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구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법구경은 부처가 설한 가르침을 담은 경구들을 모은 불교 경전으로, 팔리어, 간다리어, 산스크리트어 등 다양한 판본이 존재한다. 팔리어 법구경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여러 한역본과 티베트어 번역본도 있다. 법구경은 2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은 폭력, 애욕 등을 멀리하고 삼보에 귀의하여 선행을 실천하며 깨달음을 얻으라는 것이다. 막스 뮐러에 의해 1869년 처음 번역된 이후,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한국어 완역본으로는 법정 스님의 《진리의 말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경 - 명진
명진은 1975년 해인사에서 출가한 조계종 승려이자, 불교계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 활동을 펼쳐온 사회 운동가이다. - 불경 - 숫타니파타
숫타니파타는 초기 불교 경전 중 하나로, 부처의 설법을 모아 놓았으며, 석가모니 부처를 역사적 인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하고 출가 수행자의 삶과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강조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법구경 |
---|
2. 역사
법구경은 상좌부 문헌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21] 1855년 덴마크 학자 비고 파우스볼(Viggo Fausbøll)은 라틴어로 법구경의 비평판을 만들었는데, 이는 유럽 학계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진 팔리 경전에 대한 조사였다.[22]
법구경은 숫타 피타카의 쿠다카 니카야에 속하지만, 절반이 넘는 경구들은 팔리 대장경의 다른 부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8] 4세기 또는 5세기경 붓다고사가 쓴 것으로 알려진 주석서에는 각 경구에 대한 배경 이야기를 담은 305개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2. 1. 초기 역사
전통에 따르면, 법구경의 경구들은 붓다인 붓다가 여러 상황에서 직접 말한 것이다.[6] 글렌 월리스(Glenn Wallis)는 법구경이 부처의 가르침을 간결하고 명료한 경구로 추출하여 불교적 삶의 방식을 제공한다고 말한다. 그는 법구경의 기원이 기원전 3세기 인도 초기 불교 공동체가 부처의 원래 가르침을 속인화할 필요성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7] 팔리어 판본이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다른 여러 판본도 알려져 있다.[10]판본 종류 | 내용 |
---|---|
팔리 법구경 | 가장 오래된 기존 사본은 1500년경의 것이다. 편집자는 이름이 없다.[9] |
간다리어 법구경 | 달마굽타카 또는 카샤피야 계열의 것일 가능성이 있는 간다리어로 쓰여진 카로슈티 문자로 된 판본[11][12] |
파트나 법구경 | 불교 혼합 산스크리트어로 된 판본[13], 아마도 사마티야 종파의 것일 가능성이 높다[14] |
우다나바르가 | 뮬라 사르바스티바다 또는 사르바스티바다 경전으로 보이는 텍스트[15][16] |
산스크리트어 판본 | 3개의 판본 |
티베트어 번역본 | 전통 티베트 불교에서 인기가 많음[17] |
마하바스투 | 팔리 법구경의 사하사 바가와 비크후 바가의 경구와 유사한 록오타라바다 경전.[18] |
법구경(FaJuJing 法句經) | 4개의 중국어 저작; 이 중 하나는 팔리어 판본의 확장된 번역인 것으로 보이며, 전통적으로는 그다지 인기가 없었다. |
팔리 법구경, 간다리어 법구경, 우다나바르가를 비교한 브로(Brough, 2001)는 이 경전들이 공통적으로 330~340개의 경구, 16개의 장 제목 및 기본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는 세 경전이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지만, 이 세 경전 중 어느 하나가 다른 두 경전이 발전한 "원시 법구경"이었을 증거는 없다고 강조했다.[20]
2. 2. 다양한 판본
팔리어 법구경 외에도 간다리어 법구경, 파트나 법구경, 우다나바르가 등 다양한 판본이 존재한다.[10]- '''간다리어 법구경''' - 달마굽타카 또는 카샤피야 계열일 가능성이 있는 간다리어로 쓰여진 카로슈티 문자 판본.[11][12] 19세기 말 호탄 부근에서 뒤트르이유 드 랑과 러시아의 페트로프스키가 단편 일부를 입수했다.[33] 전체의 2/3에 해당하는 350개의 게송 정도가 남아 있다.[34] 팔리어본과 순서는 다르지만, 원래는 팔리어본과 마찬가지로 26장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35] 1990년대 이후 새로운 단편이 발견되었다.[36]
- '''파트나 법구경''' - 불교 혼합 산스크리트어로 된 판본으로, 사마티야 종파의 것일 가능성이 높다.[13][14] 산스크리트의 강한 영향을 받은 프라크리트로 쓰여졌다.[37]
- '''우다나바르가''' - 뮬라 사르바스티바다 또는 사르바스티바다 경전으로 보이는 텍스트.[15][16] 산스크리트어 판본 3개와 티베트어 번역본(전통 티베트 불교에서 인기가 많음)이 있다.[17]
- '''마하바스투''' - 록오타라바다 경전으로, 팔리 법구경의 ''사하사 바가''와 ''비크후 바가''의 경구와 유사하다.[18] 『마하바스투』에는 『법구경』의 “천”과 “비구”의 장을 인용한다.[38]
- '''법구경(FaJuJing 法句經)''' - 4개의 중국어 저작이 존재한다. 이 중 하나는 팔리어 판본을 확장 번역한 것으로 보이며, 전통적으로 그다지 인기가 없었다.
- * 위지난(Weizhinan)이 224년에 번역 및 편찬한 ''법구경(Faju jing)''
- * 법주(Faju)와 팔리(Fali)가 290-306년 사이에 편찬한 ''법구경 비유경(Faju piyu jing)''
- * 주포년(Zhu Fonian)이 383년에 번역한 ''추요경(Chuyao jing)''
- * 천희재(Tianxizai)가 980-999년 사이에 번역한 ''법구요송경(Faju yaosong jing)''[19]
- '''한역본''' - 위기난 등이 번역한 『법구경』(『대정장』210)과 법구·법립이 번역한 『법구비유경』(『대정장』211)[32]이 있다. 『법구비유경』은 게송에 인연비유담을 추가한 것이다.
- '''산스크리트어 경전 『우다나발가』(Udānavarga)''' - 설일체유부와 근본설일체유부에서 편찬한 것으로, 『법구경』과 『자설경』 등을 합쳐 놓은 것이다.[41] 한역으로는 축불념(竺佛念)이 번역한 『출요경』(대정장 212)과 천식재(天息災)가 번역한 『법집요송경』(대정장 213)이 있다. 티베트어 번역과 티베트어 번역 주석서도 현존한다.
- * (본게) 『Ched-du brjod-pa'i tshomssa』 - 린첸 초크(Rin-chen mchogbo), 비디야카라프라바(Vidyākaraprabhabo) 공역, 펠체크(Dpal brtsegsbo) 교정[42]
- * (주석서) 『Ched-du-brjod-pa'i tshoms-kyi rnam-par 'grel-pasa』 - 프라즈냐발만(Shes-rab go-chabo), 자날다나(Janardhanabo), 샤캬 로두(Śākya blo-grosbo) 공역[43]
- '''쿠차어(토카라어 B) 번역 단편'''이 있다.[44]
브로(Brough, 2001)는 팔리 법구경, 간다리어 법구경, 우다나바르가를 비교하여 이 경전들이 공통적으로 330~340개의 경구, 16개의 장 제목, 기본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는 세 경전이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지만, 이 세 경전 중 어느 하나가 다른 두 경전이 발전한 "원시 법구경"이었을 증거는 없다고 강조했다.[20]
3. 구성 및 내용
팔리어 법구경은 26개의 장(章)과 423개의 게송(偈頌)으로 구성되어 있다.[23][24] 각 장은 기쁨과 고통, 선행과 악행 등 상반된 개념을 다루는 주제들로 이루어져 있다.[25]
장 | 팔리어 | 영어 |
---|---|---|
1 | Yamaka-vaggo | Pairs (쌍) |
2 | Appamāda-vaggo | Heedfulness (정념) |
3 | Citta-vaggo | The Mind (마음) |
4 | Puppha-vaggo | Flowers (꽃) |
5 | Bāla-vaggo | Fools (어리석은 자들) |
6 | Paṇḍita-vaggo | The Wise (지혜로운 자들) |
7 | Arahanta-vaggo | The Arahats (아라한들) |
8 | Sahassa-vaggo | The Thousands (수천) |
9 | Pāpa-vaggo | Wickedness (악행) |
10 | Daṇḍa-vaggo | Violence (폭력) |
11 | Jarā-vaggo | Old Age (노년) |
12 | Atta-vaggo | Self (자아) |
13 | Loka-vaggo | The World (세상) |
14 | Buddha-vaggo | The Buddha (부처) |
15 | Sukha-vaggo | Happiness (행복) |
16 | Piya-vaggo | Affection (애정) |
17 | Kodha-vaggo | Anger (분노) |
18 | Mala-vaggo | Impurity (더러움) |
19 | Dhammaṭṭha-vaggo | The Righteous (법을 지키는 자) |
20 | Magga-vaggo | The Path (도) |
21 | Pakiṇṇaka-vaggo | Miscellaneous (잡다한 것) |
22 | Niraya-vaggo | The Nether World (지옥) |
23 | Nāga-vaggo | The Elephant (코끼리) |
24 | Taṇhā-vaggo | Craving (갈애) |
25 | Bhikkhu-vaggo | The Monk (승려) |
26 | Brāhmaṇa-vaggo | The Brahmin (브라만) |
팔리어판 『담마파다』는 팔리어 경전의 「소부」에 제2경으로 수록되어 있다.
한역으로는 위기난 등역 『법구경』(『대정장』210), 법구·법립역 『법구비유경』(『대정장』211) 등이 있지만, 팔리어판과는 배열 및 내용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31] 『법구비유경』은 게송에 인연비유담을 추가한 것이다.[32]
19세기 말 호탄 부근에서 간다라어판 단편 일부가 발견되었는데,[33] 전체의 2/3에 해당하는 350개 게송 정도가 남아 있다.[34] 팔리어 본과 순서는 다르지만, 원래는 26장으로 구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35] 1990년대 이후 새로운 단편이 발견되었다.[36]
그 외, 산스크리트의 강한 영향을 받은 프라크리트로 쓰여진 『Patna Dharmapada』라는 판이 있으며,[37] 『마하바스투』에는 『법구경』의 “천”과 “비구”의 장이 인용되어 있다.[38]
3. 1. 각 품의 구성
《법구경》의 각 품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기호 | 이름 | 한역 제목 | 한국어판 제목 |
---|---|---|---|
Yamaka-vaggapi Dhp1~Dhp20 | 쌍서품(雙敍品) 쌍요품(雙要品) | 한짝씩(對句)(법정) 대게(對揭)의 장(거해) 쌍의 품(전재성) 쌍을 이룸(김서리) 쌍(일아) | |
Appamāda-vaggapi Dhp21~Dhp32 | 방일품(放逸品) | 정진(不放逸)(법정) 마음 집중의 장(거해) 부지런히 닦음(법정1999) 방일하지 않음의 품(전재성) 방심하지 않음(김서리) 깨어 있음(일아) | |
Citta-vaggapi Dhp33~Dhp43 | 심의품(心意品) | 마음(법정)(김서리)(일아) 마음의 장(거해) 마음의 품(전재성) | |
Puppha-vaggapi Dhp44~Dhp59 | 화향품(華香品) | 꽃(법정)(김서리)(일아) 꽃의 장(거해) 꽃의 품(전재성) | |
Bāla-vaggapi Dhp60~Dhp75 | 우암품(愚闇品) | 어리석은 사람(법정)(일아) 어리석은 자의 장(거해) 어리석은 자의 품(전재성) 어리석은 자(김서리) | |
Paṇḍita-vaggapi Dhp76~Dhp89 | 현철품(賢哲品) 명철품(明哲品) | 어진 사람(법정) 지혜로운 사람의 장(거해) 지혜로운 사람(법정1999)(일아) 현명한 님의 품(전재성) 지혜로운 이(김서리) | |
Arahanta-vaggapi Dhp90~Dhp99 | 아라한품(阿羅漢品) 나한품(羅漢品) | 성자(阿羅漢)(법정) 아라하뜨의 장(거해) 깨달은 사람(법정1999) 거룩한 님의 품(전재성) 아라한(김서리)(일아) | |
Sahassa-vaggapi Dhp100~Dhp115 | 술천품(述千品) | 일천(千)(법정) 천(千)의 장(거해) 천 가지의 장(법정1999) 천(千)의 품(전재성) 천(千)(김서리) 일 천(일아) | |
Pāpa-vaggapi Dhp116~Dhp128 | 악행품(惡行品) | 악(법정)(김서리)(일아) 악(惡)의 장(거해) 악행(법정1999) 악의 품(전재성) | |
Daṇḍa-vaggapi Dhp129~Dhp145 | 도장품(刀杖品) | 폭력(법정)(김서리)(일아) 벌(罰)의 장(거해) 폭력의 품(전재성) | |
Jarā-vaggapi Dhp146~Dhp156 | 노모품(老芼品) | 늙음(법정)(김서리)(일아) 늙음의 장(거해) 늙음의 품(전재성) | |
Atta-vaggapi Dhp157~Dhp166 | 기신품(己身品) 애신품(愛身品) | 자기(법정)(김서리)(일아) 자기(自己)의 장(거해) 자기 자신(법정1999) 자기의 품(전재성) | |
Loka-vaggapi Dhp167~Dhp178 | 세속품(世俗品) | 세속(법정) 세상의 장(거해) 이 세상(법정1999) 세상의 품(전재성) 세상(김서리)(일아) | |
Buddha-vaggapi Dhp179~Dhp196 | 불타품(佛陀品) 술불품(述佛品) | 부처(법정) 붓다의 장(거해) 깨달은 님의 품(전재성) 깨달은 이(김서리) 붓다(일아) | |
Sukha-vaggapi Dhp197~Dhp208 | 안락품(安樂品) 안녕품(安寧品) | 안락(법정) 행복의 장(거해) 진정한 행복(법정1999) 안락의 품(전재성) 행복(김서리)(일아) | |
Piya-vaggapi Dhp209~Dhp220 | 애호품(愛好品) 호희품(好喜品) | 사랑하는 것(법정)(김서리) 쾌락의 장(거해) 사랑하는 자의 품(전재성) 애정(일아) | |
Kodha-vaggapi Dhp221~Dhp234 | 분노품(忿怒品) | 성냄(법정)(일아) 분노의 장(거해) 분노의 품(전재성) 화(김서리) | |
Mala-vaggapi Dhp235~Dhp255 | 진구품(塵垢品) | 더러움(법정)(김서리)(일아) 때(垢)의 장(거해) 티끌의 품(전재성) | |
Dhammaṭṭha-vaggapi Dhp256~Dhp272 | 주법품(住法品) 봉지품(奉持品) | 도를 실천하는 사람(법정) 올바름의 장(거해) 진리에 서있는 님의 품(전재성) 진리에 입각한 이(김서리) 진리에 서 있는 사람(일아) | |
Magga-vaggapi Dhp273~Dhp289 | 도행품(道行品) | 길(법정)(김서리)(일아) 길의 장(거해) 길의 품(전재성) 진리의 길(법정1999) | |
Pakiṇṇaka-vaggapi Dhp290~Dhp305 | 광연품(廣衍品) | 여러 가지(법정) 여러 가지의 장(거해) 다양한 것의 품(전재성) 여러 가지(법정1999)(김서리)(일아) | |
Niraya-vaggapi Dhp306~Dhp319 | 지옥품(地獄品) | 지옥(법정)(김서리)(일아) 지옥의 장(거해) 지옥의 품(전재성) | |
Nāga-vaggapi Dhp320~Dhp333 | 상유품(象喩品) | 코끼리(법정)(김서리)(일아) 코끼리의 장(거해) 코끼리의 품(전재성) | |
Taṇhā-vaggapi Dhp334~Dhp359 | 애욕품(愛欲品) | 애착(법정) 애욕의 장(거해) 갈애의 품(전재성) 갈애(김서리)(일아) 집착(법정1999) | |
Bhikkhu-vaggapi Dhp360~Dhp382 | 비구품(比丘品) 사문품(沙門品) | 수행승(법정)(김서리) 빅쿠의 장(거해) 수행승의 품(전재성) 비구(일아) | |
Brāhmaṇa-vaggapi Dhp383~Dhp423 | 바라문품(婆羅門品) 범지품(梵志品) | 바라문(법정) 브라흐마나의 장(거해) 바라문의 품(전재성) 브라흐만(김서리) 브라흐마나(일아) 존귀한 님의 품(전재성2014) | |
각 품은 쌍(對)을 이루는 게송, 마음, 꽃, 어리석은 자, 지혜로운 자, 깨달은 자, 천(千), 악, 폭력, 늙음, 자기, 세상, 부처, 행복, 사랑, 분노, 더러움, 진리, 길, 여러 가지, 지옥, 코끼리, 애착, 수행승, 바라문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팔리어 담마파다(Dhammapada)는 2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23개의 게송(Verse)을 담고 있다.[23][24]
장(Ch.) | 팔리어(Pali) | 영어(English) |
---|---|---|
1 | Yamaka-vaggo | 쌍(Pairs) |
2 | Appamāda-vaggo | 정념(Heedfulness) |
3 | Citta-vaggo | 마음(The Mind) |
4 | Puppha-vaggo | 꽃(Flowers) |
5 | Bāla-vaggo | 어리석은 자들 |
6 | Paṇḍita-vaggo | 지혜로운 자들(The Wise) |
7 | Arahanta-vaggo | 아라한들(The Arahats) |
8 | Sahassa-vaggo | 수천(The Thousands) |
9 | Pāpa-vaggo | 악행(Wickedness) |
10 | Daṇḍa-vaggo | 지팡이 |
11 | Jarā-vaggo | 노년(Old Age) |
12 | Atta-vaggo | 자아 |
13 | Loka-vaggo | 세상 |
14 | Buddha-vaggo | 부처 |
15 | Sukha-vaggo | 행복(Happiness) |
16 | Piya-vaggo | 사랑(Love) |
17 | Kodha-vaggo | 분노(Anger) |
18 | Mala-vaggo | 오점(Stains) |
19 | Dhammaṭṭha-vaggo | 담마를 지키는 자(One who stands by Dhamma) |
20 | Magga-vaggo | 도 |
21 | Pakiṇṇaka-vaggo | 잡다한 것들(Miscellaneous) |
22 | Niraya-vaggo | 지옥(The Underworld) |
23 | Nāga-vaggo | 코끼리(The Elephant) |
24 | Taṇhā-vaggo | 집착 |
25 | Bhikkhu-vaggo | 승려들(Monastics) |
26 | Brāhmaṇa-vaggo | 브라만들(Brahmins) |
3. 2. 주요 내용 (한국어판)
《법구경》은 불교 수행자가 지녀야 할 덕목에 대한 경구로 이루어져 있다. 폭력, 애욕 등을 멀리하고 삼보에 귀의하여 선한 행위로 덕을 쌓고 깨달음을 얻으라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판본에 따라 내용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한역(漢譯) 법구경은 서문과 39개의 품(品)으로 이루어져 있다.3. 3. 번역본
Dhammapadapi는 1869년 막스 뮐러에 의해 처음 영어로 번역된 이후,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6] 한국어 완역본으로는 법정 스님, 전재성, 거해 등의 번역본이 있다.- 법정 옮김, 《진리의 말씀: 法句經》(승주: 불일출판사), 1984.
- 거해 편역, 《법구경》(서울: 고려원), 제1권~제2권, 1992; 《법구경》(서울: 샘이깊은물), 제1권~제2권, 2003.
- 전재성 역주, 〈법구경〉, 《(빠알리대장경 쿳다까니까야)법구경-담마파다(Dhammapada): 진리의 말씀》(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8, 75~224쪽; 재판, 2012.
- 전재성 역주, 《법구경-진리의 말씀》(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4.
3. 3. 1. 한역본
삼국시대 오나라의 유기난(維祇難) 등이 《법구경》을 한문으로 번역하였다고 한다. 한역되면서 'Dhamma'는 법(法)으로, 'Pada'는 구(句)로 번역되었다.[6] 고려시대 팔만대장경에 한역본이 수록되었다.다음은 팔리어 판본을 확장 번역한 것으로 보이는 4개의 중국어 번역본이다.[19]
번역 시기 | 번역자 | 제목 |
---|---|---|
224년 | 위지난(Weizhinan) | 법구경(Faju jing) |
290-306년 사이 | 법주(Faju)와 팔리(Fali) | 법구경 비유경(Faju piyu jing) |
383년 | 주포년(Zhu Fonian) | 추요경(Chuyao jing) |
980-999년 사이 | 천희재(Tianxizai) | 법구요송경(Faju yaosong jing) |
3. 3. 2. 완역(중역)
1855년 덴마크 학자 비고 파우스볼(Viggo Fausbøll)이 라틴어로 법구경의 비평판을 제작했는데, 이는 유럽 학계에서 이러한 종류의 조사를 받은 최초의 팔리어 경전이다.[22] 이후 여러 학자들이 영어 번역본을 바탕으로 법구경을 중역했다. 우토마쓰 엔타이는 1933년 라디오로 『법구경』 강의를 하여 큰 호평을 받았으며,[40] 팔리어에서 일본어로 번역한 『법구경』이 유명하다. 나카무라 겐의 『붓다의 진리의 말씀・감흥의 말씀』은 「진리의 말씀」이 팔리어 『담마파다』, 「감흥의 말씀」이 산스크리트어 『우다나바르가』를 번역한 것이다.4. 현대적 의의
법구경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가르침을 담고 있다. 특히, 현대 사회의 갈등과 분열 속에서 법구경의 가르침은 개인의 내면적 평화와 사회적 화합을 이루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Buddhist Legends
[2]
웹사이트
Dhamma entry from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toda[...]
2008-11-25
[3]
웹사이트
Pada entry from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toda[...]
2008-11-25
[4]
문서
English translations of the Dhammapada
[5]
서적
(Unspecified work by Fronsdal)
[6]
서적
[7]
서적
[8]
서적
(Unspecified work by Geiger)
[9]
논문
Dhammapada, Dharmapada and Udanavarga: The Many Lives of a Buddhist Text
https://journal.equi[...]
2012-12-31
[10]
간행물
(Unspecified article)
Pali Text Society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Cone (1989) - Ancient Buddhist Texts
http://www.ancient-b[...]
2008-05-15
[14]
간행물
(Unspecified article)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Udānavarga : a collection of verses from the Buddhist canon compiled by Dharmatrāta
https://archive.org/[...]
[18]
서적
[19]
논문
Dhammapada, Dharmapada and Udanavarga: The Many Lives of a Buddhist Text
https://journal.equi[...]
2012-12-31
[20]
서적
[21]
서적
[22]
백과사전
Macmillan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Reference USA
[23]
서적
[24]
서적
[25]
웹사이트
The Dhammapada: A New Translation of the Buddhist Classic with Annotations
https://buddhiststud[...]
2024-01-02
[26]
웹사이트
Dhammapada 1-20: Yamaka-Vagga
https://bhantesuddha[...]
2024-01-02
[27]
서적
Relics, Ritual, and Representation in Buddhism: Rematerializing the Sri Lankan Theravada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경전
남전대장경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경전
법구비유경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A New Version of the Gāndhārī Dharmapada and a Collection of Previous-birth Stories: British Library Kharoṣṭhī Fragments 16 + 25
Univeristy of Washington Press
[37]
문서
Norman (1997) xx
[38]
문서
Norman (1997) xxi
[39]
불교경전
法句経
[40]
서적
原始仏典I 釈尊の生涯
東京書籍
[41]
문서
中村(1978) p.376
[42]
웹사이트
No.326 - Digital Database of Buddhist Tripitaka Catalogues
http://jinglu.cbeta.[...]
[43]
웹사이트
No.4100 - Digital Database of Buddhist Tripitaka Catalogues
http://jinglu.cbeta.[...]
[44]
문서
中村(1978) p.388
[45]
서적
心に怒りの火をつけない ブッダの言葉〈法句経〉で知る慈悲の教え
角川文庫
[46]
서적
법구경
홍익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