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2년 전국체육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2년 전국체육대회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개최된 대회로, 농구, 수영, 씨름, 야구, 역도, 육상, 정구, 축구 등 다양한 종목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각 종목별로 전조선 선수권대회 또는 전국대회 형식으로 치러졌으며, 경성운동장 등지에서 개최되었다. 축구의 경우 소학부, 중학부, 전문부, 청년부 등으로 나뉘어 경기가 진행되었고, 노동부 경기도 번외 경기로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2년 한국 - 제주잠녀항쟁
제주잠녀항쟁은 일제강점기 제주 해녀들이 일본의 경제적 수탈과 억압에 저항하여 일어난 항쟁으로, 일본의 어업 침탈과 객주를 통한 폭리, 어용화된 해녀조합 등으로 어려워진 잠녀들의 생활고와 민족 교육을 통해 성장한 잠녀들이 부당한 현실에 맞서 항거한 사건이며, 항쟁 이후 일본의 탄압과 제주 출신 조선인들의 지원 활동, 현기영의 소설 《바람 타는 섬》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 1932년 전국체육대회 경기장 - 동대문야구장
광복 후 서울운동장 야구장으로 불리며 아마추어 야구의 중심지였던 동대문야구장은 KBO 리그 개막전이 열린 곳이자 프로야구 초창기 MBC 청룡과 OB 베어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나, 2008년 철거 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이 되었다. - 1932년 전국체육대회 경기장 - 동대문운동장
동대문운동장은 일제강점기에 건립되어 '경성운동장', '서울운동장'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과거 동양 최대 규모의 스포츠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나, 2007년 폐쇄 후 철거되어 현재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들어서 있다.
1932년 전국체육대회 | |
---|---|
대회 정보 | |
연도 | 1932년 |
종류 | 하계 |
대회 명칭 | 제13회 전국체육대회 |
개최 국가 | 일제강점기 조선 |
개최 도시 | 경성 |
종목 수 | 7 |
세부 종목 수 | 56 |
개막일 | 1932년 5월 27일 |
폐막일 | 1932년 12월 10일 |
주경기장 | 경성운동장 |
2. 경기 종목
1932년 전국체육대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종목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종목 | 대회 명칭 | 개최 날짜 | 개최 장소 | 경기 시간 | 참가 규모 | 우승팀 |
---|---|---|---|---|---|---|
농구 | 제2회 전조선농구선수권대회 | 1932년 5월 27일 ~ 5월 28일 | 경성운동장 | 예선 30분, 결승 40분 | 8개 팀 | 협성실업학교 |
수영 | 제3회 전조선수상경기대회 | 1932년 9월 10일 | 조선총독부 철도국 수영장 | 18개 종목 | ||
씨름 | 제4회 전조선씨름대회 | 1932년 11월 12일 | 천도교기념관 | 12개 단체 | 보성고등보통학교 | |
야구 | 제13회 전조선야구대회 | 1932년 6월 16일 ~ 6월 18일 | 경성운동장 야구장,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초등부 7회, 중학부/청년부 9회 | 초등부 4팀, 중학부 4팀, 청년부 3팀 | 초등부: 공옥보통학교, 중학부: 중앙고등보통학교, 청년부: 월성구락부 |
역도 | 제3회 전조선역도대회 | 1932년 12월 10일 | 하세가와 공회당 | 경경량급, 경량급, 중량급, 경중량급 4개 부문 | 이덕훈, 김영선, 송학준, 김희학 | |
육상 | 제8회 전조선육상경기대회 | 1932년 10월 22일 | 경성운동장 | 남자 24개 종목 | ||
정구 | 제12회 전조선정구대회 | 1932년 6월 24일 | 경성운동장 | 중학부 9팀, 전문부 3팀, 청년부 4팀 | 중학부: 양정고등보통학교, 전문부: 보성전문학교, 청년부: 체우구락부 | |
축구 | 제13회 전조선축구대회 | 1932년 11월 2일 ~ 11월 5일 | 경성운동장 | 초등부 50분, 중학부 60분, 청년부 70분 | 초등부 6팀, 중학부 12팀, 전문부 2팀, 청년부 3팀 | 초등부: 우승팀 없음, 중학부: 경성농업, 전문부: 보성전문학교, 청년부: 청진 축구단 |
2. 1. 농구
농구 종목은 '제2회 전조선농구선수권대회'로 진행되었고, 1932년 5월 27일부터 5월 28일까지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있는 경성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28][29] 조선체육회는 대회를 진행하기 위해 1932년 5월 23일까지 참가신청을 받은 후 5월 23일에 대진 추첨을 진행했다.[30][31] 예선 경기는 5분씩 6회 총 30분으로 진행되었고, 결승 경기는 쿼터당 10분씩 총 40분으로 진행되었다.[30]경성실업전수학교, 보성전문학교, 백합농구단, 삼각농구단, 양정고등보통학교, 전중앙기독교청년회학교, 협성실업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 등 8개 선수단이 참가하여,[32][28] 결승에서 협성실업학교가 보성전문학교를 상대로 23:21로 이기며 우승했다.[33][34]
2. 2. 수영
수영 종목은 조선체육회가 조선수상경기협회와 공동으로 주관하여 '제3회 전조선수상경기대회'로 진행되었다.[33][35] 1932년 9월 10일에 조선총독부 철도국 수영장에서 개최되었으며, 18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다.[36]2. 3. 씨름
씨름 종목은 '제4회 전조선씨름대회'로 진행되었다. 1932년 11월 12일에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있는 천도교기념관에서 개최되었다.[37] 단체 종목만 진행되었고, 경성농업, 경신학교, 동성상업, 배재고등학교, 보성고등보통학교, 송도고등보통학교, 숭인상업, 양정고등보통학교, 중동학교, 중앙고등보통학교, 협성실업, 휘문고등보통학교 등 12개 선수단이 참가했다.[37] 결승에서 보성고등보통학교가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상대로 5:2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37]2. 4. 야구
야구 종목은 '제13회 전조선야구대회'로 진행되었다. 1932년 6월 16일부터 6월 18일까지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있는 경성운동장 야구장과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38][39] 소학부, 중학부, 청년부 종목으로 나뉘어 9회 경기로 진행되었다.[40]소학부 종목에서는 공옥보통학교가 결승에서 재동공립보통학교를 상대로 2:1로 이기며 우승했다.[38][41] 중학부 종목에서는 중앙고등보통학교가 결승에서 휘문고등보통학교를 17회 연장까지 가는 승부 끝에 8:3으로 이기며 우승을 달성했다.[38][41] 청년부 종목에서는 월성구락부가 결승에서 전연희전문을 상대로 15:5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38][41]
2. 5. 역도
역도 종목은 '제3회 전조선역기대회'로 진행되었다. 1932년 12월 10일에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있는 하세가와 공회당에서 개최되었다.[37] 경경량급, 경량급, 중량급, 경중량급 등 4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종목별로 이덕흥, 김용성, 송학준, 김희학이 우승했다.[37]2. 6. 육상
육상 종목은 '제8회 전조선육상경기대회'로 진행되었으며, 1932년 10월 22일에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있는 경성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42] 10월 19일까지 참가 접수를 받았으며, 남자 개인 종목은 1인당 30전, 남자 단체 종목은 한 팀당 1원의 참가비를 받았다.[43] 여자 종목도 신설하고 여자 종목 참가 선수에게는 참가비를 받지 않았으나,[43] 참가자가 없어 진행되지 않았다.[44] 그리하여 육상 종목은 남자 종목만 24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다.[42][45]2. 7. 정구
정구 종목은 '제12회 전조선정구대회'로 진행되었고, 1932년 6월 24일에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있는 경성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33] 1932년 6월 20일까지 참가 접수를 받은 후 6월 21일 17시에 동아일보 강당에서 대진 추첨이 진행되었다.[46]중학부에서는 경신학교, 동성상업, 배재고등보통학교, 보성고등보통학교, 양정고등보통학교, 제일고등보통학교, 중동학교, 중앙고등보통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 등 9개 선수단이 참가했고, 전문부에서는 대구의학전문강습소, 보성전문학교, 중앙불교전문학교 등 3개 선수단이 참가했으며, 청년부 종목에서는 백웅구락부, 체우구락부, 태양구락부, 혜화구락부 등 4개 선수단이 참가했다.[33][47] 중학부와 전문부 종목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됐고 청년부 종목은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48]
중학부 종목에서 양정고등보통학교가 중동학교를 상대로 3:2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고, 전문부 종목에서 보성전문학교가 대구의학전문강습소를 상대로 3:0으로 이기며 우승을 달성했으며, 청년부 종목에서는 체우구락부가 태양구락부를 상대로 3:0으로 이기며 우승했다.[33]
2. 8. 축구
축구 종목은 '제13회 전조선축구대회'로 진행되었으며, 1932년 11월 2일부터 11월 5일까지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있는 경성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37][49] 1932년 10월 29일까지 참가 신청을 받아 10월 30일에 대진 추첨이 진행되었다.[50] 청년부와 전문부 종목의 팀당 참가비는 5원이고 중학부 종목은 3원이었으며, 소학부 종목과 조선체육대회 단체 회원은 참가비가 면제되었다.[50] 각 팀은 선수 16명과 지도자 1명으로 구성되었다.[50]소학부 종목은 계성학교, 대동학교, 보인보통학교, 승동학교, 조양학교, 충신학원 등 6개 선수단이 참가했고, 중학부 종목은 경성농업, 경신학교, 배재고등보통학교, 보성고등보통학교, 숭인상업, 실업전수학교, 중동학교, 중앙고등보통학교, 진주고등보통학교, 청년학관, 휘문고등보통학교 등 12개 선수단이 참가했다.[37] 전문부 종목은 보성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가 참가했으며, 청년부 종목은 계림 축구단, 봉래 축구단, 청진 축구단이 참가했다.[37]
소학부 경기는 전·후반 각 25분씩(50분), 중학부 경기는 전·후반 각 30분씩(60분), 청년부 경기는 전·후반 각 35분씩(70분) 진행되었다.[52][51][53]
소학부 종목에서는 대동학교와 충신학원이 결승에 진출했으나, 양 팀 모두 연령 제한을 초과한 선수가 포함되어 있어 기권, 결승전이 무산되어 우승팀이 없다.[37][54] 중학부 종목에서는 경성농업이 결승에서 배재고등보통학교를 3:2로 이기고 우승했다.[37] 전문부 종목에서는 보성전문학교가 연희전문학교를 2:0으로 이기고 우승했다.[37]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된 청년부 종목에서는 청진 축구단이 우승했다.[37]
2. 8. 1. 노동부 경기
20년 이상 전에 은퇴한 선수나 30세 이상의 선수들이 참가하는 노동홍백전 경기가 있었다.[24] 이 경기는 당시 정식 종목은 아니었지만, 오늘날 대한체육회는 전국체육대회의 일부로 분류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hero.sports.o[...]
대한체육회
2020-08-14
[2]
뉴스
選手(선수)의宣誓式(선서식)으로 籠球選手權開幕(농구선수권개막)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5-29
[3]
뉴스
第二回全朝鮮(제이회전조선) 籠球選手權大會(농구선수권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5-03
[4]
뉴스
第二回全朝鮮(제이회전조선)=籠球選手權大會(농구선수권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5-24
[5]
뉴스
古强(고강)과新進合(신진합)해 全部八(전부팔)팀이參加(참가)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5-25
[6]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7]
뉴스
古强(고강),普專(보전)과激戰後(격전후) 協成實業(협성실업)이優勝(우승)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5-30
[8]
뉴스
한여름練習(연습)의目標(목표) 全朝鮮水上競技(전조선수상경기)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9-02
[9]
뉴스
平泳(평영)만除(제)하고 記錄全部(기록전부)를更新(갱신)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9-13
[10]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hero.sports.o[...]
2020-08-14
[11]
서적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https://www.sports.o[...]
대한체육회
[12]
뉴스
參加期切迫(참가기절박)한 全朝鮮野球(전조선야구)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11
[13]
뉴스
朝鮮體育會主催(조선체육회주최),本社後援(본사후원) 明日(명일)부터開幕(개막)될 全朝鮮野球大會(전조선야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16
[14]
뉴스
朝鮮體育會主催(조선체육회주최), 本社後援(본사후원) 全朝鮮野球大會(전조선야구대회) 十一團體(십일단체)가參加(참가)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14
[15]
뉴스
全朝鮮陸上競技(전조선육상경기) 明朗壯快(명랑장쾌)히開幕(개막)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23
[16]
뉴스
第八回全朝鮮(제팔회전조선) 陸上競技大會(육상경기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09
[17]
뉴스
陸上競技明日開幕(육상경기명일개막) 長距離(장거리)에總集中(총집중)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22
[18]
뉴스
前記錄大槪突破(전기록대개돌파) 陸上競技(육상경기)에大收穫(대수확)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24
[19]
뉴스
朝鮮體育會主催(조선체육회주최),本社後援(본사후원) 臨迫(임박)한第十二回(제십이회) 全朝鮮庭球大會(전조선정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21
[20]
뉴스
全朝鮮庭球(전조선정구) 十六團叅加(십육단참가)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22
[21]
뉴스
朝鮮體育會主催(조선체육회주최),本社後援(본사후원) 全朝鮮庭球大會(전조선정구대회) 對陣(대진)과時間决定(시간결정)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23
[22]
뉴스
來明日(내명일)로臨迫(임박)한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1-01
[23]
뉴스
第十三回(제십삼회)째열릴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19
[24]
뉴스
中學團二回戰(중학단이회전)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1-05
[25]
뉴스
小學第一回戰(소학제일회전)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1-05
[26]
뉴스
靑年團(청년단)리-그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1-06
[27]
뉴스
延長四次(연장사차)의大接戰(대접전) 遠來(원래)의鏡城勝捷(경성승첩)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1-06
[28]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hero.sports.o[...]
2020-08-14
[29]
뉴스
選手(선수)의宣誓式(선서식)으로 籠球選手權開幕(농구선수권개막)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5-29
[30]
뉴스
第二回全朝鮮(제이회전조선) 籠球選手權大會(농구선수권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5-03
[31]
뉴스
第二回全朝鮮(제이회전조선)=籠球選手權大會(농구선수권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5-24
[32]
뉴스
古强(고강)과新進合(신진합)해 全部八(전부팔)팀이參加(참가)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5-25
[33]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34]
뉴스
古强(고강),普專(보전)과激戰後(격전후) 協成實業(협성실업)이優勝(우승)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5-30
[35]
뉴스
한여름練習(연습)의目標(목표) 全朝鮮水上競技(전조선수상경기)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9-02
[36]
뉴스
平泳(평영)만除(제)하고 記錄全部(기록전부)를更新(갱신)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9-13
[37]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hero.sports.o[...]
2020-08-14
[38]
서적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https://www.sports.o[...]
대한체육회
2022-07-20
[39]
뉴스
參加期切迫(참가기절박)한 全朝鮮野球(전조선야구)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11
[40]
뉴스
朝鮮體育會主催(조선체육회주최),本社後援(본사후원) 明日(명일)부터開幕(개막)될 全朝鮮野球大會(전조선야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16
[41]
뉴스
朝鮮體育會主催(조선체육회주최), 本社後援(본사후원) 全朝鮮野球大會(전조선야구대회) 十一團體(십일단체)가參加(참가)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14
[42]
뉴스
全朝鮮陸上競技(전조선육상경기) 明朗壯快(명랑장쾌)히開幕(개막)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23
[43]
뉴스
第八回全朝鮮(제팔회전조선) 陸上競技大會(육상경기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09
[44]
뉴스
陸上競技明日開幕(육상경기명일개막) 長距離(장거리)에總集中(총집중)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22
[45]
뉴스
前記錄大槪突破(전기록대개돌파) 陸上競技(육상경기)에大收穫(대수확)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24
[46]
뉴스
朝鮮體育會主催(조선체육회주최),本社後援(본사후원) 臨迫(임박)한第十二回(제십이회) 全朝鮮庭球大會(전조선정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21
[47]
뉴스
全朝鮮庭球(전조선정구) 十六團叅加(십육단참가)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22
[48]
뉴스
朝鮮體育會主催(조선체육회주최),本社後援(본사후원) 全朝鮮庭球大會(전조선정구대회) 對陣(대진)과時間决定(시간결정)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06-23
[49]
뉴스
來明日(내명일)로臨迫(임박)한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1-01
[50]
뉴스
第十三回(제십삼회)째열릴 全朝鮮蹴球大會(전조선축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0-19
[51]
뉴스
中學團二回戰(중학단이회전)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1-05
[52]
뉴스
小學第一回戰(소학제일회전)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1-05
[53]
뉴스
靑年團(청년단)리-그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1-06
[54]
뉴스
延長四次(연장사차)의大接戰(대접전) 遠來(원래)의鏡城勝捷(경성승첩)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2-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