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팜플로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팜플로나는 스페인 북부에 위치한 나바라 자치 지방의 수도이다. 고대 로마 시대에 도시가 형성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나바라 왕국의 중요한 도시로 발전했다. 1512년 스페인에 병합된 후에도 나바라 왕국의 수도로서 자치권을 유지했으며, 피레네 산맥 서쪽의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했다. 19세기에는 요새 도시로서의 역할이 축소되었고, 20세기에는 산업화와 현대화를 거쳐 스페인에서 높은 생활 수준과 삶의 질을 자랑하는 도시로 성장했다. 팜플로나는 1975년 프랑코 사망 이후 나바라 자치 지방의 주도가 되었으며, 현재 자동차, 건축 자재, 식품 가공 등 다양한 산업과 상업, 서비스업의 중심지이다. 또한, 매년 열리는 산 페르민 축제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바라주의 도시 - 에스프론세다
  • 나바라주의 자치체 - 에스프론세다
  • 스페인의 옛 수도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스페인의 옛 수도 - 발렌시아
    발렌시아는 스페인에서 세 번째로 큰 지중해 연안 도시로, 로마 시대에 건설되어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중세 이슬람 시대 번영과 레콩키스타 이후 아라곤 왕국의 중요 도시로 성장, 20세기 스페인 내전 피해를 극복하고 발렌시아 지방의 수도로서 문화, 역사, 현대 건축, 경제 활동의 중심지이다.
팜플로나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팜플로나 시기
시기
팜플로나 시 문장
팜플로나 시 문장
팜플로나 시청
팜플로나 시청
푸에로스 기념비와 나바라 궁전
푸에로스 기념비와 나바라 궁전
카스티요 광장
카스티요 광장
산타 마리아 라 레알 대성당
대성당
산 페르민 축제 엔시에로
산 페르민 축제
공식 명칭Pamplona / Iruña
다른 이름Pampeluna
별칭해당 없음
표어해당 없음
지리
면적25.14 km²
고도450 m
행정
국가스페인
자치 지방나바라
코마르카쿠엥카 데 팜플로나
시장Joseba Asirón (EH Bildu)
역사
설립기원전 74년
인구
인구 (2020년)209,672명
도시 인구해당 없음
광역 도시권 인구319,208명
인구 밀도auto
인구 순위29위 (지방 자치체); 23위 (광역 도시권)
경제
광역 도시권 GDP (2020년)€189억4200만
기타 정보
시간대CET
UTC 오프셋+1
하계 시간 (DST)CEST
UTC 오프셋 (DST)+2
수호 성인성 사투르니노, 11월 29일
성 페르민, 7월 6–14일, 9월 25일1
웹사이트www.pamplona.es

2. 역사

팜플로나의 성벽


팜플로나는 기원전 75~74년 겨울, 로마 장군 폼페이우스가 세르토리우스와의 전쟁 중 야영지로 사용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폼페이우스는 '폼파엘로'의 창시자로 여겨지는데, 이는 현대 스페인어로 팜플로나가 되었다.[8] 그러나 이곳은 바스코네스족의 주요 도시였으며, 그들은 이곳을 '도시'를 의미하는 이르우냐라고 불렀다.

409년 게르만족 대이동과 이후 레치아르의 약탈로 팜플로나는 큰 혼란과 파괴를 겪었다.[11] 서고트 시대 (5~8세기) 동안 팜플로나는 자치, 서고트 지배, 바스코니아 공작령의 프랑크 수권 사이를 오갔다. 581년경, 서고트 왕 리우비길드는 바스크족을 물리치고 팜플로나를 점령했다.[14] 성 페르민이 팜플로나의 첫 번째 주교였다는 전설이 있지만, 최초의 신뢰할 수 있는 주교 기록은 589년에 나타난다.

우마이야 왕조의 히스파니아 침공 당시인 711년, 서고트 왕 로데릭은 팜플로나에서 바스크족과 싸우고 있었다. 714~716년까지 우마이야 왕조 군대는 팜플로나에 도달했고, 주민들과 조약을 체결한 후 항복한 것으로 보인다.[16] 755년부터 781년까지 팜플로나는 자치 상태를 유지했다. 778년 샤를마뉴가 사라고사 원정에서 돌아오는 길에 도시 성벽을 파괴하기도 했다.

론세스바예스 전투 (778) 이후 팜플로나는 코르도바 통치로 다시 바뀌었다. 799년 팜플로나 사람들은 총독에 대항하여 봉기했지만, 바누 카시의 봉기를 지원했다가 코르도바 아미르에게 진압되었다. 806년에는 프랑크족의 수권으로 돌아갔다.[19] 812년경 경건왕 루이의 원정 실패 이후, 에네코 아리스타가 두각을 나타내며 프랑크족에 대한 충성이 무너졌다. 824년 두 번째 론세스바예스 전투에서 승리한 후 팜플로나 왕으로 즉위했다.

924년 코르도바 자료는 팜플로나 주민들이 가난하고 강도질에 헌신하며, 대부분 바스크어를 사용한다고 묘사했다.[22]

11세기부터 경제가 발전하면서 팜플로나는 도시 생활을 회복했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의 순례는 피레네 산맥 너머 기독교 유럽과의 교류를 부활시켰다. 12세기에는 산 세르닌(생 사투르냉)과 산 니콜라스라는 두 개의 새로운 자치구가 도시를 확장했다. 옥시탄 상인과 장인들이 유입되면서 인구가 증가했다.

자치구들은 사회적, 문화적으로 뚜렷한 특징을 보였으며, 1276년 나바레리아 파괴와 주민 학살 등 잦은 다툼을 벌였다. 카를로스 3세는 1423년 자치구의 통합을 선언하여 하나의 도시로 만들었다.

15세기 말, 팜플로나는 보몽과 아그라몽 연맹 간의 권력 투쟁과 외부 군사 개입을 겪었다. 1494년 카타리나 1세와 후안 3세의 결혼이 도시에서 축하되었지만, 나바라는 계속 분열되었다.

1512년 스페인이 나바라를 정복하여 병합한 후, 팜플로나는 나바라 왕국의 수도로 남아 자체적인 제도와 법률을 유지했다. 팜플로나는 피레네 산맥 서쪽 기슭에 위치한 카스티야-스페인 전초 기지가 되었다. 1569년부터 펠리페 2세는 지오반 자코모 팔레아리와 베스파시아노 곤자가의 설계에 따라 팜플로나에 요새를 건설했다.

18세기 동안 팜플로나는 도시 서비스가 개선되고 아름다워졌다. 나폴레옹 전쟁반도 전쟁 동안 프랑스군이 1808년 도시를 점령했다가 1813년 항복했다.[29] 카를리스트 전쟁 동안 팜플로나는 정부군에 의해 통제되었다. 마지막 카를리스트 전쟁 동안 현대 포병은 구식 성벽의 한계를 보여주었고, 정부는 산 크리스토발 산에 요새를 건설했다.

군사적 역할로 인해 도시는 성벽 밖으로 확장될 수 없었다. 1915년 육군은 벽 철거를 허용하고 건물 건설 금지를 폐지했다. 별 모양 요새는 1964년까지 군사 시설로 사용되었다.

20세기, 특히 후반기에 팜플로나는 나바라의 산업화 및 현대화를 이끌었다. 도시화는 산업 및 서비스 발전과 함께 이루어졌다. 1975년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사망하고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팜플로나는 1982년에 탄생한 나바라 자치 지방의 주도가 되었다.

2. 1. 고대 로마 시대

기원전 75~74년 겨울, 이 지역은 로마 장군 폼페이우스가 세르토리우스와의 전쟁에서 사용한 야영지였다. 그는 스트라보의 말처럼 "폼페이오폴리스"와 같은 '''폼파엘로'''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이는 현대 스페인어로 팜플로나가 되었다.[8] 그러나 후대에 이곳은 바스코네스족의 주요 도시로 밝혀졌으며, 그들은 이곳을 '도시'를 의미하는 이르우냐라고 불렀다. 로마 시대의 폼파엘로는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속주에 위치했으며, 아브 아스투리카 부르디갈람 도로, 즉 부르디갈라(현대 보르도)에서 아스투리카(현대 아스토르가)로 이어지는 도로에 있었다.[9] 이곳은 카이사라우구스타(현대 사라고사)의 ''콩벤투스'' 관할 하에 있는 ''civitas stipendiaria''였다.[10]

2. 2. 중세 초기

409년 게르만족 대이동과 이후 레치아르의 약탈로 팜플로나는 큰 혼란과 파괴를 겪었으며,[11] 바스크 지역의 다른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쇠퇴의 시기를 맞이했지만, 어떤 형태의 도시 생활은 유지했다.[12] 서고트 시대 (5~8세기) 동안 팜플로나는 자치, 서고트 지배 또는 바스코니아 공작령의 프랑크 수권 사이를 오갔다(589년과 684년 사이에 여러 팜플로나 주교가 불참한 톨레도 공의회).

팜플로나의 첫 번째 왕인 에네코 아리스타(15세기 미니어처, 마드리드 국립 도서관, MS 7415)


581년경, 서고트 왕 리우비길드는 바스크족을 물리치고 팜플로나를 점령하여 빅토리아쿰에 정착했다.[14] 성 페르민이 팜플로나의 첫 번째 주교로 4만 명의 이교도 주민에게 단 3일 만에 세례를 주었다는 전설에도 불구하고, 주교에 대한 최초의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은 589년으로, 주교 릴리올루스가 제3차 톨레도 공의회에 참석했다.

우마이야 왕조의 히스파니아 침공 당시인 711년, 서고트 왕 로데릭은 팜플로나에서 바스크족과 싸우고 있었고, 남쪽에서 온 새로운 적에게 주의를 돌려야 했다. 714~716년까지 우마이야 왕조의 군대는 바스크족이 점령한 팜플로나에 도달했고, 주민들과 아랍 군 지휘관 간의 조약 체결 후 항복한 것으로 보인다.[16]

755년부터 781년까지 팜플로나는 자치 상태를 유지했으며, 아마도 지역 동맹에 의존했을 것이다. 778년에 도시는 피레네 산맥을 넘어 남쪽으로 가던 샤를마뉴 시대에 바스크 지역의 지도자 또는 프랑크족에게 충성하는 무슬림 반군에게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8월에 사라고사로의 실패한 원정에서 돌아오는 길에, 샤를마뉴는 도시 내에서 반 프랑크 세력이 그를 상대로 이용할 것을 두려워하여 성벽과 아마도 도시를 파괴했다(유명한 론세스바예스 전투에서 프랑크족의 패배에 앞서).

8세기에 수많은 군사 작전의 중심지였던 팜플로나


론세스바예스 전투에서 프랑크족이 패배한 후 (778), 팜플로나는 코르도바 통치로 다시 바뀌었으며, 799년 반란까지 무타리프 이븐 무사 (바누-카시)가 통치했다. 그 해에, 팜플로나 사람들은 (아마도 벨라스코라는 사람이 이끌었을 것이다) 총독에 대항하여 봉기했지만, 나중에 주민들은 바누 카시의 포르툰 이븐 무사의 봉기를 지원했다. 이 지역 봉기는 코르도바 아미르 히샴 1세에 의해 곧 진압되었고, 그는 질서를 회복했지만, 팜플로나를 장악하는 데 실패했으며, 팜플로나 사람들은 806년에 프랑크족의 수권으로 돌아갔다.[19]

812년경, 경건왕 루이가 이끄는 도시에 대한 실패한 원정 이후, 에네코 아리스타가 두각을 나타내면서 프랑크족에 대한 충성은 무너졌다. 게다가, 그는 바누 카시와 그가 승리한 두 번째 론세스바예스 전투 이후 탄력을 받으면서 824년에 팜플로나 왕으로 즉위했다.

이 기간 동안, 팜플로나는 제대로 된 도시가 아니라 일종의 요새였다. 924년, 코르도바 자료는 팜플로나를 "본성적으로 특별한 재능을 갖지 못했다"고 묘사했으며, 그 주민들은 가난하고 충분히 먹지 못하며, 강도질에 헌신했다. 그들은 대부분 바스크어를 사용하며, "그것은 그들을 이해할 수 없게 만든다"고 보고되었다.[22]

2. 3. 중세 후기

11세기부터 경제가 발전하면서 팜플로나는 도시 생활을 회복했다. 팜플로나의 주교들은 교회의 지도적 역할을 되찾았다. 이전에는 고립된 수도원, 특히 레예레 수도원이 종교적 권위를 가지고 있었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의 순례는 피레네 산맥 너머 기독교 유럽과의 상업적, 문화적 교류를 부활시키는 데 기여했다. 12세기에는 두 개의 새로운 독립적인 ''부르고스''(자치구)인 산 세르닌(생 사투르냉)과 산 니콜라스가 도시를 확장했다. 원래 도시 중심부에 국한된 나바라 주민들은 옥시탄 상인과 장인들에 의해 인구가 증가했다.

자치구는 사회적, 문화적으로 매우 뚜렷한 특징을 보였으며 거의 항상 서로 다툼을 벌였다. 가장 극적인 사건은 1258년 산 니콜라스 자치구의 화재와 1276년 다른 두 자치구에 의한 나바레리아의 파괴와 그 인구의 학살이었다. 이 지역은 거의 50년 동안 버려졌다. 도시의 외부 방어벽과 관련하여 남쪽은 도시의 가장 취약한 측면이었고, 나바라 왕 루이 1세는 14세기 초 오늘날 카스티요 광장(플라자 델 카스티요)으로 알려진 부지에 성을 건설했다.

결국, 카를로스 3세는 1423년 자치구의 통합을 한 개의 도시로 선언했다. 자치구 간의 불화는 세 자치구를 나누는 만의 사용에 대한 분쟁에 의해 부분적으로 촉발되었으므로, 카를로스 3세의 통합 이후 만은 채워졌고 그 부지에 오늘날 시청이 있는 공용 공간이 마련되었다. 자치구를 나누는 벽은 철거되었다.

15세기 말, 팜플로나는 보몽과 아그라몽 연맹 간의 권력 투쟁과 외부 군사 개입을 목격했다. 요새는 여러 번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가 보낸 군대와 같은 다른 파벌과 외국 세력에 의해 점령되었다. 카타리나 1세는 미성년자였고 종종 팜플로나에 부재했지만, 결국 1494년 후안 3세와 결혼했고, 이 사건은 도시에서 기쁨으로 축하되었다. 그러나 나바라는 계속 분열되었다.

역사적으로 팜플로나에는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다. 팜플로나의 유대인에 대한 최초의 문서는 하스다이 이븐 샤프루트가 산초 1세를 만나기 위해 외교 임무로 팜플로나를 방문한 958년에 기록되었다.[25] 팜플로나의 유대인들은 할라하 또는 종교법을 시행하는 독립적인 법원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 1498년, 유대인들은 추방되거나 기독교로 개종해야 했다.[26]

2. 4. 근세

1512년 스페인이 나바라를 정복하여 병합한 후, 팜플로나는 자치적인 나바라 왕국의 수도로 남아 자체적인 (개혁된) 제도와 법률을 유지했다. 팜플로나는 피레네 산맥 서쪽 기슭에 위치한 카스티야-스페인 전초 기지가 되었다. 카스티야 정복 이후, 국왕 페르난도 5세는 1513년에 중세 시대의 성과 도시의 수도원을 철거하고 제거하도록 명령했으며, 매우 가까운 곳에 새로운 성을 건설하도록 지시했다.[27] 1530년, 나바라가 스페인 군대에 점령된 상태에서 카스티야 부왕은 여전히 "프랑스 침공"을 예상하고 있었고, 도시 거주자들의 반란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이미 나바라에 주둔하고 있던 1,000명의 병력 외에 카스티야에서 추가로 1,000명의 병력을 요청했다.[27]

포병의 발전은 요새화 시스템의 완전한 갱신을 요구했다. 1569년부터 펠리페 2세 국왕은 지오반 자코모 팔레아리와 베스파시아노 곤자가의 설계에 따라 팜플로나에 요새를 건설했다. 도시 남쪽에 위치한 시타델은 오각형의 별 모양 요새이다. 펠리페 2세는 도시를 거의 정오각형으로 만드는 벽으로 둘러쌌다. 벽의 현대화는 주로 지역 주민을 통제[28]하고 프랑스의 동맹국인 독립 나바라와의 국경에 위치한 팜플로나가 된 전초 기지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오늘날 존재하는 벽은 16세기 후반에서 18세기에 걸쳐 건설되었다.

18세기 동안 팜플로나는 상당히 아름다워졌고 도시 서비스가 개선되었다. 지속적인 수도 공급이 확립되었고, 거리가 포장되었다. 부유한 귀족과 사업가들도 저택을 지었다. 19세기에는 이 요새 도시가 스페인이 참여한 여러 전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나폴레옹 전쟁반도 전쟁 동안, 프랑스군은 1808년에 기습 공격(''쿠 데 메인'')으로 도시를 점령했고, 엔리케 호세 오도넬 휘하의 스페인군에 의해 4개월 동안 도시에 포위되어 기아로 인해 1813년 10월 31일에 프랑스군이 항복할 때까지 머물렀다.[29]

1850년대 팜플로나의 모습


카를리스트 전쟁 (1833–1839 및 1872–1876) 동안 팜플로나는 요새 도시를 정부가 통제했기 때문에 매번 자유주의자들에게 점령되었다. 카를리스트 반군이 쉽게 시골을 지배했지만, 정부군은 나바라의 성벽 도시를 지배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카를리스트 전쟁 동안 주변 산에서 카를리스트가 운용하는 현대 포병은 구식 벽이 더 강력한 적에 맞서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정부는 팜플로나에서 북쪽으로 3km 떨어진 산 크리스토발 산 꼭대기에 요새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군사적 역할로 인해 도시는 성벽 밖으로 확장될 수 없었다. 더욱이 포위 공격자에게 유리한 고지를 제공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벽에 가장 가까운 지역의 건물 건설이 금지되었고, 따라서 도시는 주택 밀도를 높이는 것 외에는 성장할 수 없었다. 더 높고 좁은 집이 지어졌고 안뜰은 점차 사라졌다. 19세기에는 도로 운송이 개선되었고, 철도가 1860년에 들어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팜플로나와 나바라 전체의 산업은 산업 혁명 시대에 약세를 보였다. 제한된 요새 도시에서는 산업 발달이 불가능했다.

1888년 별 모양 요새를 약간 개조하여 겨우 여섯 블록만 확장할 수 있었던 후, 제1차 세계 대전은 팜플로나의 요새 시스템이 이미 쓸모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915년, 육군은 벽의 철거를 허용하고 도시 주변의 건물 건설 금지를 폐지했다. 벽의 남쪽 면은 파괴되었고 나머지 세 면은 도시 성장을 방해하지 않아 그대로 유지되었다. 별 모양 요새는 1964년까지 군사 시설로 계속 사용되었지만, 단지 주둔지 역할만 했다.

2. 5. 근대

팜플로나는 군사적 기능에서 벗어나 20세기, 특히 후반기에 나바라가 참여했던 산업화 및 현대화 과정을 이끌었다. 도시화는 산업 및 서비스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졌다. 1960년대와 1970년대의 격렬한 이민 과정의 결과로 인구가 증가했는데, 이는 나바라의 시골 지역과 스페인의 덜 발달된 지역, 주로 카스티야 이 레온과 안달루시아에서 이루어졌다. 1990년대 이후 이민은 주로 해외에서 유입되고 있다. 1975년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사망하고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팜플로나는 1982년에 탄생한 나바라 자치 지방의 주도가 되었다.

팜플로나는 스페인에서 가장 높은 생활 수준삶의 질을 가진 도시 중 하나이다.[51] 산업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지만 탈집중화로 위협받고 있다. 범죄 통계는 전국 평균보다 낮지만, 특히 주택의 생활비는 상당히 높다.[52] 작은 규모와 괜찮은 대중교통 서비스 덕분에 주요 교통 문제는 없다. 정치에 관해서는 바스크 민족주의의 대립에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

19세기 말까지 시가지의 추가 확장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888년에는 성 모양의 요새를 약간 수정하는 것이 허용되었지만, 6개 구획의 건물만 허용되었다. 이것이 첫 번째 확장(I Ensanche)이라고 불렸다. 남쪽의 성벽은 1915년에 파괴되었고, 두 번째 확장(II Ensanche)이 계획되었다. 이 계획은 바르셀로나의 에이샴플라를 위해 일데폰소 세르다가 설계한 바둑판식 계획에 따른 것이었다.

스페인 내전 이후 팜플로나에는 로차페아, 미라그로사, 찬트레아 3개의 새로운 지구가 성장하기 시작했다. 1957년 팜플로나 시는 첫 번째 종합 정리 계획을 기획하여 추가적인 도시 발전을 위한 지침을 확립했다. 이에 따르면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산 후안, 이투라마, 산 호르헤, 에차바코이스, 오르비나와 같은 새로운 주택 지구가 창설되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는 아스피라가냐, 멘데발데아, 멘디요리와 같은 새로운 주택 지구가 생겨났다. 로차페아는 완전히 새롭게 단장되었다.

2. 6. 현대

유럽의 다른 도시들처럼 팜플로나는 구시가지(Casco Viejo)와 신시가지의 구분이 뚜렷하다. 구시가지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나바레리아(Navarrería)라고 하며, 로마 시대의 도시와 일치한다. 12세기에는 산 세르닌 지구와 산 니콜라스 지구가 생겼다. 카를로스 3세는 1423년에 이 세 지구를 통합하여 하나의 자치 단체로 만들었다.

19세기 말까지 시가지의 추가 확장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888년에는 성 모양의 요새를 약간 수정하는 것이 허용되었지만, 6개 구획의 건물만 허용되었다. 이것이 첫 번째 확장(I Ensanche)이라고 불렸다. 1915년에 남쪽의 성벽이 파괴되었고, 두 번째 확장(II Ensanche)이 계획되었다. 이 계획은 바르셀로나의 에이샴플라를 위해 일데폰소 세르다가 설계한 바둑판식 계획을 따랐다. 구획은 1820년대부터 1850년대에 걸쳐 건설되었다. 널리 보급된 모델 주택은 5층에서 8층까지 있는 공동 주택이었다.

스페인 내전 이후 팜플로나에는 로차페아, 미라그로사, 찬트레아, 이렇게 3개의 새로운 지구가 성장하기 시작했다. 찬트레아만이 교외에 계획되었고, 로차페아와 미라그로사는 무질서하게 성장했다. 1957년 팜플로나 시는 첫 번째 종합 정리 계획을 기획하여 추가적인 도시 발전을 위한 지침을 확립했다. 이에 따르면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산 후안, 이투라마, 산 호르헤, 에차바코이스, 오르비나와 같은 새로운 주택 지구가 창설되었다.

팜플로나의 도시 성장은 시의 행정적 한계를 넘어 바라냐인, 부를라다, 비야바, 안소아인, 베리오살, 노아인, 우아르테와 같은 자치 단체를 포함하여 광역 도시권을 형성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는 아스피라가냐, 멘데발데아, 멘디요리와 같은 새로운 주택 지구가 생겨났다. 로차페아는 완전히 새롭게 단장되었다. 이러한 신규 주택 지구의 도시화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극심한 경제 성장을 경험한 스페인 국내의 주도와 매우 유사하다. 바둑판식 계획은 추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시화는 미리 설계되었고, 공동 주택 건물은 더 고층화되었다. 6층보다 낮아지는 일은 없었고, 많은 건물들이 10층 이상, 20층인 곳도 있었다. 이전에는 주택과 공존했던 공장들은 공업 단지로 이전했다(가장 오래되고 팜플로나 자치 단체 내에 있는 곳은 란다벤이다).

최근에는 1인 또는 2인 가구가 거주하는 주택 지구가 도시권에 늘어나고 있다. 시술 마요르, 시술, 아란후렌, 에구에스, 하랄, 베리오플라노, 알수사가 대표적이다. 부츠틴추리, 레스카일, 에구에스에서는 새로운 주택 지구가 빌딩으로 건설되었다. 이러한 지구에는 공동 주택 건물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저층 주택으로 6층 이상은 없지만 녹지가 풍부하다.

3. 지리

팜플로나는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b'')와 지중해성 기후(''Csb'')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 지구 온난화와 21세기 들어 여름철 폭염이 심화되면서 습윤한 아열대 기후(''Cfa'')의 경계에 놓여 있기도 하다. 해양성 기후의 전형적인 특성처럼 강수 패턴은 연중 크게 변동하지 않지만, 여름철이 다소 건조한 지중해성 패턴으로 인해 두 가지 기후 분류가 모두 가능하다. 스페인 북부 지역의 전형적인 일조량을 보이며, 인근 바스크 지역의 해양성 해안 기후와 더 유사하다. 하지만 빌바오와 특히 산세바스티안보다 강수량이 훨씬 적고, 450m의 고도와 내륙 지역이라는 점 때문에 북부 해안 지역보다 겨울 최저 기온은 더 낮고, 여름 최고 기온은 더 높다.[54][55]

팜플로나 (1991–2020), 극한값 (1953–202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C)19.523.63029.633.538.542.340.638.830272042.3
평균 최고 기온 (°C)9.511.215.017.221.425.828.529.224.819.713.29.918.8
평균 기온 (°C)5.76.59.511.515.219.121.622.118.514.59.26.113.3
평균 최저 기온 (°C)1.81.74.05.88.912.414.615.012.29.25.22.37.8
최저 기온 (°C)-12.4-15.2-9.0-2.2-0.23.87.04.83.4-1.0-6.6-14.2-15.2
강수량 (mm)73.556.865.572.160.655.233.632.946.266.885.671.2720.1
평균 일조 시간1141301912042372593022872301791171042144


3. 1. 위치

팜플로나는 나바라 주 중심부의 둥근 계곡인 팜플로나 분지에 위치해 있으며, 이곳은 산악 북부와 에브로강 계곡을 연결한다. 산세바스티안에서 92km, 빌바오에서 117km, 파리에서 735km, 마드리드에서 407km 떨어져 있다. 분지의 기후와 풍경은 나바라의 두 주요 지리적 지역 사이의 과도기적 특성을 보인다. 이 교차로의 중심적인 위치는 나바라의 매우 다른 자연 지역 간의 상업적 연결 역할을 해왔다. 도시의 역사적 중심지는 에브로강의 지류인 아르가강의 왼쪽 강둑에 있다. 도시는 강의 양쪽으로 발전해왔다.

팜플로나의 항공 사진, 2017년


팜플로나는 나바라 주 중앙부에 위치하며, 팜플로나 분지로 알려진 원형 분지 안에 있다. 팜플로나는 동서와 남북의 도로가 교차하는 십자로에 위치해 있으며, 북부와 남부의 주요 자연 경관을 연결하는 통상로 역할을 해왔다.

팜플로나의 역사 지구는 에브로강 지류인 아르가강 우안에 있다. 오늘날의 시가지는 아르가 강 양안으로 확장되어 있다. 기후는 대륙성 지중해성 기후(en)의 영향을 받은 해양성 기후로, 연평균 기온은 12.6°C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기온 (°C)5.25.59.410.916.317.721.221.819.2146.34.812.6


3. 2. 기후

팜플로나는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b'')와 지중해성 기후(''Csb'')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 지구 온난화와 21세기 들어 여름철 폭염이 심화되면서 습윤한 아열대 기후(''Cfa'')의 경계에 놓여 있기도 하다. 해양성 기후의 전형적인 특성처럼 강수 패턴은 연중 크게 변동하지 않지만, 여름철이 다소 건조한 지중해성 패턴으로 인해 두 가지 기후 분류가 모두 가능하다. 스페인 북부 지역의 전형적인 일조량을 보이며, 인근 바스크 지역의 해양성 해안 기후와 더 유사하다. 하지만 빌바오와 특히 산세바스티안보다 강수량이 훨씬 적고, 450m의 고도와 내륙 지역이라는 점 때문에 북부 해안 지역보다 겨울 최저 기온은 더 낮고, 여름 최고 기온은 더 높다.[54][55]

팜플로나 (1981–2010), 극한값 (1953–202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C)19.523.63029.633.538.540.240.638.830272040.6
평균 최고 기온 (°C)9.110.914.616.420.825.228.228.324.519.313.19.718.4
평균 기온 (°C)5.26.39.110.914.718.621.221.418.214.19.06.012.9
평균 최저 기온 (°C)1.41.63.75.38.611.914.214.512.08.94.82.27.4
최저 기온 (°C)-12.4-15.2-9.0-2.2-0.23.87.04.83.4-1.0-6.6-14.2-15.2
강수량 (mm)625559796551384349738077734
평균 상대 습도 (%)78726665635957586269767867
평균 일조 시간93125177185228268310282219164108882240



팜플로나 평균 기온 (1981-201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기온 (°C)5.26.39.110.914.718.621.221.418.214.19.06.012.9


4. 문화

헤밍웨이의 소설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에 팜플로나가 등장한다.

팜플로나에서 유래한 요리인 칠린드론 양고기


카잘 궁전

4. 1. 교육

팜플로나에는 두 개의 대학교가 있다. 1952년에 설립된 오푸스 데이의 기업적 사업인 나바라 대학교는 스페인 최고의 사립 대학교로 평가받고 있으며,[41] 1987년 나바라 정부에 의해 설립된 나바라 공립 대학교가 있다. 또한 국립 원격 교육 대학교(UNED)의 지역 분교도 있다.

나바라 대학교

4. 2. 예술

팜플로나에서 가장 중요한 박물관 두 곳은 나바라의 고고학적, 예술적 유산을 다루는 나바라 박물관과 대성당에 위치한 종교 예술 박물관인 디오세사노 박물관이다. 팜플로나는 산티아고 순례길의 프랑스 길에서 첫 번째 스페인 도시이다.

팜플로나는 1991년부터 격년으로 파블로 데 사라사테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42]를 개최해 왔으며, 2004년부터는 스페인에서 가장 중요한 다큐멘터리 영화 축제인 연례 푼토 데 비스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를 개최하고 있다.

더 인기 있는 문화적 표현 중 하나는 연중 여러 축제 기간 동안 등장하는 "거인들"이다. 이들은 안에 사람이 들어가 도시를 돌아다니며 춤을 추게 하는 약 9m 높이의 나무 조각상이다. 이들은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의 각 주요 대륙을 나타낸다.

시내에 있는 몇몇 교회는 대부분 16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요새화가 진행된 시대에 세워졌다. 그 외 공공 건축물은 팜플로나 예술 역사 유산에 속한다.

  • 산타 마리아 데 팜플로나 대성당 - 14세기의 고딕 양식. 파사드는 신고전주의 건축. 가르시아 7세 이후 나바라 왕의 영묘이기도 하다.
  • 산 세르닌 교회 - 고딕 양식
  • 산 니콜라스 교회 - 고딕 양식
  • 산 페르민 예배당 - 바로크 양식


팜플로나가 한때 지속적으로 군사 도시였던 탓에, 시벽 사방 중 세 곳에 시우다데라 혹은 성채 요새가 약간의 수정을 거쳐 남아 있다. 중세 시대의 구조물들은 모두 대포를 사용한 공성전에 저항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체되었다. 현대의 전쟁에는 적합하지 않아 완전히 쇠퇴했고, 과거의 군사 시설은 현재 공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공공 건축물은 14세기에 세워졌으며,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카마라 데 콤토스(Cámara de Comptos, 나바라 왕국의 자치적인 회계 검사 부서)로 사용되었다. 아르가 강에 놓인 중세 시대의 다리도 몇 개 있다. 산타 엥라시아 다리, 밀세 다리, 마그달레나 다리, 산 페드로 다리가 있다. 산 페드로 궁전은 역대 나바라 왕과 팜플로나 주교에 의해 번갈아 사용되었다. 이 궁전은 근대 초에는 스페인 왕국의 부왕 궁전이 되었고, 이후에는 나바라 군사 총독부가 설치되었다. 스페인 내전 이후 궁전은 폐허가 되었고, 최근에 나바라 종합 공문서관으로 재건되었다.

가장 눈에 띄는 바로크 양식의 공공 건축물은 18세기부터 있던 시청, 주교관, 후안 엘 바우티스타 신학교, 로사레호 저택, 에스페라타 저택(현재 음악 학교), 나바로-타파라 저택(바스크 애국 운동 사무소)이다. 나바라 주 정부는 청사로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의 나바라 궁전을 19세기에 세웠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팜플로나의 건축은 다른 중요한 스페인 도시들 가운데서 충분히 발달하여 그 취향을 보여주었다. 1912년에 완공된 라 아그리콜라 등 몇몇 공동 주택에는 다소 소극적인 모더니즘 장식이 되어 있다. 20세기에 가장 잘 알려진 팜플로나의 건축가는 빅토르 에우사로, 그는 유럽의 인상주의와 아방가르드 운동에 영향을 받은 설계를 했다.

4. 3. 거인 인형

더 인기 있는 문화적 표현 중 하나는 연중 여러 축제 기간 동안 등장하는 "거인들"이다. 이들은 안에 사람이 들어가 도시를 돌아다니며 춤을 추게 하는 9m 높이의 나무 조각상이다. 이들은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의 각 주요 대륙을 나타낸다.

5. 교통

팜플로나는 사라고사 (1978년), 산 세바스티안, 비토리아 (1995년), 로그로뇨 (2006년)와 연결된 고속도로가 있다. 2007년부터 시내 중심부에 새로운 버스 터미널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1934년에 지어진 이전 버스 터미널을 대체한다.[44]

렌페가 운영하는 철도는 1861년에 개통되어 마드리드, 사라고사 및 스페인 북부와 연결된다.

시내와 주변 지역에는 팜플로나 지역 공동체의 전세 회사인 TCC가 운영하는 23개의 주간 노선과 10개의 야간 노선 버스가 있다. 팜플로나는 A-15 고속도로를 통해 사라고사산세바스티안, A-10 고속도로를 통해 비토리아-가스테이스, A-12 고속도로를 통해 로그로뇨와 연결된다. 트램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듭되고 있다.

5. 1. 공항

팜플로나 공항은 노아인에 있으며, Aena에서 운영한다.[44] 이베리아 항공마드리드바르셀로나 노선을, TAP 포르투갈은 리스본 노선을 운항한다.[44]

5. 2. 도로

팜플로나는 사라고사 (1978년), 산 세바스티안, 비토리아 (1995년), 로그로뇨 (2006년)와 연결된 인접 고속도로가 있다. 2007년부터는 시내 중심부에 새로운 버스 터미널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1934년에 지어진 이전 버스 터미널을 대체한다.[44]

팜플로나 공항(1972년)은 Aena가 운영하며 노아인에 위치해 있다. 이 공항에서는 마드리드바르셀로나로 가는 여러 항공편이 매일 운행된다.[44] 철도 (1861년)는 마드리드, 사라고사 및 스페인 북부와 연결되며, 렌페가 운영한다. 사라고사, 마드리드, 바르셀로나를 잇는 고속철도 연결은 2014년까지 예상되지 않았다. 새로운 기차역은 도시 남부에 건설될 예정이다.

시내와 주변 지역에는 팜플로나 지역 공동체의 전세 회사인 TCC가 운영하는 23개의 주간 노선과 10개의 야간 노선 버스가 있다. 팜플로나는 A-15 고속도로를 통해 사라고사산세바스티안, A-10 고속도로를 통해 비토리아-가스테이스, A-12 고속도로를 통해 로그로뇨와 연결된다.

2007년부터 새로운 버스 터미널이 운영되고 있다. 팜플로나 공항에서는 마드리드바르셀로나로 가는 노선이 운행된다.[53] 렌페(스페인 국철)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은 마드리드, 사라고사, 스페인 북부와 연결된다. 고속철도 AVE는 사라고사, 마드리드와 연결되어 있다. 새로운 철도역이 도시 남부에 건설 중이다. 공영 버스에는 20개의 평일 노선과 9개의 야간 노선이 있다.

5. 3. 철도

팜플로나 공항(1972)은 Aena에서 운영하며 노아인에 있고, 마드리드바르셀로나로 가는 여러 항공편을 매일 운행한다.[44] 철도 (1861)는 마드리드, 사라고사 및 스페인 북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렌페에서 운영한다. 사라고사,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간 고속철도 연결은 2014년까지는 예상되지 않았다. 새로운 기차역은 도시 남부에 건설될 예정이다.

6. 정치

2023년 지방 선거 이후, 팜플로나 시장은 EH 빌두 소속 호세바 아시론이며, 나바라 사회당, 게로아 바이, 함께 너와 함께의 지지를 받고 있다.[43]

6. 1. 지방 자치

2023년 지방 선거 이후, 팜플로나 시장은 호세바 아시론(EH 빌두)이며, 나바라 사회당, 게로아 바이, 함께 너와 함께의 지지를 받고 있다.[43]

6. 2. 시의회

2023년 지방 선거 이후, 팜플로나 시장은 EH 빌두 소속 호세바 아시론이며, 나바라 사회당, 게로아 바이, 함께 너와 함께의 지지를 받고 있다.[43]

7. 경제

팜플로나는 수십 년 만에 행정 도시이자 시골 마을에서 산업 및 서비스 분야의 중규모 도시로 변모했다. 산업 부문은 다양하며, 자동차 산업, 건축 자재, 금속 가공, 식품 가공, 재생 에너지 기술 (풍력 터빈 제조 및 풍력 발전) 등이 발달했다. 폭스바겐은 란다벤 공장에서 폴로 모델을 생산하며, 인접한 사리구렌에는 지멘스 게임사 재생 에너지, 국립 재생 에너지 센터(CENER)[40] 및 악시오나 에너지의 본부가 있다.

나바라 대학교와 그 부속 병원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사립 교육 및 의료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어, 그 영향력은 나바라 주를 넘어선다.

7. 1. 산업

팜플로나는 수십 년 만에 행정 도시이자 시골 마을에서 산업 및 서비스 분야의 중규모 도시로 변모했다. 산업 부문은 다양하지만, 가장 중요한 활동은 자동차 산업과 관련이 있다. 폭스바겐은 란다벤 공장에서 폴로 모델을 생산하며, 폭스바겐 및 기타 회사를 위해 일하는 많은 보조 산업체가 있다. 다른 주목할 만한 산업으로는 건축 자재, 금속 가공, 식품 가공이 있다. 재생 에너지 기술 또한 증가하는 경제 부문이며 (풍력 터빈 제조 및 풍력 발전), 인접한 사리구렌은 지멘스 게임사 재생 에너지, 국립 재생 에너지 센터(CENER)[40] 및 악시오나 에네르기아의 본부이다.

팜플로나는 나바라의 주요 상업 및 서비스 중심지이다. 나바라 대학교와 그 교육 병원을 제외하고는, 전국적으로 사립 교육 및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그 영향력은 주를 넘어선다.

7. 2. 상업 및 서비스

부루에스 빌딩, 현재 나바라 상공회의소


팜플로나는 수십 년 만에 행정 도시이자 시골 마을에서 산업 및 서비스 분야의 중규모 도시로 변모했다. 산업 부문은 다양하지만, 가장 중요한 활동은 자동차 산업과 관련이 있다. 폭스바겐은 란다벤 공장에서 폴로 모델을 생산하며, 폭스바겐 및 기타 회사를 위해 일하는 많은 보조 산업체가 있다. 다른 주목할 만한 산업으로는 건축 자재, 금속 가공, 식품 가공이 있다. 재생 에너지 기술 또한 증가하는 경제 부문이며 (풍력 터빈 제조 및 풍력 발전), 인접한 사리구렌은 지멘스 게임사 재생 에너지, 국립 재생 에너지 센터(CENER)[40] 및 악시오나 에네르기아의 본부이다.

팜플로나는 나바라의 주요 상업 및 서비스 중심지이다. 나바라 대학교와 그 교육 병원을 제외하고는, 전국적으로 사립 교육 및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그 영향력은 주를 넘어선다.

참조

[1] 웹사이트 Población total Pamplona/Iruña a 2 de enero de 2020 https://www.pamplona[...] 2020-07-13
[2]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GDP) at current market prices by metropolitan regions https://ec.europa.eu[...]
[3] 웹사이트 Municipios: Pamplona/Iruña http://www.aemet.es/[...] 2020-07-13
[4] encyclopedia Fiesta de San Fermín https://www.britanni[...] 2016-08-07
[5] 서적 El urbanismo de los estados cristianos peninsulares Centros de Estudios del Románico
[6] 간행물 Caracterización hidrologica del Río Arga (Navarra): El agua como recurso y como riesgo https://estudiosgeog[...] Editorial CSIC
[7] 서적 El euskera arcaico: extensión y parentescos https://books.google[...] Editorial Txapalarta
[8] 문서 Ptolemy
[9] 문서 Antonine Itinerary
[10] 문서 Pliny the Elder
[11] 문서 Collins 1990
[12] 문서 Collins 1990
[13] 서적 Historia de Pamplona y de sus lenguas Editorial Txalaparta
[14] 서적 Historia de Pamplona y de sus lenguas Editorial Txalaparta
[15] 문서 Collins 1990
[16] 문서 Collins 1990
[17] 문서 Collins 1990
[18] 문서 Collins 1990
[19] 문서 Collins 1990
[20] 뉴스 Las piedras de la plaza del Castillo http://www.noticiasd[...] 2014-08-18
[21] 뉴스 El informe pericial de Aranzadi denuncia 'un expolio' arqueológico en la Plaza del Castillo http://elpais.com/di[...] 2014-08-02
[22] 서적 "Vascuence y Romance: Ebro-Garona, Un Espacio de Comunicación" Gobierno de Navarra / Nafarroako Gobernua
[23] 서적 Historia de Pamplona y de sus lenguas Editorial Txalaparta
[24] 서적 "Vascuence y Romance: Ebro-Garona, Un Espacio de Comunicación" Gobierno de Navarra / Nafarroako Gobernua
[25] 웹사이트 Pamplona https://www.jewishvi[...] 2024-06-25
[26] 웹사이트 PAMPLONA https://www.jewishen[...] 2024-06-25
[27] 서적 Conquista e Incorporación de Navarra a Castilla Pamiela
[28] 웹사이트 200 años de la caída de la Ciudadela http://www2.noticias[...] Diario de Noticias 2008-02-17
[29] 서적 History of the Corps of Royal Engineers Vol I The Institution of Royal Engineers
[30] Webarchive http://congress.fort[...] 2014-04-13
[31] 웹사이트 The Citadel of Pamplona http://issuu.com/pam[...] 2014-05-06
[32] 웹사이트 San Bartolome Fort http://issuu.com/pam[...] 2014-05-06
[33] 뉴스 Pamplona, Bilbao and Gijón, the Spanish cities with the best quality of life http://www.elmundo.e[...] 2008-04-14
[34] Webarchive http://www.habitathu[...] 2007-02-21
[35] 웹사이트 Pamplona, Spain Climate Summary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5-04-05
[36] 웹사이트 Météo climat stats Moyennes 1991/2020 Espagne (page 3) http://meteo-climat-[...] 2022-06-03
[37] 웹사이트 Climatologie de l'année à Pamplona/Noain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09-17
[38] 웹사이트 Standard Climate Values for Pamplona http://www.aemet.es/[...] 2020-07-13
[39] 웹사이트 Extreme Climate Values for Pamplona http://www.aemet.es/[...] 2020-07-13
[40] 문서 Cener.com http://www.cener.com[...]
[41] 문서 See University of Navarre, Notable rankings
[42] 웹사이트 "Sarasate Live!" https://web.archive.[...] 2016-07-09
[43] 웹사이트 Joseba Asiron (EH Bildu), nuevo alcalde de Pamplona https://www.pamplona[...] 2024-06-29
[44] 문서 History of the Airport of Pamplona, by Aena http://www.aena.es/c[...]
[45] 뉴스 2009 Riders and teams Database - Cyclingnews.com http://www.cyclingne[...] 2009-08-14
[46] 웹사이트 National Commission for Decentralised cooperation https://archive.toda[...] 2013-12-26
[47] 웹사이트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por municipios https://web.archive.[...]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2-05-26
[48] 문서 プトレマイオス ii. 6. § 67; ストラボン iii. § 161
[49] 문서 Antonini Itinerarium p. 455
[50] 문서 大プリニウス iii. 3. s. 4.
[51] 뉴스 Pamplona, Bilbao and Gijón, the spanish cities with the best quality of life http://www.elmundo.e[...] 2007-06-21
[52] 문서 habitathumano.com http://www.habitathu[...] 2007-02-21
[53] 문서 History of the Airport of Pamplona, by Aena http://www.aena.es/c[...] 2012-02-23
[54] 웹인용 Standard Climate Values for Pamplona http://www.aemet.es/[...] 2020-07-13
[55] 웹인용 Extreme Climate Values for Pamplona http://www.aemet.es/[...] 2020-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