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55565) 2002 AW19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5565) 2002 AW197은 2002년 1월 10일 캘리포니아 팔로마 천문대에서 발견된 해왕성 바깥 천체이다. 322.6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궤도 이심률은 0.13, 황도면에 대한 경사는 24°이다. 허셜 우주 망원경과 스피처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지름은 약 768km로 추정되며, 표면은 짙은 적색을 띠고 유기 물질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발견한 천체 - 132524 APL
    132524 APL은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 물리학 연구소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소행성으로, 약 4년 2개월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뉴 호라이즌스 탐사선이 근접 통과하여 S형 소행성으로 밝혀졌다.
  • 2002년 발견한 천체 - 네소 (위성)
    네소는 2002년에 발견되어 S/2002 N 4로 명명되었다가 2007년에 네레이스 중 한 명의 이름을 따 명명된 해왕성의 불규칙 위성이다.
  •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 - 15760 알비온
    15760 알비온은 1992년에 발견되어 윌리엄 블레이크의 신화 속 인물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카이퍼 벨트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 카이퍼 벨트 소행성이다.
  •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 - 58534 로고스
    1997년 발견된 58534 로고스는 위성 조이와 쌍성계를 이루는 소행성으로, 각각 영지주의의 로고스(말, 논리)와 조에(영혼)에서 유래되었으며 고전적 카이퍼 벨트 천체로 분류된다.
  • 왜행성 후보 - 704 인테람니아
    704 인테람니아는 태양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소행성이자 가장 큰 F형 소행성으로, 초거대 망원경 관측 결과 지름 약 332km의 타원체 형태이며 표면에 수화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얼음 천체로 추정된다.
  • 왜행성 후보 - 테이아 (천체)
    테이아는 달의 여신 셀레네의 어머니 이름을 딴 가상의 천체로, 지구와 충돌하여 달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55565) 2002 AW197
기본 정보
2006년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55565) [[mp|2002 AW|197]]
2006년에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55565) 2002 AW
명칭(55565) 2002 AW
임시 명칭2002 AW
약칭(55565) 2002 AW
천체 분류해왕성 바깥 천체
큐비원족
준왜성 후보
분리 천체
원거리 소행성체
발견
발견 장소팔로마 천문대
발견자팔로마 천문대
발견일2002년 1월 10일
궤도 특성
궤도 기준점2020년 5월 31일 (JD 2459000.5)
불확실성3
관측 호21.23년 (7,756일)
가장 이른 프리커버리 날짜1997년 12월 29일
긴반지름47.042 AU
근일점 거리40.922 AU
원일점 거리53.161 AU
근일점 통과 시간약 2078년 5월 5일 ± 4일
궤도 이심률0.13009
공전 주기322.65년 (117,848일)
평균 이상점294.532°
평균 운동0.003055°/일
궤도 경사24.451°
승교점 경도297.606°
근일점 인수297.494°
물리적 특성
평균 지름768 ± 39 km
자전 주기8.87 ± 0.01 시간
알베도0.112 +0.012/-0.011
분광형IR (약간 붉은색)
절대 등급3.568 ± 0.046 (V)
겉보기 등급20.0 (충일 때)

2. 발견

(55565) 2002 AW197은 2002년 1월 10일 캘리포니아 팔로마 천문대에서 마이클 E. 브라운을 주도로 한 연구팀이 발견하였다. 발견 사실은 같은 해 7월 20일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으며, 이후 소행성체 번호 55565번을 부여받았다.

발견 공표 이후 1997년 12월 29일 할레아칼라 천문대에서 찍힌 사진에서 2002 AW197이 발견되면서, 궤도를 더 정밀하게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허셜 우주망원경, 스피처 우주망원경 등을 통한 지속적인 관측이 이루어졌다.

2. 1. 발견자

이름역할
마이클 E. 브라운주도
채드 트루히요참여
엘리너 헬린참여
마이클 힉스참여
케네스 로렌스참여
스티븐 H. 프라브도참여



3. 궤도

(55565) 2002 AW197은 40.9–53.2 AU 거리에서 태양을 공전하며, 322.6년(117,800일 이상)마다 한 번씩 공전한다. 궤도 이심률은 0.13이고, 황도면에 대한 경사는 24°이다. 명왕성 궤도 바깥에 있으며, 더 높은 경사각과 다른 방향을 가지고 있다.

의 궤도.


이 천체의 관측 호는 1997년 12월, Haleakala-NEAT/GEODSS에서 이루어진 사전 발견 관측으로 시작되며, 팔로마 천문대에서 공식적으로 발견되기 4년 이상 전이다. 마지막으로 근일점을 지난 시점은 1754년이며, 2077년 5월에 41.1 AU에서 다시 근일점을 통과할 예정이다.[1]

3. 1. 분류

소행성체 센터는 (55565) 2002 AW197을 역학적으로 뜨거운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분리천체로 분류하며, 산란원반 천체로는 간주하지 않지만, 심원황도탐사에서는 확장 산란원반 천체로 분류한다.

4. 물리적 성질

허셜 우주망원경스피처 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 (55565) 2002 AW197의 지름은 768 ± 38 km, 반사율은 0.112(+0.012/-0.011)로 측정되었다. 크기가 커서 정역학적 평형을 이루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왜행성 후보 천체로도 거론된다. 표면 온도는 −233 °C ~ −234 °C 사이로 추정된다.

광도곡선 분석으로 얻어진 자전 주기는 약 8.8시간으로, (55565) 2002 AW197은 1번 공전할 때마다 약 320,780번 자전한다. 하지만 현재 광도곡선 관측 결과는 오차율이 30% 정도로, 논란의 여지가 있다.

2004년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55565) 2002 AW197.

4. 1. 표면

유럽남방천문대의 분광 관측 결과 (55565) 2002 AW197의 표면은 짙은 적색을 띠며, 얼음은 검출되지 않았다.[5] 이는 콰오아와 대조적으로, 유기 물질(톨린)의 존재를 시사한다.[3](해왕성 바깥 천체의 스펙트럼에 기반한 추정 조성과 색상의 관계(영어) 참조).

참조

[1] 웹사이트 JPL Horizons http://ssd.jpl.nasa.[...]
[2] 논문 Which are the dwarfs in the Solar System? http://www.lpi.usra.[...] 2008
[3] 간행물 Candidate Members and Age Estimate of the Family of Kuiper Belt Object {{mp|2003 EL|61}} 2007
[4] 웹인용 MPEC 2002-O30 : 2002 AW197 https://minorplanetc[...] 2020-04-27
[5] 저널 Candidate Members and Age Estimate of the Family of Kuiper Belt Object {{mp|2003 EL|61}}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