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7년 제국 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07년 제국 회의는 영국 국왕 에드워드 7세가 주최하고, 영국 총리 헨리 캠벨배너먼을 비롯한 영국 내각 구성원들과 각 식민지 총리들이 참석한 회의이다. 회의는 제국 내 협력, 자치 확대, 외교, 국방, 경제 협력 등을 논의했다. 주요 참가자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알프레드 디킨, 캐나다의 윌프레드 로리어, 트란스발 식민지의 루이스 보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07년 제국 회의 | |
---|---|
1907년 제국 회의 | |
회의 개최 장소 | 런던 |
회의 시작 날짜 | 1907년 4월 15일 |
회의 종료 날짜 | 1907년 5월 14일 |
이전 회의 | 1902년 식민지 회의 |
다음 회의 | 1911년 제국 회의 |
참석자 | |
영국 | 헨리 캠벨 배너먼 |
캐나다 | 윌프리드 로리에 |
호주 | 알프레드 디킨 |
뉴질랜드 | 조지프 워드 |
남아프리카 연방 | 루이스 보타 |
뉴펀들랜드 | 로버트 본드 |
주요 의제 | |
회의 주제 | 제국 내 상호 협력 강화, 특히 정치 및 경제적 유대 강화 |
결과 | 식민지 회의를 '제국 회의'로 명칭 변경 자치령 지위의 강화 상호 특혜 무역 논의 제국 국방 협력 강화 |
논의 사항 | 제국 내 상호 무역 관계 개선 (관세 문제 논의) 제국 국방 체계 강화 (해군 협력 및 상호 방위 논의) 자치령의 지위 향상 및 자치 확대 이민 문제 및 제국 내 인적 자원 관리 제국 회의의 조직 및 운영 개선 방안 |
2. 회의 배경
회의는 영국 국왕 에드워드 7세가 주최하고, 각 식민지 총리와 영국 내각 구성원들이 참석하였다.[3]3. 참가자
국가 이름 직함 영국 헨리 캠벨배너먼 경 총리 (의장) 엘긴 백작 식민지장관 에드워드 그레이 경 외무장관 트위트머스 경 해군장관 R. B. 홀데인 전쟁장관 H. H. 애스퀴스 재무장관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상무원장 시드니 벅스턴 우체장관 로어번 경 대법관 존 번스 지방정부위원장 존 몰리 인도장관 크루 경 추밀원 의장 윈스턴 처칠 식민지차관 알프레드 디킨 총리 윌리엄 라인 경 무역관세장관 윌프레드 로리어 경 총리 프레더릭 윌리엄 보든 경 민병국방장관 루이필리프 브로되르 해양수산장관 린더 스타 제임슨 총리 토머스 스마트 노동국장 프레더릭 로버트 무어 총리 루이스 보타 수상 리처드 솔로몬 경 총대표 뉴펀들랜드 식민지 로버트 본드 경 총리 뉴질랜드 식민지 조셉 워드 경 총리
3. 1. 영국 대표단
헨리 캠벨배너먼 경은 총리로서 1907년 제국 회의의 의장을 맡았다.[3] 회의는 영국 국왕 에드워드 7세가 주최하고 각국 총리와 각 내각 구성원들이 초청되어 진행되었다.[3] 캠벨배너먼 총리는 회의를 주재하며 제국 내 협력과 자치 확대 사이의 균형을 모색했다. 그는 자유당 소속으로, 자유주의적 정책을 통해 식민지 자치 확대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엘긴 백작은 식민지장관을 맡았다.[3] 에드워드 그레이 경은 외무장관이었다.[3] 트위트머스 경은 해군장관을, R. B. 홀데인은 전쟁장관을 맡았다.[3]
H. H. 애스퀴스는 재무장관이었고,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는 상무원장이었다.[3] 시드니 벅스턴은 우체장관을, 로어번 경은 대법관을 맡았다.[3] 존 번스는 지방정부위원장이었고, 존 몰리는 인도장관이었다.[3] 크루 경은 추밀원 의장을 맡았다.[3]
윈스턴 처칠은 당시 자유당 소속 식민지차관이었다.[3] 훗날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겨 총리가 되었다. (처칠은 제2차 세계 대전을 승리로 이끈 지도자이지만, 식민지 문제에 있어서는 다소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다.)
3. 1. 1. 헨리 캠벨배너먼 총리
헨리 캠벨배너먼 경은 총리로서 1907년 제국 회의의 의장을 맡았다.[3] 회의는 영국 국왕 에드워드 7세가 주최하고 각국 총리와 각 내각 구성원들이 초청되어 진행되었다.[3] 캠벨배너먼 총리는 회의를 주재하며 제국 내 협력과 자치 확대 사이의 균형을 모색했다. 그는 자유당 소속으로, 자유주의적 정책을 통해 식민지 자치 확대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3. 1. 2. 윈스턴 처칠 식민지차관
윈스턴 처칠은 당시 자유당 소속 식민지차관이었다.[3] 훗날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겨 총리가 되었다. (처칠은 제2차 세계 대전을 승리로 이끈 지도자이지만, 식민지 문제에 있어서는 다소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다.)
3. 2. 식민지 대표단
국가 | 이름 | 직함 |
---|---|---|
알프레드 디킨 | 총리 | |
윌리엄 라인 경 | 무역관세장관 | |
윌프레드 로리어 경 | 총리 | |
프레더릭 윌리엄 보든 경 | 민병국방장관 | |
루이필리프 브로되르 | 해양수산장관 | |
린더 스타 제임슨 | 총리 | |
토머스 스마트 | 노동국장 | |
|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Flag_of_the_Natal_Colony_1875-1910.svg|25x25픽셀]] 나탈 식민지 | 프레더릭 로버트 무어 | 총리 |
루이스 보타 | 수상 | |
리처드 솔로몬 경 | 총대표 | |
뉴펀들랜드 식민지 | 로버트 본드 경 | 총리 |
뉴질랜드 식민지 | 조셉 워드 경 | 총리 |
3. 2. 1. 알프레드 디킨 (오스트레일리아 총리)
알프레드 디킨은 총리로서 1907년 제국 회의에 참석했다.[3] 디킨은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추진하며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제적 자립을 강조하는 입장을 보였다.3. 2. 2. 윌프레드 로리어 (캐나다 총리)
윌프레드 로리어 경은 캐나다의 총리로서, 캐나다의 자치권 확대를 위해 노력했으며, 영국과의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데 힘썼다.3. 2. 3. 루이스 보타 (트란스발 식민지 총리)
루이스 보타는 트란스발 식민지의 수상으로 회의에 참석하였다.[3] 그는 남아프리카 전쟁 이후 영국과의 화해를 추구하며 트란스발 식민지의 자치와 재건을 위해 노력한 인물로 평가받는다.4. 주요 의제 및 논의 내용
4. 1. 제국 협력
4. 2. 외교 및 국방
4. 3. 경제 협력
5. 회의 결과 및 영향
6. 대한민국에의 시사점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Empire: A-J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2]
서적
The Colonial and Imperial Conferences, 1887-1911: A Study in Imperial Organization
https://academic.oup[...]
Longman
[3]
서적
The Imperial Conference: A History and Study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 Co
1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