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초는 1세기 후반 동한 시대의 장군이자 외교관으로, 서역 원정을 통해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흉노를 격퇴하고 타림 분지의 여러 국가들을 중국의 지배하에 두었으며, 서역도호부를 설치하여 실크로드를 안정시켰다. 31년간 서역에 머물다 102년 낙양으로 돌아와 사망했으며, 그의 활약으로 서역은 한나라의 세력권에 편입되었으나, 사후 흉노의 세력이 다시 강해지며 한나라의 서역 지배는 약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풍 반씨 - 반용
    반용은 후한 시대 장군으로, 아버지 반초의 뒤를 이어 서역 경영에 기여하여 123년 서역 시랑 임명 후 투르판과 주변 지역을 정복하고 127년 17개 왕국을 복속시키는 등 후한의 영향력을 강화했으나, 말년에는 카라샤르 공격 문제로 투옥되었다 사면되었다.
  • 102년 사망 - 유정 (동해정왕)
    유정은 후한 시대 동해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음란하고 경박한 품행으로 물의를 빚어 부패한 모습으로 비판받았으며, 영원 14년에 사망하여 시호를 정(貞)이라 하였고, 그의 아들 유만이 작위를 이었다.
  • 32년 출생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는 69년에 잠시 로마 황제를 지냈으며 네로의 측근이었으나 갈바를 지지하여 네로 몰락에 기여, 갈바 암살 후 황제가 되었지만 비텔리우스에게 패배 후 자살했고 그의 죽음은 내전 방지를 위한 희생으로 평가받는다.
  • 32년 출생 - 반고 (후한)
    반고는 후한 시대의 역사가이자 문학가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 《한서》를 편찬하여 후대 역사 서술에 영향을 주었으며, 부를 발전시켜 독자적인 문학 세계를 구축했으나 두헌의 실각으로 옥사했다.
반초
기본 정보
반초의 명나라 초상화
반초의 명나라 초상화
이름반초
로마자 표기Ban Chao
중승 (仲升, Zhòngshēng)
출생32년
출생지푸펑 핑링 (平陵), 후한
사망102년
사망지뤄양, 후한
국적한나라
성별남성
가문
군사 정보
소속한나라
복무 기간알려지지 않음
주요 전투알려지지 않음
가족 관계
배우자알려지지 않음
친척반소 (누이)
기타
활동 분야군인, 탐험가, 외교관

2. 역사적 배경

반초는 아버지 반표부터 여동생 반소까지 모두 한서를 완성하는 데 일생을 바친 역사가 집안 출신이었다. 반표는 36년에 '한서'(한나라의 역사)인 '서한서'를 편찬하기 시작했으며, 아들 반고와 딸 반소가 완성했다. 반초는 '한서'에 수록된 서역 관련 자료의 주요 정보 제공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초의 외조부모는 흉노 출신으로 흉노 왕 서투의 후손이었으며, 이러한 흉노 혈통은 반초가 중국의 역사와 외교 관계에서 능력을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수 있다.

62년(영평 5년), 형 반고가 초빙되어 교서랑(校書郎)이 되자, 반초는 어머니, 여동생과 함께 형을 따라 낙양으로 이주했다. 집안이 가난하여 관아에서 문서를 베껴 쓰는 일을 하여 부모를 봉양했다.

2. 1. 가문과 초기 생애

반초의 가족은 아버지 반표부터 여동생 반소에 이르기까지 모두 한서를 완성하는 데 일생을 바쳤다.[8]



반초는 역사가 집안 출신이었다. 아버지 반표(3~54년)는 36년에 '한서'(漢書, 한나라의 역사를 뜻함)인 '서한서'(西漢書)를 편찬하기 시작했으며, 아들 반고(32~92년)[9]와 딸 반소(반초의 형제)가 완성했다. 반초는 아마도 '한서'에 수록된 서역의 문화 및 사회경제적 자료의 주요 정보 제공자였을 것이다. 반초의 외조부모는 흉노 출신으로 흉노 왕 서투의 후손이었다.[10][11] 반초의 흉노 혈통은 중국의 역사와 외교 관계에 관한 그의 능력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0]

반초의 막내아들 반용은 아버지와 함께 군사 원정에 참여했으며, 120년대까지 타림 분지에서 중추적인 군사적 역할을 계속 수행했다. 반초는 역사가 집안에서 태어나 어릴 적에는 형과 함께 역사를 공부했다.

62년(영평 5년), 형 반고가 초빙되어 교서랑(校書郎)이 되자, 반초는 어머니와 여동생과 함께 형을 따라 낙양으로 이주했다. 집안이 가난하여 항상 관아에서 문서를 베껴 쓰는 일을 하여 부모를 봉양했다.

2. 2. 서역으로의 진출

84년(건초 9년), 쿠샨 제국(대월지)은 한나라가 강거(康居)를 원정할 때 군사 지원을 해준 대가로 한나라 황실의 공주를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 90년, 이에 대한 보복으로 쿠샨 제국은 반초에게 7만 명의 군대를 파견했지만, 한나라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쿠샨 제국은 후퇴하여 한나라에 조공을 바쳤다.[13] 같은 해, 쿠샨 왕 비마 타크투는 후한에 사신을 보내 얼룩말(풀발)과 사자를 바쳤으나, 반초는 사신이 요구한 한나라 공주를 거절하고 돌려보냈다.

87년(장화 원년), 반초는 사차(莎車)국을 공격하여 구원을 위해 온 서역 연합군(사차·구자·온숙·고묵·위려)을 계략을 써서 격파했다. 이로써 사차국은 후한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91년 반초는 둔황 지역에서 서역도호부의 도호가 되었다. 97년에는 톈산산맥파미르고원을 7만 명의 경기갑 군사로 횡단하여 실크로드를 어지럽히던 흉노와 전쟁하였다.

3. 서역 경영

반초는 전한 시대의 곽거병위청처럼 타림 분지에서 흉노를 효과적으로 몰아내고, 1세기 후반에 서역의 여러 민족들을 중국 지배하에 두어 서쪽으로 향하는 무역로를 개척하고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2] 그는 일반적으로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상대의 분열을 교묘하게 이용했다. 74년 거란과 카슈가르 왕국이 중국 지배하에 들어왔다.[2]

한 장제 통치 기간에 다시 서역 지역으로 파견된 반초는 84년 카슈가르 왕의 반란을 지원하려던 강거를 물리치는 데 쿠샨 제국의 군사적 지원을 받았고, 이듬해에는 타림 분지 동부의 투루판을 공격하여 타림 분지 전체를 중국의 통제하에 두었다.

90년 쿠샨 제국이 7만 명의 군대로 반초를 공격했지만, 소규모 중국군에게 패배하고 후퇴하여 중국에 조공을 바쳤다.[3] 이후 쿠샨은 인질로 있던 천판을 카슈가르 왕으로 옹립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기도 했다.

91년 반초는 서역을 평정하고 서역도호 칭호를 받아 구자에 주둔했다.[4] 94년에는 연기를 공격하여 패배시켰고, 50개 이상의 왕국이 한나라에 항복했다.[4] 97년 반초는 간영을 사신으로 페르시아 만 또는 흑해에 보내 유럽에 대한 최초의 중국 기록을 남겼다.[5]

3. 1. 초기 활동과 흉노 격퇴

마태화보(馬太華寶)의 반초


반초는 전한 시대의 곽거병위청처럼 타림 분지에서 흉노를 효과적으로 몰아내고, 1세기 후반에 서역의 여러 민족들을 중국 지배하에 두어 서쪽으로 향하는 무역로를 개척하고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2] 그는 일반적으로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상대의 분열을 교묘하게 이용했다. 거란과 카슈가르 왕국은 74년에 중국 지배하에 들어왔다.[2]

73년(영평 16년), 명제는 봉차도위 두고(竇固)(광무제의 손자, 두융의 조카)를 대장으로 하여 북흉노 정벌에 나섰고, 반초는 가사마로서 참군하였다.

두고는 장병을 나누어 이오를 공격하였고, 반초는 풀레이해 전투(현 )에서 많은 수급을 올렸다.

이 공으로 도고는 반초의 유능함을 인정하여, 반초를 종사인 과훈과 34명의 부하와 함께 서역 여러 나라로의 사자로 보냈다.

선선(루란)에 사자로 갔을 때, 처음에는 환영받았으나 점차 분위기가 나빠졌다. 그때 북흉노의 사자도 와 있었던 것이다. 이대로는 죽을 것이라고 생각한 반초는 겁먹은 부하들에게 "'''호혈입불즉득호자'''(불입호혈언득호자)"라고 용기를 북돋우고, 북흉노 일당에 뛰어들었다. 반초 일행은 36명에 불과했고 북흉노는 훨씬 많았지만 기습을 받은 북흉노 사자들은 허둥지둥했고, 반초 일행은 훌륭하게 대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선선은 한에 항복하였다.

이후에도 반초는 36명의 소수로 우전(호탄) 왕 광덕을 항복시켰고, 겨울에는 서륵(카슈가르)에 가서 북흉노 측이었던 구자 왕 건에 의해 서륵왕으로 임명되었던 구자 좌후 두제를 사로잡고, 건에 의해 살해된 전 서륵왕 성의 형의 아들인 충을 세워 서륵왕으로 삼았다.

84년(건초 9년), 반초는 서역국과 우현국의 군대를 보내 사차(야르칸트)국을 공격했다. 사차국은 암중에서 서역왕 충과 통하고 있었고, 충은 이에 따라 반역하여 서쪽 오즉성에 틀어박혔다. 그러자 반초는 그 부승 성대를 세워 새로운 서역왕으로 삼고 충을 공격했다. 이에 강거국이 정예병을 파견하여 이를 구원했으므로, 반초는 항복시키지 못했다. 이때 쿠샨 제국(대월지)는 새롭게 강거와 혼인 관계를 맺어 친밀한 관계가 되었으므로, 반초는 사자를 보내 많은 축하품을 쿠샨 왕 비마 탁투(염고진)에게 보냈다. 이로 인해 강거왕이 군대를 철수시키고 충을 사로잡았으므로, 오즉성은 마침내 반초에게 항복했다.

87년(장화 원년), 다시 사차국을 공격하여 구원을 위해 온 서역 연합군(사차·구자·온숙·고묵·위려)을 계략을 써서 격파했다. 이로써 사차국은 후한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같은 해, 쿠샨 왕 비마 탁투는 후한에 사신을 보내 풀발(얼룩말?)과 사자를 바쳤다. 이때 쿠샨 제국의 사신은 한나라의 공주를 요구했으나, 반초는 거절하고 사신을 돌려보냈다.

90년, 이에 대한 보복으로 대월지는 반초에게 7만 군대를 파견하였지만 한의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대월지는 후퇴하였고 한에 조공을 바쳤다.[3]

3. 2. 서역도호부 설치와 통치

73년 (명제 영평 16년), 광무제의 손자인 도고(竇固)가 북흉노 정벌에 나섰고, 반초는 가사마로서 참군하였다. 반초는 풀레이해 전투(현 바리쿤호)에서 큰 공을 세워 도고의 인정을 받아, 34명의 부하와 함께 서역 여러 나라로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선선(루란)에서 북흉노 사신단을 기습하여 몰살시키고 선선을 한나라에 복속시켰다. 이후 우전(호탄) 왕 광덕을 항복시키고, 서륵(카슈가르)에서 친북흉노 세력이었던 구자 출신 서륵왕을 몰아내고, 이전 서륵왕의 조카를 새로운 왕으로 세웠다. 이러한 활약으로 서역 남쪽 절반이 후한의 세력권에 들어갔다.[2]

75년(영평 18년), 명제가 죽자 焉耆(언기)국이 반란을 일으켜 서역도호(서역도호) 진목을 살해하고, 구자국과 姑墨(고묵)국은 서륵국을 공격했다. 반초는 서륵왕과 함께 방어했으나 불리하여 우전국으로 후퇴했다. 다시 서륵국으로 돌아왔을 때에는 이미 두 성이 모두 함락되었고, 서륵국은 위두국과 내통하여 고립무원의 상태였다.[12] 반초는 서륵국의 반역자를 처형하고 위두국을 격파하여 서륵국을 되찾았다.

장제는 서역도호를 폐지하고 서역을 포기하려 했으나, 반초는 서역 여러 나라 왕들의 애원으로 남기로 결심했다. 본국으로부터 고립된 채 30여 명의 부하와 함께 5년 동안 서역에 머물렀다. 80년(건초 5년), 본국에서 천여 명의 원병을 보냈다.

84년(건초 9년), 반초는 莎車(사차)(야르칸트)국을 공격했다. 康居(강거)국이 지원군을 보냈으나, 반초는 쿠샨 제국(대월지)과의 외교를 통해 강거국이 군대를 철수시키도록 하였다. 87년(장화 원년), 다시 사차국을 공격하여 구원을 위해 온 서역 연합군을 격파하고 사차국을 후한의 지배하에 두었다. 같은 해, 쿠샨 왕 비마 타크투는 후한에 사신을 보내 한나라 공주를 요구했으나, 반초는 거절했다.[3]

90년(永元 2년) 5월, 구혼이 거절당한 쿠샨 왕 비마 탁토는 군대를 보내 반초를 공격했으나, 반초는 지구전으로 격퇴했다. 이후 쿠샨 왕조는 후한에 매년 공물을 바치게 되었다.[3]

91년(永元 3년), 반초는 구자국을 공격하여 항복을 받아냈다. 반초는 구자왕을 폐위시키고 새로운 왕을 세웠다. 같은 해 12월, 한 화제는 서역도호부를 부활시키고 반초를 서역도호에 임명했다.[4] 우지교위(戊己校尉)가 재설치되었고, 500명의 군인을 지휘하며 투루판 남동쪽 29km에 있는 근거지(近居師)에 주둔했다.[4]

94년(永元 6년), 반초는 언기국, 위수국, 위려국, 산국을 격파하고, 언기왕과 위려왕을 참수했다. 이로써 서역 50여 국이 후한에 내속했다.[4]

3. 3. 쿠샨 제국과의 관계

84년(건초 9년), 반초는 쿠샨 제국(대월지)이 강거(康居)와 혼인 관계를 맺어 친밀해지자, 사신을 보내 많은 축하품을 쿠샨 왕 비마 타크투에게 전달했다. 이를 통해 강거는 군대를 철수했고, 반초는 사차국을 공격하던 중 반란을 일으킨 서륵왕 충을 제압할 수 있었다.[13]

87년(장화 원년), 쿠샨 왕 비마 타크투는 후한에 사신을 보내 얼룩말사자를 바쳤다. 이때 쿠샨 제국의 사신은 한나라 공주를 요구했으나, 반초는 이를 거절하고 사신을 돌려보냈다.[3]

90년, 쿠샨 제국은 한나라 공주를 요구했다가 거절당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7만 명의 군대를 파견하여 반초를 공격했다. 하지만 반초가 이끄는 소규모 한나라 군대에 패배했고, 쿠샨 제국은 후퇴하여 한나라에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3]

이후 원초(元初) 연간(114~120)에 쿠샨 제국은 한때 자신들의 인질이었던 신반(臣槃)을 카슈가르(Kashgar) 혹은 소륵의 왕으로 옹립하기 위해 군대를 보내기도 했다.[13]

3. 4. 말년과 귀환

100년(영원 12년) 반초는 둔황에서 31년 동안 머물다가 한나라 수도 낙양으로 돌아가겠다는 탄원서를 냈다.[7] 102년 그의 요청이 받아들여져 낙양에 돌아온 반초는 고향에서 사망한다.[7] 반초가 없어지자 흉노는 활발하게 정복 활동을 벌이고 둔황이 흉노의 지배하에 들어가 서역으로의 무역은 끊기게 된다.[13] 그 후 한나라는 몇 번이나 서역(둔황)에 군대를 보내지만, 서역 지역에 강력한 국가들이 생겨나 다시 되찾을 수 없었다.[13]

반초는 나이와 건강 악화로 서역도호직에서 은퇴하여 70세의 나이로 수도 낙양으로 돌아왔지만,[7] 그 다음 달 영원 14년 9월(9월 30일~10월 28일)에 낙양에서 사망했다.[7] 그의 사망 후 서역에서 흉노의 세력이 다시 증가했고, 그 후 중국 황제들은 당나라 때까지 서쪽으로 그렇게 멀리 진출하지 못했다.[7]

반초는 서역에 머문 지 31년이 되어 고향인 한나라 땅이 그리워져 100년(영원 12년) 조정에 귀국을 간청하는 상소를 올렸고, 102년(영원 14년) 8월 그 소원이 받아들여져 낙양으로 돌아왔으나, 한 달 후인 9월에 고향에서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반초가 없어지자, 강족이 량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후한의 서역 지배력이 약화되었고, 서역은 북흉노의 잔당과 쿠샨 제국 세력의 영향 아래 들어갔다.[7] 그 후, 후한은 반초의 아들 반용 등을 파견하여 다시 서역 여러 나라를 지배했지만, 반용이 서역을 떠나자 서역 여러 나라가 후한에 반역했고, 후한은 반초가 있던 시절의 세력을 회복할 수 없게 되었다.[7]

4. 가족

반초의 가족은 역사가 집안으로 유명하다. 아버지 반표한서 편찬을 시작했고, 큰아들 반고와 딸 반소가 이를 완성했다. 반초는 한서에 수록된 서역 관련 자료의 주요 제공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8][9] 반초의 외조부모는 흉노 출신으로, 흉노 왕 서투의 후손이었다.[10][11]

반초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생몰년비고
아버지반표3년 ~ 54년한서 편찬 시작
큰아들반고32년 ~ 92년한서 완성[9]
여동생반소45년 ~ 116년한서 완성, 반초의 귀환을 청원
장남반웅? ~ 107년 이후
손자반시? ~ 130년음성공주 살해로 처형
차남반용? ~ 127년 이후아버지와 함께 군사 원정에 참여, 타림 분지에서 활약



반초의 막내아들 반용은 아버지와 함께 군사 원정에 참여하여 120년대까지 타림 분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반초의 손자 반시는 순제의 큰아버지인 청하왕 류경의 딸 음성공주와 혼인했으나, 음성공주의 부정한 행실로 인해 그녀를 살해하고 130년에 처형되었다.[8]

5. 평가 및 영향

반초는 역사가 집안 출신으로, 아버지 반표(Ban Biao)는 '한서'(의 역사)를 편찬하기 시작했고, 아들 반고(Ban Gu)와 딸 반조(Ban Zhao)가 완성했다.[9] 반초는 '한서'에 수록된 서역 관련 자료의 주요 정보 제공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그의 외조부모가 흉노 출신이라는 점은[10][11] 그의 역사 및 외교 능력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10]

반초의 막내아들 반용(Ban Yong)은 아버지와 함께 군사 원정에 참여했으며, 120년대까지 타림 분지에서 중요한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다. 97년 반초는 부하 감영파르티아 동쪽 경계인 목록성에 파견했지만, 더 서쪽의 로마 제국이나 시리아까지 보냈다는 기록은 없다.

반초의 진군

5. 1. 긍정적 평가

반초는 서역에서 31년간 머무르며 후한의 서역 지배에 큰 공헌을 했다. 그는 오랜 기간 서역에 주둔하면서 고향을 그리워하여 조정에 귀국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1]

100년(영원 12년)에 귀국을 간청하는 상소를 올렸고, 102년(영원 14년) 8월에 낙양으로 돌아왔으나, 한 달 후인 9월에 고향에서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반초는 부하 감영파르티아의 동쪽 경계인 목록성에 파견하기도 했다. 그러나 감영이 더 서쪽의 로마 제국이나 시리아까지 파견되었다는 기록은 없다.[1]

5. 2. 부정적 평가

반초는 서역에서 오랜 기간 활약했지만, 그가 죽은 후 후한의 서역 지배력은 약화되었다. 강족이 량주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서역은 북흉노의 잔당과 쿠샨 제국 세력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1] 반초의 아들 반용이 파견되어 서역 여러 나라를 다시 지배했지만, 반용이 떠난 후 서역은 다시 후한에 반역했고, 후한은 반초 시절의 세력을 회복하지 못했다.[1]

또한, 반초의 손자 반시는 순제의 큰아버지인 청하왕 류경의 딸 음성공주(음성공주 (한))와 혼인했으나, 음성공주의 문란한 사생활로 인해 결국 그녀를 살해하고 자신도 처형당하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1]

5. 3. 현대 한국의 관점

97년(영원 9년), 반초는 부하 감영을 안식국(파르티아)의 동쪽 경계인 목록성에 파견했지만, 더 서쪽의 대진(로마 제국?)·조지(시리아?)에 파견했다는 기록은 없다.

100년(영원 12년), 반초는 서역에 머문 지 31년이 되어 고향인 한나라 땅이 그리워져 조정에 귀국을 간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그 소원이 받아들여져 102년(영원 14년) 8월, 반초는 낙양으로 돌아왔으나, 한 달 후인 9월에 고향에서 사망했다. 향년 71세였다.

반초가 없어지자, 강족이 량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후한의 서역 지배력이 약화되었고, 서역은 북흉노의 잔당과 쿠샨 제국 세력의 영향 아래 들어갔다. 그 후, 후한은 반초의 아들 반용 등을 파견하여 다시 서역 여러 나라를 지배했지만, 반용이 서역을 떠나자 서역 여러 나라가 후한에 반역했고, 후한은 반초가 있던 시절의 세력을 회복할 수 없게 되었다.

그 뒤를 장자 반웅이 이었고, 손자 반시 대에 이르러, 반시는 음성공주(순제의 큰아버지인 청하왕 류경의 딸)와 혼인했다. 음성공주는 성품이 음탕하여 반시가 그 자리에 있는데도 간남과 간통을 저지를 정도였다고 한다. 결국 그 행위에 견디다 못한 반시는 공주를 죽였고, 순제를 격노하게 하여 130년(영건 5년)에 처형되었다.

6. 명언


  • "붓을 버리고 군에 입대하라!" () – 그의 말 "용감한 사람은 부계자와 장건의 발자취를 따르고 타국에서 무언가를 하고 누군가가 되는 것 외에는 다른 계획이 없다. 어떻게 내가 글쓰기에 인생을 낭비할 수 있겠는가?"에서 유래. 『후한서』에 나옴.
  • "...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으면 호랑이 새끼를 잡을 수 없다." ()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를 잡는다"와 유사한 속담.
  • "영광 없이 죽는 것은 용감한 사람의 행위가 아니다." ()

참조

[1]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Brill 2007
[2]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1970
[3] 서적 (추정) 2009
[4] 서적 (추정) 2009
[5] 서적 (추정) 2009
[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eography Cambridge 1948
[7] 서적 (추정) 1906
[8] 논문 Two Notes on the Xiongnu Ancestry of the Authors of "Han-shu" https://www.jstor.or[...] 2011
[9] 서적 (추정) 2009
[10] 논문 Two Notes on the Xiongnu Ancestry of the Authors of "Han-shu" https://www.jstor.or[...] 2011
[11] 서적 Ban Gu's history of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a press 2008
[12] 웹사이트 No. 275 【孤立無援】 こりつむえん http://www.fukushima[...] 福島みんなのNEWS 2024-11-28
[13] 서적 (추정)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