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미터 러닝타겟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미터 러닝타겟은 10미터 거리에서 움직이는 표적을 공기소총으로 사격하는 경기이다. 정상 경기와 혼합 경기로 나뉘며, 정상 경기는 완주 표적과 속주 표적을 정해진 횟수로 사격하고, 혼합 경기는 두 표적이 무작위로 나타난다. 4.5mm 구경의 공기소총과 특수 제작된 표적, 사격 재킷을 사용하며,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세계 기록은 남자 개인전 590점, 단체전 1739점, 여자 개인전 575점, 단체전 1673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식 사격 - ISSF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
ISSF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는 국제 사격 연맹이 주관하는 사격 대회로, 소총, 권총, 런닝 타겟, 샷건 등 다양한 종목에서 개인 및 단체전으로 진행되며, 1897년 프랑스 리옹에서 처음 개최되어 매년 열리고 있다. - 국제식 사격 - 10미터 공기소총
10미터 공기 소총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4.5mm 구경의 공기 소총으로 10m 거리의 표적을 사격하는 경기이며, 본선과 결선을 거쳐 소수점 단위까지 채점되는 결선 사격을 통해 순위를 결정하고, 시대에 따라 규칙과 장비가 변화해왔다.
10미터 러닝타겟 | |
---|---|
종목 개요 | |
종류 | ISSF 사격 종목 |
남성 사격 횟수 | 2 × 30 |
여성 사격 횟수 | 2 × 20 |
남성 올림픽 개최 연도 | 1992–2004 |
남성 약칭 | 10RT |
여성 약칭 | 10RT20 |
남성 세계 선수권 대회 개최 연도 | 1981-2009 |
여성 세계 선수권 대회 개최 연도 | 1994-2009 |
2. 경기 방식
10m 러닝타겟 경기는 크게 '정상' 경기와 '혼합' 경기로 나뉜다. 정상 경기에서는 완주 표적과 속주 표적을 정해진 순서대로 사격하며, 혼합 경기에서는 완주 표적과 속주 표적이 무작위로 나타난다.
2. 1. 정상 경기
정상 경기에서는 완주 표적과 속주 표적을 정해진 순서대로 사격한다. 남자는 완주 표적 30발과 속주 표적 30발을, 여자는 완주 표적 20발과 속주 표적 20발을 사격한다.2. 2. 혼합 경기
완주 표적과 속주 표적이 무작위로 나타난다. 남녀 모두 완주 표적과 속주 표적을 각각 20발씩, 총 40발 사격한다.[1]3. 장비
10미터 러닝타겟에서는 4.5 mm영어 구경의 공기소총을 사용한다. 10미터 공기소총에 사용되는 소총과 유사하지만, 총신이 더 길고 4배율까지의 광학식 망원 조준경을 사용할 수 있다. 탄환은 4.5 mm영어 구경의 납 또는 기타 무른 물질로 만들어진다.[1]
표적은 직사각형 종이 카드에 조준점 하나와 채점구역 두 개가 인쇄되어 있으며, 조준점은 가운데에 위치한다. 전자표적의 경우 검은색 채점구역 한 개가 중심에 있고, 양 옆에 조준점이 있다. 조준점 지름은 15.5 mm영어이다. 채점구역 지름은 육안 채점용 종이표적의 경우 50.5 mm영어(검은색 구역은 30.5 mm영어), 전자표적용 종이카드에서는 30.5 mm영어이다. 원 사이의 거리는 70 mm영어이다.[1]
3. 1. 복장
10미터 공기소총 경기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가죽과 캔버스 재질의 사격 재킷을 착용하지만, 좀 더 부드럽다. 특별한 사격 바지, 장갑, 신발은 사용하지 않는다.4. 역대 세계선수권 대회 결과
10미터 러닝타겟 세계선수권 대회는 1981년부터 개최되었으며, 2009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가 이후 다시 개최되고 있다.
하위 섹션에서 남자 개인전, 남자 단체전, 여자 개인전, 여자 단체전 결과가 상세히 다루어지므로, 여기에서는 대회 개최 연도와 장소, 그리고 각 부문별 금메달 수상자만 간략하게 요약해서 제시한다.
- 여자 개인전: 1994년부터 2009년까지 대회가 열렸다.
- 여자 단체전: 1998년부터 2009년까지 대회가 열렸다.
4. 1. 남자 개인전
10미터 러닝타겟 남자 개인전은 1981년부터 2009년까지 열렸으며, 이후 2022년까지 다양한 국가에서 우승자를 배출했다.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81 | 산토도밍고 | Юрий Каденаций|유리 카데나치ru | Андрей Терехин|안드레이 테레힌ru | Игорь Малащкоф|이고르 말라슈코프ru |
1982 | 카라카스 | Игорь Соколов|이고르 소콜로프ru | Сергей Савостянов|세르게이 사보스티아노프ru | Александр Ивачихин|알렉산드르 이바치힌ru |
1983 | 에드먼턴 | Jean-Luc Tricoire|장 뤼크 트리쿠아르프랑스어 | Игорь Соколов|이고르 소콜로프ru | Randy Stewart|랜디 스튜어트영어 |
1986 | 줄 | Luboš Račanský|루보스 라찬스키cs | Zygmunt Bogdziewicz|지그문트 보그지에비치pl | Сергей Лузов|세르게이 루조프ru |
1987 | 부다페스트 | Jean-Luc Tricoire|장 뤼크 트리쿠아르프랑스어 | Luboš Račanský|루보스 라찬스키cs | Александер Захарченков|알렉산데르 자하르첸코프ru |
1989 | 사라예보 | Attila Solti|어틸러 숄티hu | József Angyan|요제프 언전hu | József Sike|요제프 시케hu |
1990 | 모스크바 | Manfred Kurzer|만프레트 쿠르처de | Chingchuan Xu|칭촨슈중국어 | Геннадий Авраменко|겐나디 아이라멘코ru |
1991 | 스타방에르 | Luboš Račanský|루보스 라찬스키cs | Геннадий Авраменко|겐나디 아이라멘코ru | Андрей Васильев|안드레이 바실리예우ru |
1994 | 밀라노 | Manfred Kurzer|만프레트 쿠르처de | Krister Holmberg|크리스테르 홀름베르그fi | Carlo Colombo|카를로 콜롬보it |
1998 | 바르셀로나 | Niu Zhiyuan|지위안뉴중국어 | Adam Saathoff|애덤 새토프영어 | Игорь Колесов|이고르 콜레소프ru |
2002 | 라흐티 | Дмитрий Лыкин|디미트리 리킨ru | Yang Ling|링양중국어 | Adam Saathoff|애덤 새토프영어 |
2006 | 자그레브 | Niu Zhiyuan|지위안뉴중국어 | Александр Блинов|알렉산드르 빌노프ru | Miroslav Januš|미로슬라프 야누스cs |
2008 | 플젠 | Emil Andersson|에밀 안데르손sv | Miroslav Januš|미로슬라프 야누스cs | Vladyslav Prianishnikov|블라디슬라프 프리아니슈니코프uk |
2009 | 헤이놀라 | Emil Andersson|에밀 안데르손sv | Vladyslav Prianishnikov|블라디슬라프 프리아니슈니코프uk | Дмитрий Романов|디미트리 로마노프ru |
2010 | 뮌헨 | Дмитрий Романов|디미트리 로마노프ru | Zhai Yujia|자이 위자중국어 | Krister Holmberg|크리스터 홀름베르그fi |
2012 | 스톡홀름 | Дмитрий Романов|디미트리 로마노프ru | Łukasz Czapla|우카쉬 차플라pl | László Boros|라스즐로 보로스hu |
2014 | 그라나다 | Emil Andersson|에밀 안데르손sv | Zhai Yujia|자이 위자중국어 | Дмитрий Романов|디미트리 로마노프ru |
2016 | 주엘 | Максим Степанов|막심 스테파노프ru | Михаил Азаренко|미하일 아자렌코ru | Emil Andersson|에밀 안데르손sv |
2018 | 창원 | Jesper Nyberg|제스퍼 니베르sv | Максим Степанов|막심 스테파노프ru | Vladyslav Prianishnikov|블라디슬라프 프리아니슈니코프ru |
2022 | 샤토루 | Emil Andersson|에밀 안데르손sv | Ihor Kizyma|이호르 키지마uk | Łukasz Czapla|우카쉬 차플라pl |
4. 2. 남자 단체전
1981년부터 2022년까지 10미터 러닝타겟 남자 단체전 경기가 열렸다.연도 | 개최 장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
1981 | 산토도밍고 | {{lang|ru|유리 카데나츠이|} | }, 안드레이 테레킨|ru, 이고르 말라시코프|ru (소련)
연도 | 개최 장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94 | 밀라노 | |||
1998 | 바르셀로나 | |||
2002 | 라흐티 | |||
2006 | 자그레브 | |||
2008 | 플젠 | |||
2009 | 헤이놀라 | |||
2010 | 뮌헨 | |||
2012 | 스톡홀름 | |||
2014 | 그라나다 | |||
2016 | 주엘 | |||
2018 | 창원 | |||
2022 | 샤토루 |
4. 4. 여자 단체전
wikitext연도 | 개최 장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98년 | 바르셀로나 | |||
2002년 | 라흐티 | |||
2006년 | 자그레브 | |||
2008년 | 플젠 | |||
2009년 | 헤이놀라 | |||
2010년 | 뮌헨 | |||
2012년 | 스톡홀름 | |||
2014년 | 그라나다 | |||
2016년 | 주엘 | |||
2018년 | 창원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