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은 1936년 8월 9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었으며, 손기정이 2시간 29분 19초 2의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어니스트 하퍼(영국)가 은메달, 남승룡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당시 한국은 일제강점기였기에 손기정과 남승룡은 일본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으며, 손기정은 시상식에서 일본 국가가 연주될 때 고개를 숙였다. 또한, 동아일보는 손기정의 우승 사진에서 일장기를 지워 정간 처분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올림픽의 육상 종목 경기로, 미국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고, 남자 마라톤에서 손기정과 남승룡이 메달을 획득했으며, 다양한 올림픽 기록과 세계 기록이 경신되었다. - 193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36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36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제11회 하계 올림픽의 축구 종목으로, 이탈리아가 금메달, 오스트리아가 은메달, 노르웨이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페루와 오스트리아 간의 8강전은 심판 판정 논란으로 페루 선수단이 대회에서 철수하는 사건이 있었다.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남자 마라톤 |
대회 | 1936년 하계 올림픽 |
![]() | |
개최지 | 올림피아슈타디온 (시작 및 종료 지점) |
날짜 | 8월 9일 |
참가 선수 | 56명 |
참가 국가 | 27개국 |
이전 대회 | 1932 |
다음 대회 | 1948 |
결과 | |
우승 기록 | 2:29:19.2 |
금메달 | 손기정 |
금메달 국가 | JPN |
은메달 | 어니스트 하퍼 |
은메달 국가 | GBR |
동메달 | 남승룡 |
동메달 국가 | JPN |
2. 대회 이전 상황
이번 경기는 올림픽 육상 종목 12개 중 하나로, 10번째 열리는 대회였다. 1932년 대회에서 참가했던 선수들로는 아르헨티나의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 (전 대회 우승자)와 덴마크의 안데르스 하팅턴 안데르센 (10위) 등이 있었다. 손기정은 1935년에 세계 기록을 갱신했으며, 1933년 이후 출전한 12번의 마라톤 대회 중 9번 우승했고, 나머지 3번은 3위 안에 들었다.[2]
불가리아, 중화민국, 페루, 폴란드, 스위스는 올림픽 마라톤에 처음 출전했다. 미국은 10번째 출전으로, 이 시점까지 모든 올림픽 마라톤에 참가한 유일한 국가였다.
당시 한국은 일제 강점기 하에 있었기 때문에, 한국 선수들은 일본 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해야 했다. 손기정(Son Kitei)과 남승룡(Nan Shōryū)은 각각 일본식 이름으로 출전했다.[1] 손기정은 1935년에 마라톤 세계 신기록을 세우는 등 뛰어난 기량을 가진 선수였다.[2][6] 손기정은 우승 후 시상식에서 일본 국가가 연주될 때 고개를 숙였으며, 점령국인 일본이 아닌 독립된 한국을 위해 경쟁하지 못하는 것에 부끄러움을 느낀다고 말했다.[1][5] 한국 신문인 동아일보는 손기정의 우승 기념 사진에서 그의 유니폼에 새겨진 일본의 욱일기를 지웠고, 이로 인해 일본 정부는 해당 신문을 정간하고 일부 직원을 투옥했다.[2]
총 27개국에서 56명의 선수가 참가했다.[2] 불가리아, 중화민국, 페루, 폴란드, 스위스는 올림픽 마라톤에 처음 출전했다. 미국은 10회 연속 올림픽 마라톤에 참가한 유일한 국가였다.[2]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아르헨티나)와 10위 안데르스 하팅턴 안데르센(덴마크)도 참가했다.[2]
2. 1. 한국 선수 참가
당시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였기 때문에, 한국 선수들은 일본 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해야 했으며, 손기정(Son Kitei)과 남승룡(Nan Shōryū)은 각각 손기정과 남승룡이라는 일본식 이름으로 출전했다.[1] 손기정은 1935년에 마라톤 세계 신기록을 세우는 등 뛰어난 기량을 가진 선수였다.[2][6] 손기정은 우승 후 시상식에서 일본 국가가 연주될 때 고개를 숙였으며, 점령국인 일본이 아닌 독립된 한국을 위해 경쟁하지 못하는 것에 부끄러움을 느낀다고 말했다.[1][5] 한국 신문인 동아일보는 손기정의 우승 기념 사진에서 그의 유니폼에 새겨진 일본의 욱일승천기를 지웠고, 이로 인해 일본 정부는 해당 신문을 정간하고 일부 직원을 투옥했다.[2]2. 2. 참가국 및 선수
총 27개국에서 56명의 선수가 참가했다.[2] 불가리아, 중화민국, 페루, 폴란드, 스위스는 올림픽 마라톤에 처음 출전했다. 미국은 10회 연속 올림픽 마라톤에 참가한 유일한 국가였다.[2]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아르헨티나)와 10위 안데르스 하팅턴 안데르센(덴마크)도 참가했다.[2] 손기정은 1935년에 세계 기록을 갱신했으며, 1933년 이후 출전한 12번의 마라톤 대회 중 9번 우승했고, 나머지 3번은 3위 안에 들었다.[2]3. 경기 코스 및 방식
모든 올림픽 마라톤과 마찬가지로, 이 경기는 단일 레이스로 진행되었다. 현재 표준 마라톤 거리인 42.195km 코스는 올림픽 경기장에서 시작되었다. 경기장을 한 바퀴 돈 후, 출발 선수들은 마라톤 게이트를 통해 경기장을 나섰다. 선수들은 마이펠트(Maifeld)를 가로질러 앙거부르거 거리(Angerburger Avenue)로 우회전했다. 곧이어 글록켄투름슈트라세(Glockenturmstraße)로 좌회전하여 하펠차우세(Havelchaussee) 4km 지점에 첫 번째 체크포인트가 있었다. 그들은 하펠 강둑을 따라 그뤼네발트(Grunewald) 왼쪽으로 이동했다. 두 번째 체크포인트는 루펜호른(Rupenhorn) 6km 지점에 있었고, 세 번째 통과 지점은 8km 지점인 쉴트호른(Schildhorn)에서 이어졌다. 그뤼네발트타워(Grunewaldturm)는 10km 지점에 도달했으며, 린트베르더(Lindwerder) 섬 수준에서 선수들을 남동쪽으로 보냈다. 하펠차우세 끝에서 선수들은 길고 곧은 AVUS로 좌회전했다. 코스는 레이스 트랙을 따라 노르트슐라이페(Nordschleife)로 이어졌고, 그곳에서 로터 필드로 돌아와 이전 경로를 따라 올림픽 경기장으로 돌아왔다. 선수들은 마라톤 게이트를 통해 경기장으로 돌아와 결승선까지 약 150m를 달렸다.[3]
이 코스는 현재의 베를린 마라톤과는 다르다.
코스는 주 경기장인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을 출발점과 도착점으로 하는 왕복 코스이며, 하펠 강 중간에 있는 호반을 경유한 후, 자동차 경주용 서킷인 아우토반 아우스에 들어가 그 안에 반환점이 설치되었다. 가마다 타다요시나 당시 신문 기사에는 "하펠 호반(도로)"라는 표현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하펠 강 수로 중간에 여러 호수가 존재하며, "하펠 호"라는 호수가 있는 것은 아니다(첨부된 코스 그림에서 거의 반 호를 따라간다). 또한 아우토반 아우스에 관해서는 가마다 타다요시나 당시 신문은 "아보스"라고 표기하고 있다. 일본 선수단 관계자는 사전 답사에서 업다운이 많고, 아우토반 아우스에서는 가리는 나무도 없는 환경의 난코스라는 판단을 내렸다.
3. 1. 코스 특징
1936년 하계 올림픽 남자 마라톤 코스는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을 출발점과 도착점으로 하는 왕복 코스였다.[3] 경기장을 한 바퀴 돈 후, 선수들은 마라톤 게이트를 통해 경기장을 나서, 마이펠트(Maifeld)를 가로질러 앙거부르거 거리(Angerburger Avenue)로 우회전했다. 이후 글록켄투름슈트라세(Glockenturmstraße)로 좌회전하여 하펠차우세(Havelchaussee) 4km 지점에 첫 번째 체크포인트에 도달했다.[3] 그들은 하펠 강둑을 따라 그뤼네발트(Grunewald) 왼쪽으로 이동했다.[3] 이후의 체크포인트는 루펜호른(Rupenhorn) 6km 지점, 쉴트호른(Schildhorn) 8km 지점에 있었다.[3] 그뤼네발트타워(Grunewaldturm)는 10km 지점에 있었으며, 린트베르더(Lindwerder) 섬 수준에서 선수들을 남동쪽으로 보냈다.[3] 하펠차우세 끝에서 선수들은 길고 곧은 자동차 경주 코스인 AVUS로 좌회전했다.[3] 코스는 레이스 트랙을 따라 노르트슐라이페(Nordschleife)로 이어졌고, 그곳에서 로터 필드로 돌아와 이전 경로를 따라 올림픽 경기장으로 돌아왔다.[3] 선수들은 마라톤 게이트를 통해 경기장으로 돌아와 결승선까지 약 150m를 달렸다.[3]이 코스는 현재의 베를린 마라톤과는 다르다. 전체적으로 평탄하지만, AVUS 구간은 햇볕을 가릴 것이 없는 난코스로 평가받았다.
3. 2. 경기 방식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은 별도의 예선 없이 모든 선수가 참가하는 단일 레이스로 진행되었다. 경기는 1936년 8월 9일 일요일 15:00에 시작되었으며, 당시 날씨는 맑고 쾌청했으며 기온은 22°C였다.[2]4. 경기 진행 및 결과
1936년 8월 9일 일요일 15시에 경기가 시작되었으며, 날씨는 맑고 쾌청했으며 기온은 22°C였다.[2]
날짜 | 시간 | 라운드 |
---|---|---|
1936년 8월 9일 일요일 | 15:00 | 결선 |
순위 | 선수 | 국가 | 기록 | 비고 | ||||||||
---|---|---|---|---|---|---|---|---|---|---|---|---|
손기정 | 2:29:19.2 | |||||||||||
어니스트 하퍼 | 2:31:23.2 | |||||||||||
]]}} ||align=left|남승룡 || align=left| || 2:31:42.0 || |- | 4 ||align=left| 에르키 타밀라 ||align=left| || 2:32:45.0 || |- | 5 ||align=left| 바이노 무이노넨 ||align=left| || 2:33:46.0 || |- | 6 ||align=left| 요하네스 콜먼 ||align=left| || 2:36:17.0 || |- | 7 ||align=left| 도널드 로버트슨 (육상 선수) ||align=left| || 2:37:06.2 || |- | 8 ||align=left| 재키 깁슨 (육상 선수) ||align=left| || 2:38:04.0 || |- | 9 ||align=left| 마우노 타르키아이넨 ||align=left| || 2:39:33.0 || |- | 10 ||align=left| 토레 에노크손 ||align=left| || 2:43:12.0 || |- | 11||align=left| 스틸리아노스 키리아키데스 ||align=left| || 2:43:20.0 || |- | 12||align=left| 누바 칼레드 ||align=left| || 2:45:34.0 || |- | 13||align=left| 헨리 팔메 ||align=left| || 2:46:08.4 || |- | 14||align=left| 프란츠 투셰크 ||align=left| || 2:46:29.0 || |- | 15||align=left| 지미 바틀렛 ||align=left| || 2:48:21.4 || |- | 16||align=left| 에밀 뒤발 ||align=left| || 2:48:39.8 || |- | 17||align=left| 마누엘 디아스 (육상 선수) ||align=left| || 2:49:00.0 || |- | 18||align=left| 조니 켈리 ||align=left| || 2:49:32.4 || |- | 19||align=left| 밀로슬라프 루냐크 ||align=left| || 2:50:26.0 || |- | 20||align=left| 펠릭스 메스켄스 ||align=left| || 2:51:19.0 || |- | 21||align=left| 얀 타카치 ||align=left| || 2:51:20.0 || |- | 22||align=left| 루돌프 뵈버 ||align=left| || 2:51:28.0 || |- | 23||align=left| 루도비크 갈 ||align=left| || 2:55:02.0 || |- | 24||align=left| 로버트 네번스 ||align=left| || 2:55:51.0 || |- | 25||align=left| 안데르스 하르팅턴 안데르센 ||align=left| || 2:56:31.0 || |- | 26||align=left| 가브리엘 멘도사 (육상 선수) ||align=left| || 2:57:17.8 || |- | 27||align=left| 토미 랄란데 ||align=left| || 2:57:20.0 || |- | 28||align=left| 아르투르스 뫼트밀레르스 ||align=left| || 2:58:02.0 || |- | 29||align=left| 에두아르트 브라제케 ||align=left| || 2:59:33.4 || |- | 30||align=left| 퍼시 와이어 ||align=left| || 3:00:11.0 || |- | 31||align=left| 페르낭 르 외르퇴르 ||align=left| || 3:01:11.0 || |- | 32||align=left| 빌헬름 로트마이어 ||align=left| || 3:02:32.0 || |- | 33||align=left| 브로니스와프 간차르 ||align=left| || 3:03:11.0 || |- | 34||align=left| 막스 베어 (육상 선수) ||align=left| || 3:06:26.0 || |- | 35||align=left| 기예르모 수아레스 (육상 선수) ||align=left| || 3:08:18.0 || |- | 36||align=left| 보리스 카랄람피예프 ||align=left| || 3:08:53.8 || |- | 37||align=left| 아룰 스와미 ||align=left| || 3:10:44.0 || |- | 38||align=left| 요제프 슐츠 ||align=left| || 3:11:47.4 || |- | 39||align=left| 프란츠 에하 ||align=left| || 3:18:17.0 || |- | 40||align=left| 왕정린 ||align=left| || 3:25:36.4 || |- | 41||align=left| 스타네 슈폰 ||align=left| || 3:30:47.0 || |- | 42||align=left| 호세 파리아스 (육상 선수) ||align=left| || 3:33:24.0 || |- |rowspan=14 data-sort-value=43| — ||align=left| 후안 아코스타 (육상 선수)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프란츠 바르지케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타잔 브라운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지아니노 불조네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폴 드 브루인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카지미에시 피알카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아우렐리오 젠기니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윌리엄 맥마흔 (육상 선수)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자이메 멘데스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버트 노리스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루이스 올리바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시와쿠 타마오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해럴드 웹스터 (육상 선수)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align=left|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 ||align=left| ||data-sort-value=4:00:00.0| || |- |rowspan=4 data-sort-value=57| — ||align=left| 빈센트 칼라드 ||align=left| ||data-sort-value=9:99:99.9| || |- |align=left| 장 샤펠 ||align=left| ||data-sort-value=9:99:99.9| || |- |align=left| 에른스트 히르트 ||align=left| ||data-sort-value=9:99:99.9| || |- |align=left| 호르헤 페리 ||align=left| ||data-sort-value=9:99:99.9| || |} 4. 1. 경기 초반1936년 8월 9일 15시 02분,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출발한 마라톤 경기 초반에는 올림픽 2연패를 노리는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가 선두를 유지했다. 12km 지점에서 사발라는 2위 그룹과 1분 정도의 차이를 벌렸다. 이 시점에서 손기정은 4위를 기록했다.15km 지점을 지나면서 손기정은 앞으로 나가려 했으나, 함께 달리던 영국의 어니스트 하퍼는 "천천히, 천천히"라며 손짓과 함께 페이스를 늦추라고 반복해서 요청했고, 손기정은 잠시 이에 따랐다. 18km 지점에서 사발라와 2위 마누엘 디아스(포르투갈)의 차이는 2분 2초로 벌어졌고, 4위였던 손기정은 이대로는 안된다고 판단하여 페이스를 올렸고, 하퍼도 잠시 후 그를 따라갔다. 4. 2. 손기정의 선두 질주1936년 8월 9일 15시 02분,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을 출발한 마라톤 초반에는 올림픽 2연패를 노리는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가 선두에 섰다. 12km 지점에서 사발라는 2위 이하와 1분 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이 시점에서 손기정은 4위였다. 15km 지점에서 손기정이 앞으로 나가려 하자, 함께 달리던 영국의 어니스트 하퍼는 페이스를 늦추라고 조언했고, 손기정은 잠시 이에 따랐다.18km 지점에서 손기정은 "이래서는 안 된다"라고 판단하고 페이스를 올렸고, 하퍼도 잠시 후 이에 따라갔다. 21km 반환점에서 손기정과 하퍼는 2위로 올라섰고, 선두 사발라와는 1분 10초 차이가 났다. 25km 지점에서도 사발라와 손기정의 차이는 1분 32초였지만, 사발라의 속도가 떨어지면서 28km 지점에서 33초로 좁혀졌다. 아브스를 빠져나가는 29km 지점에서 손기정은 사발라를 제치고 선두로 나섰다. 사발라는 32km 지점에서 4위로 떨어진 직후 멈춰 서서 기권했다. 4. 3. 손기정 우승, 남승룡 동메달1936년 하계 올림픽 남자 마라톤에서는 손기정이 2시간 29분 19초 2의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8] 어네스트 하퍼(영국)가 2시간 31분 23초 2로 은메달,[9] 남승룡이 2시간 31분 42초 0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10]경기는 8월 9일 15시 02분에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을 출발하여 진행되었다. 초반에는 올림픽 2연패를 노리는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가 선두를 유지했으나, 29km 지점에서 손기정이 사발라를 제치고 선두로 나섰다. 사발라는 32km 지점에서 기권했다. 더운 날씨로 인해 많은 선수들이 기권했으며, 출전 선수 56명 중 42명이 완주했다. ![]()
4. 4. 경기 결과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 경기는 1936년 8월 9일에 진행되었다.손기정}}이 2시간 29분 19초 2의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남승룡은 2시간 31분 42초 0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8][9] 어니스트 하퍼는 2시간 31분 23초 2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차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