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8년 선거법 개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18년 선거법 개정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에서 남성 투표권을 확대하고 여성에게 제한적인 선거권을 부여한 법안이다. 이 법은 21세 이상 모든 남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하고, 30세 이상 여성에게 재산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투표권을 부여했다. 이로 인해 유권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여성의 정치 참여가 확대되었지만, 여전히 남녀 간의 불평등이 존재했다. 이 법은 영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여성 참정권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8년 법 - 공통법
공통법은 과거 일본의 여러 법률 체계를 가진 지역 간의 법률 적용 관계를 규정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로, 민사 사건 준거법, 호적 이동, 법인, 소송 등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며, 특히 제2조는 법례를 준용하여 지역 간 법률 관계를 조정하고, 제3조는 호적 제도 차이로 인한 신분 행위 처리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1918년 법 - 리투아니아 독립법
리투아니아 독립법은 1918년 리투아니아 평의회가 리투아니아를 민주 국가로 재건하고 이전 국가 관계를 종료한다고 선언한 법안으로, 리투아니아 독립의 법적 근거이자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계승을 선언하여 현재 리투아니아의 법적 토대가 되었다. - 1918년 2월 -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서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서는 1918년 마아페에브에 의해 발표되어 에스토니아를 독립 민주 공화국으로 선포하고 국민에게 자유와 평등을 보장하는 원칙을 제시했으며, 이후 독립을 확고히 하고 국제적 승인을 받았으나 점령과 강제 합병 속에서도 독립 정신을 일깨워 1991년 완전한 독립을 되찾는 원동력이 되었다. - 1918년 2월 - 리투아니아 독립법
리투아니아 독립법은 1918년 리투아니아 평의회가 리투아니아를 민주 국가로 재건하고 이전 국가 관계를 종료한다고 선언한 법안으로, 리투아니아 독립의 법적 근거이자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계승을 선언하여 현재 리투아니아의 법적 토대가 되었다.
1918년 선거법 개정 | |
---|---|
법률 정보 | |
약칭 | 1918년 선거법 |
유형 | 법률 |
의회 | 영국 의회 |
정식 명칭 | 'An Act to Amend the Law with respect to Parliamentary and Local Government Franchises, and the Registration of Parliamentary and Local Government Electors, and the conduct of elections, and to provide for the Redistribution of Seats at Parliamentary Elections, and for other purposes connected therewith.' |
제정 연도 | 1918년 |
인용 | 7 & 8 Geo. 5. c. 64 |
발의자 | (정보 없음) |
적용 범위 | 영국 |
왕실 동의 | 1918년 2월 6일 |
발효일 | 1918년 2월 6일 |
대체 법률 | 1429년 기사 선거인법 1432년 기사 선거인법 1711년 선거 (사기 양도)법 1739년 의회 선거 (사기 양도)법 1744년 의회 선거법 1745년 의회 선거법 1763년 자유민 (입학)법 1780년 의회 선거법 1785년 의회 선거법 1793년 의회 선거법 1813년 의회 선거법 |
수정 법률 | 1695년 의회 선거법 |
개정 법률 | (정보 없음) |
관련 법률 | (정보 없음) |
폐지 법률 | 1928년 인민 대표 (동등 선거권)법 |
법률 현황 | 폐지됨 |
원문 | 법률 원문 보기 (legislation.gov.uk) |
법률 연혁 | (정보 없음) |
use_new_UK-LEG | (정보 없음) |
주요 내용 | |
주요 내용 | 영국의 선거 제도를 개혁하고, 여성에게 제한적인 참정권을 부여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1928년 선거법 |
2. 배경
1910년 12월 마지막 선거 이후, 1915년 선거가 예정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연기되었다. 전쟁이 끝나가면서 영국에서는 새로운 선거의 필요성이 커졌다.
1917년, 의회는 여성 투표권을 인정하는 법률 제정에 만장일치로 합의했고, 내무장관 제1대 케이브 자작 조지 케이브가 법률안을 제출했다. 1917년 6월 19일 하원에서 385 대 55로 법안이 통과되었지만, 상원 통과는 불확실했다. 제1대 커즌 오브 케들스턴 후작 조지 커즌은 전국여성참정권반대연맹 회장이었지만, 하원과의 충돌을 원치 않아 법안에 반대하지 않았다. 결국 상원에서도 134 대 71로 법안이 통과되었다.
제1대 케이브 자작 조지 케이브는 "모든 계층의 동포들이 벌인 전쟁은 우리를 더 가깝게 만들었고, 사람들의 눈을 뜨게 했으며, 모든 면에서 오해를 제거했습니다."라고 말하며, 선거권 확대의 정당성을 강조했다.[16]
2. 1. 19세기 영국의 선거권 확대
1884년 선거법 개정으로 영국에서 21세 이상 남성 세대주 60%가 투표권을 얻었지만, 여전히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포함한 40%는 투표권을 행사하지 못했다.[9]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돌아온 수백만 명의 군인들이 투표권을 얻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당시 영국은 1910년 영국 총선 이후 1915년에 총선을 치러야 했지만, 전쟁 때문에 연기되어 전쟁이 끝나면 총선을 시급히 시행해야 했다.한편, 1884년 이후에도 여성의 투표권은 여전히 인정되지 않았다. 1865년 켄징턴의 인도 학자 샬럿 매닝의 집에서 바버라 보디숀, 에밀리 데이비스, 엘리자베스 가렛 앤더슨 등이 모여 비공식 위원회를 결성하고 청원서 초안 작성 및 서명 운동을 벌였다. 1896년 존 스튜어트 밀은 여성의 종속을 출판하여, 결혼에서 여성의 역할 변화, 여성 삶의 세 가지 측면(성 구성, 교육, 결혼)을 다루고, 여성 억압이 인류 진보를 방해하는 고대 사회의 편견이라고 주장했다.[10][11][12]
여성선거권론자들은 전쟁 전부터 여성의 대표권을 주장했지만, 에멀린 팽크허스트와 여성 사회 정치 연맹의 폭력적인 선동에도 불구하고 큰 변화는 없었다.
2. 2. 여성 참정권 운동의 전개
1865년 샬럿 매닝의 집에서 바버라 보디숀, 에밀리 데이비스, 엘리자베스 가렛 앤더슨 등이 모여 켄싱턴 소사이어티를 중심으로 여성 참정권 청원서 초안을 작성하고 서명을 모으는 비공식 위원회를 결성했다. 1869년 존 스튜어트 밀은 ''여성의 종속''을 출판하여 여성 참정권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여성의 억압이 인류 발전을 저해하는 심각한 편견이라고 주장하며, 여성에게도 남성과 동등한 권리가 주어져야 한다고 역설했다.[10][12]에멀린 팽크허스트와 여성 사회 정치 연맹 등 여성 참정권 단체들은 폭력적인 선동을 포함한 적극적인 운동을 전개했지만, 전쟁 전에는 큰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1917년 밀리센트 포셋은 의장 회의에서 여성 선거권 문제를 주요 의제로 제기했다.[14] 그는 전쟁으로 인해 영국에 남성보다 여성이 150만 명 더 많지만, 여성은 선거에서 연령 제한을 받는다는 사실에 좌절했다. 포셋은 영국이 논리가 아니라 의회에 의해 통치된다는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말을 상기하며 여성 참정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3. 법률 제정 과정
1917년 6월 19일, 인민 대표법(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법안은 하원에서 385 대 55의 다수로 통과되었다.[22] 이 법안은 상원을 통과해야 했는데, 여성 참정권 반대 국민 연맹 회장이었던 제1대 케즐스턴 후작 조지 커존은 하원과의 충돌을 우려하여 법안에 반대하지 않았다.[23] 그가 대변인 역할을 거부하자 상원의 다른 많은 법안 반대자들은 기력을 잃었고, 법안은 134 대 71표로 통과되었다.[24]
3. 1. 하원과 상원의 논의
1917년 6월 19일, 인민 대표법(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법안은 하원에서 385 대 55의 다수로 통과되었다.[22] 이 법안은 상원을 통과해야 했지만, 여성 참정권 반대 국민 연맹 회장이었던 제1대 케즐스턴 후작 조지 커존은 하원과의 충돌을 우려하여 법안에 반대하지 않았다.[23] 그가 대변인 역할을 거부하자 상원의 다른 많은 법안 반대자들은 기력을 잃었다. 이 법안은 134 대 71표로 통과되었다.[24]4. 법률의 주요 내용
1918년 인민 대표법은 남성의 거의 모든 재산 자격을 폐지하고, 최소한의 재산 자격을 충족하는 30세 이상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함으로써 선거권을 확대했다.[17] 여성의 선거권 부여는 여성 국방 노동자의 기여를 인정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여성은 여전히 정치적으로 남성과 동등하지 못했다. 완전한 선거 평등은 1922년 아일랜드에서 달성되었지만, 영국에서는 1928년 인민 대표법 (동일 선거권) 법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17]
이 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1세 이상 모든 남성은 거주하는 선거구에서 투표권을 얻었다. 1차 세계 대전 복무 중 19세가 된 남성도 투표할 수 있었으며, 1920년 인민 대표법에서 제대 후에도 투표권이 있음을 명확히 했다.[17]
- 30세 이상 여성은 과세 가치가 5GBP를 초과하는 토지 또는 건물의 등록된 재산 점유자(또는 등록된 재산 점유자와 결혼한 경우), 주택 소유자, 법적 무능력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또는 대학교 선거구에서 투표하는 졸업생인 경우 투표권을 받았다.[17]
- 일부 선거구는 산업 도시에 재분배되었다. 아일랜드의 선거구는 1918년 선거구 재분배(아일랜드) 법에 의해 별도로 수정되었다.
- 모든 선거는 지정된 날짜에 치러지도록 변경되었다.[18]
- 선거 관리 비용은 처음으로 재무부에서 지불하도록 했다.[1]
이 법은 840만 명의 여성과 560만 명의 남성을 선거권자에 추가하여, 영국 개혁 법안 중 가장 큰 규모의 유권자 확대를 가져왔다.
4. 1. 남성 참정권 확대
1918년 선거법 개정에 따라 21세 이상 모든 남성은 자신이 거주하는 선거구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17] 또한, 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군인 중 19세 이상인 남성에게도 투표권이 주어졌으며, 제대 후에도 투표권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1920년 인민 대표법을 통해 인정되었다.[17]4. 2. 여성 참정권 도입
30세 이상 여성은 본인 혹은 배우자가 5GBP를 초과하는 토지나 건물을 가지고 있으면 거주하는 선거구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었으며, 대학 졸업생은 대학교 선거구에서 투표할 수 있었다.[17] 전쟁 동안 여성의 기여가 인정되어 투표권이 인정받은 건 고무할 만한 것이었지만 여전히 남성과의 차별이 존재했다. 1922년 아일랜드가 선거에서 남녀간의 평등을 이룩했지만 영국은 1928년 인민 대표법 (동일 선거권) 법에 가서야 이것이 이루어졌다.[17]4. 3. 기타
이 법은 모든 선거를 지정된 날짜에 치르도록 규정했다.[18] 이전에는 여러 날에 걸쳐 다른 선거구에서 선거가 치러졌다.선거 관리인이 부담하는 비용은 처음으로 재무부에서 지불하도록 했다.[1] 1918년 총선거 이전에는 행정 비용을 후보자가 경비 외에 추가로 지불해야 했다.
5. 정치적 변화와 영향
1918년 선거법 개정으로 유권자 수가 크게 늘어나고 여성 참정권이 인정되는 등 정치 지형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모든 선거가 하루에 치러지도록 변경되었으며,[18] 연간 선거인 명부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완전한 ''1인 1표'' 제도가 확립된 것은 아니었다. 1918년 선거에서 인구의 7%가 복수 투표를 했는데, 이는 대학 선거구를 통해 추가 투표권을 얻은 중산층 남성이거나 다른 선거구에 사업장을 가진 경우였다. 이 법은 잉글랜드 연합 대학교 의석을 만들어 대학 투표를 늘렸다.[28]
5. 1. 유권자 수 증가
1912년 770만 명이었던 유권자 수는 1918년 말 2,140만 명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여성은 전체 유권자의 39.64%를 차지했다. 전쟁으로 인해 남성보다 여성의 수가 더 많았기 때문에 기득권층은 여성 유권자가 다수가 될 것을 우려하여 여성에게만 30세 연령 제한을 두었다. 제1대 세실오브첼우드 자작 로버트 세실이 인정했듯이, 25세 여성이 35세 여성보다 투표 능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19][21]5. 2.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
1918년 의회(여성 자격)법 통과로 여성은 의회에 선출될 수 있게 되었다.[3] 1918년 총선에서 신 페인 후보 콘스탄스 마르키에비치가 더블린 세인트 패트릭에서 유일하게 당선되었으나, 당의 불참 정책에 따라 웨스트민스터가 아닌 더블린의 다일 에이렌(제1 다일)에 참여했다.[26]1919년 11월 28일 플리머스 서턴에서 연립 보수당 국회의원으로 선출된 낸시 애스터는 1919년 12월 1일 최초로 하원 의석을 차지한 여성 의원이 되었다.[27]
여성은 내각 각료가 될 권리도 얻었다. 최초의 여성 내각 장관이자 추밀원 구성원은 노동당의 마가렛 본드필드로, 1929년부터 1931년까지 노동부 장관을 역임했다.[3]
6. 한계와 의의
1918년 선거법 개정은 여성 참정권 운동의 중요한 성과였다. 이 법으로 840만 명의 여성이 처음으로 투표권을 얻었고, 콘스턴스 마르키에비치는 영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비록 마르키에비치는 신페인당의 정책에 따라 웨스트민스터 의회에 불참했지만, 이는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이 법은 여성에게 피선거권과 함께 내각 각료가 될 권리도 부여했다. 마가렛 본드필드는 1929년 영국 최초의 여성 각료(노동부 장관)가 되어 1931년까지 재임하며 여성의 정치적 지위 향상에 기여했다.
6. 1. 한계
1918년 선거법 개정은 여성의 참정권을 인정했지만, 남성과 동등한 수준은 아니었다. 여성은 30세 이상이면서 재산 자격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1] 반면 남성은 21세 이상이면 재산 자격과 관계없이 투표권을 가질 수 있었다.[1]또한 일부 유권자는 복수 투표권을 행사하여 1인 1표 원칙이 완전히 실현되지 않았다. 1918년 총선에서 전체 유권자의 7%가 복수 투표를 했는데, 이들은 대부분 지역 선거구와 대학 선거구에서 모두 투표권을 가진 중산층 남성이었다.[4]
6. 2. 의의
1918년 선거법 개정은 여성의 선거권뿐만 아니라 피선거권도 인정하였다. 이 선거법에 따라 처음 시행된 1918년 영국 총선에서 840만 명의 여성들이 투표권을 행사했으며, 몇몇 여성은 직접 선거에 참여하였다. 하지만 당선된 것은 콘스턴스 마르키에비치 한 명뿐이었다. 그러나 콘스턴스 마르키에비치는 당의 규정에 따라 웨스트민스터가 아니라 더블린에서 의석을 차지했다.여성들은 피선거권뿐 아니라 내각의 각료가 될 권리도 얻었는데, 최초로 여성 각료가 된 사람은 노동당의 마가렛 본드필드였다. 마가렛 본드필드는 1929년부터 1931년까지 노동부 장관직을 역임했다.
이 선거법에도 한계점은 있었다. 여전히 영국 시민들은 동등한 한 표의 권리를 가지지 못했다. 1918년 총선에서도 전체 유권자의 7%가 복수 투표를 했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지역 선거구와 대학 선거구에서 모두 투표권을 행사했던 중산층 남성들이었다.
참조
[1]
논문
Money and the real impact of the Fourth Reform Act
2010-03-25
[2]
뉴스
6 February 1918: Women get the vote for the first time
http://www.bbc.co.uk[...]
BBC
2018-02-06
[3]
웹사이트
https://www.parliame[...]
2024-08
[4]
서적
The British Women's Suffrage Campaign 1866–1928: Revised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5-12
[5]
서적
British Electoral Facts 1832-2012
Biteback Publishing
2012-11-30
[6]
서적
Britain, 1846–1964: The Challenge of Chan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
논문
Laying the Foundations of the Modern Voting System: The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918
https://doi.org/10.1[...]
2011-01-24
[8]
서적
Citizenship in Britain: A Histor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6
[9]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Britain in the Nineteenth Century, 1815–1914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
[10]
문서
The Subjection of Women
[11]
문서
John Stuart Mill: critical assessments
[12]
서적
The subjection of women
Blackwell Publishing
2005
[13]
웹사이트
John Stuart Mill and the 1866 petition
https://www.parliame[...]
2018-02-05
[14]
웹사이트
https://www.parliame[...]
2024-08
[15]
서적
The Women's Victory and After - Personal Reminiscences, 1911-1918
https://archive.org/[...]
Sidgwick & Jackson
1920
[16]
간행물
Hansard HC Debs (22 May 1917) vol 93, C 2135
http://parlipapers.p[...]
2017-02-17
[17]
서적
The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s, 1918 to 1921 : With explanatory notes
https://archive.org/[...]
Sweet and Maxwell
1922
[18]
웹사이트
Why are British elections always held on Thursdays?
https://www.theguard[...]
2017-04-10
[19]
웹사이트
Electoral Registers Through The Years
http://www.electoral[...]
2015-07-27
[20]
웹사이트
The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918: Votes for (some) women, finally
https://blog.nationa[...]
2018-06-15
[21]
간행물
Hansard
https://hansard.parl[...]
1918-11-06
[22]
웹사이트
CLAUSE 4.—(Franchises (Women).) (Hansard, 19 June 1917)
https://api.parliame[...]
1917-06-19
[23]
논문
Politicians and the Women's vote, 1914–1918
1974
[24]
웹사이트
History Learning Site: The 1918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http://www.historyle[...]
2009-01-28
[25]
웹사이트
General Election Dates 1832-2005
http://researchbrief[...]
House of Commons Library
2007-11-15
[26]
ODNB
Markievicz [née Gore-Booth], Constance Georgine, Countess Markievicz in the Polish nobility
[27]
뉴스
From the archive, 2 December 1919: First Woman Member
https://www.theguard[...]
2010-12-02
[2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