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프랑스 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19년 프랑스 총선은 1889년부터 사용되던 두 차례 투표제를 데파르트망별 비례 대표제로 변경하여 치러졌다. 선거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의 새로운 문제 해결, SFIO의 볼셰비즘 논의 거부, 우파 내 분열 등 복잡한 배경 속에서 진행되었다. 선거 결과는 국가 블록의 승리로 나타났으며, 하원 의석의 다수를 차지한 참전 군인 출신 의원들로 인해 "청색 수평선 의회"로 불렸다. 공화연방이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고, SFIO를 제외한 좌파 세력은 약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9년 프랑스 - 베르사유 조약
베르사유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을 위해 1919년 독일과 연합국이 체결한 강화 조약으로, 독일에게 가혹한 조항들을 부과하여 반발을 일으켰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으며 국제 연맹 설립을 규정했다. - 1919년 프랑스 - 생제르맹 조약
생제르맹 조약은 1차 세계 대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와 오스트리아의 전쟁 책임을 묻고, 영토 할양, 배상금 지불, 독일과의 연합 금지, 군대 축소 등을 규정한 평화 조약이다. - 1919년 선거 - 1919년 이탈리아 총선
1919년 이탈리아 총선은 '비엔니오 로소' 시기에 치러져 이탈리아 사회당과 이탈리아 민중당이 약진하고 비례대표제 도입 및 유권자 기준 확대가 이루어졌으나, 자유연합의 분열로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며 베니토 무솔리니의 로마 진군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 1919년 선거 - 1919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
핀란드 독립 후 처음 실시된 1919년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진보당의 카를로 유호 스퇼베리가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핀란드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졌다. - 1919년 11월 - 뇌이 조약
뇌이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불가리아에 대한 강화 조약으로, 영토 할양, 군비 감축, 배상금 지불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특히 서트라키아 할양으로 불가리아는 에게해 접근을 상실하고 주변국과의 국경이 재조정되어 국력 약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19년 11월 - 1919년 이탈리아 총선
1919년 이탈리아 총선은 '비엔니오 로소' 시기에 치러져 이탈리아 사회당과 이탈리아 민중당이 약진하고 비례대표제 도입 및 유권자 기준 확대가 이루어졌으나, 자유연합의 분열로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며 베니토 무솔리니의 로마 진군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1919년 프랑스 총선 | |
---|---|
선거 개요 | |
선거 이름 | 1919년 프랑스 총선 |
국가 | 프랑스 제3공화국 |
선거 유형 | 총선 |
이전 선거 | 1914년 프랑스 총선 |
이전 선거 연도 | 1914년 |
다음 선거 | 1924년 프랑스 총선 |
다음 선거 연도 | 1924년 |
선거 날짜 | 1919년 11월 16일 및 30일 |
선출 의석 수 | 대의원 전체 613석 |
등록 유권자 | 11,445,702명 |
투표율 | 8,249,990명 (72.08%) |
주요 정당별 결과 | |
제1당 대표 | 오귀스트 이삭 |
제1당 대표 지역구 | 론주 |
제1당 | 공화주의 연합 |
제1당 의석 수 | 201석 |
제1당 의석 수 변동 | 증가 105석 |
제1당 득표수 | 1,819,691표 |
제1당 득표율 | 22.33% |
제2당 대표 | 에두아르 에리오 |
제2당 대표 지역구 | 론주 |
제2당 | 공화주의, 급진당 및 급진사회주의당 |
제2당 의석 수 | 106석 |
제2당 의석 수 변동 | 감소 36석 |
제2당 득표수 | 1,420,381표 |
제2당 득표율 | 17.43% |
제2당 득표율 변동 | 감소 15.18% |
제3당 대표 | 뤼도비크-오스카르 프로사르 |
제3당 대표 지역구 | 센주 (낙선) |
제3당 |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지부 |
제3당 의석 수 | 67석 |
제3당 의석 수 변동 | 감소 35석 |
제3당 득표수 | 1,728,663표 |
제3당 득표율 | 21.22% |
제3당 득표율 변동 | 증가 4.25% |
선거 결과 | |
총리 (선거 이전) | 조르주 클레망소 |
총리 정당 (선거 이전) | 무소속 |
총리 (선거 이후) | 알렉상드르 밀랑 |
총리 정당 (선거 이후) | 무소속 |
의회 구성 |
2. 선거 제도
1889년부터 사용되던 두 차례 투표제의 구별 선거 방식은 데파르트망별 비례 대표제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이 제도는 특정 정당이 전체 투표의 50% 이상을 득표할 경우 해당 선거구의 모든 의석을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에서는 전후 문제 해결을 위한 정치 구도 재편 논의가 활발했다. 전시 연립 내각이었던 신성 동맹을 평화 시기에도 유지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각 정치 세력의 이해관계가 달라 실현되지 못했다.
3. 선거 배경
당시 내부적으로 볼셰비즘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던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지부(SFIO)는 당의 단결을 위해 1919년 4월 총선에서 독자 노선을 결정했다. 이 결정은 급진주의자들을 고립시키고 좌파 연대의 가능성을 낮추었으며, 우파와 중도파에게 SFIO를 공격할 빌미를 제공했다.
우파 진영 역시 프랑스 행동 등 군주주의 세력과 민주 공화 동맹 중심의 민족주의, 가톨릭, 온건 공화주의 세력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후자는 급진주의자와의 연대를 거부하며 국가 블록(Bloc national|블록 나시오날프랑스어)으로 결집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급진주의자들은 좌파와 우파 사이에서 정치적 입지가 좁아졌다.
결과적으로 총 324개의 선거 명부가 제출되었는데, 사회주의자들은 독자 명부를, 급진주의자들은 중도 우파와 연대하거나 독자적으로 나서는 등 분열된 모습을 보였다. 반면 우파 세력은 국가 블록을 통해 민주 공화 동맹, 진보주의자, 민족주의자, 가톨릭 세력을 성공적으로 규합했다. 알렉상드르 밀랑은 센 지역구에서 대통령 권한 강화를 내세우며 폭넓은 우파 연합을 구축하기도 했다.
3. 1. 신성 동맹의 연장
선거 명부를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크게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했다. 첫째,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가 직면한 새로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평화 시기에도 전시 연립 내각이었던 신성 동맹을 이어가야 한다는 여론이 있었다. 둘째, 당시 내부적으로 어려움을 겪던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지부(SFIO)는 볼셰비즘 문제에 대한 논의를 거부했다. 사회주의자들은 당의 단결을 지키기 위해 1919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다른 세력과 어떠한 선거 연대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급진주의자들을 정치적으로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았고, 좌파 세력 간의 새로운 연대 가능성을 차단했다. 또한, 우파와 중도파는 볼셰비즘과 연관 짓는 방식으로 SFIO에 대한 공세를 펼칠 수 있었다. 셋째, 우파 진영 내부의 분열도 계속되고 있었다. 프랑스 행동을 중심으로 한 군주주의자들은 고립된 상태였지만, 민족주의자, 가톨릭 세력, 그리고 스스로를 '진보주의자'라 칭한 전쟁 이전 시기의 온건 공화주의자들은 민주 공화 동맹 계열의 여러 소규모 정당에 속한 중도 우파 세력과 연대했다. 그러나 이들은 급진주의자들과의 협력 가능성은 일축했다. 결과적으로 급진주의자들은 급진적인 노선과 현상 유지 사이에서 방향을 정하지 못하던 SFIO와, 이전보다 더욱 강경한 반(反)좌파 성향을 보이던 우파 세력 사이에서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 속에서 협상을 거쳐 총 324개의 선거 명부가 만들어졌다. 사회주의자들은 독자적인 명부를 구성하는 길을 택했고, 급진주의자들은 중도 우파와 연대한 명부와 독자적인 명부로 나뉘었다. 한편, 우파 세력은 민주 공화 동맹, '진보주의자', 민족주의자, 가톨릭 세력을 아우르는 국가 블록(Bloc national|블록 나시오날프랑스어) 명부를 구성했다. 알렉상드르 밀랑은 자신의 지역구인 센 제2선거구에서 대통령 권한 강화를 주장하며 폭넓은 세력을 규합하는 데 성공했다.
3. 2.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지부(SFIO)의 분열
1919년 총선을 앞두고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지부(SFIO)는 볼셰비즘 문제에 대한 논의를 거부하는 등 내부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었다. 당의 단결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사회주의자들은 1919년 4월, 총선에서 어떠한 세력과도 선거 연합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여러 파급 효과를 낳았다. 우선, 급진주의자들을 정치적으로 고립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는 좌파 진영 내 새로운 연대 구축의 가능성을 낮추었다. 또한, SFIO의 독자 노선 결정은 우파와 중도파에게 사회주의자들을 볼셰비즘과 연관시키며 공격할 기회를 제공했고, 이는 선거 국면에서 SFIO에 대한 공격적인 캠페인으로 이어졌다.
복잡한 협상 끝에 총 324개의 선거 명부가 제출되었는데, 사회주의자들은 당론에 따라 독자적인 명단을 구성했다. 반면, 사회주의자들과 연대하지 못한 급진주의자들은 일부가 중도 우파와 손을 잡거나 나머지는 고립되는 등 분열된 양상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SFIO의 결정은 좌파 진영 전체의 분열을 심화시키는 한 요인이 되었다.
3. 3. 우파 세력의 결집
선거 명부 구성에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이 작용했다. 첫째, 전쟁 후 프랑스가 직면한 새로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평화 시기에도 ''신성 동맹''의 정신을 이어가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었다. 둘째, 당시 내부적으로 어려움을 겪던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지부(SFIO)는 볼셰비즘 문제에 대한 논의 자체를 거부했다. 사회주의자들은 당의 단결을 유지한다는 명분으로 1919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다른 어떤 세력과도 선거 연대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급진주의자들을 정치적으로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았고, 좌파 세력 간의 새로운 연대 가능성을 차단했다. 또한, 우파와 중도파에게는 SFIO를 '볼셰비즘 동조 세력'으로 몰아붙이며 공격할 빌미를 제공했다. 셋째, 우파 내부에서도 분열은 계속되었다. ''프랑스 행동''을 중심으로 한 군주주의자들은 여전히 고립되어 있었지만, 민족주의자, 가톨릭교도, 그리고 스스로를 "진보주의자"라 칭했던 과거의 온건 공화주의자들은 민주 공화 동맹과 같은 여러 중도 우파 조직들을 중심으로 결집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들은 급진주의자들과의 타협 가능성은 일축했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급진주의자들은 급진적 변화와 현상 유지 사이에서 주저하는 SFIO와, 그 어느 때보다 반좌익적 태도를 분명히 하는 우파 세력 사이에서 어려운 입장에 처하게 되었다.
복잡한 협상 과정을 거쳐 총 324개의 선거 명부가 제출되었다. 사회주의자들은 독자적인 명부를 구성하는 길을 택했고, 급진주의자들은 중도 우파와 연대한 명부와 독자적인 명부로 분열되었다. 반면 우파 세력은 국가 블록(Bloc national프랑스어)이라는 기치 아래 민주 공화 동맹, 진보주의자, 민족주의자, 가톨릭교도들을 성공적으로 규합했다. 특히 알렉상드르 밀랑은 센 지역의 두 번째 선거구에서 대통령 권한 강화를 내세우며 매우 폭넓은 우파 연합을 자신의 지역 기반에서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4. 선거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공화연방 | 1,819,691 | 22.33% |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 (SFIO) | 1,728,663 | 21.22% |
공화급진사회당 | 1,420,381 | 17.86% |
민주공화당 | 889,177 | 10.91% |
공화사회당 | 283,001 | 3.47% |
4. 1. 국가 블록의 승리
결과는 혼란스러웠는데, 모든 선거구에 후보자를 내면서 득세한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를 제외하면, 특히 고립된 급진파는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국가 블록의 승리는 명백했다. 즉, 하원에 ''청색 물결''이 덮쳤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출신 의원들의 수가 많았기 때문에("청색 수평선 의회")라고 불렸다 (전체 하원 의원의 44%). 이 승리는 1968년 총선까지 우파와 중도 우파의 최대 승리로 남게 된다. 이 입법부의 하원 의원 중 60%가 새로 선출되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공화연방 | 1,819,691 | 22.33% |
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SFIO) | 1,728,663 | 21.22% |
공화급진사회당 | 1,420,381 | 17.86% |
민주공화당 | 889,177 | 10.91% |
공화사회당 | 283,001 | 3.47% |
4. 2. 좌파 세력의 약화
선거 결과, 좌파 세력은 전반적으로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모든 선거구에 후보를 내며 득표율 21.22%로 2위를 차지한 사회당(SFIO)조차 의석수는 68석 확보에 그쳤다. 특히 중도 좌파 성향의 급진당은 고립되어 쇠퇴하는 경향을 보이며 86석을 얻는 데 머물렀다. 공화사회당 역시 26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반면 우파와 중도 우파 연합인 블록 나시오날은 명백한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결과 하원에는 소위 '청색 물결'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 출신 의원들이 대거 당선되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전체 하원 의원의 44%를 차지했으며, 이 때문에 당시 의회를 '청색 수평선 의회'(Chambre bleu horizon|샹브르 블뢰 오리종fra)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 선거는 1968년 프랑스 총선 이전까지 우파 및 중도 우파 세력이 거둔 가장 큰 규모의 승리로 기록되었다. 또한, 전체 의원의 60%가 새로 선출될 정도로 의회 구성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