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585년 알류샨 열도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585년 알류샨 열도 지진은 1585년에 발생한 지진으로, 하와이와 일본 등지에 쓰나미를 발생시켰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쓰나미 전설이 전해지며, 하와이에서는 쓰나미 퇴적물이 발견되었다. 지진의 원인은 알류샨 섭입대에서 일어난 초거대 지진으로 추정되며, 미래에도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여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585년 알류샨 열도 지진
기본 정보
현지 일시1585년 6월 11일
위치알류샨 섭입대
영향 국가하와이
알래스카주
산리쿠, 일본
알류샨 열도
지진의 진앙지는 알류샨 열도 동부로 추정됨.
지진 정보
규모9.25 Mw
종류해구형 지진
쓰나미발생
피해 정보
사상자하와이 원주민 다수 사망

2. 배경

1586년 일본 미야기현 모토요시군 도쿠라촌(현 미나미산리쿠초) 부근에서 최대 2m 높이의 해일이 덮쳤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왔다.[19] 당시 역사 기록은 불완전하고 모호하여 이 해일의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었으며, "고아 해일" 또는 "유령 해일"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1]

2. 1. 쓰나미 기록 분석

일본 지진학자 사타케 겐지는 1586년 산리쿠 해안을 강타한 쓰나미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없다는 점을 들어 1586년의 쓰나미 전설은 잘못 전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20]

1960년 발디비아 지진 이후, 도호쿠 대학 연구진은 1586년 쓰나미 전설과 같은 해 페루에서 발생한 1586년 리마-카야오 지진을 비교 연구했다. 그러나 2006년 연구에서 페루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는 일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론이 나왔다.[23][24][25]

1933년 쇼와 산리쿠 지진 이후 편찬된 쓰나미 목록에는 1585년 6월 11일 쓰나미 발생 기록이 언급되었으나, 이는 1586년 덴쇼 지진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덴쇼 지진 날짜 오류로 인해 페루 지진과 잘못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5]

2. 2. 하와이 구전 기록

하와이 제도에는 원거리에서 발생한 쓰나미와 현지에서 발생한 메가쓰나미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홀로세 시기 쓰나미가 하와이 섬들을 반복적으로 강타하여 침수 흔적을 남겼다.[29][11] 1500년에서 1600년 사이에 만들어진 성가에는 몰로카이섬 서해안에 쓰나미가 닥친 사건이 묘사되어 있으며, 이는 하와이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쓰나미 기록으로 여겨진다.[26][8]

3. 쓰나미 증거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 초에 걸쳐 하와이 제도, 알류샨 열도, 북미 서해안 등지에서 1586년 쓰나미의 증거가 발견되었다.

일본 센다이시 인근에서 발견된 쓰나미 퇴적물은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워, 산리쿠 "유령 쓰나미"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0][31] 도쿠라촌의 기념비에는 쓰나미가 약 1m~2m 높이로 일본 동북부 해안을 강타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30]

오리건주, 워싱턴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등 북아메리카 서해안의 9개 지역에서는 1700년 이전에 캐스케이디아 섭입대 근처에서 쓰나미가 발생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연대 측정 결과, 알류샨 열도 지역이 쓰나미의 발원지로 더 유력하게 추정된다.[32]

1604년 아리카 지진, 1587년 과이야밤바 지진, 1575년 발디비아 지진 등 1585-1586년과 가까운 시기에 발생한 남아메리카 해안 지진이 있지만, 이 지진들로 인해 일본에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기록은 없다.[30]

애머크낵섬 인근 서던카섬의 고지진해일 연구에서는 1957년 이전에 발생한 5건의 거대 쓰나미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그중 하나는 1530년에서 1665년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33][34]

서던카섬 (우주에서)

3. 1. 하와이

마카우와히 동굴에서는 쓰나미와 유사한 대규모 해일 사건의 증거가 발견되었다.


2002년 카우아이섬 북서쪽 해안을 조사한 결과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이후 발견된 쓰나미 퇴적물과 유사한 모래층에서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27]

2001년 초 카우아이섬 남쪽 해안에 있는 마카후와이 동굴의 마카후와이 싱크홀에서 연구자들이 0.8~1 m 깊이의 퇴적층을 발견했다. 싱크홀 폭은 30~35 m, 벽 높이는 6~25 m였다. 돌과 조각난 풍성암으로 구성된 퇴적물은 먼 곳에서 온 외지성(Allochthonous) 물질로, 하와이 제도에서 대규모 쓰나미와 같은 사건으로 밀려들어왔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 바위, 자갈, 돌조각, 모래는 매우 심하게 부서졌고 각진 것으로 보아 한 차례의 격렬한 사건 중 형성되었다고 추정된다.[28] 퇴적물 연대 측정 결과는 서기 1430년에서 1665년 사이였다.

2014년 하와이 대학교 마노아, 국립 열대 식물원, 태평양 지진해일 경보 센터가 합동으로 버틀러 교수를 연구팀장으로 한 연구팀이 조사한 결과 다른 싱크홀에서 0.8 m 두께의 동일한 퇴적물을 발견했다. 싱크홀 바닥은 평균 해수면보다 7.2 m 높았고 싱크홀은 해안에서 약 100 m 떨어져 있었다. 퇴적물 양은 약 600 m3로 추정된다.[29]

퇴적물 발견 위치로 미루어 보아 쓰나미는 매우 큰 규모로 추정된다. 싱크홀에 퇴적된 지층은 태평양에서 발생했던 가장 큰 규모의 지진보다 훨씬 더 큰 규모의 쓰나미로 발생했다고 추정된다. 현대에 발생했던 가장 큰 쓰나미는 1960년 발디비아 지진으로 하와이에 닥쳤던 쓰나미 높이가 약 3 m였다. 이전까지 알려진 어떤 쓰나미도 해안에서 약 100 m 떨어진 해발 7.2 m의 마카후와이 싱크홀에 도달해 침수시키지 못했다.[29]

2017년 싱크홀 현장을 다시 방문해 퇴적물의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 결과 서기 1425년에서 1660년 사이에 쓰나미 침수가 발생했다고 밝혀졌다.[30] 쓰나미 도달 높이와 함께 추정하면 이 쓰나미는 1586년 발생했다고 기록된 일본 산리쿠 쓰나미와 연관이 있다는 가설이 나왔다.

3. 2. 기타 지역

일본 센다이시 인근에서 발견된 쓰나미 퇴적물은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워, 산리쿠 "유령 쓰나미"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0][31] 도쿠라촌의 기념비에는 쓰나미가 약 1~2 m 높이로 일본 동북부 해안을 강타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30]

오리건주, 워싱턴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등 북아메리카 서해안의 9개 지역에서는 1700년 이전에 캐스케이디아 섭입대 근처에서 쓰나미가 발생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연대 측정 결과, 알류샨 열도 지역이 쓰나미의 발원지로 더 유력하게 추정된다.[32]

1585-1586년과 가까운 시기에 발생한 남아메리카 해안 지진으로는 1604년 아리카 지진, 1587년 과이야밤바 지진, 1575년 발디비아 지진이 있지만, 이 지진들로 인해 일본에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기록은 없다.[30]

애머크낵섬 인근 서던카섬의 고지진해일 연구에서는 1957년 이전에 발생한 5건의 거대 쓰나미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그중 하나는 1530년에서 1665년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33][34]

4. 지진

알류샨 열도태평양판북아메리카판이 만나는 수렴 경계에 있으며, 알류샨 해구에서 두 판이 만난다. 태평양판은 약 4,000 km 길이의 알류샨 섭입대를 따라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한다. 이 섭입대는 때때로 큰 쓰나미를 일으키는 초거대 해구형 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대형 충상단층이다.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Mw8.6)과 1964년 알래스카 지진(Mw9.2)은 알류샨 섭입대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지진으로, 두 지진 모두 거대한 쓰나미를 일으켰다.[35][36]

2014년 버틀러 연구팀은 알류샨 열도 동부에서 발생한 규모 Mw9.25의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를 시뮬레이션했다. 시뮬레이션에서 단층 파열 면적은 남북 100 km, 동서 600 km였으며, 충상단층의 최대 미끄러짐 폭은 35 m였다.[29] 시뮬레이션 결과, 이 지진은 마카우와히 싱크홀을 침수시킬 수 있는 쓰나미를 발생시켰다. 태평양 북서부에 닥친 쓰나미는 최대 9 m, 평균 높이는 3.5 m였다.[30] 충상단층의 방향이 하와이 제도를 향해 쓰나미 에너지 대부분이 하와이 방향으로 쏠렸다. 이 모델의 연구 결과는 다른 원거리 지진해일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지만, 그 경우에는 역사적으로 발생했던 다른 큰 지진에서 볼 수 있는 단층 이동을 뛰어 넘는 매우 큰 지진이어야 한다고 결론내렸다.[29]

5. 미래의 위협

1585년 지진 이후 최소 24m에서 최대 40m의 변위가 축적되었으며,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만약 이 지역에서 지진해일이 발생한다면, 하와이 제도까지 도달하는 데 4.5시간이 소요될 것이다.[12][30]

참조

[1] 논문 Tsunami Event Information https://www.ngdc.no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World Data Service: NCEI/WDS Global Historical Tsunami Database.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21-07-08
[2] 논문 Catalog of Distant Tsunamis Reaching Japan from Chile and Peru 2013
[3] 논문 Estimation of Tsunami Risk for the Coasts of Peru and Northern Chile 2005
[4] 논문 Assessment of the size of large and great historical earthquakes in Peru https://pubs.geoscie[...] 2021-07-08
[5] 논문 PRELIMINARY CATALOG OF TSUNAMIS OCCURRING IN THE PACIFIC OCEAN http://www.soest.haw[...] University of Hawaii 1967
[6] 논문 Tsunami on Sanriku Coast in 1586: Orphan or Ghost Tsunami ? https://ui.adsabs.ha[...]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21-07-08
[7] 논문 History and features of trans-oceanic tsunamis and implications for paleo-tsunami studies https://www.scienced[...] 2021-07-08
[8] 서적 United States Tsunamis: (including United States Possessions) : 1690-1988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 Data, and Information Service,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1989
[9] 논문 Late Quaternary Chronology and Stratigraphy of Twelve Sites on Kaua'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0] 논문 Fossil evidence for a diverse biota from Kaua'i and its transformation since human arrival https://esajournals.[...] 2021-07-09
[11] 논문 Paleotsunami evidence on Kaua'i and numerical modeling of a great Aleutian tsunami 2014
[12] 논문 The orphan Sanriku tsunami of 1586: new evidence from coral dating on Kaua'i 2017
[13] 논문 Marine incursions of the past 1500 years and evidence of tsunamis at Suijin-numa, a coastal lake facing the Japan Trench http://wpg.forestry.[...] 2021-07-09
[14] 논문 Distribution and sedimentary characteristics of tsunami deposits along the Cascadia margin of western North America https://pubs.er.usgs[...] 2021-07-09
[15] 논문 Six large tsunamis in the past ~1700 years at Stardust Bay, Sedanka Island, Alaska https://ui.adsabs.ha[...] 2021-07-09
[16] 논문 Unusually large tsunamis frequent a currently creeping part of the Aleutian megathrust 2016
[17] 웹사이트 M 8.6 – 1946 Aleutian Islands (Unimak Island) Earthquake, Alaska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1-07-09
[18] 웹사이트 M 9.2 – 1964 Prince William Sound Earthquake, Alaska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1-07-09
[19] 논문 Tsunami Event Information https://www.ngdc.no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World Data Service: NCEI/WDS Global Historical Tsunami Database.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21-07-08
[20] 논문 Catalog of Distant Tsunamis Reaching Japan from Chile and Peru 2013
[21] 논문 Estimation of Tsunami Risk for the Coasts of Peru and Northern Chile 2005
[22] 논문 Assessment of the size of large and great historical earthquakes in Peru https://pubs.geoscie[...] 2021-07-08
[23] 논문 PRELIMINARY CATALOG OF TSUNAMIS OCCURRING IN THE PACIFIC OCEAN http://www.soest.haw[...] University of Hawaii 1967
[24] 논문 Tsunami on Sanriku Coast in 1586: Orphan or Ghost Tsunami ? https://ui.adsabs.ha[...]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21-07-08
[25] 논문 History and features of trans-oceanic tsunamis and implications for paleo-tsunami studies https://www.scienced[...] 2021-07-08
[26] 서적 United States Tsunamis: (including United States Possessions) : 1690-1988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 Data, and Information Service,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1989
[27] 논문 Late Quaternary Chronology and Stratigraphy of Twelve Sites On Kaua'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8] 논문 Fossil evidence for a diverse biota from Kaua'i and its transformation since human arrival https://esajournals.[...] 2021-07-09
[29] 논문 Paleotsunami evidence on Kaua'i and numerical modeling of a great Aleutian tsunami 2014
[30] 논문 The orphan Sanriku tsunami of 1586: new evidence from coral dating on Kaua'i 2017
[31] 논문 Marine incursions of the past 1500 years and evidence of tsunamis at Suijin-numa, a coastal lake facing the Japan Trench http://wpg.forestry.[...] 2021-07-09
[32] 논문 Distribution and sedimentary characteristics of tsunami deposits along the Cascadia margin of western North America https://pubs.er.usgs[...] 2021-07-09
[33] 논문 Six large tsunamis in the past ~1700 years at Stardust Bay, Sedanka Island, Alaska https://ui.adsabs.ha[...] 2021-07-09
[34] 논문 Unusually large tsunamis frequent a currently creeping part of the Aleutian megathrust 2016
[35] 웹인용 M 8.6 - 1946 Aleutian Islands (Unimak Island) Earthquake, Alaska https://earthquake.u[...] USGS 2021-07-09
[36] 웹인용 M 9.2 - 1964 Prince William Sound Earthquake, Alaska https://earthquake.u[...] USGS 2021-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