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뇌이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이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불가리아와 연합국 간에 체결된 강화 조약으로, 1919년 11월 27일 프랑스 뇌이쉬르센에서 조인되었다. 이 조약은 불가리아의 영토 할양, 군비 축소, 배상금 지불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불가리아는 서트라키아를 연합국에 할양하고,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에 영토를 추가로 할양했으며, 도브루자를 루마니아에 반환했다. 또한, 군대를 2만 명으로 감축하고 1억 파운드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뇌이 조약은 불가리아에 큰 영향을 미쳐, 불가리아에서는 이를 "제2차 국민 재앙"으로 인식한다. 이 조약은 발칸 반도의 국경선을 재편성하여 민족 간 갈등의 씨앗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9년 체결된 조약 - 베르사유 조약
    베르사유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을 위해 1919년 독일과 연합국이 체결한 강화 조약으로, 독일에게 가혹한 조항들을 부과하여 반발을 일으켰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으며 국제 연맹 설립을 규정했다.
  • 1919년 체결된 조약 - 생제르맹 조약
    생제르맹 조약은 1차 세계 대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와 오스트리아의 전쟁 책임을 묻고, 영토 할양, 배상금 지불, 독일과의 연합 금지, 군대 축소 등을 규정한 평화 조약이다.
  • 1919년 11월 - 1919년 이탈리아 총선
    1919년 이탈리아 총선은 '비엔니오 로소' 시기에 치러져 이탈리아 사회당과 이탈리아 민중당이 약진하고 비례대표제 도입 및 유권자 기준 확대가 이루어졌으나, 자유연합의 분열로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며 베니토 무솔리니의 로마 진군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 1919년 11월 - 1919년 프랑스 총선
    1919년 프랑스 총선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데파르트망별 비례대표제로 치러진 선거로, 우파 중심의 '국가 블록' 결집과 사회주의 세력 분열 속에서 우파와 중도 우파의 압승을 가져와 "청색 물결" 하원을 구성하며 전후 프랑스 사회 변화의 계기가 되었다.
  • 제1차 세계 대전의 조약 - 베르사유 조약
    베르사유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을 위해 1919년 독일과 연합국이 체결한 강화 조약으로, 독일에게 가혹한 조항들을 부과하여 반발을 일으켰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으며 국제 연맹 설립을 규정했다.
  • 제1차 세계 대전의 조약 - 로잔 조약
    로잔 조약은 1923년 튀르키예가 연합국과 체결한 평화 조약으로, 튀르키예의 독립과 영토를 확정하고 인구 교환, 해협 지위, 소수 민족 보호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나, 인구 교환과 쿠르드족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뇌이 조약
지도 정보
조약 정보
조약 이름뇌이-쉬르-센 조약
프랑스어 표기Traité de Neuilly-sur-Seine
불가리아어 표기Ньойски договор
서명일1919년 11월 27일
서명 장소뇌이쉬르센, 프랑스
발효 조건불가리아와 4개 주요 연합국의 비준
기탁자프랑스 정부
사용 언어프랑스어(주요), 영어, 이탈리아어
위키소스뇌이 조약
국립국회도서관 링크조약 본문
서명국
주요 연합국주요 연합국 및 관련국
미국은 조약에 서명했지만 비준하지 않았음.

 • 
 • 
 • 
 • 
 • 
 • 


기타 연합국









추가 정보
뇌이 조약 비준, 보리스 3세, 알렉산드르 스탐볼리스키, 미하일 마자르프 서명 포함
관련 문서

뇌이-쉬르-센 역사

2. 조약 체결의 배경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불가리아 왕국동맹국 측에 가담하여 참전했으나 패전하였다.

3. 조약의 주요 내용

뇌이 조약은 총 13편 296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불가리아의 영토 할양, 배상금 지불, 군비 축소, 소수 민족 보호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불가리아는 이 조약에 따라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의 독립을 인정하고 관련된 여러 규제를 받아들여야 했다. 또한, 소수 민족 보호를 약속해야 했다.

불가리아는 전승국인 러시아 제국의 영역 내에서 구성된 국가 또는 앞으로 구성될 여러 국가와 체결하는 조약 또는 협정의 효력을 승인하고, 이들 국가의 독립을 존중해야 했다. 더불어 러시아의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및 러시아 과격파 정부와 체결한 일체의 조약을 폐기해야 했다.

이 외에도 불가리아는 전승국이 정한 바에 따라 오스트리아, 그리스,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및 체코슬라바키아의 국경을 승인해야 했다. 전승국이 여러 나라와 체결한 강화 조약 및 추가 조약, 옛 독일 제국, 옛 오스트리아, 헝가리 및 오스만 제국과의 여러 조약도 승인해야 했다. 프랑스모로코에 대한 보호권과 영국이집트에 대한 보호권 역시 승인해야 했다.[9]

뇌이 조약 이후 불가리아

3. 1. 영토 할양


  • 서트라키아를 협상국에 할양함으로써 불가리아는 에게해로 직접 나갈 수 있는 통로를 잃게 되었다. 이 지역은 이후 산레모 회담에서 그리스에 할양되었다.[5]
  •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이후 유고슬라비아)과의 서부 국경에서 추가 지역을 할양했다.
  • 1913년 부쿠레슈티 조약으로 루마니아에 할양했던 도브루자를 반환했다.
  • 마케도니아인의 일부 거주 지역을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할양했다.
  • 트라키아그리스 왕국에 귀속되었다.


뇌이 조약으로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에 할양된 영토는 현재 세르비아에는 약 1545km2, 북마케도니아에는 약 1028km2에 달한다.

세르비아에 할양된 영토(불가리아에서는 서부변방이라고 부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피로트 구디미트로브그라드, 피로트(Pirot) 및 바부슈니차(Babušnica) 일부
프치냐 구보실레그라드(Bosilegrad), 수르둘리차(Surdulica) 일부
자예차르 구티모크 강(Timok River)을 따라 위치한 8개 지역 (루마니아인 거주 7개 지역, 불가리아인 거주 1개 지역)[8]



이 지역들은 1919년 당시 불가리아의 ''오크루그(okrug)''인 퀴스텐딜(Kyustendil)(661km2), 차리브로드(Tzaribrod)(418km2), 트란(Tran, Bulgaria)(278km2), 쿨라(Kula, Bulgaria)(172km2) 및 비딘(Vidin)(17km2)의 일부였다. 불가리아 측 자료에 따르면 당시 보실레그라드(Bosilegrad) 인구의 98%, 차리브로드 인구의 95%가 불가리아인이었다. 그러나 1931년 유고슬라비아 인구 조사에서는 모든 남슬라브족을 단순히 유고슬라비아인(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불가리아인)으로 집계했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는 어렵다. 2002년 세르비아 최종 인구 조사에 따르면, 디미트로브그라드와 보실레그라드의 불가리아인 인구 비율은 각각 50%와 71%였다.

3. 2. 배상금 지불 및 군비 축소

불가리아는 1억파운드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9] 군대는 2만 명으로 감축되었다.[10]

3. 3. 기타 조항

불가리아는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의 독립을 인정하고, 이에 관한 여러 규제를 받았다. 또한 소수 민족 보호를 약속해야 했다. 불가리아는 전승국인 러시아 제국 영역 내에서 구성된 국가 또는 앞으로 구성될 여러 국가와 체결하는 조약 또는 협정의 효력을 승인하고, 이들 국가의 독립을 존중하며, 러시아의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및 러시아 과격파 정부와 체결한 일체의 조약을 폐기해야 했다.

또한 불가리아는 전승국이 정한 바에 따라 오스트리아, 그리스,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및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경을 승인해야 했다. 그리고 전승국이 여러 나라와 체결한 강화 조약 및 추가 조약, 옛 독일 제국, 옛 오스트리아, 헝가리 및 오스만 제국과의 여러 조약을 승인해야 했다. 프랑스모로코에 대한 보호권, 영국이집트에 대한 보호권도 승인해야 했다.[9]

4. 조약의 영향

뇌이 조약은 불가리아에 큰 영향을 미쳐, 제2차 국민 재앙으로 불릴 정도였다. 비록 크라이오바 조약으로 남부 도브루자를 되찾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과 손잡고 빼앗긴 땅 대부분을 일시적으로 되찾기도 했다.[6][7]

이 조약으로 불가리아는 1878년부터 자국 영토였던 서부변방의 4개 지역과 1912년에 편입한 스트루미차 주변 지역을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네 왕국(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넘겨주어야 했다.[1] 이는 불가리아군이 1915년부터 1918년까지 세르비아 남부와 동부를 점령한 것에 대한 보상이자 전략적인 이유 때문이었다.[1]

새로운 국경선은 세르비아에게 군사적, 전략적으로 유리했다.[1] 이전에는 높은 산맥이 불가리아와 세르비아 사이의 경계를 이루었지만, 새로운 경계선은 불가리아 수도 소피아를 위협했고, 불가리아가 침공할 경우 동부 세르비아가 받을 군사적 위협을 줄여주었다.[1]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참고)

4. 1. 불가리아에 미친 영향

불가리아에서는 이 조약의 결과를 일반적으로 '''제2차 국민 재앙'''으로 알고 있다. 불가리아는 그 후 크라이오바 조약에 따라 남부 도브루자를 회복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과 함께 조약에 따라 빼앗긴 다른 영토 대부분을 일시적으로 재점령했다.[6][7]

4. 2. 발칸 반도 정세에 미친 영향

뇌이 조약으로 1878년부터 불가리아의 일부였던 4개의 작은 지역(불가리아인들은 서부변방이라고 부름)과 1912년에 불가리아에 편입된 스트루미차 주변 지역이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네 왕국(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할양되었다.[1] 이는 1915년부터 1918년까지 불가리아군이 세르비아 남부와 동부를 점령한 것에 대한 보상이자 전략적 이유 때문이었다.[1]

새로운 국경은 세르비아에 군사적, 전략적 이점을 제공했다.[1] 이전의 불가리아와 세르비아 사이의 경계는 높은 산맥을 따라 형성되었지만, 새로운 경계는 불가리아의 수도 소피아를 위험에 노출시켰고, 불가리아 침공 시 동부 세르비아에 대한 군사적 위협을 감소시켰다.[1]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참조)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Neuilly-sur-Seine official site http://www.ville-neu[...]
[3] 간행물 Peace Treaties, Various Treaties and Agreements between the Allied and Associated Powers and Serb-Croat-Slovene State, Roumania, Bulgaria, Hungary and Turkey, together with some other agreements signed by the Peace Conference at Paris and Saint-Germain-En-Laye, presented by Mr. Lodge, April 25, 1921 https://archive.org/[...] 67th Congress, 1st Session, Senate, Document No. 7 2013-01-02
[4] 간행물 Treaty of Peace between the Allied and Associated Powers and Bulgaria, and Protocol, Neuilly-sur-Seine, November 27, 1919, printed by the order of Parliament https://archive.org/[...] J. de Labroquerie Taché, printer to the King's Most Excellent Majesty 2013-01-03
[5] 문서 Convention between Bulgaria and Greece respecting Reciprocal Emigration of Minorities, signed at Neuilly-sur-Seine, 27 November 1919.
[6] 논문 International: 'No, Nay, Never' (Once More): The Resurrection of Hungarian Irredentism
[7] 논문 Greek Macedonia and the Convention of Neuilly (1919)
[8] 블로그 Tribalia http://www.celedouat[...]
[9] 문서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