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도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지도론은 402년부터 406년까지 구마라집이 번역한 100권의 중국어 번역본으로 전해지는 대승 불교 논서이다. 전통적으로 인도 중관학파의 용수의 저작으로 여겨지나, 저자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100권 90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야바라밀다경의 주석을 비롯하여 보살의 수행, 열반으로 가는 길, 공(空) 사상 등 대승 불교의 핵심 교리를 다룬다. 설일체유부의 아비달마, 초기 불교 경전, 자타카 이야기 등도 포함하며, 한국 불교에도 영향을 미쳤다. 구마라집의 한역본만 현존하며, 에티엔 라모트의 프랑스어 번역, 겔롱마 카르마 미그메 초드론의 영어 번역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책 - 브라마스푸타싯단타
브라마스푸타싯단타는 7세기 인도 수학자 브라마굽타가 저술한 천문학과 수학 서적으로, 숫자 0의 개념을 명확히 기술하고 브라마굽타의 공식 등 수학적 개념을 담아 이슬람 세계 학문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인도의 책 - 교육받은 야만인
《교육받은 야만인》은 교육, 자유, 권위, 경쟁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지두 크리슈나무르티의 사상을 바탕으로 교육에서의 불만과 반항을 통해 자유를 얻고 권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며 경쟁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 불교 논서 - 명진
명진은 1975년 해인사에서 출가한 조계종 승려이자, 불교계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 활동을 펼쳐온 사회 운동가이다. - 불교 논서 - 직지심체요절
《직지심체요절》은 백운화상이 저술하고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간행된 불교 서적으로,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대지도론 | |
---|---|
개요 | |
제목 (산스크리트어)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마하-프라즈냐파라미타-샤스트라) |
제목 (산스크리트어 약칭) | Mahā-prajñāpāramitā Sūtra (마하-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 |
언어 | 산스크리트어 |
저자 | 용수 |
추정 시기 | 3세기경 |
종교 | 불교 |
주석 대상 | 마하반야바라밀경 |
2. 성립과 전래
《대지도론》은 402년부터 406년까지 구마라집이 번역한 100권의 중국어 번역본으로만 전해진다.[5] 원본 인도어 텍스트는 10만 게(gāthās, 시구) 또는 320만 산스크리트어 음절로 구성되었으며, 구마라집은 이 원본을 3분의 2로 축약하여 100권의 중국어 번역본을 만들었다. 구마라집은 처음 34권을 완전히 번역했으며, 나머지 부분은 요약했다.[6]
번역에는 승예가 참여하여 번역 과정을 꼼꼼하게 검토하고 원본과 대조하는 역할을 했다. 진(Qin)나라 황제 요흥도 번역 작업에 참여했다.[1]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부분은 용수의 저작이며, 번역자인 구마라집이 해설을 위해 대폭적인 내용을 덧붙였다는 설이 널리 퍼져 있다.
2. 1. 저자 문제
전통적으로 이 텍스트는 인도 중관철학자 용수의 저작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용수의 저작이라는 전통적인 귀속에 반하여, 에티엔 라모트와 폴 데미에빌은 저자가 북서 인도 출신의 설일체유부 또는 근본설일체유부 학파의 불교 승려였으며, 아비달마에 정통했고, 이후 대승과 중관으로 개종하여 "설일체유부 아비달마에 대한 대승적 답변과 같은 방대한 주석 논문을 저술"했다고 결론 내렸다.[8] 이는 이 텍스트에 나타난 아비달마와 율장 자료가 북인도 설일체유부 전통과 일치하기 때문이다.[7] 이는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견해이다.[6] 라모트는 또한 이 텍스트의 저자가 쿠샨 제국 내의 지역 출신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내부 증거에 대해 언급했다.[8]그러나 히카타 류쇼는 이 텍스트에 용수에게 귀속될 수 있는 고대 핵심 자료(그리고 나중에 추가된 많은 양의 내용)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9] 히카타는 텍스트의 일부는 용수의 저작이지만, 또한 많은 "구마라집의 추가 또는 삽입"을 포함한다고 주장했다.[10] 한편, 중국 학자 인순은 전통적인 용수 귀속을 주장한다.[1] 최근 연구에서 저우포간은 대지도론이 구마라집의 제자이자 공동 번역가이며 필사생인 승예(352?-436?)의 편집의 산물이라고 주장했다.[1]
산스크리트어 원본이 현존하지 않고, 『중론』 등과 입장이 다르거나, 다른 산스크리트 문헌에 참조 기술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동명이인의 용수가 쓴 것이라거나, 용수에게 가탁하여 편찬되었다는 설도 있다.
3. 구성과 내용
대지도론은 100권(券) 90품(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티엔 라모트에 따르면, 두 개의 품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번째 시리즈의 52품은 인도 원본의 완전한 버전인 것으로 보이며, 두 번째 시리즈의 89품은 요약본인 것으로 보인다.[16]
이 논서는 설일체유부 아비달마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15] 소승 불교의 경전뿐만 아니라 법화경, 유마경, 십지경, 화엄경 등 다양한 대승 경전들을 인용하여 폭넓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12][13][14]
3. 1. 주요 내용 (에티엔 라모트와 카르마 미그메 초드론 번역본 기준)
에티엔 라모트와 카르마 미그메 초드론이 번역한 대지도론 첫 번째 시리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품부터 15품까지: ''반야바라밀다경 25,000송''의 서문 또는 ''니다나''(nidāna)에 대한 주석.[17]
- 제16품부터 30품까지: 여섯 가지 초월적인 덕목 또는 ''바라밀''에 초점을 맞춘 경전의 짧은 단락에 대한 광범위한 해설.[18]
- 제31품부터 42품까지: 열반으로 가는 길을 형성하는 수행과 부처의 속성을 주제로 다룬다. 여기에는 삼십칠조도품(''bodhipākṣikadharmas'')과 "길의 여덟 가지 보충적인 법(dharmas)"(세 가지 삼매와 네 가지 선정) 및 "길의 여섯 가지 다른 법"(아홉 가지 aṣubhasaṃjñās와 여덟 가지 'anusmṛtis')이 포함된다.[19][20]
- 제42품부터 48품까지: 보살의 길, 보리심, 공덕, ''abhijñas'', 공("십팔공" 十八空의 도식으로 가르쳐짐), 중관, 그리고 ''반야바라밀''의 수행(''śikṣā'')에 대해 논한다.[21]
- 제49품부터 52품까지: 보살의 서원(두 세트의 24가지 서원과 38가지 서원)과 인과관계, Dharmata, 천안(''divyacakṣu''), 그리고 사대 요소와 같은 추가 주제를 다룬다.[22]
3. 2. 기타 내용
대승 불교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며, ''반야바라밀''과 보살의 바라밀 등 기본적인 대승 교리를 설명하지만, 설일체유부 아비달마, 자타카 이야기, 초기 불교 경전의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11] 법화경, 유마경, 십지경, 화엄경 등 다양한 대승 경전과 여러 자타카 이야기, 아바다나 문학도 인용하고 있다.[13][14]일반적으로 용수가 기본적인 부분을 저술하고, 번역자인 구마라습이 해설을 위해 내용을 대폭 추가했다는 설이 널리 퍼져 있다. 한역본은 축어적인 주석이 이어지다가 대품반야경 서품 제1의 해석이 34권에서 끝나고 갑자기 요약본이 되는 점 등으로 미루어, 구마라습이 내용을 추가하고 가필했거나, 혹은 용수의 이름을 빌려 저술했다는 극단적인 설까지 제기되고 있다.
4. 영향
대지도론은 동아시아 삼론종(일본어: Sanron) 또는 중관학파의 중심 텍스트가 되었으며, 중국 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에 영향을 미쳤다.[4] 대지도론은 동아시아 불교 사상에 대한 일종의 대승 백과사전 역할을 했으며, 이는 티베트 불교에서의 ''아비사마야알람카라''(Abhisamayalamkara)의 위상과 유사하다.[6]
5. 번역
구마라집의 한역본(漢譯本)만이 현존한다.[23] 에티엔 라모트는 대지도론의 1/3을 Le Traité de la Grande Vertu de Sagesse|지혜의 훌륭한 덕에 관한 논문프랑스어으로 번역했다.[24] 겔롱마 카르마 미그메 초드론은 라모트의 프랑스어 번역을 바탕으로 영어 번역을 완성했다.[25] 비크슈 다르마미트라는 대지도론의 일부(제17장-30장)를 영어로 번역했다.[26] 일본어 및 한국어로도 번역 및 연구가 진행되었다.
참조
[1]
논문
The Problem of the Authorship of the Mahāprajñāpāramitopadeśa: A Re-examination
2004-10-19
[2]
웹사이트
Explanation of Arguments [Chapter I]
https://www.wisdomli[...]
2014-08-14
[3]
서적
Nāgārjuna's Philosophy as presented in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Charles E. Tuttle Company of Rutland, Vermont and Tokyo
1966
[4]
간행물
Philosophical Aspects of Sixth-Century Chinese Buddhist Debates on "Mind and Consciousness"
http://hup.sub.uni-h[...]
Hamburg University Press
2014
[5]
서적
Nāgārjuna's Philosophy as presented in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Charles E. Tuttle Company of Rutland, Vermont and Tokyo
1966
[6]
문서
Traditional Commentaries on the Larger Prajñāpāramitā
[7]
서적
Buddhist Saints in India: A Study in Buddhist Values and Orientations
[8]
서적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 III Chapters XXXI-XLII
2001
[9]
서적
The Buddhist Conquest of China: The spread and adaptation of Buddhism in Early Medieval China
Brill Archive
1959
[10]
서적
Suvikrāntavikrāmi-pariprcchā Prajñāpāramitā-Sūtra
Kyushu University Press
1958
[11]
논문
Is this me? A story about personal identity from the ''Mahāprajñāpāramitopadeśa'' / ''Dà zhìdù lùn''
https://www.tandfonl[...]
2021
[12]
서적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 II Chapters XVI-XXX
[13]
서적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 II Chapters XVI-XXX Composed by the Bodhisattve Nagarjuna and Translated by the Tripitakadharmacarya Kumarajiva of the Land of Koutcha Under the Later Ts'in
[14]
서적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Śākyamuni to Early Mahāyāna
https://scholarspac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0
[15]
서적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Śākyamuni to Early Mahāyā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0
[16]
서적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ume V Chapters XLIX – LII and Chapter XX (2nd series)
[17]
서적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 I Chapters I – XV
2001
[18]
서적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 II Chapters XVI-XXX
2001
[19]
서적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 III Chapters XXXI-XLII
2001
[20]
서적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 III Chapters XXXI-XLII
2001
[21]
서적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 IV Chapters XLII (continuation) – XLVIII
2001
[22]
서적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ume V Chapters XLIX – LII and Chapter XX (2nd series)
[23]
논문
Reviewed Work: The Six Perfections. An Abridged Version of E. Lamotte's French Translation of Nāgārjuna's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Chapters XVI-XXX by E. Lamotte, Nāgārjuna, Tadeusz Skorupski
2003
[24]
논문
Is this me? A story about personal identity from the ''Mahāprajñāpāramitopadeśa'' / ''Dà zhìdù lùn''
https://philpapers.o[...]
[25]
서적
The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of Wisdom of Nagarjuna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Vol. I Chapters I – XV
[26]
서적
Nagarjuna on the Six Perfections
Kalavinka press
2008
[27]
서적
Marvelous Stories from the Perfection of Wisdom
Kalavinka press
2008
[28]
웹사이트
WEB大正新修大蔵経目録(PDF)
https://www.daizoshu[...]
大蔵出版
[29]
백과사전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대지도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