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귀비 대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흔귀비 대가씨는 건륭제의 후궁으로, 건륭 18년 빈으로 책봉된 후 건륭 28년 비로 진봉되었으며, 사후 흔귀비로 추존되었다. 그녀는 강희제의 경민황귀비의 친조카로, 건륭제의 여섯째와 여덟째 딸을 낳았으나 모두 요절했으며, 셋째 아이를 임신한 채 사망했다. 건륭제는 그녀의 죽음을 애도하며 직접 제사를 지냈고, 유릉의 비원침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4년 사망 - 영빈 이씨
영빈 이씨는 영조의 후궁이자 사도세자의 생모로, 궁녀로 입궁하여 영조의 총애를 받아 빈까지 올랐으며 사도세자의 죽음에 관련된 고변을 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영조의 깊은 애도를 받았고 묘는 서오릉 수경원에, 신주는 칠궁에 봉안되었다. - 1764년 사망 - 장필리프 라모
장필리프 라모는 바로크 후기 프랑스 작곡가이자 음악 이론가로, 프랑스 오페라 발전에 기여하고 《화성론》을 통해 근대 기능화성법의 토대를 마련했다. - 청나라의 후궁 - 화유황귀비
화유황귀비는 청나라 가경제의 후궁으로, 가경제의 첩 시절 두 자녀를 두었으며 함비, 함귀비를 거쳐 현희황귀태비로 봉해졌고 사후 화유황귀비로 추증되었으며 73세에 사망하여 창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후궁 - 경민황귀비
경민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인상의 생모이며, 비빈으로 총애를 받아 윤상 등 자녀를 낳고 사망 후 민비로 추증, 아들 윤상의 공헌으로 황귀비로 추봉, 최종적으로 경민황귀비로 추존되어 경릉에 합장되었으나, 출생년도, 입궁 시기, 가족 배경 등은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흔귀비 대가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흔빈 → 흔비 → 흔귀비 (추봉) |
본관 | 대가씨 (戴佳; Dài jiā) (출생 시) 아이신 교로 (결혼 후) |
아버지 | 나수투 |
배우자 | 건륭제 |
출생일 | 1737년 6월 26일 (건륭 2년 5월 29일) |
사망일 | 1764년 5월 28일 (건륭 29년 4월 28일) |
사망 장소 | 자금성 종취궁 |
매장 장소 | 청 동릉 유릉 |
시호 | 흔귀비 (忻貴妃; Xīn Guìfēi) |
자녀 | |
자녀 | 황6녀 (요절), 황8녀 (조졸) |
2. 생애
생년은 알려지지 않았고, 생일은 5월 29일이다. 아버지는 옹정제 초년에 흑룡강 장군 등을 역임한 나소도(那蘇圖)이며, 어머니 장가씨(章佳氏)는 강희제의 후궁 경민황귀비의 친조카이다.
건륭 18년(1753년) '''흔빈'''(忻嬪zho)으로 책봉되어 입궁하였고, 이듬해 책봉례를 치렀다. 건륭 20년(1755년) 황6녀, 건륭 22년(1757년) 황8녀를 낳았으나 두 딸 모두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건륭 28년(1763년)에는 예빈과 함께 '''흔비'''(忻妃zho)로 진봉되었다. 그러나 다음 해인 건륭 29년(1764년) 4월 28일, 세 번째 아이를 임신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하였다. 건륭제는 그녀의 죽음을 슬퍼하여 직접 제사를 지내고 5일간 조회를 멈추었다고 전해진다.
사후 '''흔귀비'''(忻貴妃zho)로 추증되었으며, 청동릉 유릉(裕陵) 비원침(妃園寢)에 묻혔다. 생전에 비(妃)로 진봉되었으나 책봉례를 치르기 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그녀가 남긴 조관(朝冠) 등 일부 의전용품은 빈(嬪)의 격식에 따른 것이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생년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생일은 5월 29일이다.대가씨는 아버지 나소도(那蘇圖)가 말년에 얻은 딸로, 가장 큰 언니와는 30살이나 차이가 났다. 어머니 장가씨(章佳氏)는 강희제의 후궁인 경민황귀비의 친조카였다. 아버지 나소도는 옹정제 즉위 초년에 흑룡강 장군이 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이후 병부상서, 형부상서, 양강 총독, 양광 총독 등을 역임했다.
흔귀비 대가씨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나소도(那蘇圖) | 병부상서 (1736년 ~ 1737년), 형부상서 (1737년, 1740년), 양강 총독 (1737년 ~ 1739년, 1741년 ~ 1742년), 양광 총독 (1744년 ~ 1745년) 역임. 1749년 사망. |
조부 | 도선(道禅) | 장사(长史) 역임. |
증고모 | 성빈(成嫔) | 강희제의 후궁. |
어머니 | 장가씨(章佳氏) | |
외조부 | 덕예(德瑞) | |
외증고모 | 경민황귀비(敬敏皇贵妃) | 강희제의 후궁. |
언니 (첫째) | - | 1707년 출생. 강소 부지사 유안녕(尤安宁)의 처. |
언니 (둘째) | - | 완안씨(完顏氏) 출신, 4품 문관 기성액(期成额)의 처. |
언니 (셋째) | - | 니오후루씨(鈕祜祿氏) 출신, 내정 비서관 복륭아(福隆阿)의 처. |
2. 2. 후궁 시절
건륭제 재위 기간인 건륭 18년(1753년) 7월 20일, 대가씨는 '''흔빈'''(忻嬪중국어)으로 책봉되어 자금성 내 종수궁에 거처하게 되었다.[1] 이듬해인 건륭 19년(1754년) 윤4월에 정식으로 흔빈 책봉례가 거행되었다.건륭 20년(1755년) 7월 17일(다른 기록에는 8월 24일), 황제의 여섯 번째 딸을 낳았으나, 이 딸은 안타깝게도 4살이 되던 해인 1758년 9월 27일에 요절하였다. 건륭 22년(1757년) 12월 7일(다른 기록에는 1758년 1월 16일)에는 여덟 번째 딸을 낳았지만, 이 딸 역시 10살이 되던 해인 1767년 6월 17일에 일찍 세상을 떠났다.
건륭 28년(1763년) 8월 28일(다른 기록에는 10월 16일)[2], 대가씨는 예빈과 함께 비(妃)로 진봉되어 '''흔비'''(忻妃중국어)가 되었다. 다음 해인 건륭 29년(1764년)에 예비와 함께 흔비 책봉례가 예정되어 있었다.
건륭 29년(1764년) 2월, 셋째 아이를 임신한 흔비 곁에 월할머니(출산을 돕는 사람)가 보내졌으나, 같은 해 4월 28일(다른 기록에는 5월 28일)에 갑작스럽게 사망하였다. 사인은 출산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녀의 죽음에 건륭제는 크게 슬퍼하여, 첫 제사 때 관례를 깨고 직접 술을 따르며 제사를 지냈고, 5일 동안 조회를 멈추었다.
대가씨는 생전에 비로 진봉되었으나, 비 책봉례를 치르기 전에 사망하였기 때문에 그녀가 남긴 조관(朝冠, 조정 행사 때 쓰던 관)은 빈의 기준에 맞는 것이었다. 기록에 따르면 흔비의 조관은 빈의 기준인 동주(東珠) 11알로 장식되어 있었으며, 비의 기준인 묘정석(猫睛石)이 아니었다.
사망 후 '''흔귀비'''(忻貴妃중국어)로 추증되었고[3], 귀비의 격에 맞는 장례가 치러졌다. 이듬해인 1765년, 청동릉 유릉(裕陵) 비원침(妃園寢)에 안장되었다.
2. 3. 죽음과 사후
건륭 29년(1764년) 4월 28일, 흔비 대가씨는 세 번째 아이를 임신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일부 기록에는 출산 중 사망했다고도 전해진다.사망 당시 흔비로 진봉되었으나 정식 책봉례는 치르지 못한 상태였다. 그럼에도 건륭제는 그녀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여, 첫 제사 때 관례를 깨고 직접 임치제(臨置祭)를 지내며 술을 올렸고, 5일간 조회를 멈추기도 했다.
대가씨는 사후 흔귀비(欣貴妃)로 추증되었다. 비록 생전에 흔비 책봉례를 받지 못했고 사망 당시 남긴 조관(朝冠, 관복에 쓰는 관)은 빈(嬪)의 격식이었지만, 장례는 귀비의 예우에 맞춰 치러졌다. 흔비로 진봉될 때 이미 준비되었던 금책(金冊)과 금보(金寶)는 글자를 새로 새길 필요 없이 그대로 사용하고, 견책(絹冊)과 견보(絹寶)에는 '귀비(貴妃)'라는 글자를 추가하여 사용했다. 이러한 장례 절차는 이후 비슷한 상황에 처한 비빈들의 장례에 선례가 되었다.
건륭제 시대에는 사후에 직위가 추증될 경우 명확한 근거가 있었는데, 흔귀비의 경우에도 청동릉 유릉(裕陵) 비원침의 위패에 '흔비'가 아닌 '흔귀비'라고 명확히 기록되었으며, 궁중 물품을 관리하는 경사방(敬事房)에서도 그녀의 유물을 다룰 때 '흔귀비'로 칭했다.
흔귀비의 금관(金棺, 관)은 정안장(靜安莊) 빈소에 잠시 안치되었다가 건륭 30년(1765년) 2월 22일, 효현순황후의 능침 근처인 유릉 비원침(裕陵 妃園寢)으로 옮겨져 신빈 배이갈사씨, 복귀인 (건륭제) 등과 함께 안장되었다.
3. 가족 관계
wikitext
구분 | 인물 | 관계 | 비고 |
---|---|---|---|
친가 | 나소도(那蘇圖) | 아버지 | 병부상서(1736년~1737년), 형부상서(1737년, 1740년), 양강 총독(1737년~1739년, 1741년~1742년), 양광 총독(1744년~1745년) 역임.[1] 1749년 사망. |
도선(道禅) | 조부 | 장사(长史) 역임.[1] | |
성빈(成嫔) | 증고모 | 강희제의 후궁.[1] | |
외가 | 장가씨(章佳氏) | 어머니 | [1] |
덕예(德瑞) | 외조부 | [1] | |
경민황귀비 | 외증고모 | 강희제의 후궁.[1] | |
형제자매 | 이름 미상 (1707년 출생) | 첫째 언니 | 강소 부지사 유안녕(尤安宁)의 처.[1] |
이름 미상 | 둘째 언니 | 완안씨(完顏氏) 출신 4품 문관 기성액(期成额)의 처.[1] | |
이름 미상 | 셋째 언니 | 니오후루씨(鈕祜祿氏) 출신 내정 비서관 복륭아(福隆阿)의 처.[1] |
4. 자녀
흔귀비는 건륭제와의 사이에서 두 딸을 낳았으나 모두 요절하였다.
구분 | 출생 | 사망 |
---|---|---|
황6녀 | 1755년 8월 24일 | 1758년 9월 27일 |
황8녀 | 1758년 1월 16일 | 1767년 6월 17일 |
1764년 5월 28일, 임신 8개월 상태에서 난산 또는 유산으로 사망하였다.
5. 등장 매체
년도 | 제목 | 배우 | 극중 이름 | 극중 호칭 | 비고 |
---|---|---|---|---|---|
2018 | 여의전 | 장가녕 | 파림 미약 | 영비 | 영귀비 파림씨와 흔귀비 대가씨를 합쳐서 만든 캐릭터 |
참조
[1]
문서
乾隆十九年 閏四月
[2]
문서
乾隆二十八年 九月 十日
[3]
문서
乾隆三十年 閏二月 二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