 문서 Sogdian Painting: the Pictorial Epic in Oriental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53] 웹사이트 Afghanistan: Central Asian and Sassanian Rule, ca. 150 B.C.-700 A.D.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016-09-16
[54] 서적 Rise of the Tang Dynasty: The Reunification of China and the Military Response to the Steppe Nomads (AD 581-626)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18
[55] 문서 Han Material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간행물 The Liang-chou rebellion 184–221 A.D. http://www2.ihp.sini[...]
[57] 서적 《魏晋南北朝史论集》 Beijing University Press 1997-06
[58] 서적 《魏晋南北朝史论丛》 Commercial Press 2010-12
[59] 서적 Beijing – A Concise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
[60]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04-18
[61] 문서 New Annals of the Five Dynasties Zhonghua Publishing House
[62] 간행물 Yuezhi on Bactrian Embroidery from Textiles Found at Noyon uul, Mongolia http://www.silkroadf[...] 2012
[63] 간행물 Sur quelques vestiges et indices nouveaux de l'hellénisme dans les arts entre la Bactriane et le Gandhāra (130 av. J.-C.-100 apr. J.-C. environ) https://www.academia[...] 2020-01-01
[64] 간행물 The Getes http://www.sino-plat[...]
[65] 문서 The first Indo-Europeans in history 1978
[66]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4-18
[67] 간행물 Tokharian Buddhism in Kucha: Buddhism of Indo-European Centum Speakers in Chinese Turkestan before the 10th Century C.E http://www.sino-plat[...] 1998-10
[68]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ocharian https://lrc.la.utexa[...]
[69] 서적 Tocharian Historical Phonology and Morphology American Oriental Society
[70] 문서
[71] 문서 "based on various toponymic evidence, *''Arki'' and *''Yarki'' seem to be the oldest reconstructable forms. However, it is for the time being not quite clear which one is the primary form. In order to know this, we first need to know the etymology of the name. Without doing so, it would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imary form. This, however, must be left to the specialists in Indo-European linguistics." 2019
[72] 서적 Nomadic Art of the Eastern Eurasian Steppes: The Eugene V. Thaw and Other Notable New York Collections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2
[73] 간행물 Shajing Culture (Gansu, China): Main Sites and Problems of Chronology http://paeas.ru/Arti[...] 2017
[74] 서적 Nomadic Art of the Eastern Eurasian Steppes: The Eugene V. Thaw and Other Notable New York Collections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2
[75] 서적 Nomadic Art of the Eastern Eurasian Steppes: The Eugene V. Thaw and Other Notable New York Collections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2
[76] 서적 Nomadic Art of the Eastern Eurasian Steppes: The Eugene V. Thaw and Other Notable New York Collections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2
[77] 간행물 The separate origins of the Tocharians and the Yuezhi: Results from recent advances in archaeology and genetics https://www.research[...] 2013
[78] 문서 『史記』匈奴列伝・大宛列伝、『漢書』西域伝
[79] 문서 翕侯(きゅうこう)とはイラン系遊牧民における“諸侯”の意。烏孫などにも見受けられる。ベイリによればイラン語で“統率者”の意で、[[E.G.プーリーブランク]]によればトカラ語で“国家”の意であるという。また、のちのテュルク系国家に見られるヤブグ(葉護:官名、称号)に比定されることもある。
[80] 문서 『後漢書』西域伝では休密・雙靡・貴霜・肸頓・都密の五部翕侯となっている。
[81] 문서 『漢書』西域伝、『後漢書』西域列伝
[82] 문서 『後漢書』西域列伝
[83] 문서 『魏書』列伝第九十
[84] 문서 『三国志』烏丸鮮卑等伝、『魏書』列伝第九十
[85] 문서 『北史』列伝第八十五、『隋書』列伝第四十八、『新唐書』列伝第一百四十六下
[86] 문서 小谷 1999
[87] 문서 岩村 2007
[88] 문서 小谷 1999
[89] 문서 ベックウィズ 2017
[90] 문서 榎一雄は大月氏における五翕侯を大月氏によって任命された土着有力者とした。
[91] 문서 江上波夫は五翕侯を大月氏によって任命された月氏人戦士の封建諸侯であるとした。
[92] 문서 クチャ、カラシャール、トルファン地域。旧[[天山ウイグル王国]]領。
[93] 문서 徐文堪『吐火羅人起源研究』
[94] 문서 長安から文の刻まれた銅製仏座が出土
[95] 문서 『史記』大宛列伝、『漢書』西域伝、『後漢書』西域列伝、『魏書』列伝第九十
[96] 문서 『魏書』志第二十 釈老志
[97] 뉴스 中国考古学者バクトリア地域に古代「月氏族」の遺跡を発見 https://www.afpbb.co[...] AFP 2018-01-27
[98] 문서 小松久男『中央ユーラシア史』
[99] 간행물 Sur quelques vestiges et indices nouveaux de l’hellénisme dans les arts entre la Bactriane et le Gandhāra (130 av. J.-C.-100 apr. J.-C. environ) https://www.academia[...] 2020-01-01
[100] 간행물 Nouvelles découvertes de tentures polychromes brodées du début de notre ère dans les "tumuli" n o 20 et n o 31 de Noin-Ula (République de Mongolie) https://www.jstor.or[...] 2015
[101] 간행물 KHALCHAYAN https://referencewor[...] Brill 2020-12-14
[102] 간행물 Yuezhi on Bactrian Embroidery from Textiles Found at Noyon uul, Mongolia http://www.silkroadf[...] 2012
[103] 간행물 History Embroidered in Wool https://scfh.ru/en/p[...] 2012
[104] 간행물 We Drank Soma, We Became Immortal… https://scfh.ru/en/p[...] 2010
[105]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The Slavic Kings and the Islamic conquest, 11th–13th centuries Oxford University Press
[106] 서적 The Stone Tower: Ptolemy, the Silk Road, and a 2,000-Year-Old Riddle Penguin Viking
[107] 문서
[108] 논문
[109] 간행물
[110] 문서
[111] 서적 The Tarim Mummies: Ancient China and the Mystery of the Earliest Peoples from the West Thames & Hudson
[112] 서적 The Tarim Mummies: Ancient China and the Mystery of the Earliest Peoples from the West Thames & Hudson
[113]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14] 웹사이트 https://lrc.la.utexa[...]
[115] 웹인용 Tocharian Online: Series Introduction https://lrc.la.utexa[...]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16-11-21
[116] 서적 The Tarim Mummies: Ancient China and the Mystery of the Earliest Peoples from the West Thames & Hud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