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타케 요시시게 (154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타케 요시시게는 1547년 히타치 국에서 태어난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사타케 가문의 18대 당주였다. 그는 우에스기 겐신과의 동맹을 강화하고 호조 가문과 대립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다테 마사무네와의 대립,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다와라 정벌 참여 등을 거치며 히타치 국을 통일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아들의 모호한 태도로 인해 가문은 데와 국으로 이봉되었다. 요시시게는 '귀신 사타케'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용맹했으며,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판단력으로 사타케 가문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보타번 (데와국) 사람 - 히라타 아쓰타네
    히라타 아쓰타네는 에도 시대 후기의 국학자이자 사상가로, 다양한 사상을 융합하여 독자적인 신학 체계를 구축하고 복고신도를 주창했으며, 그의 사상은 막말 존왕양이 운동과 메이지 유신 이후 신흥 종교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
  • 히타치국 사람 - 마미야 린조
    마미야 린조는 1775년 이바라키현에서 태어나 홋카이도 이북 지역 측량, 사할린 섬 확인, 마미야 해협 발견 등 지도 제작에 기여하고 흑룡강 하구 탐사로 러시아 동향을 파악한 에도 막부의 탐험가이자 관리였다.
  • 히타치국 사람 - 나카토미노 카마타리
    나카토미노 카마타리는 아스카 시대의 정치가이자 후지와라 씨의 시조로서 덴지 천황을 옹립하고 다이카 개신을 주도하여 천황 중심의 국가 체제 확립에 기여했으며 소가 씨 타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 1547년 출생 - 오다 나가마스
    오다 나가마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이자 오다 노부나가의 동생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센노 리큐에게 다도를 배워 유라쿠류를 창시한 다인으로도 유명하며, 그의 호 유라쿠는 도쿄도 유라쿠초 지명의 유래 설이 있다.
  • 1547년 출생 - 마쓰다이라 이에타다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가)
    마쓰다이라 이에타다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가타노하라 마쓰다이라가의 당주였으며, 이마가와 가문에 종속되었다가 오케하자마 전투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함께 독립하여 여러 전투에서 활약하다 1582년에 사망했다.
사타케 요시시게 (154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쿠고 성의 사타케 기념비
로쿠고 성의 사타케 기념비
본명사타케 요시시게 (佐竹 義重)
별명오니 요시시게 (鬼義重)
반도 타로 (坂東太郎)
출생1547년 3월 7일
출생지히타치국
사망1612년 5월 19일
사망지데와국 센보쿠군 로쿠고
묘소츠겐지 (通玄寺)
계명통안 (通庵)
가문 정보
씨족사타케 씨
아버지사타케 요시아키
어머니이와키 시게타카의 딸
배우자다테 하루무네의 딸 (호주인, 宝寿院)
측실호소야 씨
자녀사타케 요시노부
아시나 요시히로
에도 사네미치의 부인 (후에 다카쿠라 나가요시의 부인)
이와키 사다타카
이와키 노리타카
사타케 요시나오
이와키 츠네타카의 부인 (양녀)
관직 및 직위
가독 상속1562년
직위히타치노스케
최종 관위주종 5위하
군사 정보
소속사타케 씨
도요토미 씨
동군
지휘오타 성
주요 참전누마지리 전투 (1567년)
히토토리바시 전투 (1586년)
스리아게하라 전투 (1589년)
오다와라 정벌 (1590년)
구노헤 마사자네의 난 (1591년)
세키가하라 전투 (1600년)
기타 정보
존칭고케 (御家)
약명지로 (次郎)
로마자 표기
로마자 표기Satake Yoshishige

2. 생애

덴분 16년(1547년) 히타치국의 센고쿠 다이묘이자 사타케 가문 17대 당주 사타케 요시아키의 아들로 태어났다. 에이로쿠 5년(1562년) 아버지 요시아키가 은거하면서 가독을 이어받아 제18대 당주가 되었으나, 실권은 아버지 요시아키가 가지고 있었다(이설 있음). 에이로쿠 8년(1565년) 아버지의 죽음으로 사타케 가문의 히타치 통일은 멀어지고 반대 세력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아버지 요시아키 시대부터 우에스기 겐신과 연계해 온 것을 더욱 강화하여, 에이로쿠 7년(1564년) 겐신과 함께 오다 성 전투에서 히타치 오다 성주 오다 우지하루를 패주시켰다. 에이로쿠 9년(1566년) 오다 우지하루를 공격하여 영지 대부분을 탈취하고, 시모츠케국 나스 군의 무케 씨를 종속시켰다. 에이로쿠 10년(1567년) 시라카와 요시치카를 공격하여 대승했으며, 에이로쿠 12년(1569년) 테와자카 전투에서 오다 우지하루에게 대승하여 오다 성을 탈취했다.

겐키 3년(1572년) 시라카와 유키 씨를 배하에 두고, 인척 관계를 이용하여 이와키 씨도 사실상 산하에 두었다(요시시게는 이와키 시게타카의 외손이며, '시게'는 시게타카의 편휘이며 양자이기도 한 것으로 보인다). 나스 씨와도 강화 조약을 맺었다. 덴쇼 2년(1573년) 호조 측으로 돌아선 오다 우지하루와 다시 싸워 영지 대부분을 병합했고, 덴쇼 3년(1575년) 시라카와 성을 탈취했다.

그러나 급속한 세력 확대는 주변 다이묘들에게 위기감을 안겨, 호조 우지마사아시나 모리우지 등에게 이면 작전을 강요받아 궁지에 몰렸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유키 씨, 우쓰노미야 씨와 혼인 관계를 맺어 우지마사와 대항하고, 기나이하시바 히데요시와 친밀해지는 등 동맹을 중시하여 아군을 늘렸다.

1580년대 중반, 무쓰의 신흥 강자 다테 마사무네에 대항하기 시작했다. 아시나, 소마(이전의 사타케의 경쟁자)와 동맹을 맺고 다테와의 전쟁에 참전했으며, 히토토리바시 전투(1586)와 스리아게하라 전투(1589)에서 싸웠다.[3]

1585년 다테 씨와 대립하던 니혼마츠 씨 구원을 명분으로 아시나 씨와 연합군을 결성하여 오슈로 출진, 히토토리바시(人取橋)에서 회전(히토토리바시 전투)을 벌였다. 병력에서 우위에 있었지만, 막바지에 히타치 국에서 에도 씨 등이 불온한 움직임을 보이자 철수했고, 연합군도 철수했다.

1589년 아시나 요시히로는 스리아게하라 전투에서 다테 씨에게 대패했고, 시라카와 유키 씨, 이시카와 씨 등 무쓰 남부 다이묘들이 다테 씨에게 투항했다. 이로써 사타케 씨는 남쪽의 호조 우지나오, 북쪽의 다테 마사무네라는 양대 세력에 포위되어 멸망 위기에 놓였다.

1590년(덴쇼 1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오다와라 정벌이 시작되자, 요시노부와 함께 오다와라에 참진하여 이시다 미쓰나리오시성 공격에 참여했다.[1] 오슈 시오키에도 종군하여, 히데요시로부터 히타치국 54만 석 지배권을 인정받았다.

히데요시 후원으로 에도 시게미치를 미토성에서 몰아내고, 1591년(덴쇼 19년) 2월 난포 33관으로 불리는 카시마씨 등 다이죠씨 일족과 히타치 타케다씨 타케다 노부후사 등 구니히토 영주를 오타성에 초청하여 살해하고, 누카타성 오노자키 아키미치를 공격한 후, 히데요시로부터 퇴성 권고를 받아 히타치 국내를 통일했다.[1]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아들 요시노부는 이시다 미쓰나리 서군에 가담하려 했으나, 요시시게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동군에 가담할 것을 주장하여 부자간 대립이 있었다.[4] 1602년 5월 요시노부가 중립적 태도를 보인 탓에 데와국구보타 20만 석(실제 40만 석)으로 감봉되었으나,[4] 이에야스·히데타다 부자에게 탄원하여 개역은 면했다.

구보타 이전 후, 요시노부와 별도로 로쿠고성(센보쿠군미사토정)에 거주하며 로쿠고정을 조성하고 영지 남부(센보쿠·헤이카·오가치)를 감시했다.[4] 1612년 4월 19일, 사냥 중 낙마하여 사망했다.[4] 향년 66세.

thumb

2. 1. 가독 상속 및 세력 확장

덴분 16년 (1547년), 히타치 국의 센고쿠 다이묘이자 사타케 가문 17대 당주 사타케 요시아키의 아들로 태어났다.

에이로쿠 5년 (1562년), 아버지 요시아키가 은거하면서 가독을 이어받아 제18대 당주가 되었다. 에이로쿠 7년 (1564년)에는 에치고국우에스기 겐신과 함께 오다 성 전투에서 히타치 오다 성주 오다 우지하루를 패주시켰다. 그러나 실권은 아직 아버지 요시아키가 가지고 있었으며(이설 있음), 에이로쿠 8년 (1565년) 아버지의 죽음으로 사타케 가문의 히타치 통일은 멀어지고, 반대 세력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아버지 요시아키 시대부터 연계해 온 우에스기 겐신과의 연계를 더욱 강화하여, 에이로쿠 9년(1566년) 오다 우지하루를 공격하여 오다 영지의 대부분을 탈취했다. 또한 시모츠케국 나스 군의 무케 씨를 공격하여 종속시켰다. 에이로쿠 10년(1567년)에는 시라카와 요시치카를 공격하여 대승했다. 에이로쿠 12년(1569년), 테와자카 전투에서 오다 우지하루에게 대승하여 오다 성을 탈취했다.

한편, 간토 지방에서는 사가미국호조 우지마사가 세력을 강화하면서 사타케 가문 등 간토의 여러 가문은 그 후 호조 가문과 대립하게 되었다. 우지마사는 겐키 2년(1571년)에 아시나 모리우지, 유키 하루토모 등과 동맹을 맺고, 사타케 가문에 종속된 타가야 마사츠네를 공격했다. 이때 원군을 보내 호조 세력을 격퇴했다.

겐키 3년(1572년)에는 시라카와 유키 씨를 배하에 두었다. 더욱이 그 전후에는 인척 관계도 이용하여 이와키 씨도 사실상 산하에 두었으며(요시시게는 이와키 시게타카의 외손이며, '시게'는 시게타카의 편휘이며 양자이기도 한 것으로 보인다), 나스 씨와도 강화 조약을 맺었다. 덴쇼 2년(1573년)에는 호조 측으로 돌아선 오다 우지하루와 다시 싸워 그 영지의 대부분을 병합하는 등, 활발하게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덴쇼 3년(1575년)에는 시라카와 성을 탈취한다.

그러나 급속한 세력 확대는 주변의 여러 다이묘들에게 위기감을 안겨, 호조 우지마사나 아시나 모리우지 등에게 이면 작전을 강요받아 궁지에 몰리게 된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유키 씨나 우쓰노미야 씨와 혼인 관계를 축으로 동맹을 맺어 우지마사와 대항하거나, 기나이하시바 히데요시와 친밀해지는 등 동맹을 중시하여 아군을 늘렸다. 덴쇼 8년(1580년)에 아시나 모리우지가 사망하고 모리타카가 뒤를 이으면서 아시나 가문의 방침도 바뀌어, 덴쇼 9년(1581년)에 미요타 전투에서 요시시게가 아시나 가문과 적대하는 타무라 키요아키를 격파하자, 같은 해 10월에 요시시게가 구로카와 성의 모리타카를 방문하여 사타케 가문과 아시나 가문은 동맹 관계에 들어갔다.

그러나, 덴쇼 13년(1585년)에 시모츠케국으로 진출한 호조 군의 맹렬한 반격에 나가누마 성을 빼앗기고, 불리한 상황에서 화의를 맺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누마지리 전투).

2. 2. 다테 마사무네와의 항쟁

1580년대 중반, 요시시게는 무쓰의 신흥 강자 다테 마사무네에 대항하기 시작했다. 요시시게는 아시나와 소마(이전의 사타케의 경쟁자)와 동맹을 맺고 다테와의 전쟁에 참전했으며, 사타케 군대는 히토토리바시 전투(1586)와 스리아게하라 전투(1589)에서 싸웠다.[3]

당시 오슈(奥州)에서는 아시나 씨가 모리우지(盛氏) 사후 당주가 잇따라 요절하여 세력이 쇠퇴하고 있었다. 아시나 씨의 가독 문제에서 요시시게는 어린 아시나 카메오마루(카메와카마루)를 지지하여, 다테 테루무네가 차남 코지로를 보내려는 것을 막고 아시나 가문 내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했다.[7] 다테 마사무네는 미요타 전투에서 패배한 타무라 키요아키의 사위였고, 타무라 씨를 지원하고 사타케 씨의 북상을 경계하는 입장에서 점차 요시시게와 대립하게 되었다.

1585년, 다테 씨와 대립하던 니혼마츠 씨 구원을 명분으로 아시나 씨와 연합군을 결성하여 오슈로 출진, 히토토리바시(人取橋)에서 회전(히토토리바시 전투)을 벌였다. 병력에서 우위에 있던 요시시게는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었지만, 막바지에 히타치 국에서 에도 씨 등이 불온한 움직임을 보이자 철수했고, 연합군도 철수했다.

1586년, 니혼마츠 성 함락으로 니혼마츠 씨가 사실상 멸망하자 다테 씨와 사타케 씨, 아시나 씨 사이에 강화가 맺어졌다.

1587년, 요시시게는 차남 요시히로를 아시나 씨의 양자로 들여 마사무네에 대항하려 했다. 그러나 아버지의 유지를 이어 동생 코지로를 양자로 보내려던 마사무네는 이에 반발했다.

1588년, 오슈의 여러 다이묘들과 연합하여 다시 마사무네와 전투를 벌였다. 그러나 연합군은 각 가문의 이해관계 대립으로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고, 요시시게는 이와키 쓰네타카의 중재로 화의를 맺을 수밖에 없었다(코리야마 전투).

1589년, 아시나 요시히로는 스리아게하라 전투에서 다테 씨에게 대패했고, 시라카와 유키 씨, 이시카와 씨 등 무쓰 남부의 여러 다이묘들이 다테 씨에게 투항했다. 이로써 사타케 씨는 남쪽의 호조 우지나오, 북쪽의 다테 마사무네라는 양대 세력에 포위되어 멸망의 위기에 놓였다.

2. 3. 도요토미 정권하

1590년(덴쇼 18년), 이전부터 친분이 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오다와라 정벌이 시작되자, 요시시게는 요시노부와 함께 오다와라에 참진하여 이시다 미쓰나리오시성 공격에 참여했다.[1] 그 후, 오슈 시오키에도 종군했기에, 요시시게는 히데요시로부터 히타치국 54만 석의 지배권을 인정받았다.

히데요시의 후원으로 에도 시게미치를 미토성에서 몰아내고, 후추의 간무 헤이씨 시게모리류 다이죠씨의 적통을 멸망시켰다.[1] 1591년(덴쇼 19년) 2월에는 난포 33관으로 불리는 카시마씨 등 다이죠씨 일족과 히타치 타케다씨의 타케다 노부후사 등 구니히토 영주를 오타성에 초청하여 살해하고, 누카타성의 오노자키 아키미치를 공격한 후, 히데요시로부터 퇴성 권고를 받아 히타치 국내를 통일했다.[1]

2. 4.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아들 요시노부는 이시다 미쓰나리의 서군에 가담하려 했으나, 요시시게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동군에 가담할 것을 주장하여 부자간 대립이 있었다.[4] 요시시게를 비롯해 요시노부의 동생 아시나 요시히로, 사타케씨 가신 사타케 요시히사 등은 동군을 지지했다. 동군 승리 후 1602년 5월, 요시노부가 중립적인 태도를 보인 탓에 사타케 가문은 데와국구보타 20만 석(실제 40만 석)으로 감봉되었다.[4] 요시시게가 이에야스·히데타다 부자에게 탄원하여 개역은 면했다.

구보타 이전 후, 요시노부와 별도로 로쿠고성(센보쿠군미사토정)에 거주하며 로쿠고정을 조성하고 영지 남부(센보쿠·헤이카·오가치)를 감시했다.[4] 1612년 4월 19일, 사냥 중 낙마하여 사망했다.[4] 향년 66세. 막내아들 요시나오는 요시시게 사후에 태어났다.

보리사는 전신사(아키타시 테가타 자 야노)이다.

thumb

3. 인물 및 일화


  • 요시시게는 지략과 용맹을 겸비한 뛰어난 무장이었다. 호조 가문과의 전투에서 단숨에 7명의 적을 베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용맹하여 '귀신 사타케(鬼義重)' 또는 '반도 타로(坂東太郎, 간토 제일이라는 의미)'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주변의 경외를 받았다. 그러나 '오니 요시시게'라는 호칭은 에도시대의 군담 소설이나 기록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고센 어전 문견서(古先御戦聞書)』에는 "천마 귀신과 같은 업"이라고 기재되어 있어, 이 부분이 와전되어 '오니 요시시게'라는 호칭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분명하다.[8]
  •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10세 무렵에는 아버지를 대신하여 정무를 보았다는 것을 증명하는 편지가 남아있다. 1565년 (에이로쿠 8년)에는 유랑하던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로부터 지원을 요청하는 밀서를 받는 등 중앙 정계에도 이름이 알려져 있었다.
  • '귀신 사타케'라는 별명 때문인지, 요시시게의 초상화는 갑옷만 그려져 있다.
  • 잠잘 때 일본식 요를 사용하지 않고 얇은 천만 깔고 잤다는 일화가 있다. 데와로 영지가 옮겨졌을 때, 아들 요시노부가 추운 북쪽 지방의 기후를 걱정하여 잠옷과 요 등을 보내주어 한 번 사용해 보았으나, 결국 마음에 들지 않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9]
  • 고소동맹(甲相同盟)이 깨진 후 사가미고호조 씨와 대립하던 가이다케다 신겐과 서신을 교환하며, 가이 겐지(甲斐源氏)의 적통을 둘러싼 논쟁을 벌였다고 한다.
  • 자신의 자녀들을 아시나씨(蘆名氏) 등 주변 다이묘 가문에 양자로 보내, 교묘하게 세력을 확장하였다.
  • 전투 때 미남 아시나 모리타카에게 한눈에 반해 주종 간에 의기투합했다는 속설이 있으나, 사실 여부는 불분명하다.
  • 우에스기 겐신에게서 명검 비젠사부로구니무네(備前三郎国宗)를 받았다. 훗날 아들 요시노부에게 물려주자, 요시노부는 칼끝을 깎아 와키자시로 만들어 버렸다. 애도가였던 요시시게는 이 사실을 알고 한탄하였다고 한다.
  • 애검은 남북조 시대에 만들어진 "하치몬지 나가요시(八文字長義)"이다. 호조 우지마사 군과 싸울 때 이 칼로 호조 측 기마 무사를 베자, 그 무사는 투구와 함께 반으로 갈라져 하치몬지(八文字) 형태가 되어 말에서 떨어졌다고 한다.[10]

4. 가신

사타케 요시히사, 사타케 요시츠구, 사타케 요시노리 등 사타케 가문의 주요 인물들이 가신으로 활동했다.[4] 와다 아키타메, 가지와라 마사카게 등은 요시시게를 보좌한 유능한 가신들이었다.[4] 에도 타다미치 등은 히타치 통일 과정에서 숙청된 가신이기도 하다.[4]

요시시게의 주요 가신은 다음과 같다.[4]

이름
와다 아키타메
가지와라 마사카게
사타케 요시스케
오카모토 겐이츠
오다노 요시타다
구루마 스케타다
우메즈 노리타다
우메즈 마사카게
히토미 후지미치
마자키 시게무네
토무라 요시쿠니
오누키 요리히사
이마미야 요시미치
마카베 우지모토
후나오 아키나오
오노자키 요리미치
가와이 타다토오


5. 관련 작품

사타케 요시시게를 다룬 소설로는 고노에 타츠하루의 『사타케 요시시게 이다테도 호조도 두려워한 히타치의 센고쿠 다이묘』(PHP 문고, 2005년), 시키자와 이쿠의 『사타케 요시시게·요시노부 다테 마사무네와 패권을 다툰 칸토의 명족』(학연 M 문고, 2011년) 등이 있다.[1][2] 미노와 료의 『데레스케』(도쿠마 서점, 2017년), 이마무라 쇼고의 『귀신의 생애』(『센고쿠 무장전 동일본편』수록, PHP 연구소, 2023년) 등의 소설에도 등장한다.[3][4]

6. 평가

사타케 요시시게는 센고쿠 시대의 혼란 속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판단력을 보여준 인물이다. 히타치국에서 사타케 가문의 지배력을 강화하고, 아시나씨, 오다씨 등 주변 가문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았다.[1][2] 특히 호조씨와의 누마지리 전투에서는 8,600정 이상의 화승총을 활용하여 20,000명의 병력으로 80,000명의 호조군을 상대로 승리하는 등 뛰어난 군사적 역량을 과시했다.[3]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항복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이시다 미츠나리 사이의 대립에서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는 등 유연한 외교 전략을 통해 가문의 생존을 도모했다.[4] 이러한 현실적인 판단은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백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오니 요시시게"(귀신 요시시게)라는 별명에서 알 수 있듯이 강인한 성격의 소유자였으며, 히타치 통일 과정에서 보여준 강경책은 비판의 여지가 있다.[4] 권력 유지를 위해 때로는 폭력적인 방법을 사용한 점은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요시시게는 잠을 잘 때 일본식 요를 사용하지 않고 얇은 매트만 사용했다는 일화에서 알 수 있듯이, 항상 전쟁에 헌신하고 검소한 생활을 실천한 인물로 평가된다.[4]

참조

[1] 서적 A Korean War Captive in Japan, 1597–1600: The Writings of Kang H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 서적 Samurai Armies 1467–1649 Osprey Publishing
[3] 웹사이트 Satake-shi http://www2.harimaya[...] 2008-08-15
[4]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al Dictionary of Japan: With 300 Illustrations, 18 Appendixes and Several Maps Librairie Sansaisha
[5] 문서 佐竹義重
[6] 문서 (天正9年)6月7日付真田昌幸宛武田勝頼条目 真田家文書『群馬県史資料篇7』3065号
[7] 서적 伊達政宗の研究 吉川弘文館
[8] 문서 佐竹義重の渾名についての小考 日本史史料研究会編『日本史のまめまめしい知識』第2巻、岩田書院、2017年
[9] 서적 佐竹氏物語 無明舎出版
[10] 웹사이트 刀 無銘 長義 号 八文字長義|徳川美術館 http://www.tokugawa-[...] 2015-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