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드리드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드리드 전투는 스페인 내전 중 1936년 11월부터 1939년 3월까지 공화파 정부와 국민파 간에 벌어진 전투로, 국민파의 승리로 끝났다. 에밀리오 몰라 장군의 쿠데타 계획으로 시작된 이 전투는 마드리드를 점령하려는 국민파의 시도와 공화파의 격렬한 저항으로 전개되었다. 초기에는 국민파가 우세했으나, 공화파의 방어 전략과 국제 여단의 지원, 시민들의 저항으로 마드리드 함락이 지연되었다. 이후 격렬한 시가전과 공중 폭격 속에서 양측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결국 1939년 국민파가 마드리드를 점령하면서 내전은 국민파의 승리로 종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0년대 분쟁 - 1936년 7월 스페인 쿠데타
    1936년 7월 스페인 쿠데타는 1936년 총선에서 인민전선 정부가 승리한 후 우익 세력이 정부를 전복하기 위해 일으킨 군사 반란이다.
  • 1930년대 스페인 - 1936년 7월 스페인 쿠데타
    1936년 7월 스페인 쿠데타는 1936년 총선에서 인민전선 정부가 승리한 후 우익 세력이 정부를 전복하기 위해 일으킨 군사 반란이다.
  • 시가전 -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은 로드니 킹 사건 무죄 판결에 대한 흑인 사회의 분노와 인종 간 긴장, 경찰의 과잉 진압, 경제적 불평등, 한인-흑인 사회 갈등 등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하여 6일간 로스앤젤레스 전역에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미국 사회의 인종 및 경찰 폭력 문제를 드러낸 사건이다.
  • 시가전 - 부활절 봉기
    1916년 부활절 주간에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이 영국의 지배에 맞서 독립을 목표로 일으킨 무장 봉기인 부활절 봉기는 군사적으로는 실패했으나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마드리드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스페인 내전
시기초기 국민파 공세: 1936년 11월 8일 ~ 23일
포위전: 1936년 11월 8일 ~ 1939년 3월 28일
장소마드리드, 스페인
결과국민파의 최종적 승리
내전 초기 공화파의 마드리드 사수
내전 초기 국민파의 카사 데 캄포, 카라반첼, 시우다드 대학 점령
1939년 국민파에 대한 마드리드의 항복
'제5열'의 마드리드 점령
스페인 내전의 종료
1937년 3월, 마드리드를 습격하는 국민군 병사들
거리를 습격하는 국민파 병사들
교전 세력
교전국 1[[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공화파
지원국:
[[파일:Flag of the International Brigades.svg|20px]] 국제여단
[[파일:CNT FAI flag.svg|20px]] 연맹민병대
[[파일:Flag of the Soviet Union.svg|20px]] 소련
교전국 2[[파일:Bandera del bando nacional 1936-1938.svg|22px]] 국민파
지원국:
[[파일:Flag of Germany (1935–1945).svg|20px]] 독일국
[[파일:Flag of the Kingdom of Italy.svg|20px]] 이탈리아 왕국
지휘관
공화파 지휘관[[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호세 미아하 메난트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비센테 로호 유치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엔리케 리스테르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아돌포 프라다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카를로스 로메로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호세 마리아 갈란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프란시스코 갈란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루이스 바르셀로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안토니오 에스코바르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에밀리오 부에노
[[파일:Flag of Spain 1931 1939.svg|22px]] 호세 마리아 엔시소
[[파일:Flag of the International Brigades.svg|22px]] 에밀리오 클레베르
[[파일:Flag of the International Brigades.svg|22px]] 마테 살카
[[파일:Flag of the International Brigades.svg|22px]] 한스 바임러
[[파일:CNT FAI flag.svg|22px]] 시프리아노 메라
[[파일:CNT FAI flag.svg|22px]] 호세 부에나벤투라 두루티
국민파 지휘관[[파일:Bandera del bando nacional 1936-1938.svg|22px]] 프란시스코 프랑코
[[파일:Bandera del bando nacional 1936-1938.svg|22px]] 에밀리오 몰라
[[파일:Bandera del bando nacional 1936-1938.svg|22px]] 호세 바렐라
[[파일:Bandera del bando nacional 1936-1938.svg|22px]] 호세 모스카르두
[[파일:Bandera del bando nacional 1936-1938.svg|22px]] 무함마드 메지안
[[파일:Bandera del bando nacional 1936-1938.svg|22px]] 아센시오 카바니야스
[[파일:Bandera del bando nacional 1936-1938.svg|22px]] 롤란도 데 텔라
[[파일:Bandera del bando nacional 1936-1938.svg|22px]] 페르난도 바론
[[파일:Bandera del bando nacional 1936-1938.svg|22px]] 안토니오 카스테욘
[[파일:Bandera del bando nacional 1936-1938.svg|22px]] 프란시스코 델가도
휴고 슈페렐
병력 규모
공화파 병력중앙군
20000명 ~ 40000명
전차 50대
화포 70여 문
국제여단
3000명 ~ 4000명
연맹민병대
4000명
국민파 병력아프리카군
20000명
전차 30대
콘도르 군단
항공기 120대
사상자 규모
공화파 사상자10000명의 부상자 및 사상자
국민파 사상자5000명의 부상자 및 사상자

2. 배경

총선 이후, 마누엘 아사냐 내각에 의해 스페인령 모로코에서 팜플로나로 좌천된 에밀리오 몰라 장군은 인민전선 정부 전복을 위한 쿠데타를 계획했다. 1936년 5월 25일, 몰라 장군이 쿠데타 가담 장성들에게 보낸 두 번째 '지시'에는 마드리드가 이미 주요 목표로 설정되어 있었다.[22]

쿠데타 발발 후, 마드리드는 발렌시아, 사라고사, 부르고스, 바야돌리드 주둔군의 공격을 받았다. 1936년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발생한 '봉기'는 지휘관들의 우유부단함과 몰라의 지시 미숙지 등 여러 이유로 실패와 성공이 엇갈렸다. 마드리드 주둔군 대부분은 공화국 정부에 충성했지만, 몰라는 바야돌리드, 부르고스, 팜플로나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1936년 8월 초, 전선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이는 몰라의 마드리드 점령 계획 실패를 의미했다.

스페인 내전은 1936년 7월 18일 스페인 군대 장교들이 스페인 공화국의 인민 전선 정부에 대항하여 일으킨 실패한 쿠데타로 시작되었다. 마드리드에서 공화국 정부는 쿠데타 진압과 전국노동연합 (CNT) 및 노동자총동맹 (UGT) 무장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었다. 7월 19일, 산티아고 카사레스 키로가 총리가 사임하고 디에고 마르티네스 바리오를 거쳐 호세 히랄이 총리가 되었다. 히랄은 노동조합원 무장에 동의, 소총을 지급했다. 돌로레스 이바루리는 라디오 방송에서 ''¡No pasarán!'' ("그들은 지나갈 수 없다")이라는 슬로건을 만들어 저항을 촉구했다.[5]

몬타냐 병영 포위전에서, 마드리드 군사 주둔지 사령관 호아킨 판훌 장군은 군사 반란을 준비했지만, 적대적인 군중과 무장 노동조합원에 의해 저지당했다. 7월 20일, 병영은 정부 충성 노동자, ''돌격 근위대'', 반파시스트 노동자 및 농민 민병대 (MAOC) 5개 대대의 공격을 받았다. 전투는 혼란스러웠고, 결국 ''돌격 근위대''의 포격과 공화파 공병 상사의 도움으로 병영은 함락되었다. 병영 함락 후, 군중들은 많은 군인들을 학살했다.

내전 기간 동안 마드리드는 공화주의자들이 점령했지만, 상당수의 국민주의 동조자들이 존재했다. 7월 봉기 이후 몇 주 동안, 마드리드에서는 파시스트 또는 파시스트 동조자들이 공화주의자들에게 살해되었다.

군사 음모 초기 전략은 19세기 ''프론시미엔토'' 방식의 전국 장악이었으나, 공화파의 저항으로 인해 프란시스코 프랑코와 동맹군은 군사력을 통해 국가를 정복해야 했다. 프랑코는 스페인령 아프리카군과 함께 알헤시라스에 상륙했고, 몰라는 북부에서 군대를 일으켰다. 이들은 바다호스에서 만나 마드리드로 진격할 계획이었다. 후안 야궤 장군의 ''레굴라레스''는 나치 독일의 항공 지원을 받으며 공화파 민병대를 격파했다. 프랑코는 톨레도 포위 국민주의 군대 구출을 위해 마드리드 공격을 지연시켰고, 이는 공화파에게 방어 준비 시간을 벌어주었다.

마드리드에서 스페인 사회주의 노동자당의 프란시스코 라르고 카바예로가 이끄는 공화 정부가 개편되었다. 정부는 사회주의, 공산주의, 공화좌파, 카탈루냐 좌파, 바스크 민족주의자, 공화 연합 출신 장관들로 구성되었다. 공산주의자는 소수였지만, 소련의 무기 지원과 국제 여단을 통해 영향력을 얻었다. 마드리드 공화파 군사 사령관은 호세 미아하 장군이었지만, 소련 군사 인력이 더 중요했다. 고리예프 장군이 총사령관, 야코프 스무슈케비치 장군이 공군, 드미트리 파블로프 장군이 장갑 부대를 지휘했다. 마드리드 공화파 수비대의 약 90%는 좌익 정당이나 노동조합 민병대였다.

독일과 파시스트 이탈리아는 프랑코에게 항공 지원과 장갑 부대를 제공했다. 콘도르 군단은 프랑코 장교들과 독립적으로 지휘되었다. 국민주의자들은 1936년 11월 초 코루냐 도로와 엑스트레마두라 도로를 따라 마드리드에 도달했다. 10월 29일, 엔리케 리스터 휘하 공산주의자 5연대의 반격은 팔라에서 격퇴되었다. 11월 2일, 브루네테가 함락되었고, 국민주의자 군대는 마드리드 서쪽 교외에 위치하게 되었다. 몰라는 영국 언론인에게 정규군, 모로코 군대, 우익 동조자들의 "제5열"로 마드리드를 점령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5열"은 공화파에게 스파이나 배신자의 동의어가 되었고, 편집증은 마드리드에서 국민주의자 포로 학살로 이어졌다. 카바예로를 포함한 정부는 11월 6일 마드리드에서 발렌시아로 이동했다. 미아하 장군과 남은 정치 지도자들은 ''마드리드 방어 위원회''를 결성했다.

국민주의자들의 마드리드 점령 시도는 군사력 열세, 포위 불가능 등 전술적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알카사르가 반란군에게 함락되고, 독일 이탈리아 공군의 폭격으로 마드리드 함락은 시간 문제로 보였다. 그러나 정부군은 격렬하게 저항했고, 돌로레스 이바루리는 "''무릎 꿇고 사는 것보다 다리로 서서 죽자! 그들을 통과시키지 마라! 우리는 통과한다!''"라는 연설로 마드리드 시민들을 독려했다.

전 세계에서 의용군이 지원을 왔고, 어니스트 헤밍웨이, 요시프 브로즈 티토, 조지 오웰 등이 참여했다. 헤밍웨이스페인 내전을 소재로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썼다.

마드리드 방어에는 성공했지만, 정부군은 각지에서 패배했고, 1939년 1월 바르셀로나 함락은 반란군의 승리를 뒷받침했다. 2년간 방어를 지속해 온 마드리드 시내에서는 수비대에 의한 쿠데타가 발생, 산주의 세력이 배제되었다. 1939년 3월 28일, 반란군은 마드리드에 입성, 스페인 내전 및 마드리드 포위전은 반란군의 승리로 끝났다.

2. 1. 국민파의 마드리드 진입 시도와 초기 공방전

10월 초, 국민파는 마드리드 공세를 재개했지만, 마드리드 산악 지대에서 공화파의 완강한 저항에 직면했다. 국민파는 세비야 공세와 마찬가지로 아프리카군을 선봉에 세웠지만,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 엔리케 리스테르는 반격 도중 50명의 무어인을 생포했는데, 이들은 아프리카군 정규군 복장을 한 스페인군이었다고 주장했다.[22]

다르다넬스 해협을 통해 소련 선박들이 군수물자를 싣고 온다는 독일의 보고가 국민파에 도착했고, 프란시스코 프랑코와 국민파는 소련의 지원을 위협으로 인식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코민테른은 공화파에 군사고문단과 군수물자를 보내기로 결정했고, 10월 15일 소련의 T-26 전차 50대와 군사고문단이 카르타헤나에 도착했다. 10월 19일까지 이 물자들은 마드리드 전선으로 보내졌다.[22]

코민테른은 국제여단을 조직하여 스페인 내전에 참전시켰고, 이들은 초가을에 알바세테에 배치되어 본거지로 삼았다. 그러나 이러한 소련의 지원은 스페인 공화국 내 NKVD 요원들의 존재를 동반했고, 결과적으로 스페인 공산당의 세력을 증대시켰다.[22]

3. 전투 준비

공화군은 만사나레스 강이 국군과 시내를 분리하는 강력한 물리적 장애물이었기 때문에 마드리드를 방어하는 데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몰라는 1936년 11월 8일 마드리드 공격을 계획하면서 시가전을 피하고자 폭이 1km인 카사 데 캄포 공원을 통해 공격하기로 했다. 이곳은 시내에서 강 건너편에 있는 탁 트인 지역이었다. 몰라는 시내 북쪽의 마드리드 대학교를 점령하여 만사나레스 강을 건너는 교두보를 확보하려 했고, 시내 남서쪽의 노동자 계급 교외인 카라반첼에 기만 공격을 시작했다. 그러나 11월 7일, 공화군은 파괴된 탱크에서 이탈리아 장교의 시신을 발견하고 공격 계획을 입수하여 카사 데 캄포에 병력을 집중시켰다.[7]

만사나레스 강 위의 전략적 위치 때문에 프랑스인 다리(마드리드)는 매우 중요했다. 로메로 대령은 그곳에서 공화군을 지휘하며 다리를 건너 마드리드 시내로 진입하려는 시도를 효과적으로 막아냈다.[8]

3. 1. 국민파의 공격 계획

1936년 7월 쿠데타 실패 후, 국민파의 아프리카군은 스페인 남부에 집결했고, 마드리드는 전략적 목표가 되었다. 국민파는 포격 지원을 받은 정면 공격으로 주의를 분산시킨 후 측면 포위 기동을 통해 훈련받지 못한 공화파 민병대의 혼란을 야기하는 전술을 사용했다.[23]

바렐라는 카사 데 캄포에서 푸에르타 로다호스를 거쳐 만사나레스 강을 건너 시우다드 대학으로 진격하는 계획을 최종 결정했다. 이 공격은 남서-북동쪽 축으로 푸엔테 데 로스 프란세스와 히포드롬 사이 만사나레스 인근에서 이루어졌다. 동시에 마드리드 남쪽 마을과 세고비아, 톨레도 등에도 공격을 가해 마드리드 방어군의 주의를 분산시키려 했다.

3. 2. 공화파의 방어 계획

프란시스코 라르고 카바예로는 1936년 11월 6일 마드리드 방위위원회를 구성하고, 호세 미아하 장군에게 마드리드 방어를 맡겼다.[24] 11월 7일, 마드리드 방위위원회는 국민파의 공세에 저항하기로 결정하고 마드리드 방어군을 조직했다.[24]

비센테 로호 유치는 만사나레스 강을 따라 참호 등 방어 시설을 준비했다. 마드리드 지하철은 군수물자와 병력 수송, 사상자 이송 및 대피에 활용되었다.

마드리드 방어를 준비하는 공화파 민병대들.

4. 전투

1936년 11월 19일, 국민군은 마드리드에 대한 최후의 정면 공격을 개시했다. 격렬한 포격 지원을 받으며 모로코군과 스페인 외인부대 병력이 마드리드 대학교 구역으로 진입했으나, 공화파의 저항으로 진격이 저지되었다. 국민군은 만사나레스 강을 건너 교두보를 확보했지만,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아나키스트 지도자 부에나벤투라 두루티가 사망했다.[12][13]

제11 국제 여단과 스페인 공화국 부대의 반격에도 불구하고, 국민군은 대학교 구역의 4분의 3을 점령했다. 그러나 예상외의 강력한 저항으로 마드리드 함락은 실패했고,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더 이상의 보병 공격을 중단했다.

4. 1. 카사 데 캄포 공격 (1936년 11월 8일 ~ 10일)

11월 초, 헤타페의 공군기지가 국민파에게 함락되면서[26] 마드리드에 대한 폭격이 강화되었다. 11월 6일, 공화파 내각은 발렌시아로 이동했고, 호세 미아하 장군이 이끄는 마드리드 방위위원회가 마드리드 방어를 담당하게 되었다. 군사 전략에 뛰어났던 비센테 로호 유치는 만사나레스 강을 따라 참호 등 방어 시설을 준비했다.

11월 8일, 국민파의 호세 엔리케 바렐라는 카사 데 캄포에서 만사나레스 강으로 진격을 시작했지만, 리스테, 바르셀로, 갈란 등이 지휘하는 공화파 여단들의 저항으로 진격이 지연되었다. 11월 9일과 10일에도 카사 데 캄포에서 전투가 계속되었고, 푸엔테 데 카스티야 주변에서도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지만 공격은 격퇴되고 다리는 폭파되었다. 11월 9일, 제11국제여단이 마드리드에 도착하여 그랑비아를 따라 행진하며 "러시아 만세!"라는 환호를 받았고, 마드리드 곳곳에 진지를 마련했다.[9]

공화파는 카사 데 캄포에서 국민파의 작전 계획 사본을 노획하여 수비군을 재편성할 수 있었다. 또한, 소련제 I-15와 I-16 항공기를 활용하여 국민파의 제공권을 위협했다. 마드리드에는 "그들은 지나가지 못하리라!"라는 구호가 퍼져나가 시민들의 사기를 북돋았다.

4. 2. 시우다드 대학 공격 (1936년 11월 15일 ~ )

1936년 11월 15일 아침 8시 30분, 바렐라는 전차 지원을 받으며 공세를 시작했다. 이는 반격을 준비하던 공화파에게 큰 혼란을 주었다.[27] 후안 야궤를 통해 공격 명령을 전달받은 아센시오는 "내일 마차가 있든 없든 강을 건너겠다"고 답했다.[27] 15일 정오 무렵, 다리는 큰 피해를 입었지만 방어는 매우 치열했다. 국민파의 공세를 지원하던 18대의 전차[28]는 모래로 된 강바닥에 갇히면서 공격이 중단되었다. 공화파는 국민파의 공세를 막을 수 없다고 판단하여 12시에 다리를 폭파시켰다.[29]

시우다드 대학 공방전에서 가장 유명하고 논쟁의 여지가 많은 다리.


아센시오는 15일 내내 격렬한 반격에 부딪혔다. 세 차례나 강을 건너려 시도했지만, 격렬한 반격으로 인해 실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파의 공격은 시우다드 대학 점령을 목표로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고, 이는 시우다드 대학에 주둔한 두루티와 형제들 등 주둔군에게 혼란을 야기했다. 그러나 이러한 우세에도 불구하고, 포격 및 항공 지원이 이루어진 후에야 국민파는 겨우 강을 넘을 수 있었다. 이에 마드리드 방위위원회는 아라바카에 주둔한 기갑사단에게 16일에 방어군을 지원할 것을 명령했다. 결과적으로 아센시오는 15일 해 질 무렵 만사나레스 강을 건넜다.

전투에서 국민파와 공화파 양측 모두 시우다드 대학에 가용 가능한 모든 병력을 집중시켰다. 전투가 벌어졌던 15일에는 대학에 여러 바리케이드들이 세워졌다. 제11국제여단 또한 이를 지원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며, 이에 대응하여 국민파 또한 더 많은 병력이 강을 건넜다.

4. 3. 이후 전투 경과

1936년 11월 19일, 국민군은 마드리드에 대한 최후의 정면 공격을 시작했다. 격렬한 포격 지원을 받으며 모로코군과 스페인 외인 부대가 마드리드 대학교 구역으로 진입했지만, 공화파의 저항으로 진격이 저지되었다. 만사나레스 강을 건너 교두보를 확보했으나,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아나키스트 지도자 부에나벤투라 두루티가 사망했다.[12][13] 제11 국제 여단과 스페인 공화국 부대의 반격에도 불구하고, 국민군은 대학교 구역의 4분의 3을 점령했지만, 예상외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마드리드 함락에 실패했다.

1936년 11월 말, 마드리드를 폭격하는 국민군 항공기. 피아트 CR.32는 이탈리아 조종사가 조종하며 전투기 호위를 제공한다.


육상 공격이 실패하자,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마드리드 주거 지역에 대한 공중 폭격을 명령했다.[14] 그는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넘겨주는 것보다 마드리드를 파괴하겠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11월 19일부터 23일까지 독일 폭격기의 폭격이 이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전술은 역효과를 낳았다. 마드리드 시민들은 항복하지 않았고, 민간인 폭격은 국제사회의 비판을 초래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와 같은 언론인들이 이를 비판했다.[15]

12월, 양측은 지친 상태로 소강상태에 들어갔다. 전선은 마드리드 시내에서 안정화되었고, 카사 데 캄포 공원을 지나 카라반첼 지역까지 이어졌다. 마드리드는 포격과 공습을 받았고, 식량이 부족해졌다. 1936년 말, 프랑코는 마드리드 북서쪽의 코루냐로 가는 길을 차단하려 했으나, 코루냐 도로 전투는 교착 상태로 끝났다.

마드리드 전투의 사상자는 정확히 집계되지 않았지만, 역사가 휴 토마스는 양측과 민간인을 합해 약 1만 명으로 추정했다.

1937년, 마드리드 인근에서 하라마 전투(1월~2월)와 브루네테 전투(7월) 등 주요 전투가 벌어졌지만, 결정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다. 3월에는 과달라하라에서 이탈리아군이 공화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5월에는 공화군의 마드리드 탈출 시도가 실패했고, 7월의 브루네테 전투는 양측 모두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12월에는 테루엘 전투에서 양측이 10만 명이 넘는 사상자를 냈다.

전몰자의 계곡("Valle de los Caidos")은 양측의 전사자를 기념하기 위해 전쟁 후 프랑코가 마드리드 근처에 건설한 거대한 기념물이다.


1938년, 마드리드 포위는 강화되었고, 시민들은 식량, 옷, 무기 부족으로 고통받았다. 프랑코는 포위를 강화하고 폭격을 계속했다.

1939년 봄, 공화국 군대 내부 분열이 심화되었다. 세히스문도 카사도 대령은 쿠데타를 일으켜 후안 네그린 총리를 축출하고 국방 위원회를 설립, 평화 협상을 시도했다. 그러나 프랑코는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다. 3월 26일, 프랑코는 마드리드로 진격을 명령했고, 3월 28일 마드리드는 국민파에 함락되었다.

5. 결과

1939년 봄, 다른 전선에서 공화국 군대가 붕괴된 후, 마드리드의 공화국 대의는 멸망했고, 공화국 군대 내부에는 격렬한 분열이 발생했다. 사회주의 총리 후안 네그린과 공산당은 끝까지 싸우기를 원했지만, 공화국 대령 세히스문도 카사도 등은 마드리드 항복을 협상하여 공화국 지지자들이 국민파의 보복을 피하기를 원했다.[18] 3월 5일, 카사도의 부하들은 마드리드에서 공산주의 장교들을 체포하고 권력을 빼앗았으며, 네그린을 축출하고 국방 위원회를 설립하여 프랑코와 평화 협정을 협상했다.[18] 다음 날, 공산주의 지도자들과 네그린은 엘다에서 스페인을 탈출했지만, 마드리드 주변의 공산주의 군대는 위원회의 권위를 거부하고 7일에 마드리드에 진입했다. 며칠간의 시가전 끝에 공산주의자들은 패배하고 지도자 루이스 바르셀로는 처형되었다.[18]

카사도는 프랑코와 조건 협상을 시도했지만, 국민파 지도자는 무조건 항복만을 주장했다. 3월 26일, 프랑코는 마드리드로의 전반적인 진격을 명령했고, 27일에는 공화국 전선이 붕괴되었으며, 많은 군대가 항복하거나 무기를 버리고 집으로 향했다. 3월 28일, 마드리드는 마침내 프랑코 군대에 함락되었다.[18] 이로써 스페인 내전 및 마드리드 포위전은 반란군의 승리로 끝났다.[18]

마드리드 함락은 시간 문제였지만, 정부군은 격렬하게 저항했다. 돌로레스 이바루리는 "무릎 꿇고 사는 것보다 다리로 서서 죽자! 그들을 통과시키지 마라! 우리는 통과한다!"라는 연설로 마드리드 시민들을 독려했고, 시민들은 모두 병사가 되어 반란군에 저항했다.[18] 전 세계에서 6만 명의 의용군이 달려왔는데, 어니스트 헤밍웨이, 요시프 브로즈 티토, 조지 오웰 등이 있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이 스페인 내전을 소재로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썼다.[18]

마드리드 방어에 성공했지만 각지에서 패배가 이어졌고, 1939년 1월 바르셀로나 함락은 반란군의 승리를 뒷받침했다. 2년 동안 방어를 계속해 온 마드리드 시내에서는 수비대에 의한 쿠데타가 일어나 산주의 세력이 배제되었고, 1939년 3월 28일 반란군은 마드리드에 입성했다.[18]

카사도의 협상 노력에도 불구하고, 마드리드의 많은 공화국 수비수들은 1939년부터 1943년까지 프랑코 정권에 의해 처형되거나 투옥되어 사망한 약 20만 명 중 하나였다.[18] 전몰자의 계곡은 양측의 전사자를 기념하기 위해 전쟁 후 프랑코가 마드리드 근처에 건설한 거대한 기념물이다.[18]

6. 문학적/예술적 묘사

마드리드 포위전은 스페인 내전 당시 대중의 상상 속에서 신화적인 주제가 되었다. 포위된 수도는 Los Emboscados와 같은 노래,[19] Si me quieres escribir의 한 버전, 라파엘 알베르티의 시 ''마드리드, 에스파냐의 심장'' 등의 주제가 되었다.[20] 알베르티의 시는 다음과 같다.



마드리드 포위전, 특히 브루네테 전투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1940년 소설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에서 여러 번 언급된다. 브와디스와프 브로니에프스키는 마드리드 포위에 대해 Cześć i dynamitpl라는 시를 썼고, 도시 함락이 다가오면서 ''No pasarán!''을 썼다. 그의 시는 파시즘에 맞서 죽어가는 공화주의 병사들이 쓴 낙서를 희망의 등불로 묘사했다.[21]

헤밍웨이는 스페인 내전을 소재로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썼으며, 이 소설은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참조

[1] 간행물 Legislacíón sobre la Placa Laureada de Madrid y Distintivo de Madrid http://dialnet.uniri[...] 2011
[2] 서적 Condecoraciones Militares Españolas Editorial San Martin 1988
[3] 문서 Second Spanish Republic 23 January 1938 Decree
[4]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5] 웹사이트 Women in World History: Primary Sources http://chnm.gmu.edu/[...] 2020-07-01
[6] 서적 El 5º Regimiento de Milicias Populares Madrid 1973
[7] 서적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Epic Conflicts Explored and Explained Penguin
[8] 서적 Historia del Ejército Popular de la República Editora Nacional, Madrid (España)
[9]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Bridgades http://web.usal.es/~[...] 2008-12-05
[10] 서적 Boadilla https://www.amazon.c[...] The Clapton Press, London 2018
[11] 서적 Historia del Ejército Popular de la Republica
[12] 서적 The international brigades: fascism, freedom and the Spanish Civil War Bloomsbury Publishing 2020
[13] 서적 Durruti in the Spanish Revolution AK Press 2007
[14] 서적 Ashes and granite :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in the Spanish Civil War and Its Aftermath Sussex Academic Press
[15] 뉴스 Chewed Up https://web.archive.[...] Time 1937-04-05
[16] 서적 Batalla de Madrid Alcobendas, Editorial LIBSA 2006
[17] 뉴스 Business & Blood https://web.archive.[...] Time 1937-04-19
[18] 서적 The Spanish Republic and the Civil War, 1931–1939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7
[19] 웹사이트 Si me quieres escribir – Ya sabes mi paradero – El Frente de Gandesa – Los emboscados https://web.archive.[...] 2016-01-27
[20] 웹사이트 Romance de la defensa de Madrid – Poesía española http://trianarts.com[...]
[21] 서적 Spanish Carlism and Polish Nationalism: The Borderlands of Europe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Leopolis Press 2003
[22] 서적 Atlas de la Guerra Civil española Síntesis 2007
[23] 서적 Operaciones militares de la guerra de España: 1936-1939 Montaner & Simon 1940
[24] 서적 Así fue la defensa de Madrid: aportación a la historia de la Guerra de España, 1936-39 Ediciones Era 1967
[25] 서적 Madrid rojo y negro: milicias confederales Ediciones del C. de A. y D. pro C.N.T.-F.A.I. 1939
[26] 서적 El soldado español: Una visión de España a través de sus combatientes Arzalia Ediciones 2021-11-16
[27] 서적 Yagüe. Un corazón al rojo Juventud 1963
[28] 간행물 La pasarela de la Muerte de la Ciudad Universitaria Ejército 1941-04-15
[29] 문서 Parte de guerra del 15 de noviembre del Jefe de la 4.ª Brigada Mix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