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거권은 투표를 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며, 영어 단어 'suffrage'에서 유래되었다. 보통선거권, 평등선거권, 여성선거권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성별, 인종, 재산 등에 따른 차별 없이 일정 연령 이상의 모든 시민에게 선거권을 부여하는 보통선거가 일반적이다. 한국은 1948년 제헌 헌법에서 만 21세 이상의 국민에게 선거권을 보장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현재는 만 18세 이상 국민에게 선거권을 부여한다. 세계 각국은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선거권 제도를 운영하며, 투표 연령, 외국인 선거권, 범죄자의 선거권 제한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정권 - 집회의 자유
집회의 자유는 평화적인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국가별로 보장 범위가 다르고,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는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과도하거나 불법적인 집회에 대한 제한을 인정한다. - 참정권 - 피선거권
피선거권은 공직에 입후보할 수 있는 자격으로, 각국은 연령, 범죄 경력 등 다양한 요건을 설정하며, 대한민국의 경우 연령 미달, 금고 이상의 형벌, 선거범죄 등이 제한 사유에 해당한다. - 선거에 관한 - 김웅 (정치인)
법조인 출신 김웅은 검사로 활동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에 반대하며 사직 후 새로운보수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현재는 법무법인 남당 변호사로 활동하고 《검사내전》을 저술했다. -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 정치 용어 - 킹메이커
킹메이커는 직접 권력을 행사하지 않고 배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여 정치 지도자를 등극시키는 인물이나 집단을 의미하며, 게임 이론에서는 다른 플레이어의 승패를 결정하고, 현대 정치에서는 정부 수반의 인사권을 통해 권력을 행사한다. - 정치 용어 - 단일쟁점정치
단일쟁점정치는 낙태, 세금, 환경, 총기 등 다양한 이슈를 중심으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으려는 시도로, 선거 제도의 영향과 사회적 환경에 따라 성공 여부가 달라진다.
선거권 | |
---|---|
선거권 | |
정의 | 공적 및 정치적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는 권리 |
제한 및 박탈 | |
제한 | 연령: 특정 연령 이상이어야 함 거주 요건: 특정 지역에 거주해야 함 등록: 선거인 명부에 등록해야 함 |
박탈 | 범죄: 특정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경우 정신 질환: 정신 질환으로 인해 투표 능력이 없는 경우 파산: 파산 상태인 경우 특정 공직: 특정 공직에 있는 경우 |
역사 | |
초기 제한 | 재산 소유: 과거에는 재산 소유자에게만 선거권 부여 성별: 여성에게는 선거권이 제한되거나 부여되지 않음 인종: 특정 인종에게는 선거권이 제한되거나 부여되지 않음 |
선거권 확대 노력 | 여성 참정권 운동: 여성의 선거권 획득을 위한 운동 시민권 운동: 인종에 따른 차별 철폐 및 선거권 보장을 위한 운동 |
현대의 선거권 | |
보편적 선거권 | 인종, 성별, 재산, 종교 등에 관계없이 모든 성인에게 선거권 부여 |
이민자의 선거권 | 일부 국가에서는 이민자에게도 선거권을 부여 |
기타 | |
중요성 | 민주주의의 핵심 요소 시민의 정치 참여를 보장 정부의 정당성 확보 |
관련 단체 | 선거 관리 위원회: 선거를 공정하게 관리하는 기관 시민 단체: 선거 참여를 독려하고 선거 과정 감시 |
2. 어원
선거권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서프레이지(en: suffrage)는 "정치적으로 지지하다", "투표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수프라기움(suffragiumla)에서 유래했다.[149][150][151] 이 라틴어의 어원이 무엇인지는 불확실하다.
선거권은 여러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Suffragiumla은 처음에는 "투표용지", "투표", "투표권" 또는 "투표할 권리"를 의미했다. 2세기에 와서 "정치적 후원, 영향력, 이해관계, 지지"를 의미하게 되었고, 때로는 "대중의 환호" 또는 "갈채"를 의미하기도 했다. 4세기 경에는 "탄원" 즉, 후원자에게 전능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해 달라고 요청하는 데 사용되었다. 5세기와 6세기에는 영향력을 구매하거나 공직 임명으로 이익을 얻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되었으며, 결국 이 단어는 뇌물 자체를 지칭하게 되었다.[10] 17세기에 영어 ''suffrage''는 라틴어 suffragiumla의 초기 의미인 "투표" 또는 "투표할 권리"를 되찾았다.[12]
3. 유형
3. 1. 보통선거권
보통선거권은 성별, 인종, 사회 계층, 교육 수준, 재산 등에 관계없이 모든 시민에게 주어지는 선거권이다. 다만, 시민권, 연령 등에 따라 제한될 수 있으며, 정신병력이나 범죄 전과에 따라 선거권이 박탈되기도 한다.[152][153]
코르시카 공화국에서 18세기에 25세 이상 시민에게 제한적 보통선거권을 실시한 것이 최초로 여겨진다. 이후 1871년 파리 코뮌, 1889년 프랑세빌 등에서 다양한 선거권 실험이 있었다. 1840년 하와이 왕국은 모든 성인 남녀에게 보통선거권을 허용했으나, 1893년 왕정이 전복되면서 뉴질랜드가 현존하는 독립국 중 여성에게 선거권을 최초로 준 나라가 되었다.[152][153]
1819년 영국 맨체스터에서는 의회 대표권이 없는 것에 항의하기 위해 6만~8만 명의 여성과 남성이 세인트 피터 광장에 모였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피털루 학살은 그 시대의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15]
보통선거권의 반대 개념은 제한선거권이다.
3. 2. 평등선거권
평등선거권은 보통선거권과 혼동되기도 한다. 보통선거권이 선거를 할 수 있는 자격에 관한 것이라면, 평등선거권은 선거권자가 행사할 수 있는 투표의 수에 관한 것이다. 평등선거가 이루어진다면 소득이나 자산, 사회 지위에 무관하게 모든 사람이 같은 수의 표를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154]
평등선거권의 반대 개념은 차등선거권이다.
여성 참정권은 여성의 투표할 권리이다.[19] 이는 합법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믿었던 참정권 운동가들과 극단적인 조치를 사용했던 서프러제트들의 목표였다. 짧은 기간 동안의 참정권 평등은 1776년 뉴저지 주의 첫 번째 헌법 조항에 포함되었으며, 이는 미혼 여성 토지 소유주와 흑인 토지 소유주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
그러나 이 문서는 수정 절차를 명시하지 않았고, 이 조항은 이후 후속 헌법의 채택으로 1844년에 대체되었으며, 이는 "모든 백인 남성"의 참정권 제한으로 되돌아갔다.[20]
하와이 왕국이 1840년에 여성 참정권을 부여했지만, 이 권리는 1852년에 폐지되었다. 1860년대에 스웨덴, 영국, 일부 미국 서부 주에서 일부 여성에게 제한적인 투표권이 주어졌다. 1893년, 영국 식민지인 뉴질랜드는 모든 성인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한 최초의 자치 국가가 되었다.[21] 1894년, 남호주의 여성들은 투표하고 의회에 출마할 권리를 얻었다. 러시아 제국의 자치령인 핀란드 대공국은 모든 여성에게 투표하고 의회에 출마할 수 있도록 허용한 최초의 국가였다.
3. 3. 여성선거권
여성선거권(women's suffrage)은 여자가 선거를 할 권리를 말한다.[155] 이는 미국과 영국의 여성선거권론자들이 달성하고자 한 목표였다.
1840년에 하와이 왕국이 여성에게 선거권을 허용했지만 1852년 멸망하면서 무의미해졌다. 이후 스웨덴, 영국, 미국 서부의 몇몇 주에서 1860년대에 일부 여성에게 제한적으로 선거권을 주었다. 1893년 영국 식민지였던 뉴질랜드가 자치국가로서 처음으로 모든 성인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했다. 1894년에는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여성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모두 부여했다. 러시아 제국의 자치령이었던 핀란드 대공국은 1905년 혁명의 결과로 의회제도가 개혁되어 1906년 여성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모두 부여되었으며, 이듬해 치러진 첫 선거에서 200석 중 19석(약 10%)의 여성 의원들이 당선되었다.[156]
여성 참정권 운동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 정치 운동을 억누르기 위해 공공 단체를 만들었는데, 이들은 여성의 자리는 투표소가 아닌 가정이라고 주장했다. 참정권 반대 세력이 여성의 투표권을 반대하는 합법적인 단체를 조직하면서, 여성의 권리에 대한 정치 만화와 대중의 분노가 커졌다. 매사추세츠 여성 참정권 확대를 반대하는 협회는 1880년대에 투표 노력을 억누르기 위해 등장한 단체 중 하나였다.[22]
많은 여성 참정권 반대 선전은 정치에 참여하는 여성에 대한 생각을 조롱했다. 정치 만화는 여성 참정권 문제를 남성의 삶과 바꾼 모습을 묘사하여 가장 큰 정서를 드러냈다. 어떤 만화는 당시 유행했던 참정권 운동가의 헤어스타일(머리카락을 위로 빗어 올리는)을 조롱했다. 다른 만화는 결혼에 실패하는 등 인생에서 실패한 어린 소녀들이 참정권 운동가가 되는 모습을 묘사했다.[23]
3. 4. 의무선거권 (의무투표제)
의무선거권은 선거가 권리일 뿐만 아니라 법률에 의해 강제되는 의무가 되는 제도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32개국이 의무선거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157]
4. 한국의 선거권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 제헌 헌법에서 만 21세 이상 국민에게 선거권을 보장하였고, 1960년 4.19 혁명 이후 만 20세로, 2005년에는 만 19세로, 2019년에는 만 18세로 선거 연령이 낮아졌다.[148]
헌법재판소는 주민등록 여부에 따라 재외국민의 선거권 행사를 부정하는 공직선거법 조항이 대한민국 헌법에 위반된다고 결정하였다.[158] 또한, 집행유예 중인 자에 대한 선거권 제한은 위헌, 유기징역 또는 유기금고의 실형을 선고받은 자에 대한 선거권 제한은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27] 이는 범죄의 경중을 고려하지 않고 수형자와 집행유예자 모두의 선거권을 제한하는 것은 침해의 최소성 원칙에 어긋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4. 1. 역사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 제헌 헌법에서 만 21세 이상의 모든 국민에게 보통, 평등, 직접, 비밀선거의 원칙에 따른 선거권을 보장하였다. 1960년 4.19 혁명 이후 헌법 개정을 통해 선거권 연령이 만 20세로 낮아졌다. 2005년 선거법 개정으로 선거권 연령이 만 19세로 다시 낮아졌고[148], 2019년 선거법 개정으로 만 18세부터 선거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4. 2. 현행 제도
대한민국은 만 18세 이상의 국민에게 선거권을 부여한다.[148] 대한민국 국민은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국가 | 선거권 연령 | 선거권 자격 | 피선거권 연령 | 피선거권 자격 |
---|---|---|---|---|
한국 | 18세 | 25세 |
4. 3. 관련 판례
다음은 여러 국가의 사업체 투표 관련 판례이다.- 영국: 2002년 런던 시(구 선거) 법 통과 이후 런던 시 법인은 사업 투표를 유지 및 확대했다. 이는 런던 시가 주요 금융 중심지로서 기업의 축적된 부를 영국의 정책에 대한 효과적인 로비에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28][29] 1968년 북아일랜드 시민권 운동은 사업 투표 폐지를 주장했고, 이는 런던 시를 제외한 영국 본토에서 1년 뒤 폐지되었다.[32]
- 아일랜드 공화국: 상업 납세자는 사업 개선 지구의 경계를 정하는 투표 등 지방 주민 투표에서 투표할 수 있다.[39] 1930년부터 1935년까지 더블린 시 의회 의원 35명 중 5명은 "상업 의원"이었다.[40]
- 호주: 대부분의 주 도시에서 사업체 투표는 선택 사항이지만, 개인의 투표는 의무 사항이다.[41][42]
- 델라웨어주: 일부 지방 자치 단체는 법인이 지역 문제에 대해 투표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43]
4. 3. 1. 재외국민의 선거권 및 국민투표권 배제 사건
헌법재판소는 주민등록 여부에 따라 선거인명부에 오를 자격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선거권 행사 여부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대한민국 국민임에도 주민등록법상 주민등록을 할 수 없는 재외국민의 선거권 행사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공직선거법 제37조 제1항은 정당한 목적을 찾기 어려워 대한민국 헌법 제37조 제2항에 위반되어 재외국민의 선거권과 평등권을 침해하고 보통선거 원칙에도 위반된다고 결정하였다.[158]4. 3. 2. 수형자의 선거권 제한 사건
헌법재판소는 2014년 1월 28일 공직선거법 제18조 제1항 제2호의 선거권 제한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에서, 집행유예 중인 자에 대한 선거권 제한은 위헌, 유기징역 또는 유기금고의 실형을 선고받은 자에 대한 선거권 제한은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27]헌법재판소는 대한민국 헌법 제24조가 모든 국민의 선거권을 법률로써 구체화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이는 선거권 제한이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범죄의 경중을 고려하지 않고 수형자와 집행유예자 모두의 선거권을 제한하는 것은 침해의 최소성 원칙에 어긋나며, 집행유예자는 일반인과 동일한 사회생활을 하므로 선거권 제한의 필요성이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이러한 선거권 제한은 헌법 제37조 제2항을 위반하여 선거권을 침해한다고 결정했다.
5. 세계 각국의 선거권
코르시카 공화국(1755–1769)은 25세 이상의 모든 시민에게 제한적인 보통 선거권을 부여한 최초의 국가였다. 이후 1871년 파리 코뮌과 프랑스빌(1889)의 실험이 이어졌다. 1840년부터 1852년까지 하와이 왕국은 성별에 대한 언급 없이 보통 선거권을 부여했다. 1893년 쿠데타로 하와이 왕국이 전복되었을 때, 뉴질랜드는 보편적인 (능동적) 선거권을 시행하는 유일한 독립 국가였으며, 프리덤 인 더 월드 지수는 1893년 뉴질랜드를 세계 유일의 자유 국가로 등재했다.[17][18]
종교 개혁 이후 유럽 국가에서는 불우한 종교에 속한 사람들이 투표권, 선거 출마 또는 의회 출석권을 포함한 시민 및 정치적 권리를 박탈당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레이트브리튼 왕국과 아일랜드 왕국에서 로마 가톨릭 신자는 1728년부터 1793년까지 투표권을, 1829년까지 의회 출석권을 박탈당했다. 벤저민 디즈레일리는 12세에 성공회로 개종했기 때문에 1837년에야 정치 경력을 시작할 수 있었다.
미국 독립 선언 이후 미국의 여러 주에서는 유대인, 퀘이커 또는 가톨릭 신자들의 투표권을 박탈하거나 공직 출마를 금지했다.[47] 메릴랜드에서는 1828년에 유대인에게 투표권과 자격이 확대되었다.[52]
캐나다에서는 메노나이트 교도, 후터파, 두호보르 등 여러 종교 단체가 주로 군 복무를 반대했기 때문에 1917년 전쟁 중 선거법에 의해 선거권을 박탈당했다. 이 선거권 박탈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종료되었지만, 1934년부터 1955년까지 두호보르에 대해 갱신되었다.[53]
1866년 현대 루마니아의 최초 헌법은 제7조에서 기독교인만이 루마니아 시민이 될 수 있다고 규정했다. 1923년에야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었는데, 제133조는 모든 유대인 거주자에게 루마니아 시민권을 부여하고 모든 루마니아 시민에게 평등한 권리를 부여했다.[54]
유럽 연합은 1994년 12월 19일자 이사회 지침 94/80/EG에 따라 다른 EU 국가의 시민에게 지방 선거 투표권을 부여했다. 2000년 핀란드 헌법 제14조 2항은 "만 18세가 된 모든 핀란드 시민과 핀란드에 영구적으로 거주하는 모든 외국인은 법률에 따라 지방 선거 및 지방 주민투표에 투표할 권리를 갖는다."라고 명시하고 있다.[98]
프랑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선거권이 확대되었다.
- 1792년 8월 11일: 보통 선거권 도입 (남성 한정)
- 1795년: 남성 보통 선거권이 간접적인 재산 선거로 대체됨
- 1799년 12월 13일: 프랑스 통령 정부가 남성 보통 선거권을 재확립, 유권자 수가 24만 6천 명에서 900만 명 이상으로 증가함.
- 1850년 (5월 31일): 범죄자 및 노숙자를 제외하여 투표 자격자의 수가 30% 감소함.
- 나폴레옹 3세는 1851년 (12월 21일) 국민 투표를 실시했으며, 21세 이상의 모든 남성이 투표할 수 있게 됨. 이후 남성 보통 선거권이 확립됨.
- 1944년 4월 21일부터 21세 이상의 여성에게 선거권이 확대됨.
- 1974년 7월 9일부터 투표 최소 연령이 18세로 낮아짐.
독일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선거권이 확대되었다.
- 1848년: 남성 시민(독일 연방의 주 시민), 성인 및 "독립적인" 사람들이 선거권을 얻었으며, 남성 투표 인구는 85%였다.[100][101]
- 1866년: 25세 이상의 남성 시민(최소 3년 이상 시민), 선거권 박탈되지 않은 자, 법적으로 무능력자로 선언되지 않은 자, 선거 1년 전에 빈민 구제를 요청하지 않은 자, 선거 명부에 등록된 자, 선거구 거주자[103]
- 1869년: 25세 이상의 남성 시민(북독일 연방의 주 시민), 선거권 박탈되지 않은 자, 파산자 또는 파산 절차에 있지 않은 자, 현역 군인이 아닌 자, 선거 1년 전에 빈민 구제를 요청하지 않은 자, 선거구 거주자, 수감되지 않은 자, 법적으로 무능력자로 선언되지 않은 자[104]
- 1918년: 20세 이상의 모든 시민에게 완전한 선거권 부여[105]
- 1970년: 18세 이상의 모든 시민에게 완전한 선거권 부여[106]
- 2019년: 정신 이상 항변을 한 시민과 후견을 받는 사람에게 선거권 부여.[107]
1951~52년에 실시된 최초의 인도 총선 이후, 21세 이상의 모든 성인 시민에게 인도 헌법 제326조에 따라 보통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1989년 3월 28일부터 시행된 인도 헌법 제61차 개정에 따라 최소 투표 연령이 18세로 낮아졌다.
아일랜드 대법원은 "수동적 선거법을 위반하는 규칙은 엄격하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108]
노르웨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선거권이 확대되었다.
- 1814년: 노르웨이 헌법은 25세 이상의 남성 토지 소유자 또는 관리에게 완전한 선거권을 부여했다.[113]
- 1885년: 최소 500 NOK (도시는 800 NOK)의 세금을 납부한 남성 납세자는 선거권을 얻었다.
- 1900년: 25세 이상 남성에게 보통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 1901년: 25세 이상의 여성, 세금을 납부하거나 세금을 납부하는 남성과 공동 가구를 이루는 여성은 지방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를 얻었다.
- 1909년: 25세 이상의 여성, 세금을 납부하거나 세금을 납부하는 남성과 공동 가구를 이루는 여성은 완전한 선거권을 얻었다.
- 1913년: 1915년 선거부터 적용되는 25세 이상 모든 사람에게 보통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 1920년: 투표 연령이 23세로 낮아졌다.[114]
- 1946년: 투표 연령이 21세로 낮아졌다.
- 1967년: 투표 연령이 20세로 낮아졌다.
- 1978년: 투표 연령이 18세로 낮아졌다.
1918년 폴란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선거권을 부여하였다. 1952년 투표 연령이 18세로 낮아졌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선거권이 확대되었다.
-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이 1909년 남아프리카 법에 의해 설립되었다. 트란스발 주와 오렌지 자유국 주에서 선거권은 백인 남아프리카인 남성으로 제한되었다. 나탈 주에서 선거권은 재산 및 문맹 퇴치 자격을 갖춘 남성으로 제한되었다. 케이프 주의 "케이프 자격 선거권"은 재산 및 문맹 퇴치 자격을 갖춘 남성으로 제한되며 인종에 관계없이 적용되었지만 유권자의 85%는 백인이었다.
- 1930년: 1930년 여성 선거권 부여 법은 21세 이상의 모든 백인 여성에게 투표권을 확대하였다.
- 1931년: 1931년 선거법 개정 법은 21세 이상의 모든 백인 남성에 대한 재산 및 문맹 퇴치 자격을 삭제했지만, 비백인 유권자에 대해서는 유지되었다.
- 1936년: 1936년 원주민 대표 법은 케이프 주에서 흑인 아프리카인 유권자를 일반 유권자 명부에서 삭제했다.
- 1956년: 1956년 남아프리카 법 개정 법을 통하여 유색 인종 유권자를 유권자 명부에서 삭제했다.
- 1958년: 1958년 선거법 개정 법은 백인 유권자의 투표 연령을 21세에서 18세로 낮추었다.
- 1959년: 1959년 반투 자치 정부 촉진 법은 원주민 대표 법을 폐지하여 의회에서 흑인에 대한 모든 대표성을 제거하였다.
- 1968년: 1968년 유권자 분리 대표 개정 법은 유권자 분리 대표 법을 폐지하여 의회에서 유색 인종에 대한 모든 대표성을 제거하였다.
- 1984년: 1983년 남아프리카 헌법은 삼원 의회를 설립하였다.
-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과 함께 1993년 남아프리카 임시 헌법은 삼원 의회와 투표권의 모든 인종 차별을 폐지하였다. 18세 이상의 모든 남아프리카 시민은 의회에 투표할 권리를 갖게 되었다.
- 2003년: 2003년 선거법 개정 법은 유죄 판결을 받은 수감자의 투표를 금지하려는 의도였지만, 2004년 남아프리카 헌법 재판소는 수감자의 투표권을 박탈할 수 없다고 판결하였다.
1931년 스리랑카는 남녀 평등 선거권을 부여했다.
스웨덴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선거권이 확대되었다.
- 1809년: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고 삼권 분립이 정부 법에 명시되었다.
- 1862년: 1862년 지방 자치법에 따라 일부 여성에게 지방 선거 투표 자격이 부여되었다.
- 1909년: 군 복무를 마쳤고 세금을 납부한 모든 남성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 1918년: 보통 선거 및 평등 선거가 지방 선거에 도입되었다.
- 1919년: 보통 선거, 평등 선거 및 여성 참정권이 총선에서 부여되었다.
- 1922년: 남성이 투표하려면 국가 군 복무를 완료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이 폐지되었다.
- 1945년: 파산했거나 복지에 의존하는 사람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 1989년: 릭스다그가 '법적 무능력 선언'을 폐지하기로 결정하면서 선거권에 대한 마지막 제한이 폐지되었다.
터키에서는 1926년 터키 민법을 통해 민사상의 권리 평등이 이루어졌고, 1934년 총선거 투표권이 부여되었다.
현행법에 따른 각국의 선거권·피선거권은 다음과 같다.
국가 | 선거권 연령 | 선거권 자격 | 피선거권 연령 | 피선거권 자격 |
---|---|---|---|---|
일본 | 18세 | 일본 국적 소지자 | 일본 국적 소지자 및 공탁금을 납부할 수 있는 자 | |
중화민국(대만) | 20세 | | | ||
미국 | 18세 | 선거인 등록을 마친 미국민 | 대통령 피선거권 자격자는 출생 시부터 미국 시민권자[145]로 14년 이상 국내에 거주한 자 | |
프랑스 | 18세 | 23세 | ||
영국 | 18세 | 영국 내에 거주하는 영연방 시민 | 18세 | 영연방 시민 |
스페인 | 18세 | 18세 | ||
이탈리아 | 18세 | 25세 | ||
독일 | 18세 | 18세 | ||
캐나다 | 18세 | 18세 | ||
벨기에 | 18세 | (의무 투표제) | 21세 | |
노르웨이 | 18세 | 18세 | ||
알바니아 | 18세 | 18세 | ||
중국 | 18세 |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소지자 | 18세 |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소지자 |
대한민국 | 19세 | 25세 | ||
인도 | 18세 | 18세 | ||
러시아 | 18세 | 18세 | ||
유고슬라비아 | 18세 | 18세 | ||
터키 | 18세 | 30세 | ||
멕시코 | 18세 | 18세 | ||
태국 | 18세 | 21세 | ||
오스트레일리아 | 18세 | (의무 투표제) | 18세 | |
뉴질랜드 | 18세 | 18세 | ||
북한 | 17세 | 17세 | ||
브라질 | 16세 | (의무 투표제) | 21세 | |
쿠바 | 16세 | 18세 | ||
이란 | 21세 | 25세 | ||
레바논 | 15세 | 26세 이상 75세 이하 | 이슬람 율법학자의 사전 심사를 거친 자 |
5. 1. 뉴질랜드
연도 | 내용 |
---|---|
1853년 | 영국 정부는 뉴질랜드 헌법 1852를 통과시켜 식민지에 양원제 의회를 포함한 제한적인 자치권을 부여했다. 투표권은 21세 이상의 영국인 남성 중 토지를 소유하거나 충분한 재산을 임대하고 심각한 범죄로 투옥되지 않은 경우로 제한되었다. 공동 소유 토지는 재산 자격에서 제외되어 대부분의 마오리 (토착) 남성은 투표권을 박탈당했다. |
1860년 | 광부 면허 소지자에게 투표 자격이 주어졌다. 재산 요건을 제외한 모든 투표 자격을 충족하는 경우 투표권이 확대되었다. |
1867년 | 마오리 의석이 설치되어 마오리에게 하원에 4개의 특별 의석을 부여했다. 재산 요건은 없었으므로 마오리 남성은 다른 뉴질랜드인보다 먼저 보통 선거권을 얻었다. 의석 수는 마오리 인구 규모를 반영하지 않았지만, 일반 선거구의 재산 요건을 충족하는 마오리 남성은 일반 선거구 또는 마오리 선거구에서 투표할 수 있었지만 둘 다 투표할 수는 없었다. |
1879년 | 재산 요건이 폐지되었다. |
1893년 |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투표권을 얻었으며, 이로써 뉴질랜드는 세계 최초로 여성의 투표를 허용한 국가가 되었다. |
1969년 | 투표 연령이 20세로 낮아졌다. |
1974년 | 투표 연령이 18세로 낮아졌다. |
1975년 | 시민권 여부에 관계없이 뉴질랜드의 영주권자에게 선거권이 확대되었다. |
1996년 | 마오리 인구를 반영하여 마오리 의석 수가 증가했다. |
2010년 | 1년 이상 징역형을 선고받은 수감자는 형을 집행하는 동안 투표권을 박탈당했다. |
5. 2. 호주
1902년 연방 선거법에 따라 여성은 연방 및 뉴사우스웨일스 주에서 투표할 수 있게 되었다.[82] 이 법안은 또한 여성의 정부 출마를 허용하여 호주를 이를 허용한 세계 최초의 민주 국가로 만들었다.5. 3. 핀란드
1906년, 핀란드는 유럽에서 최초로 여성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모두 부여하였다.[22]5. 4. 일본
2015년, 선거권 연령이 만 20세에서 만 18세로 하향 조정되었다.[112] 이는 청소년 권리 운동의 결과로, 미래 세대의 목소리를 반영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이었다.
일본국 헌법 제15조는 "공무원 선거에 관해서는, 성년자에 의한 보통 선거를 보장한다"고 규정하고 있다.[141]
5. 5. 미국
미국 헌법은 원래 투표 자격을 정의하지 않아 각 주가 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미국 초창기에는 대부분의 주에서 백인 성인 남성 재산 소유자(인구의 약 6%)에게만 투표를 허용했다.[124][125] 1856년까지 모든 주에서 재산 소유 요건이 폐지되어 대부분의 백인 남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졌지만, 납세 요건은 1860년까지 5개 주에, 20세기까지 2개 주에 남아 있었다.[126][127]남북 전쟁 이후, 5개의 헌법 수정 조항이 미국 선거에서 투표권을 제한하는 방식을 규정했다.[128]
- 제15조 수정 헌법(1870년): 인종, 피부색 또는 이전의 노예 상태를 이유로 투표권을 부인하거나 침해해서는 안 된다.
- 제19조 수정 헌법(1920년): 성별을 이유로 투표권을 부인하거나 침해해서는 안 된다.
- 제23조 수정 헌법(1961년): 컬럼비아 특별구 주민이 대통령과 부통령을 위해 투표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 제24조 수정 헌법(1964년): 인두세 또는 기타 세금을 지불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투표권을 부인하거나 침해해서는 안 된다. (이는 주 선거 규칙을 변경하지 않았다.)
- 제26조 수정 헌법(1971년): 18세 이상의 미국 시민의 투표권은 나이를 이유로 부인하거나 침해해서는 안 된다.
유럽계 미국인에게 투표를 허용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투표를 배제하기 위해 할아버지 조항을 사용하는 것은 1915년 ''Guinn v. United States'' 판결에서 위헌으로 판결되었다. 주에서는 문맹 테스트와 인두세를 계속 사용했으며, 이는 가난한 백인 시민들의 투표권도 박탈했다. 투표에서의 인종 평등은 시민권 운동의 주요 승리인 1965년 투표권 법 통과 이후 실질적으로 확보되었다. 주 선거는 1966년 ''Harper v. Virginia Board of Elections'' 판결에서 미국 대법원이 주 인두세가 평등 보호 조항을 위반한다고 선언하기 전까지는 그렇지 않았다.[129][130]
5. 6. 영국
1918년, 21세 이상의 모든 남성에게 투표권이 주어졌고, 재산 제한이 있는 30세 이상의 여성에게도 투표권이 주어졌다. 1928년 1928년 인민 대표법을 통해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게 21세부터 재산 제한 없이 투표할 수 있게 되었다.[121] 1969년 1969년 인민 대표법에 따라 선거 연령이 만 21세에서 만 18세로 낮아졌다.[61][123]6. 기타 논의
영연방이나 유럽 연합 같은 초국가적 기구에서는 회원국 시민에게 투표권을 부여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청원권이 국무청구권으로 분류되었으나, 현대에는 민의를 의회나 정부에 직접 전달하는 참정권적 기능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139] 청원권은 국가 의사 결정에 직접 참여하는 권리는 아니라는 점에서 전형적인 참정권과는 다른 보충적 참정권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40]
6. 1. 청소년 참정권
이 섹션은 청소년 참정권에 대한 내용이 아니므로,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에서는 이 섹션에 담을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6. 2. 외국인 참정권
대부분의 국가에서 선거권은 시민에게만 제한되며, 많은 경우 해당 국가의 영주권자에게도 제한된다. 그러나 영연방 및 유럽 연합과 같은 초국가적 기구의 일부 구성원은 해당 기구 내 모든 국가의 시민에게 투표권을 부여하기도 한다. 20세기 중반까지 많은 영연방 국가들은 국내에 거주하는 모든 영국 시민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는데, 이는 대부분 영국 시민권과 현지 시민권 사이에 구분이 없었기 때문이다. 다만, 여러 국가에서는 인도인 및 영국 아프리카인과 같은 비백인 영국 시민의 투표를 막는 제한을 두기도 했다. 유럽 연합 법에 따라 유럽 연합 국가의 시민은 해당 국가의 시민과 동일한 조건으로 서로의 지방 및 유럽 의회 선거에 투표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국정 선거에는 투표할 수 없다.참조
[1]
사전
Suffrag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suffrage" – Collins English Dictionary
http://www.collinsdi[...]
2015-07-28
[3]
웹사이트
suffrage – definition of suffrage in English from the Oxford dictionary
https://web.archive.[...]
2015-07-28
[4]
웹사이트
Deprivation of the Right to Vote
http://aceproject.or[...]
Aceproject.org
[5]
웹사이트
Women's Suffrage Movement
http://www.glbtqarch[...]
glbtq
[6]
논문
Migrants' intention to vote in two countries, one country, or neither
2024-07-02
[7]
웹사이트
Who is eligible to vote at a UK general election?
https://web.archive.[...]
The Electoral Commission
2016-02-09
[8]
웹사이트
Can I vote?
https://web.archive.[...]
European Parliament Information Office in the United Kingdom
2016-02-09
[9]
뉴스
Why Can Commonwealth Citizens Vote in the U.K.? An Expat Asks
https://blogs.wsj.co[...]
2016-02-09
[10]
논문
Suffragium: From Vote to Patronage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1954-03
[11]
웹사이트
LacusCurtius • Voting in Ancient Rome – Suffragium (Smith's Dictionary, 1875)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2013-06-21
[12]
웹사이트
Suffrag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2013-06-21
[13]
웹사이트
'Franchise': Profit from Freedom
https://www.merriam-[...]
2023-01-21
[14]
웹사이트
Democratic Inclusion,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Age of Electoral Majority
https://papers.ssrn.[...]
[15]
논문
'By the Law or the Sword': Peterloo Revisited
2006-04
[16]
웹사이트
Greater Manchester Met.C: Total Population
http://www.visionofb[...]
2007-04-06
[17]
서적
Elections in Asia and the Pacific: South East Asia, East Asia, and the South Pacific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Atlantic Community – The Titanic of the XXI Century
WSB-NLU
[19]
웹사이트
Definition of SUFFRAGE
https://www.merriam-[...]
2019-07-01
[20]
웹사이트
The New Jersey Constitution of 1776
http://www.state.nj.[...]
2006-12-17
[21]
웹사이트
Votes for Women
http://www.elections[...]
Electoral Commission of New Zealand
2020-08-11
[22]
웹사이트
Opposition to Suffrage
http://www.crusadefo[...]
2019-04-04
[23]
웹사이트
12 Cruel Anti-Suffragette Cartoons
http://mentalfloss.c[...]
2019-04-04
[24]
웹사이트
Definition: suffrage
https://web.archive.[...]
Websters Dictionary
2011-10-24
[25]
서적
The Right to Vote: The Contested History of Democracy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nypl.org[...]
[2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Empire of Brazil
https://en.wikisourc[...]
[27]
웹사이트
CIA:The World Factbook
https://web.archive.[...]
2012-05-22
[28]
논문
The future has been postponed: The Great Financial Crisis and British politics
[29]
웹사이트
Banking's groundhog day
https://www.redpeppe[...]
Red Pepper
2017-12-21
[30]
웹사이트
Written Answers to Questions – City of London Remembrancer
https://publications[...]
UK Parliament
2014-10-28
[31]
뉴스
City of London Corporation: a lesson in lobbying
https://www.theguard[...]
2012-07-09
[32]
서적
Northern Ireland Politics
Taylor & Francis
2014-06-17
[33]
서적
Local Government in Ireland: Inside Out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018-01-08
[34]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Financial Provisions) Act, 1978
http://www.irishstat[...]
2018-01-08
[35]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Financial Provisions) Act, 1978 – Debates
https://beta.oireach[...]
Oireachtas
2018-01-08
[36]
웹사이트
S.I. No. 31/1956 – Local Government (Changing of Place Names) Regulations, 1956.
http://www.irishstat[...]
2018-01-08
[37]
웹사이트
Plebiscite Palmerston Addresses
https://web.archive.[...]
South Dublin County Council
2018-01-08
[38]
웹사이트
Plebiscite Palmerston Rated Occupiers
https://web.archive.[...]
South Dublin County Council
2018-01-08
[39]
웹사이트
S.I. No. 166/2007 – Local Government (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 Ratepayer Plebiscite) Regulations 2007
http://www.irishstat[...]
2018-01-08
[39]
웹사이트
Q.50 – Councillor Mannix Flynn
https://web.archive.[...]
2018-01-08
[40]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Dublin) Act, 1930 §§31(1), 32(2)–(3), 34, 35
http://www.irishstat[...]
2017-02-02
[40]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Dublin) Act, 1935, Section 2
http://www.irishstat[...]
2017-02-02
[41]
뉴스
City of Sydney business vote plan may falter, backers concede
http://www.smh.com.a[...]
2014-08-16
[42]
웹사이트
Australia businesses get to vote: Sydney conservatives want it to be required by law.
http://www.slate.com[...]
2014-08
[43]
뉴스
A Delaware city is set to give corporations the right to vote in elections
https://www.cbsnews.[...]
CBS News
2023-06-21
[44]
백과사전
Abbess
https://web.archive.[...]
2010-07-21
[45]
서적
Women Mystics Confront the Modern Worl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46]
저널
Bhutan makes it official: it's a democracy.
http://www.csmonitor[...]
2008-03-25
[47]
서적
American Suffrage. From property to democra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4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Delaware, 1776
https://web.archive.[...]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49]
웹사이트
State Constitution (Religious Sections) – Delaware
http://members.tripo[...]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50]
웹사이트
An Act for establishing the constitution of the State of South Carolina, 19 March 1778
https://web.archive.[...]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5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Georgia
https://web.archive.[...]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1777-02-05
[52]
웹사이트
An Act for the relief of Jews in Maryland, passed 26 February 1825
http://www.msa.md.go[...]
Archives of Maryland
1825-02-26
[53]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Vote in Canada, Chapter 3 Modernization, 1920–1981
http://www.elections[...]
Elections Canada
[54]
웹사이트
Chronology – From the History Museum of the Romanian Jews; Hasefer Publishing House
http://www.romanianj[...]
The Romanian Jewish Community
[55]
웹사이트
UK Parliamentary Website Election FAQs
https://web.archive.[...]
[56]
서적
Inequality in Latin America: Breaking with History?
http://documents.wor[...]
The World Bank
[57]
웹사이트
Transcript of Voting Rights Act (1965)
http://www.ourdocume[...]
U.S. National Archives
[58]
웹사이트
Civil Rights Movement – Literacy Tests & Voter Applications
https://www.crmvet.o[...]
[59]
서적
So far and no further! Rhodesia's bid for independence during the retreat from empire 1959–1965
Trafford Publishing
2005-06
[60]
뉴스
The Constitution: The 24th Amendment
https://web.archive.[...]
2011-10-24
[61]
웹사이트
'The last milestone' on the journey to full adult suffrage? 50 years of debates about the voting age
https://www.historya[...]
2019-06-25
[62]
웹사이트
Lowering the voting age: three lessons from the 1969 Representation of the People's Act
https://blogs.lse.ac[...]
2021-11-03
[63]
웹사이트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Voting Overseas – Frequently Asked Questions", 20 November 2007
http://www.aec.gov.a[...]
Aec.gov.au
2011-01-10
[64]
웹사이트
Lov om valg til Folketinget – Valgret og valgbarhed", 10 April 2014
https://www.retsinfo[...]
2015-10-24
[65]
서적
Traité théorique et pratique du droit électoral appliqué aux élections communales
Ickx & Geets
[66]
웹사이트
La participation politique des allochtones en Belgique – Historique et situation bruxelloise
http://suffrage-univ[...]
Academia-Bruylant (coll. Sybidi Papers)
[67]
웹사이트
Patrick Weil, Nationalité française (débat sur la)
https://wayback.arch[...]
Jean-François Sirinelli
[68]
웹사이트
Nadia Bernoussi, L'évolution du processus électoral au Maroc, 22 December 2005
http://www.rdh50.ma/[...]
2005-12-22
[69]
웹사이트
art. 3, al. 3, Loi Organique portant code électoral guinéen
https://web.archive.[...]
Ife.org.mx
[70]
웹사이트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71]
웹사이트
Nicaragua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2007-12-12
[72]
웹사이트
Peru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2007-12-12
[73]
웹사이트
Philippines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2007-12-12
[74]
웹사이트
Uruguay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2007-12-12
[75]
웹사이트
Plénitude de la République et extension du suffrage universel
http://www.assemblee[...]
Assemblée nationale (National Assembly of France)
2007-12-05
[76]
웹사이트
Electoral Act, 1923, Section 5
http://www.irishstat[...]
2015-12-04
[77]
웹사이트
Electoral Act, 1960
http://www.irishstat[...]
2015-12-04
[78]
웹사이트
Private Members' Business. – Garda Síochána Franchise—Motion.
http://oireachtasdeb[...]
Oireachtas
1955-11-02
[79]
웹사이트
Electoral Bill, 1960 – Second Stages
http://oireachtasdeb[...]
Oireachtas
1960-12-06
[8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State of Texas (1876)
http://tarlton.law.u[...]
Tarlton Law Library, The University of Texas School of Law
2007-12-08
[81]
웹사이트
Universal suffrage granted to women
https://ourworldinda[...]
2020-03-06
[82]
웹사이트
Women and the Right to Vote in Australia
http://www.aec.gov.a[...]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2011-01-28
[83]
웹사이트
Electoral Milestones for Women
http://www.aec.gov.a[...]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2013-03-08
[84]
웹사이트
Women win the vote : Digital Resources on Manitoba History
http://manitobia.ca/[...]
2017-03-16
[85]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Vote in Canada
http://www.elections[...]
2017-03-16
[86]
웹사이트
The Famous Five – Timeline
http://www.abheritag[...]
Abheritage.ca
2010-12-08
[87]
법률
Indian Act of Canada S.C. 1938 chap 46 sec 14(2)(i)/Dominion Elections Act S.C.1948 chap 46
[88]
웹사이트
Canada – Women's Vote – Women Suffrage
http://faculty.maria[...]
Faculty.marianopolis.edu
1916-01-27
[89]
웹사이트
CBC Digital Archives
http://archives.cbc.[...]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90]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Vote in Canada
http://www.elections[...]
2017-03-16
[91]
백과사전
Aboriginal people, political organization and activism
https://www.thecanad[...]
2016-04-15
[92]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the Federal Franchise
http://www.elections[...]
2017-03-16
[93]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the Federal Franchise
http://www.elections[...]
2020-12-09
[94]
웹사이트
CBC Digital Archives
http://archives.cbc.[...]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95]
판례
Sauvé v. Canada (Chief Electoral Officer)
[96]
웹사이트
Frank v. Canada (Attorney General), 2019 SCC 1
https://scc-csc.lexu[...]
2001-01
[97]
웹사이트
Council Directive 94/80/EG
http://eur-lex.europ[...]
[98]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Finland
http://www.finlex.fi[...]
1999-06-11
[99]
뉴스
France lowers age of minors to 18
1974-07-10
[100]
웹사이트
Geschichte des Wahlrechts
https://www.bundesta[...]
2021-03-20
[101]
웹사이트
Verfassungen und Gesetze des Rheinbundes und des Deutschen Bundes (1806-1866)
http://www.verfassun[...]
2021-03-20
[102]
웹사이트
documentArchiv.de - Gesetz, betreffend die Wahlen der Abgeordneten zum Volkshause ["Frankfurter Reichswahlgesetz"] (12.04.1849)
http://www.documenta[...]
2021-03-20
[103]
웹사이트
Wahlgesetz für den konstituierenden Reichstag des Norddeutschen Bundes (1866
http://www.verfassun[...]
2021-03-20
[104]
웹사이트
Wahlgesetz für den Reichstag des Norddeutschen Bundes – Wikisource
https://de.wikisourc[...]
2021-03-20
[105]
웹사이트
Deutsches Reichsgesetzblatt 1918 Nr. 167 – Wikisource
https://de.wikisourc[...]
2022-03-18
[106]
웹사이트
Plenarprotokoll Deutscher Bundestag 60. Sitzung
https://dserver.bund[...]
2022-03-18
[107]
웹사이트
Wahlrechtsausschlüsse für Betreute in allen Angelegenheiten und wegen Schuldunfähigkeit untergebrachte Straftäter verfassungswidrig
https://www.bundesve[...]
2019-01-29
[108]
논문
Nel passaggio Usl-Asl solo tre dirigenti restano ineleggibili negli enti locali
https://web.archive.[...]
2016-03-14
[109]
웹사이트
選挙のあゆみ
https://web.archive.[...]
2021-03-20
[110]
웹사이트
川崎市:日本の選挙権拡大の歴史
https://www.city.kaw[...]
2010-04-07
[111]
웹사이트
わが国の選挙権の拡大
https://web.archive.[...]
2021-03-20
[112]
웹사이트
選挙の歴史を学ぼう|選挙フレンズ|京都市選挙管理委員会事務局
http://www2.city.kyo[...]
2021-03-20
[113]
웹사이트
Stemmerettens historie i Norge
https://snl.no/Stemm[...]
Espend Søbye
2021-03-19
[114]
웹사이트
Stemmerettens historie
https://www.nrk.no/n[...]
Laila Ø. Bakken, NRK
2007-06-12
[115]
서적
Tage Erlander: serving the welfare state, 1946–1969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1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Riksdag
http://www.riksdagen[...]
Official Riksdag Website
2018-05-19
[117]
웹사이트
Origins and growth of Parliament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15-05-18
[118]
웹사이트
Getting the vote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15-05-18
[119]
간행물
The History of the Parliamentary Franchise
House of Commons Library
2013-03-01
[120]
서적
Citizenship in Britain: A Histor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6
[12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Parliamentary Franchise
http://researchbrief[...]
House of Commons Library
2013-03-01
[122]
웹사이트
Key dates
https://www.parliame[...]
[123]
웹사이트
Lowering the voting age: three lessons from the 1969 Representation of the People's Act
https://blogs.lse.ac[...]
2021-11-03
[124]
웹사이트
Expansion of Rights and Liberties – The Right of Suffrage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15-04-21
[125]
서적
Liberty, Equality, Power: A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https://books.google[...]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12
[126]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Suffrage Institutions in the New World
https://web.archive.[...]
2005-02
[127]
웹사이트
U.S. Voting Rights
http://www.infopleas[...]
Infoplease
2015-04-21
[128]
문서
The Fourteenth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129]
서적
The Politics of Disenfranchisement: Why is it So Hard to Vote in Ame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130]
웹사이트
Civil Rights in America: Racial Voting Rights
https://www.nps.gov/[...]
A National Historic Landmarks Theme Study
[131]
서적
有斐閣双書(9)憲法概観 第7版
有斐閣
[132]
서적
有斐閣双書(9)憲法概観 第7版
有斐閣
[133]
서적
有斐閣双書(9)憲法概観 第7版
有斐閣
[134]
서적
有斐閣双書(9)憲法概観 第7版
有斐閣
[135]
웹사이트
「国民投票制度」に関する基礎的資料
https://www.shugiin.[...]
衆議院憲法調査会事務局
2020-06-07
[136]
서적
有斐閣双書(9)憲法概観 第7版
有斐閣
[137]
서적
有斐閣双書(9)憲法概観 第7版
有斐閣
[138]
서적
有斐閣双書(9)憲法概観 第7版
有斐閣
[139]
서적
注解法律学全集(1)憲法I
青林書院
[140]
서적
注解法律学全集(1)憲法I
青林書院
[141]
서적
有斐閣双書(9)憲法概観 第7版
有斐閣
[142]
서적
有斐閣双書(9)憲法概観 第7版
有斐閣
[143]
서적
有斐閣双書(9)憲法概観 第7版
有斐閣
[144]
서적
有斐閣双書(9)憲法概観 第7版
有斐閣
[145]
문서
Natural-born citizen
[146]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全国人民代表大会和地方各级人民代表大会选举法
http://www.gov.cn/fl[...]
中華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
2017-10-19
[147]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籍法
http://www.gov.cn/ba[...]
中華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
2017-10-19
[148]
서적
主要国の各種法定年齢 選挙権年齢・成人年齢引下げの経緯を中心に
http://www.ndl.go.jp[...]
国立国会図書館調査及び立法考査局
2017-10-19
[149]
웹인용
suffrage – Dictionary definition and pronunciation – Yahoo! Education
http://education.yah[...]
Education.yahoo.com
2013-06-21
[150]
웹인용
Suffrage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012-08-31
[151]
웹인용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3-06-21
[152]
서적
Elections in Asia and the Pacific: South East Asia, East Asia, and the South Pacific
Oxford University Press
[153]
서적
The Atlantic Community – The Titanic of the XXI Century
WSB-NLU
[154]
웹인용
Definition: suffrage
http://www.websters-[...]
Websters Dictionary
2011-10-24
[155]
웹사이트
http://www.merriam-w[...]
[156]
웹사이트
Votes for Women – Elections New Zealand
http://www.elections[...]
Elections.org.
[157]
웹인용
CIA: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2-05-22
[158]
판례
2004헌마6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