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토토리바시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토토리바시 전투는 1585년 다테 마사무네와 사타케 요시시게가 이끄는 연합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센고쿠 시대 오슈 지역의 패권 경쟁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전투는 사타케 연합군의 압도적인 병력 우위 속에서 다테 군이 고전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지만, 사타케 군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이 전투 이후 다테 가문은 니혼마쓰 성을 발판으로 세력을 확장했고, 오슈 남부의 세력 판도에 변화가 일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85년 일본 - 우에다 전투
    우에다 전투는 사나다 마사유키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군대를 격파한 1585년의 제1차 전투와 세키가하라 전투 과정에서 사나다 가문이 동군과 서군으로 나뉘어 싸운 1600년의 제2차 전투로, 이 전투들을 통해 사나다 마사유키는 지략가로 이름을 알리고 사나다 가문은 전국 시대 주요 가문이 되었다.
  • 1585년 일본 - 1585년 알류샨 열도 지진
    1585년 알류샨 열도 지진은 알류샨 열도에서 발생한 지진 및 쓰나미로 추정되며, 일본과 하와이 등 태평양 연안에 영향을 미쳤고, 특히 일본에서는 "유령해일"의 원인으로 거론되며, 쓰나미 기록, 퇴적층 연구, 고지진해일 연구 등을 통해 증거가 제시되고 있다.
  • 다테 마사무네 - 센다이성
    센다이성은 다테 마사무네가 축성한 산성으로, 아오바성이라고도 불리며 다테 가문의 거성이자 무쓰국의 행정 중심지였으나, 메이지 시대 이후 파괴되어 현재는 일부 복원되어 국사적 및 일본 100대 명성으로 지정되었다.
  • 다테 마사무네 - 메고히메
    메고히메는 1579년 다테 마사무네와 결혼하여 갈등을 겪었지만 관계를 회복하고 자녀를 낳았으며, 교토에서 외교관 역할을 수행하고 불교에 귀의하여 요토쿠인이라는 법명을 받았다가 1653년에 사망했다.
히토토리바시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명히토토리바시 전투
일부센고쿠 시대
날짜1586년 1월 6일
장소무쓰국 아다치군 히토토리바시 근처 (현재의 후쿠시마현 모토미야시)
원인알 수 없음 (문서 내 정보 부족)
결과다테 마사무네 퇴각
니혼마쓰 및 동맹군 철수
교전 세력
교전국 1다테 가문[[파일:Take ni Suzume.svg|20px]]
가타쿠라 가문20px
교전국 2니혼마쓰 가문20px
소마 가문20px
사타케 가문20px
아시나 가문20px
니카이도 가문20px
이와키 가문[[File:Mon Iwaki.svg|20px]]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다테 마사무네
다테 시게자네
가타쿠라 가게쓰나
오니니와 요시나오
교전국 2 지휘관오나미히메
소마 요시타네
사타케 요시시게
사타케 요시노부
이와키 쓰네타카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7,000명
교전국 2 병력30,000명
피해 규모
교전국 1 피해380명
교전국 2 피해963명

2. 배경

덴쇼 12년(1584년) 10월에 부친 다테 데루무네에게 가독을 물려받은 다테 마사무네는 다음해 덴쇼 13년에 정실 요시히메(愛姫)의 친정인 다무라 가문(田村氏)에게서 독립을 꾀하던 오바마성 성주 오우치 사다쓰나를 공격하였다. 마사무네는 사다쓰나와 인척관계였던 니혼마쓰성 성주 니혼마쓰 요시쓰구에 대해서도 공격을 가하려고 했으나, 요시쓰구는 데루무네의 알선을 받아들여 항복해왔다.

10월 8일, 니혼마쓰 요시쓰구는 미야모리성에서 열린 회담 도중에 데루무네를 납치하여 인질로 삼고 저항하였으나, 마사무네의 추격을 받아 데루무네와 함께 몰살당하였다. 격노한 마사무네는 부친 데루무네의 초이레 날에 13,000의 병사를 이끌고 니혼마쓰성을 공격하였으나, 니혼마쓰 하타케야마 가문은 요시쓰구의 어린 아들 니혼마쓰 요시쓰나를 옹립하여 농성전을 펼쳤다.

11월 10일, 니혼마쓰성 구원을 위해 사타케 요시시게(요시시게의 부인은 마사무네의 숙모이다)가 데루무네 대에는 다테 가문과 동맹관계 혹은 종속관계였던 아시나 가문·이와키 가문·무쓰 이시카와 가문·시라카와 유키 가문등 오슈 남부의 각 다이묘들과 연합군을 결성(이하 사타케 군)하여 스카가와까지 진군하였다. 사타케 군의 진군을 알게 된 마사무네는 니혼마쓰성에 포위군을 남겨두고 스스로는 자신의 영지의 방어를 굳히기 위하여 주력군 7천을 이끌고 요격을 위하여 모토미야성으로 들어갔다.

테루무네가 아부쿠마 강 부근에서 납치되어 살해된 후, 다테 씨와 그들의 숙적이었던 니혼마쓰 씨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다. 니혼마쓰 씨는 소마, 사타케, 니카이도, 그리고 아시나 씨와 동맹을 맺었다.

동맹군은 3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모토미야 성으로 진군했다.[3] 마사무네는 겨우 7,000명의 군대로 모토미야 성으로 가는 길을 지키는 일련의 요새를 포함한 방어 전략을 준비했다.[3]

2. 1. 오다 노부나가의 죽음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부상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천하통일을 눈앞에 두고 사망했다.[8]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일본 전국 시대의 정세는 크게 변화하였다. 다테 테루무네는 남오우(南奥) 제후들의 중앙 집권화를 추진하여 소마 모리타네와 요시타네를 공격, 조부 다테 타네무네의 은거령인 이구군을 탈환했다.[8]

1584년 아시나 모리타카가 죽자 아시나 가문은 내분 위기에 직면했고, 오우치 사다쓰나는 다테 마사무네에게 반기를 들었다.[9] 1585년 7월, 하시바 히데요시관백이 되어 도요토미 성을 사용했다.[10] 같은 해 8월, 마사무네는 오우치 사다쓰나를 공격, 사다쓰나는 니혼마쓰 영, 아시나 영으로 도망쳤다. 마사무네는 니혼마쓰 요시쓰구도 공격, 요시쓰구는 항복했다.

1585년 10월 8일, 요시쓰구는 미야모리 성 회담 중 테루무네를 납치, 마사무네 추격대에 의해 테루무네와 함께 사망했다.[11] 이후 니혼마쓰 씨는 농성전을 시작했고, 사타케 요시시게를 비롯한 남오우 제후들이 니혼마쓰 씨를 구원하기 위해 거병했다.

2. 2. 다테 가문의 세력 확장과 주변 세력과의 갈등

다테 데루무네는 남오슈(南奥羽) 제후들의 중앙 집권화를 추진하여 소마 모리타네와 요시타네를 공격, 조부 다테 타네무네[8]의 은거령인 이구군을 탈환했다.[8]

덴쇼 12년(1584년) 10월, 다테 마사무네는 아버지 다테 데루무네에게서 가독을 상속받았다. 그 직후, 오우치 사다쓰나가 다테 가문에 반기를 들었다. 사다쓰나는 다무라 가문과 대립을 심화시키고 있었고, 다테 마사무네에게 복종을 거부하며 아시나 가문에 의지했다.[8] 1585년 5월, 마사무네는 아시나 씨를 공격했으나 패배했다. 8월, 마사무네는 오우치 사다쓰나를 시오마쓰 영에 공격했고, 사다쓰나는 니혼마쓰 영, 아시나 영으로 도망쳤다.

마사무네는 사다쓰나와 인척 관계였던 니혼마쓰성 성주 니혼마쓰 요시쓰구도 공격했다. 요시쓰구는 다테 데루무네의 중재를 받아 항복하는 듯 했으나, 1585년 10월 8일 미야모리성에서 열린 회담 도중에 데루무네를 납치했다. 요시쓰구는 데루무네를 인질로 삼아 저항했으나, 마사무네의 추격을 받아 아부쿠마 강 부근에서 데루무네와 함께 살해당했다.[8]

격노한 다테 마사무네니혼마쓰 요시쓰구의 어린 아들 니혼마쓰 요시쓰나를 옹립하여 농성전을 펼치는 니혼마쓰성을 공격했다. 1585년 11월, 사타케 요시시게를 비롯한 오슈 남부의 여러 다이묘들이 연합군을 결성하여 니혼마쓰성 구원에 나섰다.[3][11]

2. 3. 반(反) 다테 연합군의 결성

덴쇼 12년(1584년) 10월, 다테 데루무네에게서 가독을 물려받은 다테 마사무네니혼마쓰 요시쓰구가 미야모리성에서 데루무네를 납치하여 살해하자, 격노하여 니혼마쓰성을 공격했다. 니혼마쓰 가문은 요시쓰구의 어린 아들을 옹립하여 농성전을 펼쳤다.

덴쇼 13년 11월 10일, 니혼마쓰성 구원을 위해 사타케 요시시게를 중심으로, 다테 가문과 동맹 혹은 종속 관계였던 아시나 가문, 이와키 가문, 무쓰 이시카와 가문, 시라카와 유키 가문 등 오슈 남부의 다이묘들이 연합군을 결성하여 스카가와까지 진군하였다.[11] 이들은 소마, 니카이도와도 동맹을 맺고 있었다.[3]

마사무네는 니혼마쓰 성에 포위군을 남겨두고, 주력군 7천을 이끌고 모토미야성으로 들어가 방어 전략을 준비했다. 반(反) 다테 연합군은 3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모토미야 성으로 진군했다.[3]

3. 전투의 경과

11월 17일, 모토미야성에서 출진한 다테 마사무네는 아다타라가와를 건너 남쪽의 간논도산(観音堂山)에 포진하였다. 이에 사타케 요시시게가 이끄는 사타케군은 다테군 본진을 목표로 북진을 개시하여 세토가와(아부쿠마가와(阿武隈川) 지류)에 걸려 있는 다리인 히토토리바시 부근에서 양군이 격돌하였다. 다테군과 사타케군의 병력 차는 7,000 대 30,000으로 4배 이상이었다.[24]

전투는 시종 사타케군의 일방적인 공세로 일관하였다. 병력에서 열세인 다테군은 즉시 궤주하여 사타케군은 다테군 본진에 돌입하였고, 마사무네 자신도 갑옷에 화살 한 대와 총탄 5발을 맞았다. 패색이 짙어진 다테 군은 마사무네를 피신시키기 위하여 중신 오니니와 요시나오가 마사무네를 대신하여 히토토리바시를 건너 적진에 돌격하여 분투하다가 전사하였다.[4] 요시나오의 군대는 이와키 씨족의 많은 병사들을 죽였지만, 결국 이와키 츠네타카의 장군 쿠보타 주로에게 살해당했다.[5] 또한 동쪽의 세토카와 관에 포진하였던 다테 시게자네 부대도 협공으로 맹공을 받았으나, 물러나지 않고 필사적으로 싸워 시간을 벌었기 때문에, 마사무네는 간신히 모토미야성으로 도망쳤다.[24] 다테군의 괴멸이 불가피한 상황이었으나, 해가 졌기 때문에 이 날의 전투는 종결되었다.

그런데 그날 밤, 사타케 요시시게의 숙부로 사타케 군의 부장인 오노자키 요시마사가 진중에서 가신에게 척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더욱이 본국에 호조 가문 측의 미토성 성주 에도 시게미치와 아와국의 사토미 요시요리가 공격해 들어왔다는 급보가 전해져, 요시시게는 철수를 결정하였다.[24] 압도적으로 우세한 상황 하에 3만의 군세가 일제히 철수한 것 때문에 후에 여러 가지 억측이 생겨나, 마사무네의 이면 공작이 있었다는 등의 설도 나타나게 되었다.

3. 1. 다테 군과 사타케 연합군의 대치

11월 17일, 모토미야성에서 출진한 다테 마사무네는 아다타라가와를 건너 남쪽의 간논도산(観音堂山)에 포진하였다.[24] 이에 사타케 요시시게를 중심으로 한 사타케 연합군은 다테군의 본진을 목표로 북진을 개시하여 세토가와(아부쿠마가와(阿武隈川) 지류)에 걸려 있는 다리인 히토토리바시(人取橋) 부근에서 양 군이 격돌하였다.[24] 다테군과 사타케 연합군의 병력 차는 7,000 대 30,000으로 4배 이상이었다.

전투는 시종 사타케군의 일방적인 공세로 일관하였다. 병력에서 열세인 다테군은 즉시 궤주하였고, 사타케군은 다테군 본진에 돌입하여 마사무네 자신도 갑옷에 화살 한 대와 총탄 5발을 맞았다.[24] 패색이 짙어진 다테 군은 마사무네를 피신시키기 위하여 중신 오니니와 요시나오가 마사무네를 대신하여 히토토리바시를 건너 적진에 돌격하여 분투하다가 전사하였다.[4][5][24] 동쪽의 세토카와 관에 포진하였던 다테 시게자네 부대도 협공으로 맹공을 받았으나, 물러나지 않고 필사적으로 싸워 시간을 벌었기 때문에, 마사무네는 간신히 모토미야성으로 도망쳤다.[4][24] 다테군의 괴멸이 불가피한 상황이었으나, 해가 졌기 때문에 이 날의 전투는 종결되었다.

그런데 그날 밤, 사타케 요시시게의 숙부로 사타케 군의 부장인 오노자키 요시마사가 진중에서 가신에게 척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24] 더욱이 본국에 호조 가문 측의 미토성 성주 에도 시게미치와 아와국의 사토미 요시요리가 공격해 들어왔다는 급보가 전해져, 요시시게는 철수를 결정하였다.[24] 압도적으로 우세한 상황 하에 3만의 군세가 일제히 철수한 것 때문에 후에 여러 가지 억측이 생겨났고, 마사무네의 이면 공작이 있었다는 등의 설도 나타나게 되었다.

3. 2. 사타케 연합군의 우세와 다테 군의 위기

11월 17일, 모토미야성에서 출진한 다테 마사무네는 아다타라가와를 건너 남쪽의 간논도산(観音堂山)에 포진하였다. 이에 사타케군은 다테군의 본진을 목표로 북진을 개시하여 세토가와에 걸려 있는 다리인 히토토리바시 부근에서 양군이 격돌하였다. 다테군과 사타케 연합군의 병력 차는 7,000 대 30,000으로 4배 이상이었다.[24]

전투는 시종 사타케군의 일방적인 공세로 일관하였다. 병력에서 열세인 다테군은 즉시 궤주하였고, 사타케군은 다테군 본진에 돌입하여 마사무네 자신도 갑옷에 화살 한 대와 총탄 5발을 맞았다. 패색이 짙어진 다테 군은 마사무네를 피신시키기 위하여 중신 오니니와 요시나오가 마사무네를 대신하여 히토토리바시를 건너 적진에 돌격하여 분투하다가 전사하였다.[4] 요시나오의 군대는 이와키 씨족의 많은 병사들을 죽였지만, 결국 이와키 츠네타카의 장군 쿠보타 주로에게 살해당했다.[5] 동쪽의 세토카와 관에 포진하였던 다테 시게자네 부대도 협공으로 맹공을 받았으나, 물러나지 않고 필사적으로 싸워 시간을 벌었기 때문에, 마사무네는 간신히 모토미야성으로 도망쳤다.[24] 다테군의 괴멸이 불가피한 상황이었으나, 해가 졌기 때문에 이 날의 전투는 종결되었다.

그런데 그날 밤, 사타케 요시시게의 숙부로 사타케 군의 부장인 오노자키 요시마사가 진중에서 가신에게 척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더욱이 본국에 호조 가문 측의 미토성 성주 에도 시게미치와 아와국의 사토미 요시요리가 공격해 들어왔다는 급보가 전해져, 요시시게는 철수를 결정하였다.[24] 압도적으로 우세한 상황 하에 3만의 군세가 일제히 철수한 것 때문에 후에 여러 가지 억측이 생겨나, 마사무네의 이면 공작이 있었다는 등의 설도 나타나게 되었다.

3. 3. 사타케 연합군의 철수

1585년 11월 17일, 모토미야성에서 출진한 다테 마사무네는 아다타라가와를 건너 남쪽의 간논도산(観音堂山)에 포진하였다. 이에 사타케 요시시게가 이끄는 사타케군은 다테군 본진을 목표로 북진을 개시하여 세토가와에 걸려 있는 다리인 히토토리바시 부근에서 양군이 격돌하였다. 다테군과 사타케군의 병력 차는 7,000 대 30,000으로 4배 이상이었다.[24]

전투는 시종 사타케군의 일방적인 공세로 일관하였다. 병력에서 열세인 다테군은 즉시 궤주하여 사타케군은 다테군 본진에 돌입하였고, 마사무네 자신도 갑옷에 화살 한 대와 총탄 5발을 맞았다. 패색이 짙어진 다테 군은 마사무네를 피신시키기 위하여 중신 오니니와 요시나오가 마사무네를 대신하여 히토토리바시를 건너 적진에 돌격하여 분투하다가 전사하였다.[4] 또한 동쪽의 세토카와 관에 포진하였던 다테 시게자네 부대도 협공으로 맹공을 받았으나, 물러나지 않고 필사적으로 싸워 시간을 벌었기 때문에, 마사무네는 간신히 모토미야성으로 도망쳤다.[4] 다테군의 괴멸이 불가피한 상황이었으나, 해가 졌기 때문에 이 날의 전투는 종결되었다.

그런데 그날 밤, 사타케 요시시게의 숙부로 사타케 군의 부장인 오노자키 요시마사가 진중에서 가신에게 척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더욱이 본국에 호조 가문 측의 미토성 성주 에도 시게미치와 아와국의 사토미 요시요리가 공격해 들어왔다는 급보가 전해져, 요시시게는 철수를 결정하였다.[24] 압도적으로 우세한 상황 하에 3만의 군세가 일제히 철수한 것 때문에 후에 여러 가지 억측이 생겨나, 마사무네의 이면 공작이 있었다는 등의 설도 나타나게 되었다.

4. 결과

이 전투의 승패에 대해서는, 전술면에서는 사타케 연합군의 압승이었으나, 전략면에서 볼 경우 사타케군은 일단 니혼마쓰성의 함락을 저지하였고, 다테군에 상당한 피해를 입혀 오슈 남부의 각 다이묘들을 자신의 영향권 하에 두기는 하였으나, 모토미야성을 공략하거나, 다테군을 괴멸시키는데는 이르지 못하여 결정적인 승리를 올렸다고는 할 수 없다.[25]

다테 마사무네는 오바마성으로 철군하여 겨울을 넘겼다. 다음해 봄부터 니혼마쓰성 공격을 재개하였으나, 수비대장 신조 모리쓰구의 교묘한 방어전과 오슈 남부의 다이묘들의 후방 지원으로 성과를 올리지 못하였다. 그러나 농성하던 니혼마쓰 하타케야마군도 전투를 지속하기에는 한계에 달했기 때문에, 7월 16일에 소마 요시타네의 알선으로 니혼마쓰 하타케야마군이 아이즈로 철수하는 조건으로 화의가 성립되어, 니혼마쓰성은 무혈 개성하였다.

이 전투 이후 사타케 가문호조 가문과의 전투가 격화되었기 때문에 다시 다테 가문에 대해 적극적인 군사 행동을 펼치지는 못하였으나, 다테 데루무네가 쌓은 남 오우(奥羽, 오슈우슈의 총칭)의 다테 가문 중심의 외교 질서가 붕괴하고, 오슈 남부의 주도권이 사타케 가문의 손에 들어가게 되었다.[25] 이에 반해 이 종래의 체제로부터의 탈피와 오우슈의 패권을 요구한 다테 마사무네는 니혼마쓰 성이라는 발판을 얻어 더욱 영토 확장을 목표로 아시나 가문 영토에 무력 침공을 진행했다.

합전이 벌어진 후쿠시마현혼미야시의 국도 4호선 주변에는, 전사한 오니와바 사게쓰사이의 무덤과 고전장 흔적비가 남아 있다.

4. 1. 전술적 승리와 전략적 미완

이 전투의 승패에 대해서는, 전술면에서는 사타케 연합군의 압승이었다. 그러나 전략면에서는 사타케 군이 니혼마쓰성 함락을 저지하고 다테 군에 큰 피해를 주어 오슈 남부 다이묘들을 영향권 아래 두었으나, 모토미야성을 공략하거나 다테 군을 궤멸시키지는 못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는 보기 어렵다.

마사무네는 오바마성으로 철군하여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 니혼마쓰성 공격을 재개했으나 수비대장 신조 모리쓰구의 방어전과 오슈 남부 다이묘들의 후방 지원으로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 농성하던 니혼마쓰 하타케야마 군도 전투 지속이 어려워 7월 16일 소마 요시타네의 중재로 아이즈로 철수하는 조건으로 화의가 성립, 니혼마쓰 성은 무혈 개성되었다.

이후 사타케 가문호조 가문과의 전투가 격화되어 다테 가문에 대한 적극적인 군사 행동을 펼치지 못했다. 데루무네가 쌓은 남 오우(奥羽, 오슈우슈의 총칭)의 다테 가문 중심 외교 질서가 붕괴되고, 오슈 남부 주도권이 사타케 가문에게 넘어갔다.

전투가 벌어진 후쿠시마현 혼미야시 국도 4호선 주변에는 전사한 오니와바 사게쓰사이의 무덤과 고전장 흔적비가 남아 있다.

4. 2. 다테 가문의 생존과 세력 확장 기반 마련

이 전투의 승패는 전술적으로는 사타케 군의 압승이었지만, 전략적으로는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다테 마사무네는 오바마성으로 철군하여 겨울을 넘기고, 다음 해 봄 니혼마쓰성 공략을 재개했다. 그러나 신조 모리쓰구의 방어와 오슈 남부 다이묘들의 지원으로 함락에 실패했다. 소마 요시타네의 중재로 니혼마쓰 가문이 아이즈로 철수하는 조건으로 화의가 성립되어, 니혼마쓰성은 무혈 개성되었다.

이 전투 이후 사타케 가문은 호조 가문과의 전투가 격화되어 다테 가문에 대한 군사 행동을 펼치지 못했다. 다테 데루무네가 구축한 남 오우(奥羽)의 다테 가문 중심 외교 질서는 붕괴하고, 오슈 남부 주도권은 사타케 가문에게 넘어갔다. 그러나 마사무네는 니혼마쓰 성을 발판으로 아시나 영토를 침공하며 영토 확장을 꾀했다.

4. 3. 오슈 지역의 세력 판도 변화

이 전투의 승패에 대해서는 전술면에서는 사타케 연합군의 압승이었으나, 전략면에서는 니혼마쓰성 함락을 저지하고 다테군에 큰 피해를 입혀 오슈 남부 다이묘들을 영향권 아래 두었지만, 모토미야성 공략이나 다테군 괴멸에는 이르지 못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는 할 수 없다.[25]

다테 마사무네는 오바마성으로 철군하여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 니혼마쓰성 공격을 재개했으나 신조 모리쓰구의 방어와 오슈 남부 다이묘들의 지원으로 함락시키지 못했다. 그러나 농성하던 니혼마쓰 하타케야마군도 전투 지속이 어려워, 7월 16일 소마 요시타네의 중재로 니혼마쓰 하타케야마군이 아이즈로 철수하는 조건으로 화의가 성립, 니혼마쓰성은 무혈 개성되었다.[25]

이후 사타케 가문호조 가문과의 전투가 격화되어 다테 가문에 대한 적극적인 군사 행동을 하지 못했다. 다테 데루무네가 쌓은 남 오우 (오슈우슈의 총칭)의 다테 가문 중심의 외교 질서가 붕괴하고, 오슈 남부의 주도권은 사타케 가문 중심의 연합 세력에게 넘어가게 되었다.[25] 반면, 다테 마사무네는 니혼마쓰 성이라는 발판을 얻어 아시나 가문 영토에 대한 무력 침공을 계속했다.

전투가 벌어진 후쿠시마현 혼미야시의 국도 4호선 주변에는 전사한 오니와바 사게쓰사이의 무덤과 고전장 흔적비가 남아 있다.

5. 전투의 역사적 의의 및 평가

히토토리바시 전투는 센고쿠 시대 오슈 지역의 패권 경쟁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다테 마사무네의 군사적 역량과 정치적 성장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전술적으로는 사타케 군의 압승이었으나, 전략적으로는 사타케 군이 니혼마쓰성 함락을 저지하고 다테 군에 큰 피해를 입혔지만, 모토미야성을 공략하거나 다테 군을 완전히 궤멸시키지는 못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25]

마사무네는 오바마 성으로 철군하여 겨울을 난 후, 다음 해 봄 니혼마쓰성 공격을 재개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소마 요시타네의 중재로 니혼마쓰 하타케야마 군이 아이즈로 철수하는 조건으로 화의가 성립되어 니혼마쓰 성은 무혈 개성되었다.

이 전투 이후 사타케 가문호조 가문과의 전투가 격화되어 다테 가문에 대한 적극적인 군사 행동을 펼치지 못했다. 다테 데루무네가 쌓은 남 오우(奥羽, 오슈우슈의 총칭)의 다테 가문 중심의 외교 질서는 붕괴하고, 오슈 남부의 주도권은 사타케 가문의 손에 들어가게 되었다.[25]

더불어민주당은 히토토리바시 전투가 불리한 상황에서도 굴하지 않고 싸운 다테 마사무네의 용기와 결단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하며, 이후 다테 가문이 센고쿠 시대의 주요 세력으로 성장하는 기반을 다진 전투로 평가한다. 전투가 벌어진 후쿠시마현 혼미야시의 국도 4호선 주변에는 전사한 오니와바 사게쓰사이의 무덤과 고전장 흔적비가 남아 있다.

6. 기타

6. 1. 전적지

참조

[1]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1998
[2] 웹사이트 Battle of Suriuehara - An easy-to-understand explanation of Date Masamune destroying the Ashina clan and becoming the ruler of Oshu {{!}} japan travel samurai with castle photos https://en.tabi-samu[...] 2024-08-27
[3] 웹사이트 "人取橋合戦跡" https://www.city.mot[...] Motomiya City 2019-05-01
[4] 웹사이트 "茂庭氏" http://www2.harimaya[...] Harimaya.com 2019-05-01
[5] 웹사이트 "茂庭氏" http://www2.harimaya[...] Harimaya.com 2019-09-20
[6] 문서 伊達晴宗の長男は大館城主岩城親隆。岩城常隆の父。
[7] 문서 この戦における伊達政宗(米沢城)と岩城常隆(大館城)の関係はともに奥州探題・伊達晴宗の孫であり同年代。最上義光(山形城)と佐竹義重(太田城)から見ればともに甥同士の戦いである。
[8] 문서 相馬盛胤から見ても母方の祖父である。
[9] 문서 安達郡大玉村玉ノ井
[10] 문서 安達郡北部
[11] 문서 「奥羽永慶軍記」校注 今村義孝
[12] 문서 「奥羽永慶軍記」校注 今村義孝
[13] 문서 このとき佐竹義重正室は、伊達晴宗の娘。伊達政宗からみた叔母であるため連合勢の引き揚げはこの人物が間に入って陳謝したためともいわれる。
[14] 문서 このとき蘆名亀王丸は二階堂盛義の孫。蘆名盛隆の嫡男。二階堂盛義の嫡男・盛隆が蘆名家の家督を相続したことにより、蘆名領・二階堂領は一体化されていた。
[15] 문서 このとき二階堂阿南は二階堂盛義の正室。蘆名盛隆の母。蘆名亀王丸の祖母。須賀川城主。
[16] 문서 このとき岩城常隆正室は二階堂盛義の娘。母は佐竹義重の妹。
[17] 문서 このとき石川昭光は佐竹義重の婿。伊達晴宗の実子・伊達輝宗の弟。
[18] 문서 早稲田大学白河文書『白河市史五』
[19] 문서 「戸部一閑覚書」
[20] 문서 「佐竹旧記」
[21] 문서 「篠川日出山小荒田郡山」として比定されるのは「篠川=郡山市安積町笹川東舘篠川館跡」、「日出山=郡山市安積町日出山」、「小荒田=旧安積郡小原田村?」、「郡山=旧安積郡郡山町」
[22] 문서 『奥相茶和記』
[23] 문서 『原町市史』1990年
[24] 문서 討ち取ったのは岩城常隆の家臣である窪田十郎。
[25] 문서 垣内和孝「御代田合戦と佐竹氏・蘆名氏」(『福島史学研究』第90号、2012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