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경기장
- 3. 경기 결과
- 3.1. 남자
- 3.1.1. 남자 100m
- 3.1.2. 남자 200m
- 3.1.3. 남자 400m
- 3.1.4. 남자 800m
- 3.1.5. 남자 1500m
- 3.1.6. 남자 5000m
- 3.1.7. 남자 10000m
- 3.1.8. 남자 마라톤
- 3.1.9. 남자 110m 허들
- 3.1.10. 남자 400m 허들
- 3.1.11. 남자 3000m 장애물
- 3.1.12. 남자 4x100m 계주
- 3.1.13. 남자 4x400m 계주
- 3.1.14. 남자 50km 경보
- 3.1.15. 남자 멀리뛰기
- 3.1.16. 남자 세단뛰기
- 3.1.17. 남자 높이뛰기
- 3.1.18. 남자 장대높이뛰기
- 3.1.19. 남자 포환던지기
- 3.1.20. 남자 원반던지기
- 3.1.21. 남자 해머던지기
- 3.1.22. 남자 창던지기
- 3.1.23. 남자 10종 경기
- 3.2. 여자
- 3.1. 남자
- 4. 메달 집계
- 참조
1. 개요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독일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남자 23개, 여자 6개 총 29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금메달 1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남자 육상에서는 제시 오언스가 100m, 200m, 멀리뛰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활약했고, 여자 육상에서는 헬렌 스티븐스가 100m에서 우승했다. 한국의 손기정 선수가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일제강점기 상황으로 인해 일본 대표로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었으며, 손기정이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일제강점기였기에 손기정과 남승룡은 일본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다. - 독일에서 개최된 육상 대회 -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여자 3000m 경기가 마지막으로 열렸고, 상위 입상자에게 상금과 부상이 주어졌으며,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독일에서 개최된 육상 대회 -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2009년 8월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었으며, 우사인 볼트가 세계 신기록을 세우는 등 여러 기록이 경신되었고, 미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종목 | 육상 |
대회 | 1936년 하계 올림픽 |
![]() | |
날짜 | 1936년 |
종목 수 | 29 |
참가 국가 | 43개국 |
참가 선수 | 776명 |
이전 대회 | 1932년 |
다음 대회 | 1948년 |
세부 종목 | |
100 미터 | 남자 여자 |
200 미터 | 남자 |
400 미터 | 남자 |
800 미터 | 남자 |
1500 미터 | 남자 |
5000 미터 | 남자 |
10,000 미터 | 남자 |
80 미터 허들 | 여자 |
110 미터 허들 | 남자 |
400 미터 허들 | 남자 |
3000 미터 장애물 | 남자 |
4 × 100 미터 릴레이 | 남자 여자 |
4 × 400 미터 릴레이 | 남자 |
도로 종목 | |
마라톤 | 남자 |
50 킬로미터 경보 | 남자 |
필드 종목 | |
멀리뛰기 | 남자 |
세단뛰기 | 남자 |
높이뛰기 | 남자 여자 |
장대높이뛰기 | 남자 |
포환던지기 | 남자 |
원반던지기 | 남자 여자 |
창던지기 | 남자 여자 |
해머던지기 | 남자 |
복합 종목 | |
10종 경기 | 남자 |
2. 경기장
베를린에 있는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경기가 개최되었다.
2. 1.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
베를린에 있는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경기가 개최되었다.3. 경기 결과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100m | 제시 오언스 (미국) | 랠프 멧칼프 (미국) | 티뉘스 오센다르프 (네덜란드) |
남자 200m | 제시 오언스 (미국) | 맥 로빈슨 (미국) | 티뉘스 오센다르프 (네덜란드) |
남자 400m | 아치 윌리엄스 (미국) | 갓프레이 브라운/Godfrey Brown영어 (영국) | 제임스 루발/James LuValle영어 (미국) |
남자 800m | 존 우드러프/John Woodruff영어 (미국) | 마리오 란치 (이탈리아) | 필 에드워즈/Phil Edwards영어 (캐나다) |
남자 1500m | 잭 러블록/Jack Lovelock영어 (뉴질랜드) | 글렌 커닝험/Glenn Cunningham영어 (미국) | 루이지 베칼리/Luigi Beccaliit (이탈리아) |
남자 5000m | 군나르 회케르트 (핀란드) | 라우리 레흐티넨 (핀란드) | 헨리 욘손 (스웨덴) |
남자 10000m | 일마리 살미넨 (핀란드) | 아르보 아스콜라 (핀란드) | 볼마리 이소홀로 (핀란드) |
남자 110m 허들 | 포레스트 타운스 (미국) | 돈 핀레이 (영국) | 프리츠 폴러드 주니어 (미국) |
남자 400m 허들 | 글렌 허딘 (미국) | 존 로링 (캐나다) | 미겔 화이트 (필리핀) |
남자 3000m 장애물 | 볼마리 이소홀로 (핀란드) | 카를로 투오미넨 (핀란드) | 알프레드 돔퍼트 (독일) |
남자 400m 계주 | 미국 (랠프 멧칼프, 제시 오언스, 포이 드라퍼, 프랭크 와이코프) | 이탈리아 (엘리오 라그니, 오라치오 마리아니, 지아니 칼다나, 툴리오 고넬리) | 독일 (게르트 호른베르거, 빌헬름 라이슘, 에르빈 길마이스터, 에리히 보르슈메이어) |
남자 1600m 계주 | 영국 (프리디 월프, 갓프레이 램플링, 빌 로버츠, 갓프레이 브라운) | 미국 (로버트 영, 알프레드 피치, 에드워드 오브리엔, 해럴드 커글) | 독일 (루돌프 하르비크, 프리에드리히 폰 스튈프나겔, 하리 보이트, 헬무트 하만) |
남자 마라톤 | 손기정[5] (일본) | 어네스트 허퍼 (영국) | 남승룡[5] (일본) |
남자 50km 경보 | 해럴드 휘틀록 (영국) | 아르투르 텔 슈바브 (스위스) | 아달베르츠 부벤코 (라트비아) |
남자 멀리뛰기 | 제시 오언스 (미국) | 루츠 롱 (독일) | 다지마 나오토 (일본) |
남자 세단뛰기 | 다지마 나오토 (일본) | 하라다 마사오 (일본) | 잭 멧칼프 (오스트레일리아) |
남자 높이뛰기 | 코넬리어스 존슨 (미국) | 데이브 알브리턴 (미국) | 델로스 더버 (미국) |
남자 장대높이뛰기 | 얼 미도 (미국) | 니시다 슈헤이 (일본) | 오에 스에오 (일본) |
남자 포환던지기 | 한스 뵐케 (독일) | 술로 배를룬 (핀란드) | 게르하르트 슈퇴크 (독일) |
남자 원반던지기 | 켄 카펜터 (미국) | 고든 던 (미국) | 조르조 오베르베게르 (이탈리아) |
남자 창던지기 | 게르하르트 슈퇴크 (독일) | 위료 니카넨 (핀란드) | 칼레르보 토이보넨 (핀란드) |
남자 해머던지기 | 카를 하인 (독일) | 에르빈 클라스크 (독일) | 프레드 바른고르드 (스웨덴) |
남자 10종 | 글렌 모리스 (미국) | 밥 클라크 (미국) | 잭 파커 (미국) |
여자 100m | 헬렌 스티븐스 (미국) | 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 (폴란드) | 케테 크라우스 (독일) |
여자 80m 허들 | 트레비손다 발라 (이탈리아) | 아니 슈토이어 (독일) | 베티 테일러 (캐나다) |
여자 400m 계주 | 미국 (베티 로빈슨, 앤니트 로저스, 해리어트 블랜드, 헬렌 스티븐스) | 영국 (바바라 버크, 바이올릿 올니, 에일린 히스코크, 오드레이 브라운) | 캐나다 (도로시 브룩쇼, 밀드레드 돌슨, 앨린 미저, 힐다 카멜론) |
여자 높이뛰기 | 차크 이볼랴 (헝가리) | 도로시 타일러 오덤 (영국) | 엘프리에데 카운 (독일) |
여자 원반던지기 | 기셀라 마우에르마이어 (독일) | 야드비가 바이스 (폴란드) | 파울라 몰렌하우어 (독일) |
여자 창던지기 | 틸리 플라이셔 (독일) | 루이제 크뤼거 (독일) | 마리아 크바니에바카스카 (폴란드) |
3. 1. 남자
wikitext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100m | 제시 오언스 (미국) | 랠프 멧칼프 (미국) | 티뉘스 오센다르프 (네덜란드) |
남자 200m | 제시 오언스 (미국) | 맥 로빈슨 (미국) | 티뉘스 오센다르프 (네덜란드) |
남자 400m | 아치 윌리엄스 (미국) | 갓프레이 브라운/Godfrey Brown영어 (영국) | 제임스 루발/James LuValle영어 (미국) |
남자 800m | 존 우드러프/John Woodruff영어 (미국) | 마리오 란치 (이탈리아) | 필 에드워즈/Phil Edwards영어 (캐나다) |
남자 1500m | 잭 러블록/Jack Lovelock영어 (뉴질랜드) | 글렌 커닝험/Glenn Cunningham영어 (미국) | 루이지 베칼리/Luigi Beccaliit (이탈리아) |
남자 5000m | 군나르 회케르트 (핀란드) | 라우리 레흐티넨 (핀란드) | 헨리 욘손 (스웨덴) |
남자 10000m | 일마리 살미넨 (핀란드) | 아르보 아스콜라 (핀란드) | 볼마리 이소홀로 (핀란드) |
남자 110m 허들 | 포레스트 타운스 (미국) | 돈 핀레이 (영국) | 프리츠 폴러드 주니어 (미국) |
남자 400m 허들 | 글렌 허딘 (미국) | 존 로링 (캐나다) | 미겔 화이트 (필리핀) |
남자 3000m 장애물 | 볼마리 이소홀로 (핀란드) | 카를로 투오미넨 (핀란드) | 알프레드 돔퍼트 (독일) |
남자 400m 계주 | 미국 (랠프 멧칼프, 제시 오언스, 포이 드라퍼, 프랭크 와이코프) | 이탈리아 (엘리오 라그니, 오라치오 마리아니, 지아니 칼다나, 툴리오 고넬리) | 독일 (게르트 호른베르거, 빌헬름 라이슘, 에르빈 길마이스터, 에리히 보르슈메이어) |
남자 1600m 계주 | 영국 (프리디 월프, 갓프레이 램플링, 빌 로버츠, 갓프레이 브라운) | 미국 (로버트 영, 알프레드 피치, 에드워드 오브리엔, 해럴드 커글) | 독일 (루돌프 하르비크, 프리에드리히 폰 스튈프나겔, 하리 보이트, 헬무트 하만) |
남자 마라톤 | 손기정[5] (일본) | 어네스트 허퍼 (영국) | 남승룡[5] (일본) |
남자 50km 경보 | 해럴드 휘틀록 (영국) | 아르투르 텔 슈바브 (스위스) | 아달베르츠 부벤코 (라트비아) |
남자 멀리뛰기 | 제시 오언스 (미국) | 루츠 롱 (독일) | 다지마 나오토 (일본) |
남자 세단뛰기 | 다지마 나오토 (일본) | 하라다 마사오 (일본) | 잭 멧칼프 (오스트레일리아) |
남자 높이뛰기 | 코넬리어스 존슨 (미국) | 데이브 알브리턴 (미국) | 델로스 더버 (미국) |
남자 장대높이뛰기 | 얼 미도 (미국) | 니시다 슈헤이 (일본) | 오에 스에오 (일본) |
남자 포환던지기 | 한스 뵐케 (독일) | 술로 배를룬 (핀란드) | 게르하르트 슈퇴크 (독일) |
남자 원반던지기 | 켄 카펜터 (미국) | 고든 던 (미국) | 조르조 오베르베게르 (이탈리아) |
남자 창던지기 | 게르하르트 슈퇴크 (독일) | 위료 니카넨 (핀란드) | 칼레르보 토이보넨 (핀란드) |
남자 해머던지기 | 카를 하인 (독일) | 에르빈 클라스크 (독일) | 프레드 바른고르드 (스웨덴) |
남자 10종 | 글렌 모리스 (미국) | 밥 클라크 (미국) | 잭 파커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