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7월 스페인 쿠데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6년 7월 스페인 쿠데타는 1936년 2월 스페인 총선 이후 좌우 정치 세력 간의 갈등이 심화된 가운데, 우익 세력이 인민전선 정부를 전복하기 위해 일으킨 군사 반란이다. 1936년 총선에서 인민전선이 승리한 후, 우익 세력은 쿠데타를 모의하기 시작했다. 1932년 호세 산후르호의 쿠데타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고, 1936년 3월, 에밀리오 몰라 장군 등은 쿠데타를 조직하기로 합의했다. 쿠데타는 7월 13일 호세 칼보 소텔로 암살 사건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36년 7월 스페인 쿠데타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분쟁 | 스페인 내전 |
전체 | 1936년 7월 쿠데타 |
날짜 | 1936년 7월 17일 ~ 23일 |
장소 | 스페인 |
결과 | 쿠데타의 실패 스페인 내전 발발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공화국 정부 |
교전국 2 |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쿠데타 세력 |
지휘관 | |
지휘관 1 |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카사레스 키로가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호세 히랄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마누엘 아사냐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호세 미아하 메난트 |
지휘관 2 |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에밀리오 몰라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호세 산후르호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프란시스코 프랑코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곤살로 케이포 데 야노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미구엘 카바네야스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마누엘 고데드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호아킨 판줄 |
기타 정보 | |
![]() | |
관련 전투 목록 | 배경 전투 목록 1936년 7월 봉기 멜리야 세비야 1차 바르셀로나 쿠아르텔데라몬타냐 히혼 오비에도 쿠아르텔데로욜라 1936년 독일의 개입 과다라마 안달루시아 알카사르 엑스트레마두라 빅토리아 호송대 알멘드랄레호 시궨사 1차 메리다 바다호스 마요르카섬 시에라과달루페 코르도바 기푸스코아 이룬 몬테펠라도 탈라베라 산투아리오데누에스트라세뇨라데라카베사 스페인령 기니 세로무리아노 카페스파르텔 세세냐 마드리드 시우다드우니베르시타리아 1차 코루나 가도 비야레알 공세 우르술라 작전 아세이투나 로페라 2차 코루나 가도 1937년 3차 코루나 가도 말라가 하라마 카페마치차코 과달라하라 포소블랑코 북부 전쟁 칸타브리아 방면 비스카이아 두랑고 게르니카 빌바오 산탄데르 아스투리아스 엘마수쿠 하엔 2차 바르셀로나 도이칠란트호 사건 알메리아 세고비아 우에스카 알바라신 브루네테 사라고사 1차 벨치테 카페체르체 사비냐니고 1차 레리다 테루엘 1938년 바야돌리드 알팜브라 카페팔로스 아라곤 벨치테 3차 바르셀로나 카스페 2차 레리다 1차 간데사 세그레 레반테 발라게르 로스블라스케스 알리칸테 그라노예르스 비엘사 2차 메리다 에브로 2차 간데사 칸타브리아호의 침몰 카브라 산트비셍크데칼데르스 1939년 카탈루냐 발세키요 사티바 라가리가 메노르카섬 카르타헤나 최종 공세 |
2. 배경
1936년 2월 16일에 실시된 스페인 총선은 1934년 아스투리아스 봉기 실패와 그에 대한 탄압으로 인해 심화된 스페인의 정치적 양극화를 보여주었다. 좌익은 인민전선으로, 우익은 국민전선으로 연합했지만, 우익 세력 내 팔랑헤당의 불참으로 완전한 연합을 이루지 못했다. 이로 인해 인민전선이 코르테스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다.[5][6]
총선 이후 전국적으로 파업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팔랑헤주의 준군사조직과 좌익 노동자 민병대 간의 무장 충돌이 벌어지는 등 사회적 혼란이 극심해졌다. 빅토르 우르타도는 총선 직후 한 달 동안 441건의 살인이 발생했다고 주장했지만,[7] 이는 과장된 수치이다. 실제로는 2월부터 7월까지 총 189건의 사건과 262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좌익은 148명, 우익은 50명이었다.[8]
인민전선 집권 5개월 동안의 정치적 불안정은 국민파의 쿠데타 명분으로 이용되었지만, 역사학자들은 이것이 쿠데타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반박한다.[9][10] 1936년 7월 13일 스페인 혁신의 호세 칼보 소텔로 암살 사건은 쿠데타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2. 1. 1936년 스페인 총선
1936년 2월 16일에 실시된 스페인 총선에서는 당시 스페인의 심각한 정치적 양극화 현상이 그대로 드러났다. 1934년 좌익 세력이 주도한 아스투리아스 봉기가 실패하고 이에 대한 탄압이 이어지면서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었다. 좌익 세력은 공화연합, 사회주의노동당, 공화좌파당, 공산당 등 여러 정당이 연합한 인민전선을 결성하여 선거에 참여했다.[5][6] 반면 우익 세력은 자치우익연합, 스페인 혁신, 전통주의 교우회 등이 국민전선으로 연합했지만, 가장 큰 우익 정당이었던 팔랑헤당이 불참하는 등 완전한 통합을 이루지 못했다.[5][6] 이러한 상황에서 인민전선은 총선에서 승리하여 코르테스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5][6]그러나 총선 이후에도 정치적 혼란은 계속되었다. 전국적으로 수많은 파업이 발생했고, 팔랑헤주의자들의 준군사조직과 좌익 노동자 단체들이 조직한 민병대가 충돌하면서 폭력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역사학자 빅토르 우르타도는 총선 직후 한 달 동안 스페인 전역에서 441건의 살인이 보고되었다고 주장했지만,[7] 이는 과장된 수치라는 반론도 있다. 실제로 2월부터 7월 사이에 총 189건의 사건이 발생했고, 262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이 중 148명은 좌익, 50명은 우익이었다.[8] 시간이 지나면서 정치적 폭력으로 인한 사상자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8]
인민전선 집권 5개월 동안의 정치적 불안정은 이후 국민파가 쿠데타를 일으키는 명분으로 이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혼란이 끊이지 않았고, 좌익과 우익의 충돌이 격화되면서 범죄도 증가했다. 그러나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정치적 불안정이 쿠데타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반박한다.[9][10] 쿠데타 직전 발생한 스페인 혁신의 지도자 호세 칼보 소텔로 암살 사건은 쿠데타 발발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2. 2. 총선 이후의 사회 혼란
1936년 2월 16일 스페인 총선에서 인민전선이 코르테스에서 우위를 점했다. 그러나 총선 이후 팔랑헤주의자들의 준군사조직과 좌익 노동자 단체들이 조직한 민병대 간의 무장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사회는 혼란에 빠졌다.[5][6] 역사학자 빅토르 우르타도는 총선 직후 한 달 동안 스페인 전역에서 441건의 살인이 보고되었다고 주장했지만,[7] 이는 과장된 수치이다. 실제로는 2월부터 7월 사이에 총 189건의 사건과 262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148명은 좌익, 50명은 우익이었다.[8]인민전선 집권 5개월 동안 발생한 정치적 불안정은 이후 국민파가 쿠데타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시골과 도시를 가리지 않고 혼란이 끊이지 않았고, 좌익과 우익의 충돌로 인해 범죄도 증가했다. 그러나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정치적 불안정이 쿠데타를 정당화하거나 설명하지 못한다고 반론한다.[9][10] 쿠데타 직전에는 스페인 혁신의 호세 칼보 소텔로가 암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3. 쿠데타 모의
1936년 총선에서 인민전선이 승리한 직후부터 군부 내에서는 쿠데타 모의가 시작되었다.[11] 프랑코가 카나리아 제도로 떠나기 직전인 3월 8일, 에밀리오 몰라의 친구 집에서 주요 장군들이 모여 회의를 열었다. 이들은 인민전선 정부를 전복하고 '스페인의 질서와 국제적 위상을 회복'하기 위한 쿠데타를 조직하기로 합의했으며, 포르투갈에 망명 중인 호세 산후르호를 쿠데타 정권의 지도자로 추대했다.[18][19]
쿠데타 세력은 보수적이고 반(反)아나키즘 성향의 장교들로 구성된 UME에 의존했다. 당초 쿠데타는 4월 20일로 예정되었으나, 정부의 의심과 오르가스, 바렐라의 체포 등으로 연기되었다.[20]
곤살로 케이포 데 야노 역시 독자적으로 쿠데타를 계획하고 있었으며, 4월 12일 팜플로나에서 몰라와 만나 협력하기로 했다.[21] 4월 19일, 마드리드 봉기 책임자였던 로드리게스 델 바리오가 암 투병과 경찰의 감시를 이유로 계획을 중단하면서, 발렌틴 갈라르사 중령이 새로운 책임자가 되었다.[22]
3. 1. 초기 쿠데타 시도 (1932)
호세 산후르호가 1932년 8월 10일 일으킨 첫 쿠데타 시도인 라 산주르자다는 실패로 끝났고, 산후르호는 체포되었다.[12] 이후 사면받고 풀려난 산후르호는 포르투갈로 망명했으나, 그곳에서도 쿠데타 기도에 참여했다.3. 2. 1935년 우익 장군들의 임명
호세 마리아 길로블레스는 1935년에 우익 성향의 장군들을 주요 직책에 임명했다. 이 시기 스페인 군사연합은 쿠데타를 일으키려는 세력과 정치에 "침투"하는 것을 선호하는 세력으로 나뉘어져 있었다.[13]3. 3. 1936년 총선 전후의 쿠데타 모의
인민전선이 선거에서 승리한 직후부터 쿠데타 세력은 쿠데타를 준비하기 시작했다.[11] 니세토 알칼라사모라는 1936년 1월 코르테스를 조기 해산하고 2월에 조기 선거를 소집했다. 몇몇 장군들은 인민전선이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2월 19일에 쿠데타를 일으키기로 합의했다.[14]총선에서 인민전선이 승리하자, 마누엘 포르텔라 발라다레스 대통령 대행은 전시상태를 선포하여 선출된 의원들의 취임을 막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프란시스코 프랑코 육군참모총장은 군 사령관들에게 전시 상태 선포를 명령했지만,[15] 포르텔라 발라다레스 대통령 대행과 니콜라스 몰레로 전쟁부 장관 대행은 이를 거부했다.[16]
마누엘 아사냐는 1936년 2월 19일 좌익 성향의 공화좌파당 9명과 공화당 3명으로만 구성된 내각을 구성했다. 새 내각은 반공화파 장군들을 제거하기 위해 마누엘 고데드는 발레아레스 제도로, 프랑코는 카나리아 제도로, 에밀리오 몰라는 팜플로나로 좌천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1936년 7월 17일과 18일 사이에 발생한 군사 쿠데타를 막지 못했고, 오히려 프랑코와 같이 새 내각에 대한 반감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17]
3. 4. 쿠데타 계획 구체화 (1936년 3월~7월)

1936년 2월 19일 아사냐 정부가 취임하자마자 공화국 정부에 대한 쿠데타 음모가 시작되었다.
1936년 3월 8일, 에밀리오 몰라 장군의 친구인 한 주식 중개인의 집에서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는 프랑코가 카나리아 제도로 떠나기 몇 시간 전에 열렸다. 이들은 회의에서 인민전선 정부를 전복하고 '스페인의 질서와 국제적 위상을 회복'할 쿠데타를 조직하기로 합의했다.[18] 여기서 장군들은 포르투갈로 망명한 호세 산후르호에게 쿠데타 정권의 권력을 주기로 합의했다.[19]
쿠데타의 정치적인 성향은 합의되지 않았지만, 쿠데타를 위해 보수적이고 반아나키즘 장교들로 구성된 UME에 의존했다. 이들은 또한 쿠데타 날짜를 4월 20일로 정했으나, 공화국 정부에 대한 의혹과 카나리아 제도와 카디스에 각각 억류된 오르가스와 바렐라의 체포로 인해 쿠데타는 연기되었다.[20]
또 다른 쿠데타를 조직하고 있던 곤살로 케이포 데 야노는 4월 12일에 팜플로나의 몰라와 만났다. 이들은 서로 각자의 계획을 알린 뒤 협력하기로 결정했다.[21] 그러나 4월 19일에는 마드리드 봉기의 책임자였던 로드리게스 델 바리오가 계획을 중단했는데, 그가 앓고 있던 암 때문이기도 했지만 부분적으로는 경찰이 그의 음모를 이미 알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이후 마드리드 봉기의 책임자는 '기술자'라는 별명이 있던 발렌틴 갈라르사 중령이 되었다.[22]
참조
[1]
문서
스페인령 모로코, 스페인령 기니, 사구이아 엘 하라마, 리오데오로, 시디이프니, 카보주비
[2]
문서
카사레스 키로가는 쿠데타 발발 이후까지 스페인 공화국의 총리를 맡고 있었지만, 잘못된 대처를 이어가다 쿠데타 하루 뒤인 7월 18일에 사임한다.
[3]
문서
에밀리오 몰라 또한 사망했지만 몰라는 쿠데타 도중이 아닌 내전 도중에 사망했다.
[4]
문서
바르셀로나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
[5]
서적
Las elecciones generales de febrero de 1936: una reconsideración historiográfica
https://www.revistad[...]
[6]
웹인용
Las Elecciones de 1936 "no fueron un pucherazo", sino un "fraude localizado”
https://www.elespano[...]
[7]
문서
Hurtado, 2011, pp. 12-13.
[8]
문서
Cruz, 2006, p. 67.
[9]
문서
Aróstegui, 1997, p. 22.
[10]
문서
Casanova, 2007, p. 164.
[11]
문서
Jackson, pág. 206.
[12]
URL
http://books.google.[...]
[13]
간행물
Objetivo: Acabar con la República
Historia 16 Extra III de junio de 1977
[14]
문서
José Luis Martín Ramos, «La sublevación de julio de 1936» en Víctor Hurtado, La sublevación, pp. 4-7.
[15]
문서
이는 1933년에 제정된 공공질서법에 따라 권력이 군 당국에 이양되었음을 의미했다.
[16]
문서
Gil Pecharromán, 1997, p. 118.
[17]
문서
Casanova, 2007, p. 173.
[18]
문서
Casanova, 2007, p. 173.
[19]
문서
José Luis Martín Ramos, «La sublevación de julio de 1936» en Víctor Hurtado, La sublevación, pp. 4-7.
[20]
문서
Gil Pecharromán, 1997, p. 136.
[21]
논문
Navarra y País Vasco, 1936: Conspiración contra la República
2011-12-29
[22]
서적
La Segunda República y la guerra. Historia general de España y América
Rialp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