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원은 국가의 입법부에서 하원과 함께 양원제를 구성하는 의회 기구이다. 상원은 국가의 정치 체제에 따라 하원보다 권한이 적거나 동등한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의원 구성 방식, 임기, 대표성 등에서 하원과 차이를 보인다. 상원의 주요 역할은 법률안 심사, 행정부 견제, 대표성 확보 등이며, 각국은 자국의 정치 체제에 맞게 상원을 운영하고 있다. 상원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일부 국가에서는 폐지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은 상원을 별도로 두지 않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입법부 - 면책특권
    면책특권은 의회 의원의 자유로운 의정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로, 발언 및 표결에 대한 면책과 체포·구금으로부터의 면책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역사적으로 왕권 또는 독재 정권의 탄압으로부터 의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왔고, 현대에는 의회의 독립성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지만, 특권 남용 논란으로 인해 각국은 면책특권 제도를 다르게 운영하며 개선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 입법부 - 의회 제도
    의회 제도는 국가의 입법 기관으로, 양원제와 단원제로 나뉘며, 대한민국은 단원제를 채택하여 법률 제정, 예산 심의, 정부 견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상원
지도
개요
정의양원제 의회에서 국민을 직접 대표하는 의원으로 구성된 하원과는 다른 선출 방식으로 선출된 의원으로 구성된 의원
명칭참의원, 원로원, 귀족원 등
특징
역할하원과 함께 입법 과정에 참여하며, 국가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
구성각계각층의 의견을 대표하는 다양한 인물들로 구성
하원보다 더 폭넓은 시각과 경험을 반영
선출 방식직접 선거, 간접 선거, 임명 등 다양한 방식
국가별로 상이한 특징
권한하원에서 통과된 법안을 검토하고 수정
국가 원수 선출 및 탄핵 절차에 참여
헌법 개정 등에 대한 권한
종류
참의원참의원
원로원원로원
귀족원귀족원
기능
입법 기능하원에서 넘어온 법안을 심의하고 수정할 수 있는 권한
견제 기능하원의 독주를 견제하고 균형을 맞추는 역할
대표 기능지역 또는 계층의 의견을 대변
숙의 기능하원보다 더욱 신중하고 폭넓은 논의 진행
역사
기원고대 로마의 원로원에서 비롯
발달봉건 시대의 귀족 회의에서 유래
근대 의회 제도의 발달과 함께 양원제가 정착
국가별 상원
미국미국 상원
영국영국 상원
프랑스프랑스 상원
일본일본 참의원
대한민국대한민국에는 상원 없음
참고
관련 용어양원제
하원
의회

2. 상원의 특징

상원은 하원과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지위''':
  • * 상원 의원은 하원 의원과 다른 방식으로 선출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상원 의원이 직접 선출되지 않고, 간접 선출, 직권 또는 임명될 수 있다.
  • * 인구가 적은 주, 지방 또는 행정 구역이 하원보다 상원에서 더 잘 대표될 수 있으며, 대표성이 항상 인구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 * 상원 의원의 임기는 하원 의원보다 길 수 있으며, 종신직일 수도 있다.
  • * 상원 의원은 단계적 임기로 한 번에 모두 선출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선출될 수 있다.
  • * 일부 국가에서는 상원을 해산할 수 없거나, 하원보다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해산할 수 있다.
  • * 일반적으로 하원보다 의원 수나 의석 수가 적고, 후보 자격 연령이 높다.


양원제 의회를 가진 국가에서는 국정기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각 의원에게 다른 성격을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하원 의원은 '국민(서민)의 대표'라는 성격을 가지며,[7] 선출은 인구에 비례하여 이루어진다. 반면 상원 의원은 '지역 대표', '주(州) 대표', '연방 구성 단위 대표', '직역이나 사회 집단 대표'(직능의회), 귀족 제도가 있는 국가에서는 '계급 대표' 등과 같은 성격을 가지며, 선출이 반드시 인구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의회 민주주의 발상지이자 현재도 귀족 제도가 남아 있는 영국에서는 과거 상원이 전통적 귀족이나 대지주로만 구성되었지만, 현재는 일대귀족이나 전 삼권의 장, 요직 경험자, 선출된 유식자 등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귀족원'으로서의 성격은 희미해지고 '전문가 집단원'적인 양상을 보인다.

상원과 하원이 상하 관계처럼 보이지만, 상하원이 대등하거나 일본처럼 하원인 중의원에 우위성이 인정되는 등 상하 관계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의회도 많아, 반드시 말 그대로의 상하 관계가 되는 것은 아니다.

상원과 하원의 호칭은 계급층이 상위인 사람으로 구성되어 온 역사를 가진 의회를 상원, 상대적으로 하위에 해당하는 계급층으로 구성되어 온 역사를 가진 의회를 하원이라고 부르는 사례가 많다. (일본의 경우 참의원의 전신이 귀족원인 것 등) 특히 영국이나 일본처럼 입헌군주제 국가에서 역사적으로 귀족 신분을 가진 자가 정치 중심에 있다가 서민으로 옮겨온 경위를 가진 국가는 그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고대 로마를 원천으로 하는 서양 문명을 계승하는 영국, 프랑스, 스페인, 미국 등 구 종주국이나, 그것들이 지배했던 구 식민지에서 20세기에 독립한 많은 국가에서는 고대 로마 공화정 시대(기원전 6세기~)의 "원로원 (라틴어: Senatus)"이라는 말에 유래하는 말을 상원의 공식 명칭으로 한다.

'상원(upper house)'과 '하원(lower house)'이라는 말은 미국의 수도가 필라델피아였던 시절, 의회가 사용했던 2층 건물(현재의 독립기념관)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의원 수가 많은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이 1층(lower house)을, 의원 수가 적은 상원(Senate)이 2층(upper house)을 사용했던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일본의 참의원은 상원에 해당하며, 다른 나라 상원처럼 '지역 대표'나 '계급 대표'와 같은 성격보다는 중의원과 마찬가지로 '국민 대표'라는 성격이 강하다. 의원 정수는 인구에 따라 변하며, 전국을 도도부현으로 나눈 '선거구[8]'와 전국을 하나의 선거구로 한 '비례대표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다.[9] 각 의원의 임기는 6년이지만, 3년마다 절반을 개선하는 방식이므로, 중의원 해산과 중복될 경우에도 참의원 의원의 절반은 국회에 존재하게 된다.

2. 1. 권한

상원의 권한은 국가의 정치 체제에 따라 다르다.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하원보다 권한이 적은 경우가 많다. 반면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하원과 동등하거나 거의 동등한 권한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준대통령제 국가에서는 하원보다 권한이 적을 수 있지만, 헌법이나 지방 자치 관련 사항에서는 동등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13]

정치 체제상원의 권한 및 특징
의원내각제
대통령제
준대통령제



의회주의 국가에서 상원은 종종 자문 기관으로 여겨지며, 직접적인 행동 권한은 제한적이다.[2]


  • 행정부에 대한 통제력 부족 (미국 등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상원이 대통령의 고위직 임명 승인 권한을 통해 행정 통제력 강화)
  • 법률 제안에 대한 절대 거부권 없음 (유예 거부권은 허용)
  • 법률 거부권이 있는 경우(네덜란드 등) 제안 수정 불가
  • 법률 제정 역할 축소 또는 부재
  • 예산안 또는 예산 조치 저지 권한 없음 (예외: 1975년 호주 상원)


이탈리아 상원은 예외적으로 하원과 동등한 권한을 가지며, 법안 제안 및 승인, 정부 동의 획득 등에서 “완전 양원제” 또는 “균등 양원제”를 따른다.

영국의 상원인 상원 의원들의 회의장


인도 의회 상원인 상원 의회(라자야 사바)의 회의장


개정 기관으로서 상원은 하원에서 성급하게 작성된 법률을 면밀히 조사하고 수정안을 제안할 수 있다. 영국의 상원이 그 예시이다. 1911년 의회법 및 1949년 의회법에 따라 상원은 대부분의 법안 통과를 막을 수 없지만, 토론과 수정안 제안을 통해 법안 통과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의회법 사용 전에는 최대 1년, 경제 법안은 한 달까지 지연 가능하다.

상원은 영국의 비성문헌법과 시민의 자유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원은 상원이 통과시킨 수정안을 수용할 수 있지만, 때로는 헌법적 대치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1999년 노동당 정부의 세습 귀족 축출 시도에 상원이 정부 입법 의제 파괴로 위협한 사례가 있었으며, 이는 1999년 상원법의 위더릴 수정안으로 타협되었다.

상원의 반대는 하원이 논란이 되는 조치를 재고하거나 포기할 기회를 제공하며, 법안을 지연시켜 입법 일정에 차질을 빚게 할 수도 있다.

일부 국가는 강력한 상원을 유지하며, 법률에 대한 상원의 동의가 필요할 수 있다. 강력한 상원을 가진 국가의 헌법 체제에는 양원 간 의견 불일치 해결 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 의회 제도에서는 상원의 권한이 약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일부 상원은 폐지되거나 권한이 축소되었다. 또한, 상원은 경솔하거나 당파적인 이유로 정부 업무를 방해해서는 안 된다는 관례가 강화되는 추세이다.

대통령제에서 상원은 권한 제약을 보상하기 위해 다른 권한을 받는다.

  • 내각 및 기타 공직에 대한 행정부 임명에는 상원의 승인이 필요
  • 상원은 외국 조약의 비준과 폐기를 승인할 수 있는 독점적 권한 보유

2. 2. 지위

상원 의원은 일부 국가에서는 직접 선출되지 않고, 간접 선출, 직권 또는 임명될 수 있다. 상원 의원은 하원 의원을 선출하는 방식과 다른 투표 방식으로 선출될 수 있으며, 인구가 적은 주, 지방 또는 행정 구역이 하원보다 상원에서 더 잘 대표될 수 있다. 대표성이 항상 인구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상원 의원의 임기는 하원 의원보다 길 수 있으며 종신직일 수도 있다. 상원 의원은 단계적 임기로 일시에 모두 선출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선출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상원을 해산할 수 없거나 하원보다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해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원은 하원보다 의원 수 또는 의석 수가 적으며, 후보 자격 연령이 하원보다 높다.

상원 의원 구성 방식은 직접 선거, 간접 선거, 임명 또는 이들의 혼합 방식 등 다양하다. 많은 상원은 국가 원수, 정부 수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임명되는데, 이는 선거로는 당선되지 않을 전문가 또는 뛰어난 시민으로 구성된 의회를 만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캐나다 상원 의원은 총리의 자문에 따라 총독이 임명한다.

과거에는 일부 상원의 의석이 세습되기도 했다. 1999년까지 영국의 상원(House of Lords)과 1947년 폐지될 때까지 일본의 귀족원(House of Peers)이 그 예이다.

상원이 주 정부 또는 지방 관리가 선출한 대표들로 구성되는 것도 일반적이다. 인도의 라자야 사바(Rajya Sabha) 의원들은 각 주와 연방 직할지에서 지명되며, 12명은 인도 대통령이 지명한다. 주 단위에서는 주 입법 평의회(Vidhan Parishad) 의원 3분의 1이 지방 정부에서, 3분의 1이 현직 입법의원들에 의해 지명되고, 나머지는 선거인단의 일부 구성원에 의해 선출된다. 미국 상원은 1913년 제17조가 통과될 때까지 주 의회에서 선출되었다.

상원은 직접 선거로 구성될 수 있지만, 하원과는 다른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미국의 상원은 인구에 관계없이 각 주에서 고정된 수의 의원을 선출한다. 프랑스에서는 간접선거 제도로 선출되고, 캐나다에서는 총독이 임명하며, 독일에서는 주정부가 대표자를 임명한다.

3. 상원의 역할

상원은 국가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의회주의 국가에서 상원은 주로 자문 기관이나 심사 기관으로 여겨져 직접적인 행동 권한은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2] 예를 들어 행정부 통제력 부족, 법률 제안에 대한 절대 거부권 없음, 예산안 저지 권한 없음 등의 제한이 있다.[2]

그러나 이탈리아 상원처럼 하원과 동등한 권한을 가진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어떤 법안이든 상원이나 하원에서 제안될 수 있으며, 양원 모두에서 같은 형태로 승인되어야 한다. 또한 정부는 집권을 유지하기 위해 양원의 동의를 모두 얻어야 한다.[2]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상원이 행정부 임명 동의권, 조약 비준 및 폐기 권한 등 의회주의 국가보다 더 강한 권한을 갖는 경우도 있다.

양원제 의회를 가진 국가에서는 각 의원에게 다른 성격을 부여하여 국정기관의 중복을 피한다. 일반적으로 하원 의원은 ‘국민(서민)의 대표’라는 성격을 가지며[7], 인구에 비례하여 선출된다. 반면 상원 의원은 ‘지역 대표’, ‘주(州)의 대표’, ‘연방 구성 단위 대표’, ‘직능 대표’, 또는 귀족 제도가 있는 국가에서는 ‘계급 대표’ 등의 성격을 가지며, 인구 비례와 다르게 선출될 수 있다.

의회 민주주의 발상지인 영국에서는 과거 상원이 전통적 귀족이나 대지주로만 구성되었지만, 현재는 일대귀족이나 전직 삼권의 장, 요직 경험자, 선출된 유식자 등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전문가 집단’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상원과 하원이 상하 관계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대등하거나 일본처럼 하원인 중의원에 우위성이 인정되는 등 상하 관계가 역전되는 경우도 많다.

일본참의원중의원과 마찬가지로 “국민 대표” 성격이 강하며, 의원 정수는 인구에 따라 변하고, 전국을 도도부현으로 나눈 “선거구[8]”와 전국을 하나의 선거구로 한 “비례대표 선거구”로 구성된다.[9]

3. 1. 견제와 균형

상원은 하원과 함께 법을 만드는 일을 하며, 서로를 견제하고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상원은 하원의 결정을 견제하고, 꼼꼼하게 검토하여 법안을 더 좋게 만든다.[2] 이탈리아 상원은 하원과 같은 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어떤 법안이든 상원이나 하원에서 먼저 제안할 수 있고, 두 곳 모두에서 같은 내용으로 통과되어야 한다. 또한 정부가 유지되려면 상원과 하원 모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2]

상원은 하원에서 너무 급하게 만들어진 법안을 자세히 살펴보고, 하원이 원하면 고칠 수 있는 수정안을 낼 수 있다. 영국의 상원이 그 예인데, 1911년 의회법 및 1949년 의회법에 따라 상원은 대부분의 법안 통과를 막을 수는 없지만, 법안에 대해 토론하고 수정안을 제안할 기회를 가지며, 반대하는 법안의 통과를 늦출 수 있다.[2]

상원이 법안을 거부하더라도, 하원은 의회법을 사용해서 법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하원은 상원이 통과시킨 수정안을 받아들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두 의원이 헌법적으로 대립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1999년 노동당 정부가 상원에서 모든 세습 귀족을 없애려고 했을 때, 상원은 정부의 모든 법안을 막겠다고 위협했다. 이러한 대립은 당시 상원 야당 대표였던 크랜본 자작과 노동당 정부 간의 협상으로 이어져, 92명의 세습 귀족을 상원에 남기는 위더릴 수정안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두 의원이 타협하고 협상하면서 의회법은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

상원의 반대는 하원이 논란이 되는 법안을 다시 생각하거나 포기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법안을 늦춰서 법이 만들어지는 시간을 놓치게 하거나, 다음 총선거에서 법안을 더 이상 진행하고 싶어하지 않는 새로운 하원이 나올 때까지 늦출 수 있다.[2]

3. 2. 대표성

상원은 하원과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계층과 지역의 대표성을 반영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상원은 인구가 적은 주, 지방, 특정 직능 집단 등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활용된다.[13]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미국의 상원은 인구에 관계없이 각 주에서 고정된 수의 의원을 선출한다. 이를 통해 인구가 적은 주도 국정 운영에 참여할 기회를 보장받는다.

인도의 라자야 사바(Rajya Sabha) 의원들은 각 주와 연방 직할지에서 지명되며, 12명은 인도 대통령이 임명한다. 마찬가지로 주 단위에서는 주 입법 평의회(Vidhan Parishad) 의원 3분의 1이 지방 정부에서, 3분의 1이 현직 입법의원들에 의해 지명되고, 나머지는 선거인단의 일부 구성원에 의해 선출된다.

캐나다 상원 의원은 총리의 자문에 따라 총독이 임명하는데, 이는 선거로는 당선되기 어려운 전문가나 뛰어난 시민들로 의회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과거 영국 상원(House of Lords)이나 일본 귀족원(House of Peers)처럼 일부 상원 의석이 세습되기도 했다.

일본참의원은 다른 나라 상원처럼 “지역 대표”나 “계급 대표”와 같은 성격보다는 중의원과 마찬가지로 “국민 대표”라는 성격이 강하다. 의원 정수는 인구에 따라 변하며, 전국을 도도부현으로 나눈 “선거구[8]”와 전국을 하나의 선거구로 한 “비례대표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다.[9]

3. 3. 전문성

상원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나 경험이 풍부한 인물들로 구성되어 전문적인 심의를 수행할 수 있다. 정책 결정 과정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여 정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미국 상원은 각 주에서 2명씩 선출된 100명의 상원의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6년이다. 상원은 연방 고위 공무원에 대한 탄핵 재판, 대통령이 지명하는 연방 고위 공무원에 대한 승인, 미국이 체결하는 조약에 대한 승인 등 몇 가지 고유한 권한을 가진다.[13]

일본의 참의원중의원과 마찬가지로 “국민 대표”라는 성격이 강하다. 의원 정수는 인구에 따라 변하며, 전국을 도도부현으로 나눈 “선거구[8]”와 전국을 하나의 선거구로 한 “비례대표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다.[9] 각 의원의 임기는 6년이지만, 3년마다 절반을 개선한다.

4. 각국의 상원

세계 각국은 다양한 형태의 상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국가의 상원은 다음과 같다.

국가명칭비고
대한민국참의원제2공화국 당시 존재
독일독일 연방상원
미국상원
영국상원귀족원으로도 불림
일본참의원
캐나다캐나다 상원
프랑스세나
인도라자 사바



일본의 신문이나 뉴스 등에서는 다른 나라의 상원을 모두 일률적으로 "상원"이라고 부른다.

아래는 각국의 상원(원로원)을 정리한 표이다.

국가일본어 표기(설치 기간)원어 표기
아일랜드아일랜드 귀족원(1297년-1800년)
세나드 에이렌(1922년-)
Irish House of Lords
Seanad Éireann
아프가니스탄House of Elders (Afghanistan)영어مشرانو جرگه
미국합중국 원로원(1787년-)United States Senate
알제리국민평의회
아르헨티나원로원el Honorable Senado
앤티가 바부다원로원
영국상원(14세기 전반14세기 전반에 하원이 분리되면서 성립- )the House of Lords
이탈리아왕국 원로원(1861년-1946년)
공화국 원로원(1948년-)
Senato del Regno dItalia
il Senato della Repubblica
인도라지야 사바(1950년-)राज्य सभा
인도네시아지방대표회의
우즈베키스탄원로원Senat
우루과이원로원
에티오피아연방원
오스트레일리아원로원the Senate
오스트리아연방의회der Bundesrat
오만Council of State of Oman영어مجلس الدولة الحمداني-
네덜란드상원de Eerste Kamer der Staten-Generaal
카자흐스탄Senate of Kazakhstan영어Сенат
캐나다원로원
가봉원로원
카메룬원로원
캄보디아원로원ព្រឹទ្ធសភានៃព្រះរាជាណាចក្រកម្ពុជា
그레나다원로원
케냐원로원
콜롬비아원로원
콩고 공화국원로원
콩고 민주 공화국원로원
자메이카원로원
짐바브웨원로원
수단전주평의회
스위스전주의회
스페인스페인 원로원el Senado
슬로베니아국민평의회Državni svet
스와질란드원로원
적도 기니원로원
세인트루시아원로원
소말리아원로원
태국원로원วุฒิสภา
타지키스탄국민회의
체코원로원ten Senát
칠레원로원
독일Bundesrat (Deutsches Reich)de(1871년-1918년)
국가참의원(1919년-1934년)
연방참의원(1949년-)
Bundesrat
Reichsrat
Bundesrat
도미니카원로원
트리니다드 토바고원로원
나이지리아원로원
나미비아국민평의회the National Council
일본귀족원(1890년-1947년)
참의원(1947년-)
귀족원the House of Peers(영역)
참의원the House of Councillors(영역)
네팔원로원
바레인Consultative Council (Bahrain)영어المجلس الاستشاري
아이티원로원
파키스탄원로원ایوان بالا پاکستان
바하마원로원
팔라우원로원the Senate
파라과이원로원
바베이도스원로원
부탄국가평의회རྒྱལ་ཡོངས་ཚོགས་སྡེ།
필리핀원로원Senado
브라질연방원로원Senado Federal
프랑스원로회(1795년-1799년)
헌법수호원로원(1799년-1814년)
귀족원(1814년-1848년)
원로원(1851년-1870년)
원로원(1875년-1940년)
공화국평의회(1946년-1958년)
원로원(1958년-)
Conseil des Anciens
Sénat conservateur
Chambre des pairs
Sénat
Sénat
Conseil de la République
Sénat
부룬디원로원
벨라루스Council of the Republic of Belarus영어Совет Республики
벨리즈원로원
벨기에원로원
폴란드원로원Senat Rzeczypospolitej Polskiej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민족원
볼리비아원로원
마다가스카르원로원
말레이시아원로원Dewan Negara
남아프리카 공화국전국주평의회National Council of Provinces
남수단전주평의회
미얀마민족대표원
멕시코Senate of the Republic (Mexico)영어el Senado
모리타니원로원
모로코House of Councillors (Morocco)영어مجلس المستشارين
요르단Senate (Jordan)영어مجلس الأعيان الأردني
라이베리아원로원
루마니아원로원Senatul
르완다원로원
레소토원로원
러시아국가평의회(1906년-1917년)
연방원(1993년-)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Совет
Совет Федерации


4. 1. 의원내각제 국가

4. 2. 대통령제 국가



미국 상원은 100명의 상원의원으로 구성된다. 각 주는 크기나 인구에 관계없이 두 명의 상원의원을 선출하며, 임기는 6년이다. 부통령이 상원을 관장한다. 상원은 몇 가지 고유한 권한을 가진다. 첫째, 하원이 연방 고위 공무원탄핵하고자 할 때 탄핵재판을 열 수 있다. 둘째, 대통령이 지명하는 연방 고위 공무원에 대한 승인권을 가진다. 셋째, 미국이 체결하는 조약에 대한 승인권이 있다.[13]

대통령제에서 상원은 그 권한 제약을 보상하기 위해 다른 권한을 자주 부여받는다.

  • 내각 및 기타 공직에 대한 행정부 임명에는 상원의 승인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 상원은 외국 조약의 비준과 폐기를 승인할 수 있는 독점적 권한을 자주 가지고 있다.

4. 3. 대한민국

제2공화국 당시 참의원이 있었다.

5. 상원의 폐지

많은 국가에서 단원제 채택을 위해 상원을 폐지했다. 여기에는 크로아티아, 덴마크, 에스토니아, 헝가리, 아이슬란드, 이란, 모리타니, 뉴질랜드, 페루, 스웨덴, 터키, 베네수엘라 등이 포함된다. 인도, 브라질, 캐나다의 여러 주와 퀸즐랜드 같은 하위 행정 구역도 상원을 폐지했다. 뉴펀들랜드캐나다에 합류하기 전 입법 평의회를 두었고, 온타리오는 상부 캐나다 시절, 퀘벡은 1791년부터 1968년까지 입법 평의회를 운영했다.

미국 네브래스카는 1934년 하원을 폐지하고 단원제 입법부를 채택한 유일한 주이다. 1934년 이전의 상원이었던 네브래스카 상원은 계속 소집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는 1922년 임명직 입법 평의회를 폐지했다. 다른 오스트레일리아 주들은 양원제를 유지하며, 모든 의원은 직접 선출된다(두 자치령과 2016년까지의 노퍽 섬은 항상 단원제였다).

독일 주 바이에른은 1946년부터 1999년까지 임명직 제2원인 바이에른 상원을 두었다.

필리핀 상원은 두 번 폐지되었다가 복원되었다. 1935년부터 1945년까지 단원제 국민의회가 소집되었고, 1972년부터 1987년까지 의회가 폐쇄되었다가 새 헌법 승인으로 단원제 의회가 설립되었다. 상원은 1941년 헌법 개정과 1987년 새 헌법 채택으로 양원제 의회가 복원되면서 재설립되었다.

아일랜드 정부(제31대 Dáil)는 제24차 상원 회기 동안 상원(Seanad Éireann) 폐지에 대한 국민투표를 약속했으나, 아일랜드 국민은 근소한 차이로 상원 유지를 선택했다. 보수 성향의 피아나 게일과 좌파 성향의 신페인은 폐지를 지지했고, 중도 성향의 피아나 파일은 상원 유지를 지지했다.

6. 상원의 명칭

대한민국에서는 제2공화국 당시 참의원을 두었다.[1] 독일독일 연방상원, 미국상원, 영국상원으로 부른다. 일본참의원, 캐나다캐나다 상원, 프랑스세나, 인도는 라자 사바를 상원으로 둔다.[2]

일반적으로 '상원'이라는 용어가 가장 많이 쓰인다.[2] 입법평의회는 상원을 가진 인도주들, 맨섬, 상원을 가진 오스트레일리아의 주들에서 사용된다.[2] 연방평의회는 독일오스트리아, 연방회의는 러시아에서 사용된다.[2] 주 의회는 스위스, 인도 (라자야 사바), 수단에서 사용되는 명칭이다.[2] 네덜란드와 과거 스웨덴에서는 상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2] 영국에서는 상원을 상원이라고도 하며, 과거 아일랜드와 독일어권 군주국(Herrenhaus) (오스트리아 상원, 프러시아 상원)에서도 사용되었다.[2]

국가상원 고유 명칭번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Dom naroda국민의회
덴마크Landstinget심의회
에티오피아Yefedereshn Mekir Bet연방의회
인도Rajya Sabha주 의회
Vidhan Parishad입법평의회
인도네시아Dewan Perwakilan Daerah지방대표평의회
일본参議院 (Sangiin)참의원
헝가리 왕국Főrendiház귀족원
말레이시아Dewan Negara상원 (주 의회)
미얀마Amyotha Hluttaw[3]국민의회
네팔Rastriya Sabha국민의회
중화민국 (대만)Control Yuan[4]감찰원
슬로베니아Državni svetsl국민평의회
소말릴란드Golaha Guurtida장로원
남아프리카 공화국National Council of Provinces주립평의회
태국Wutthisapha상원 (원로원)
튀니지지방 및 구역 국가평의회지방 및 구역 국가평의회
투르크메니스탄Halk Maslahaty인민평의회


참조

[1] 서적 Bicameralism 1997
[2] 웹사이트 REFORMING THE HOUSE OF LORDS: Lessons from Overseas https://www.aspg.org[...] 2022-01-24
[3] 웹사이트 National Parliament - Beta http://www.amyothahl[...] 2016-03-02
[4] 기타
[5] 웹사이트 上院(ジョウイン)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11-13
[6]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ビジネス
[7] 웹사이트 下院(カイン)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4-30
[8] 기타
[9] 웹사이트 国会の地位と権能:国会の基礎知識:参議院のあらまし:参議院 https://www.sangiin.[...] 2020-01-16
[10] 웹사이트 衆議院の優越|政治|中学生からの勉強質問:社会|進研ゼミ中学講座 https://chu.benesse.[...] 2024-11-13
[11] 서적 イギリス議会政治史 上 敬文社 1970
[12] 웹사이트 Guide A Brief History https://www.sangiin.[...] 参議院 2009-09-23
[13] 기타 입법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