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부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부경은 불교 경전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12가지로 분류한 것이다. 경전의 내용을 산문, 운문 등으로 나누어 수다라, 기야, 화가라, 가타, 우다나, 이제와다가, 자타카, 비불략, 아부다달마, 니다나, 아바다나, 우바데샤로 구분한다. 불전에 따라 9부경 또는 12부경을 전하며, 12부경에서는 대승 경전의 근원이 된 비불략이 10번째 또는 11번째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2부경 | |
---|---|
개요 | |
종류 | 불교 경전 |
내용 | 불교의 가르침 |
구성 | 12가지 형태의 설법 |
상세 내용 | |
1. 수트라 (Sūtra, 経) | 부처의 가르침을 직접 기록한 경전 |
2. 게야 (Geya, 重頌) | 수트라의 내용을 운문 형식으로 반복 설명하는 부분 |
3. 가타 (Gāthā, 諷頌) | 운문으로 된 독립적인 가르침 |
4. 니다나 (Nidāna, 因縁) | 특정 가르침이 나오게 된 배경 이야기 |
5. 이티부타카 (Itivṛttaka, 本事) | 부처나 제자의 과거 행적에 대한 이야기 |
6. 자타카 (Jātaka, 本生) | 부처의 전생 이야기 |
7. 아부타다르마 (Abhutadharma, 未曾有法) | 기적이나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한 이야기 |
8. 아바다나 (Avadāna, 譬喩) | 비유를 통해 가르침을 설명하는 부분 |
9. 우다나 (Udāna, 自説) | 부처가 감흥을 받아 스스로 설법한 내용 |
10. 바이푸랴 (Vaipulya, 方広) | 넓고 심오한 가르침을 담은 경전 |
11. 수트라 (Śāstra, 論議) | 교리나 개념에 대한 논리적인 분석과 설명 |
12. 아가마 (Agama, 記説) | 미래에 대한 예언이나 예측 |
참고 자료 | |
관련 자료 | 팔리어 경장 아함경 |
2. 종류
12부경은 불교 경전의 내용을 형식과 내용에 따라 12가지로 분류한 것이다. 부처의 가르침을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하여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었다. 경전에 따라 9부경 또는 12부경을 전하는데, 12부경에는 대승 경전의 근원이 된 비불략(毘富略)이 포함된다.[1]
12부경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 | 한자 | 음역 | 산스크리트어 | 팔리어 |
---|---|---|---|---|
산문 형식의 경전 | 계경(契經), 경(經) | 수다라(修多羅) | sūtra | sutta |
운문 형식. 산문 경전 내용 반복 | 중송(重頌), 응송(應頌), 가(歌) | 기야(祈夜) | geya | geyya |
부처가 제자들의 미래 예언 | 수기(受記), 기답(記答), 기설(記說), 기별(記別) | 화가라(和伽羅) | vyākaraṇa | vyākaraṇa |
독립적인 운문 형식의 경전 | 고기송(孤起頌), 송(頌) | 가타(伽陀) | gāthā | gāthā |
부처가 스스로 깨달음을 설법 | 무문자설(無問自說), 자설(自說), 자설경, 감흥게(感興偈) | 우타나(優陀那) | udāna | udāna |
부처 제자들의 과거 행적 | 여시어(如是語), 본사(本事) | 이제왈다가(伊帝曰多伽) | itivṛttaka | itivuttaka |
부처의 전생 이야기 | 본생담(本生譚), 본생(本生) | 사다가(闍多伽) | jātaka | jātaka |
넓고 깊은 의미를 담은 경전 (대승 경전의 근원) | 방광(方廣), 방등(方等) | 비불략(毗富略) | vaipulya | vedalla |
부처의 신비로운 힘과 공덕 찬양 | 미증유법(未曾有法), 희법(稀法) | 아부다달마(阿浮多達磨) | adbhūtadharma | abbhutadhammā |
경전이 설해진 배경과 이유 설명 | 인연담(因緣譚), 인연(因緣), 연기(緣起) | 니타나(尼陀那) | nidāna | nidāna |
비유를 통해 가르침 전달 | 비유(譬喩), 비유담(譬喩譚) | 아파타나(阿波陀那) | avadāna | apadāna |
교리 해설 | 논의(論議) | 우파제사(優波提舍) | upadeśa | [8] |
2. 1. 상세 분류
장아함경 | 의역 | 음역 | 산스크리트어 | 팔리어 |
---|---|---|---|---|
관경(貫經) | 계경(契經) 경(經) | 수다라(修多羅) | sūtra | sutta |
기야경(祇夜經) | 중송(重頌) 응송(應頌) 가(歌) | 기야(祈夜) | geya | geyya |
수기경(受記經) | 수기(受記) 기답(記答) 기설(記說) 기별(記別) 기별(記莂) 설(說) | 화가라(和伽羅) 화가라나(和伽羅那) | vyākaraṇa | vyākaraṇa, veyyākaraṇa |
게경(偈經) | 고기송(孤起頌) 송(頌) | 가타(伽陀) 게타(偈陀) | gāthā | gāthā |
법구경(法句經) | 무문자설(無問自說) 자설(自說) 자설경(自說經) 감흥게(感興偈) 감흥어(感興語) | 우타나(優陀那) | udāna | udāna |
상응경(相應經) | 여시어(如是語) 여시법(如是法) 본사(本事) | 이제불다가(伊帝弗多迦) 이제왈다가(伊帝曰多伽) 이제목다가(伊帝目多伽) | itivṛttaka | itivuttaka |
본연경(本緣經) | 본생담(本生譚) 본생(本生) | 사다가(闍多伽) | jātaka | jātaka |
광경(廣經) | 방광(方廣) 방등(方等) 광박(廣博) | 비부략(毗浮略) 비불략(毗佛略) 비부라(毘富羅) | vaipulya | vedalla |
미증유경(未曾有經) | 미증유법(未曾有法) 희법(稀法) | 아부다달마(阿浮多達磨) 아부달마(阿浮達磨) | adbhūtadharma | abbhutadhammā |
천본경(天本經) | 인연담(因緣譚) 인연(因緣) 연기(緣起) | 니타나(尼陀那) | nidāna | nidāna |
증유경(證喩經)[2] 비유경(譬喩經)[3] | 비유(譬喩) 비유담(譬喩譚) | 아파타나(阿波陀那) | avadāna | apadāna |
대교경(大教經) | 논의(論議) 축분별소설(逐分別所說) | 우파제사(優波提舍) | upadeśa |
불교 경전은 내용과 형식에 따라 구부경(九分敎) 또는 십이부경(十二部經)으로 분류된다. 십이부경은 대승 경전의 근원이 되는 비불략(方廣)을 포함하며, 이는 10번째 또는 11번째에 위치한다.[1]
[1]
서적
十二部経, 方等 『広説佛教語大辞典 中巻』
東京書籍
3. 경전 분류의 전개
용어 산스크리트어 표기 의미 설명 수다라 sūtrasa 계약경(契經) 교설을 직접 산문으로 말한 것 기야 geyasa 중송(重頌) 산문의 교설 내용을 운문으로 다시 설명한 것 화가라 vyākaraṇasa 수기(授記) 불제자의 미래에 대해 증언한 것 가타 gāthāsa 풍송(諷頌)/게(偈) 처음부터 독립적으로 운문으로 말한 것 우다나 udānasa 자설경(自說經) 질문 없이 부처가 스스로 교설을 말한 것 이제와다가 ityuktakasa, itivr̥ttakasa 본사(本事), 여시설어(如是說語) 불제자의 과거세의 행위를 말한 것 자타카 jātakasa 본생(本生) 부처의 과거세의 수행을 말한 것 비불략 vaipulyasa, vedallapi 방광(方廣) 넓고 깊은 의미를 말한 것 아부다달마 adbhutadharmasa 미증유법(未曾有法) 부처의 신비적인 일이나 공덕을 찬탄한 것 니다나 nidānasa 인연(因緣) 경과 율의 유래를 말한 것 아바다나 avadānasa 비유(譬喩) 교설을 비유로 말한 것 우바데샤 upadeśasa 논의(論議) 교설을 해설한 것
불전에 따라 구부경(九部經)을 전하는 것과 십이부경(十二部經)을 전하는 것이 있다. 십이부경에서는 대승 경전의 근원이 된 비불략이 10번째 또는 11번째에 위치한다.
『본사경』(권5), 『마하승기율』(권1) 및 팔리 성전은 구부경을 전하고, 『장아함』(권3), 『중아함』(권1), 『잡아함』(권41), 『사분율』(권1), 『오분율』(권1), 『대지도론』(권25) 등 대승의 여러 경론에는 십이부경의 이름을 전하는 것이 많다. 팔리 성전의 우다나(udāna)나 한역의 『본사경』(여시설어)처럼 하나의 성전에 정리되어 있는 것도 있지만, 문학적 장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4. 한국 불교와 12부경
『본사경』(권5), 『마하승기율』(권1) 및 팔리 성전은 구부경을 따르고, 『장아함』(권3), 『중아함』(권1), 『잡아함』(권41), 『사분율』(권1), 『오분율』(권1), 『대지도론』(권25) 등 대승 경론에서는 십이부경의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팔리 성전의 우다나(udāna)나 한역 『본사경』(여시설어)처럼 하나의 성전으로 정리된 것도 있지만, 이는 문학적 장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참조
[2]
경전
유행경
[3]
경전
청정경
[4]
경전
유행경
[5]
경전
청정경
[6]
경전
[7]
경전
[8]
경전
[9]
경전
[10]
경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