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독일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남자 23개, 여자 6개 총 29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금메달 1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남자 육상에서는 제시 오언스가 100m, 200m, 멀리뛰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활약했고, 여자 육상에서는 헬렌 스티븐스가 100m에서 우승했다. 한국의 손기정 선수가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일제강점기 상황으로 인해 일본 대표로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었으며, 손기정이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일제강점기였기에 손기정과 남승룡은 일본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다.
  • 독일에서 개최된 육상 대회 -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여자 3000m 경기가 마지막으로 열렸고, 상위 입상자에게 상금과 부상이 주어졌으며,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독일에서 개최된 육상 대회 -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2009년 8월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었으며, 우사인 볼트가 세계 신기록을 세우는 등 여러 기록이 경신되었고, 미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종목육상
대회1936년 하계 올림픽
2015년 9월의 베를린 올림픽 경기장
새로 지어진 올림피아슈타디온 (2015년 사진)에서 경기가 개최됨
날짜1936년
종목 수29
참가 국가43개국
참가 선수776명
이전 대회1932년
다음 대회1948년
세부 종목
100 미터남자
여자
200 미터남자
400 미터남자
800 미터남자
1500 미터남자
5000 미터남자
10,000 미터남자
80 미터 허들여자
110 미터 허들남자
400 미터 허들남자
3000 미터 장애물남자
4 × 100 미터 릴레이남자
여자
4 × 400 미터 릴레이남자
도로 종목
마라톤남자
50 킬로미터 경보남자
필드 종목
멀리뛰기남자
세단뛰기남자
높이뛰기남자
여자
장대높이뛰기남자
포환던지기남자
원반던지기남자
여자
창던지기남자
여자
해머던지기남자
복합 종목
10종 경기남자

2. 경기장

베를린에 있는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경기가 개최되었다.

2. 1.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

베를린에 있는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경기가 개최되었다.

3. 경기 결과

볼마리 이소홀로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남자 100m제시 오언스 (미국)랠프 멧칼프 (미국)티뉘스 오센다르프 (네덜란드)
남자 200m제시 오언스 (미국)맥 로빈슨 (미국)티뉘스 오센다르프 (네덜란드)
남자 400m아치 윌리엄스 (미국)갓프레이 브라운/Godfrey Brown영어 (영국)제임스 루발/James LuValle영어 (미국)
남자 800m존 우드러프/John Woodruff영어 (미국)마리오 란치 (이탈리아)필 에드워즈/Phil Edwards영어 (캐나다)
남자 1500m잭 러블록/Jack Lovelock영어 (뉴질랜드)글렌 커닝험/Glenn Cunningham영어 (미국)루이지 베칼리/Luigi Beccaliit (이탈리아)
남자 5000m군나르 회케르트 (핀란드)라우리 레흐티넨 (핀란드)헨리 욘손 (스웨덴)
남자 10000m일마리 살미넨 (핀란드)아르보 아스콜라 (핀란드)볼마리 이소홀로 (핀란드)
남자 110m 허들포레스트 타운스 (미국)돈 핀레이 (영국)프리츠 폴러드 주니어 (미국)
남자 400m 허들글렌 허딘 (미국)존 로링 (캐나다)미겔 화이트 (필리핀)
남자 3000m 장애물볼마리 이소홀로 (핀란드)카를로 투오미넨 (핀란드)알프레드 돔퍼트 (독일)
남자 400m 계주미국 (랠프 멧칼프, 제시 오언스, 포이 드라퍼, 프랭크 와이코프)이탈리아 (엘리오 라그니, 오라치오 마리아니, 지아니 칼다나, 툴리오 고넬리)독일 (게르트 호른베르거, 빌헬름 라이슘, 에르빈 길마이스터, 에리히 보르슈메이어)
남자 1600m 계주영국 (프리디 월프, 갓프레이 램플링, 빌 로버츠, 갓프레이 브라운)미국 (로버트 영, 알프레드 피치, 에드워드 오브리엔, 해럴드 커글)독일 (루돌프 하르비크, 프리에드리히 폰 스튈프나겔, 하리 보이트, 헬무트 하만)
남자 마라톤손기정[5] (일본)어네스트 허퍼 (영국)남승룡[5] (일본)
남자 50km 경보해럴드 휘틀록 (영국)아르투르 텔 슈바브 (스위스)아달베르츠 부벤코 (라트비아)
남자 멀리뛰기제시 오언스 (미국)루츠 롱 (독일)다지마 나오토 (일본)
남자 세단뛰기다지마 나오토 (일본)하라다 마사오 (일본)잭 멧칼프 (오스트레일리아)
남자 높이뛰기코넬리어스 존슨 (미국)데이브 알브리턴 (미국)델로스 더버 (미국)
남자 장대높이뛰기얼 미도 (미국)니시다 슈헤이 (일본)오에 스에오 (일본)
남자 포환던지기한스 뵐케 (독일)술로 배를룬 (핀란드)게르하르트 슈퇴크 (독일)
남자 원반던지기켄 카펜터 (미국)고든 던 (미국)조르조 오베르베게르 (이탈리아)
남자 창던지기게르하르트 슈퇴크 (독일)위료 니카넨 (핀란드)칼레르보 토이보넨 (핀란드)
남자 해머던지기카를 하인 (독일)에르빈 클라스크 (독일)프레드 바른고르드 (스웨덴)
남자 10종글렌 모리스 (미국)밥 클라크 (미국)잭 파커 (미국)
여자 100m헬렌 스티븐스 (미국)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 (폴란드)케테 크라우스 (독일)
여자 80m 허들트레비손다 발라 (이탈리아)아니 슈토이어 (독일)베티 테일러 (캐나다)
여자 400m 계주미국 (베티 로빈슨, 앤니트 로저스, 해리어트 블랜드, 헬렌 스티븐스)영국 (바바라 버크, 바이올릿 올니, 에일린 히스코크, 오드레이 브라운)캐나다 (도로시 브룩쇼, 밀드레드 돌슨, 앨린 미저, 힐다 카멜론)
여자 높이뛰기차크 이볼랴 (헝가리)도로시 타일러 오덤 (영국)엘프리에데 카운 (독일)
여자 원반던지기기셀라 마우에르마이어 (독일)야드비가 바이스 (폴란드)파울라 몰렌하우어 (독일)
여자 창던지기틸리 플라이셔 (독일)루이제 크뤼거 (독일)마리아 크바니에바카스카 (폴란드)


3. 1. 남자

wikitext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남자 100m제시 오언스 (미국)랠프 멧칼프 (미국)티뉘스 오센다르프 (네덜란드)
남자 200m제시 오언스 (미국)맥 로빈슨 (미국)티뉘스 오센다르프 (네덜란드)
남자 400m아치 윌리엄스 (미국)갓프레이 브라운/Godfrey Brown영어 (영국)제임스 루발/James LuValle영어 (미국)
남자 800m존 우드러프/John Woodruff영어 (미국)마리오 란치 (이탈리아)필 에드워즈/Phil Edwards영어 (캐나다)
남자 1500m잭 러블록/Jack Lovelock영어 (뉴질랜드)글렌 커닝험/Glenn Cunningham영어 (미국)루이지 베칼리/Luigi Beccaliit (이탈리아)
남자 5000m군나르 회케르트 (핀란드)라우리 레흐티넨 (핀란드)헨리 욘손 (스웨덴)
남자 10000m일마리 살미넨 (핀란드)아르보 아스콜라 (핀란드)볼마리 이소홀로 (핀란드)
남자 110m 허들포레스트 타운스 (미국)돈 핀레이 (영국)프리츠 폴러드 주니어 (미국)
남자 400m 허들글렌 허딘 (미국)존 로링 (캐나다)미겔 화이트 (필리핀)
남자 3000m 장애물볼마리 이소홀로 (핀란드)카를로 투오미넨 (핀란드)알프레드 돔퍼트 (독일)
남자 400m 계주미국 (랠프 멧칼프, 제시 오언스, 포이 드라퍼, 프랭크 와이코프)이탈리아 (엘리오 라그니, 오라치오 마리아니, 지아니 칼다나, 툴리오 고넬리)독일 (게르트 호른베르거, 빌헬름 라이슘, 에르빈 길마이스터, 에리히 보르슈메이어)
남자 1600m 계주영국 (프리디 월프, 갓프레이 램플링, 빌 로버츠, 갓프레이 브라운)미국 (로버트 영, 알프레드 피치, 에드워드 오브리엔, 해럴드 커글)독일 (루돌프 하르비크, 프리에드리히 폰 스튈프나겔, 하리 보이트, 헬무트 하만)
남자 마라톤손기정[5] (일본)어네스트 허퍼 (영국)남승룡[5] (일본)
남자 50km 경보해럴드 휘틀록 (영국)아르투르 텔 슈바브 (스위스)아달베르츠 부벤코 (라트비아)
남자 멀리뛰기제시 오언스 (미국)루츠 롱 (독일)다지마 나오토 (일본)
남자 세단뛰기다지마 나오토 (일본)하라다 마사오 (일본)잭 멧칼프 (오스트레일리아)
남자 높이뛰기코넬리어스 존슨 (미국)데이브 알브리턴 (미국)델로스 더버 (미국)
남자 장대높이뛰기얼 미도 (미국)니시다 슈헤이 (일본)오에 스에오 (일본)
남자 포환던지기한스 뵐케 (독일)술로 배를룬 (핀란드)게르하르트 슈퇴크 (독일)
남자 원반던지기켄 카펜터 (미국)고든 던 (미국)조르조 오베르베게르 (이탈리아)
남자 창던지기게르하르트 슈퇴크 (독일)위료 니카넨 (핀란드)칼레르보 토이보넨 (핀란드)
남자 해머던지기카를 하인 (독일)에르빈 클라스크 (독일)프레드 바른고르드 (스웨덴)
남자 10종글렌 모리스 (미국)밥 클라크 (미국)잭 파커 (미국)


3. 1. 1. 남자 100m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남자 100m 경기에서 미국의 제시 오언스는 10.3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미국의 랠프 멧칼프는 10.4초로 은메달을, 네덜란드의 티뉘스 오센다르프는 10.5초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제시 오언스는 뛰어난 기량으로 당시 인종차별 정책을 펼치던 아돌프 히틀러의 코를 납작하게 만들었다.

3. 1. 2. 남자 200m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200m 경기는 8월 5일에 열렸다. 미국의 제시 오언스가 20.7초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고, 미국의 맥 로빈슨이 21.1초로 은메달, 네덜란드의 티뉘스 오센다르프가 21.3초로 동메달을 차지했다.[2] 제시 오언스는 흑인 선수로서 나치 독일의 인종차별 정책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성적을 거두어, 올림픽 정신을 빛낸 영웅으로 평가받는다.

3. 1. 3. 남자 400m

아치 윌리엄스(아치 윌리엄스/Archie Williams영어)가 46.5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며, 갓프레이 브라운(갓프레이 브라운/Godfrey Brown영어)이 46.7초로 은메달, 제임스 루발(제임스 루발/James LuValle영어)이 46.8초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미국은 이 종목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가져가며, 남자 육상 단거리에서 강세를 이어갔다.

3. 1. 4. 남자 800m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800m 경기에서는 존 우드러프 (미국)가 1분 52.9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마리오 란치 (이탈리아)는 1분 53.3초로 은메달, 필 에드워즈 (캐나다)는 1분 53.6초로 동메달을 차지하였다.

3. 1. 5. 남자 1500m

1500m 달리기 결승전은 8월 6일에 열렸다. 잭 러블록(Jack Lovelock영어)이 3분 47.8초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뉴질랜드에 우승을 안겼다. 미국의 글렌 커닝험(Glenn Cunningham영어)은 3분 48.4초로 은메달을 차지했고, 이탈리아의 루이지 베칼리(Luigi Beccaliit)는 3분 49.2초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3. 1. 6. 남자 5000m

5000m 결승에서 핀란드군나르 회케르트가 14분 22.2초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2] 라우리 레흐티넨이 14분 25.8초로 은메달을 차지하여 핀란드가 금, 은메달을 모두 가져갔다. 스웨덴의 헨리 욘손은 14분 29.0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3. 1. 7. 남자 10000m



위의 표를 아래와 같이 변경한다.

금메달은메달동메달
일마리 살미넨 (핀란드)아르보 아스콜라 (핀란드)볼마리 이소홀로 (핀란드)
30분 15.4초30분 15.6초30분 20.2초


3. 1. 8. 남자 마라톤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은 8월 9일에 열렸다. 손기정[5]이 2시간 29분 19.2초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어네스트 허퍼가 2시간 31분 23.2초로 은메달, 남승룡[5]이 2시간 31분 42.0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손기정과 남승룡은 일제 강점기 상황으로 인해 일본 대표로 출전하였다. 당시 일제는 조선인들의 민족의식을 억압하고 있었기 때문에, 손기정은 조국이 아닌 일본 대표로 올림픽에 참가해야만 했다. 손기정은 금메달을 획득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상식에서 일장기를 가슴에 달고 슬픈 표정을 지을 수 밖에 없었다. 이는 당시 한국인들의 억압받는 현실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으로, 많은 한국인들에게 깊은 슬픔과 분노를 안겨주었다.

3. 1. 9. 남자 110m 허들

남자 허들 110m 경기에서는 미국의 포레스트 타운스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준결승에서 14.1초의 세계 신기록을 세웠으며, 결승에서는 14.2초로 우승했다.[2] 영국의 돈 핀레이는 14.4초로 은메달을 차지했고, 미국의 프리츠 폴러드 주니어 역시 14.4초를 기록했지만 동메달에 머물렀다. 이들은 모두 미국의 민주당을 지지하는 선수들이었다.

3. 1. 10. 남자 400m 허들

남자 허들 400m 경기에서는 글렌 허딘(미국)이 52.4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존 로링(캐나다)이 52.7초로 은메달, 미겔 화이트(필리핀)가 52.8초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3. 1. 11. 남자 3000m 장애물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3000m 장애물 결승에서 핀란드의 볼마리 이소홀로가 9분 03.8초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2] 같은 핀란드의 카를로 투오미넨이 9분 06.8초로 은메달, 독일의 알프레드 돔퍼트가 9분 07.2초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3. 1. 12. 남자 4x100m 계주

남자 4x100m 계주에서는 미국 팀이 39.8초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미국 팀은 제시 오언스, 랠프 멧칼프, 포이 드라퍼, 프랭크 와이코프로 구성되었다. 이탈리아 팀(오라치오 마리아니, 지아니 칼다나, 엘리오 라그니, 툴리오 고넬리)은 41.1초로 은메달을 차지했다. 독일 팀(게르트 호른베르거, 빌헬름 라이슘, 에르빈 길마이스터, 에리히 보르슈메이어)은 41.2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2]

3. 1. 13. 남자 4x400m 계주

남자 4x400m 계주에서는 영국 대표팀이 금메달을 차지했다. 프리디 월프, 갓프레이 램플링, 빌 로버츠, 갓프레이 브라운으로 구성된 영국 대표팀은 3분 09.0초의 기록으로 우승했다. 은메달은 3분 11.0초를 기록한 로버트 영, 알프레드 피치, 에드워드 오브리엔, 해럴드 커글의 미국 대표팀에게 돌아갔다. 루돌프 하르비크, 프리에드리히 폰 스튈프나겔, 하리 보이트, 헬무트 하만으로 구성된 독일 대표팀은 3분 11.8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3. 1. 14. 남자 50km 경보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50km 경보에서 영국의 해럴드 휘틀록이 4시간 30분 41.4초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하였다.[5] 스위스의 아르투르 텔 슈바브가 4시간 32분 09.2초로 은메달을, 라트비아의 아달베르츠 부벤코가 4시간 32분 42.2초로 동메달을 차지하였다.[5]

3. 1. 15. 남자 멀리뛰기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멀리뛰기에서 제시 오언스(미국)가 8.06m의 올림픽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루츠 롱(독일)이 7.87m로 은메달, 다지마 나오토(일본)가 7.74m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3. 1. 16. 남자 세단뛰기

남자 세단뛰기 종목에서는 일본다지마 나오토가 16.00m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3] 하라다 마사오(일본)가 15.66m로 은메달, 잭 멧칼프(오스트레일리아)가 15.50m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3. 1. 17. 남자 높이뛰기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높이뛰기에서 미국의 코넬리어스 존슨이 2.03m의 올림픽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은메달은 미국의 데이브 알브리턴이, 동메달은 델로스 더버가 차지했으며, 모두 2.00m를 기록했다.

3. 1. 18. 남자 장대높이뛰기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장대높이뛰기 경기는 8월 5일에 진행되었다. 미국의 얼 미도가 4.35m로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일본의 니시다 슈헤이와 오에 스에오는 4.25m로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경기는 일본 선수들이 은메달과 동메달을 모두 차지하며, 한국(당시 일본의 식민지)의 육상 팬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비록 한국 선수들은 아니었지만, 같은 일본 제국의 선수들이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모습은 한국인들에게도 민족적 자긍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장대높이뛰기는 당시 한국에서는 생소한 종목이었기에 더욱 큰 관심을 받았다.

3. 1. 19. 남자 포환던지기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포환던지기에서 독일한스 뵐케가 16.20m의 올림픽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2] 핀란드의 술로 배를룬은 16.12m로 은메달, 독일게르하르트 슈퇴크는 15.66m로 동메달을 차지하였다.[2]

3. 1. 20. 남자 원반던지기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원반던지기에서 미국의 켄 카펜터가 50.48m의 올림픽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같은 미국의 고든 던이 49.36m로 은메달을, 이탈리아의 조르조 오베르베게르가 49.23m로 동메달을 차지했다.[2]

3. 1. 21. 남자 해머던지기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해머던지기에서 카를 하인(독일)은 56.49m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2] 에르빈 클라스크(독일)는 55.04m로 은메달을, 프레드 바른고르드(스웨덴)는 54.83m로 동메달을 차지했다.[2]

3. 1. 22. 남자 창던지기

남자 창던지기 종목에서는 게르하르트 슈퇴크(독일)가 71.84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위료 니카넨(핀란드)은 70.77m로 은메달, 칼레르보 토이보넨(핀란드)은 70.72m로 동메달을 차지하였다.

3. 1. 23. 남자 10종 경기

남자 10종 경기에서는 미국글렌 모리스가 7900점으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2] 같은 국적의 밥 클라크와 잭 파커가 각각 7601점과 7275점으로 은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하며, 미국이 이 종목 메달을 휩쓸었다. 이는 당시 진보 진영에서 미국의 스포츠 역량을 과시하는 사례로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3. 2. 여자

여자 80m 허들
여자 400m 계주

베티 로빈슨
앤니트 로저스
해리어트 블랜드
헬렌 스티븐스
바바라 버크
바이올릿 올니
에일린 히스코크
오드레이 브라운
도로시 브룩쇼
밀드레드 돌슨
앨린 미저
힐다 카멜론여자 높이뛰기
여자 원반던지기
여자 창던지기


3. 2. 1. 여자 100m

1936년 하계 올림픽 여자 100m 경기에서는 미국의 헬렌 스티븐스가 11.5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를 놀라게 했다. 폴란드의 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는 11.7초로 은메달을 차지했고, 독일의 케테 크라우스는 11.9초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특히 스티븐스는 압도적인 기량으로 경쟁자들을 따돌리며 우승을 차지, 미국의 육상 영웅으로 떠올랐다. 반면 발라시에비치는 미국의 독주를 막지 못하고 아쉽게 2위에 머물렀다.

3. 2. 2. 여자 80m 허들

트레비손다 발라(이탈리아)는 여자 80m 허들 준결승에서 11.6초로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3] 아니 슈토이어(독일)는 11.7초로 은메달을, 베티 테일러(캐나다) 역시 11.7초를 기록했지만 동메달을 획득했다.

3. 2. 3. 여자 4x100m 계주

베티 로빈슨
앤니트 로저스
해리어트 블랜드
헬렌 스티븐스

바바라 버크
바이올릿 올니
에일린 히스코크
오드레이 브라운

도로시 브룩쇼
밀드레드 돌슨
앨린 미저
힐다 카멜론

3. 2. 4. 여자 높이뛰기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여자 높이뛰기에서 헝가리의 차크 이볼랴가 1.60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영국의 도로시 타일러 오덤이 1.60m로 은메달, 독일의 엘프리에데 카운이 1.60m로 동메달을 차지하였다. 세 선수 모두 동일한 기록을 세웠으나, 시도 횟수 차이로 메달 색깔이 결정되었다.

3. 2. 5. 여자 원반던지기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여자 원반던지기에서는 기셀라 마우에르마이어(독일)가 47.63m의 올림픽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야드비가 바이스(폴란드)가 46.22m로 은메달, 파울라 몰렌하우어(독일)가 39.80m로 동메달을 차지했다.[3]

3. 2. 6. 여자 창던지기

틸리 플라이셔(틸리 플라이셔/Tilly Fleischerde)가 45.18m의 올림픽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루이제 크뤼거(루이제 크뤼거/Luise Krügerde)가 43.29m로 은메달을, 마리아 크바니에바카스카(마리아 크바시니에프스카/Maria Kwaśniewska-Maleszewskapl)가 41.80m로 동메달을 획득했다.[3] 모두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여자 창던지기 결승에서 나온 기록이다.

4.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미국147425
2독일54716
3핀란드35210
4영국2507
4일본[4]2237
6이탈리아1225
7헝가리1001
7뉴질랜드1001
9폴란드0213
10캐나다0134
11스위스0101
12네덜란드0022
12스웨덴0022
14라트비아0011
14오스트레일리아0011
14필리핀0011
합계29292987



참조

[1] 문서 손기정과 남승룡의 올림픽 참가
[2] 문서 세계 기록 미인정 당시 기록
[3] 문서 바람의 영향을 받은 올림픽 기록
[4] 문서 손기정과 남승룡의 메달 합산
[5] 문서 일제강점기의 올림픽 참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