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각 국가별 선수 명단이 정리되어 있다. 동독, 서독, 칠레, 호주, 유고슬라비아, 브라질, 스코틀랜드, 자이르, 네덜란드, 스웨덴, 불가리아, 우루과이, 폴란드,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아이티의 선수 명단과 감독, 그리고 감독의 국적이 표로 제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독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베른트 브란슈
동독의 축구 선수 베른트 브란슈는 할레셔 FC 케미에서 주로 활약하며 동독 올해의 축구 선수에 두 차례 선정, 올림픽 메달 2개 획득, 1974년 FIFA 월드컵 출전, 리그 통산 317경기 출전 43골 기록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아이티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에마뉘엘 사논
아이티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었던 에마뉘엘 사논은 선수 시절 포워드로 활약하며 1973년 CONCACAF 선수권 대회 우승과 1974년 FIFA 월드컵 진출에 기여했고, 특히 1974년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를 상대로 득점하여 팀의 월드컵 본선 첫 골을 기록했으며, 은퇴 후에는 아이티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 1974년 FIFA 월드컵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은 각 대륙별로 진행되어 유럽에 8.5장, 남미에 2.5장, 북중미카리브, 아프리카, 아시아/오세아니아에 각각 1장의 티켓이 배정되었으며, 서독, 브라질을 포함한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 1974년 FIFA 월드컵 - 197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197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1974년 7월 7일 뮌헨에서 열린 네덜란드와 서독의 경기에서 서독이 2-1로 승리하여 우승했으며, 파울 브라이트너와 게르트 뮐러가 득점했고, 네덜란드는 요한 네이스컨스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준우승했다.
1974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 |
---|---|
대회 요약 | |
대회 | 1974년 FIFA 월드컵 |
개최국 | 서독 |
기간 | 1974년 6월 13일 ~ 1974년 7월 7일 |
참가팀 수 | 16 |
경기장 수 | 9 (9개 도시) |
최종 결과 | |
우승 | 서독 (2번째 우승) |
준우승 | 네덜란드 |
3위 | 폴란드 |
4위 | 브라질 |
대회 통계 | |
총 득점 | 97 |
경기당 득점 | 2.85 |
최다 득점자 | 그제고시 라토 (7골) |
2. 1조
1974년 FIFA 월드컵 1조에는 동독, 서독, 칠레, 오스트레일리아가 속해 있었다.
- 동독 (Deutscher Fussball-Verband der DDR|도이처 푸스발-페어반트 데어 데데에르de): 게오르크 부슈너 감독이 이끌었으며, 위르겐 크로이, 베른트 브란슈, 요아힘 슈트라이히 (주장), 위르겐 슈파르바서 등이 주요 선수였다. 1974년 FIFA 월드컵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참가했다.
- 서독 (Deutscher Fußball-Bund): 헬무트 쇤 감독이 이끌었으며, 제프 마이어, 베르티 포크츠, 파울 브라이트너, 프란츠 베켄바워 (주장), 게르트 뮐러 등이 주요 선수였다.
- 칠레 (Federación de Fútbol de Chile): 루이스 알라모스 감독이 이끌었으며, 엘리아스 피게로아, 카를로스 카스젤리, 프란시스코 발데스 (주장) 등이 주요 선수였다.
- 오스트레일리아 (Australian Soccer Federation): 유고슬라비아 출신 레일 라시치 감독이 이끌었다. 피터 윌슨 (주장), 더그 우테세노비치, 조니 워렌, 아틸라 아보니 등이 주요 선수였다.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사상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2. 1. 동독 (Deutscher Fussball-Verband der DDR)
Deutscher Fussball-Verband der DDR|도이처 푸스발-페어반트 데어 데데에르de는 1974년 FIFA 월드컵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참가했다. 당시 동독 대표팀은 조별 리그에서 서독을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 게오르크 부슈너 감독이 이끌었으며, 주요 선수로는 위르겐 크로이, 베른트 브란슈, 요아힘 슈트라이히 (주장), 위르겐 슈파르바서 등이 있다. 특히, 위르겐 슈파르바서는 서독과의 경기에서 결승골을 기록하며 동독 축구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경기 | 득점 | 소속 클럽 |
---|---|---|---|---|---|---|
1 | GK | 위르겐 크로이 | 43 | 0 | BSG 작센링 츠비카우|BSG 작센링 츠비카우de | |
2 | DF | 로타어 쿠르브주바이트 | 30 | 0 | FC 카를 차이스 예나|FC 카를 차이스 예나de | |
3 | DF | 베른트 브란슈 (주장) | 49 | 3 | FC 카를 차이스 예나|FC 카를 차이스 예나de | |
4 | DF | 콘라트 바이제 | 23 | 0 | FC 카를 차이스 예나|FC 카를 차이스 예나de | |
5 | DF | 요아힘 프리체 | 7 | 0 | 1. FC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1. FC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de | |
6 | MF | 뤼디거 슈누파제 | 4 | 0 | FC 로트바이스 에르푸르트|FC 로트바이스 에르푸르트de | |
7 | MF | 위르겐 포머렌케 | 10 | 0 | 1. FC 마그데부르크|1. FC 마그데부르크de | |
8 | FW | 볼프람 뢰베 | 33 | 12 | 1. FC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1. FC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de | |
9 | FW | 페터 두케 | 57 | 15 | FC 카를 차이스 예나|FC 카를 차이스 예나de | |
10 | FW | 한스위르겐 크라이셰 | 38 | 11 | SG 디나모 드레스덴|SG 디나모 드레스덴de | |
11 | FW | 요아힘 슈트라이히 | 30 | 10 | FC 한자 로스토크|FC 한자 로스토크de | |
12 | DF | 지크마어 바칠리히 | 9 | 0 | SG 디나모 드레스덴|SG 디나모 드레스덴de | |
13 | MF | 라인하르트 라우크 | 14 | 0 | 베를리너 FC 디나모|BFC 디나모de | |
14 | MF | 위르겐 슈파르바서 | 29 | 11 | 1. FC 마그데부르크|1. FC 마그데부르크de | |
15 | FW | 에베르하르트 포겔 | 53 | 21 | FC 카를 차이스 예나|FC 카를 차이스 예나de | |
16 | MF | 하랄트 이르름셔 | 30 | 3 | FC 카를 차이스 예나|FC 카를 차이스 예나de | |
17 | MF | 에리히 하만 | 1 | 0 | FC 빅토리아 프랑크푸르트|FC 포르베르츠 프랑크푸르트 (오데르)de | |
18 | DF | 게르트 키셰 | 13 | 0 | FC 한자 로스토크|FC 한자 로스토크de | |
19 | MF | 볼프강 제귄 | 13 | 0 | 1. FC 마그데부르크|1. FC 마그데부르크de | |
20 | FW | 마르틴 호프만 | 3 | 0 | 1. FC 마그데부르크|1. FC 마그데부르크de | |
21 | GK | 볼프강 블로흐비츠 | 17 | 0 | FC 카를 차이스 예나|FC 카를 차이스 예나de | |
22 | GK | 베르너 프리제 | 0 | 0 | 1. FC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1. FC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de |
2. 2. 서독 (Deutscher Fußball-Bund)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수 | 득점 | 소속 클럽 | |
---|---|---|---|---|---|---|---|
1 | GK | 제프 마이어 | Sepp Maier|제프 마이어de | 1944년 2월 28일 (30세) | 50 | 0 | FC Bayern München|FC 바이에른 뮌헨de |
2 | DF | 베르티 포크츠 | Berti Vogts|베르티 포크츠de | 1946년 12월 30일 (27세) | 51 | 0 | Borussia Mönchengladbach|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de |
3 | DF | 파울 브라이트너 | Paul Breitner|파울 브라이트너de | 1951년 9월 5일 (22세) | 19 | 0 | FC Bayern München|FC 바이에른 뮌헨de |
4 | DF | 한스게오르크 슈바르첸베크 | Hans-Georg Schwarzenbeck|한스게오르크 슈바르첸베크de | 1948년 4월 3일 (26세) | 23 | 0 | FC Bayern München|FC 바이에른 뮌헨de |
5 | DF | 프란츠 베켄바워 (주장) | Franz Beckenbauer|프란츠 베켄바워de | 1945년 9월 11일 (28세) | 78 | 0 | FC Bayern München|FC 바이에른 뮌헨de |
6 | DF | 호르스트디터 회트게스 | Horst-Dieter Höttges|호르스트디터 회트게스de | 1943년 9월 10일 (30세) | 65 | 0 | SV Werder Bremen|SV 베르더 브레멘de |
7 | MF | 헤르베르트 비머 | Herbert Wimmer|헤르베르트 비머de | 1944년 11월 9일 (29세) | 23 | 0 | Borussia Mönchengladbach|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de |
8 | MF | 베른하르트 쿨만 | Bernhard Cullmann|베른하르트 쿨만de | 1949년 11월 1일 (24세) | 12 | 0 | 1. FC Köln|1. FC 쾰른de |
9 | FW | 위르겐 그라보프스키 | Jürgen Grabowski|위르겐 그라보프스키de | 1944년 7월 7일 (29세) | 38 | 0 | Eintracht Frankfurt|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de |
10 | MF | 귄터 네처 | Günter Netzer|귄터 네처de | 1944년 9월 14일 (29세) | 34 | 0 | 레알 마드리드 CF |
11 | FW | 유프 하인케스 | Jupp Heynckes|유프 하인케스de | 1945년 5월 9일 (29세) | 28 | 0 | Borussia Mönchengladbach|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de |
12 | MF | 볼프강 오베라트 | Wolfgang Overath|볼프강 오베라트de | 1943년 9월 29일 (30세) | 74 | 0 | 1. FC Köln|1. FC 쾰른de |
13 | FW | 게르트 뮐러 | Gerd Müller|게르트 뮐러de | 1945년 11월 3일 (28세) | 55 | 0 | FC Bayern München|FC 바이에른 뮌헨de |
14 | FW | 울리 회네스 | Uli Hoeneß|울리 회네스de | 1952년 1월 5일 (22세) | 20 | 0 | FC Bayern München|FC 바이에른 뮌헨de |
15 | MF | 하인츠 플로헤 | Heinz Flohe|하인츠 플로헤de | 1948년 1월 28일 (26세) | 14 | 0 | 1. FC Köln|1. FC 쾰른de |
16 | MF | 라이너 본호프 | Rainer Bonhof|라이너 본호프de | 1952년 3월 29일 (22세) | 4 | 0 | Borussia Mönchengladbach|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de |
17 | MF | 베른트 횔첸바인 | Bernd Hölzenbein|베른트 횔첸바인de | 1946년 3월 9일 (28세) | 4 | 0 | Eintracht Frankfurt|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de |
18 | FW | 디터 헤르초크 | Dieter Herzog|디터 헤르초크de | 1946년 7월 15일 (27세) | 2 | 0 | Fortuna Düsseldorf|포르투나 뒤셀도르프de |
19 | DF | 유프 카펠만 | Jupp Kapellmann|유프 카펠만de | 1949년 12월 19일 (24세) | 3 | 0 | FC Bayern München|FC 바이에른 뮌헨de |
20 | DF | 헬무트 크레머스 | Helmut Kremers|헬무트 크레머스de | 1949년 3월 24일 (25세) | 5 | 0 | FC Schalke 04|FC 샬케 04de |
21 | GK | 노르베르트 니부르 | Norbert Nigbur|노르베르트 니부르de | 1948년 5월 8일 (26세) | 2 | 0 | FC Schalke 04|FC 샬케 04de |
22 | GK | 볼프강 클레프 | Wolfgang Kleff|볼프강 클레프de | 1946년 11월 16일 (27세) | 6 | 0 | Borussia Mönchengladbach|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de |
감독: 헬무트 쇤
2. 3. 칠레 (Federación de Fútbol de Chile)
Federación de Fútbol de Chilees 대표팀은 루이스 알라모스 감독이 이끌었으며, 1974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주요 선수로는 엘리아스 피게로아, 카를로스 카스젤리, 프란시스코 발데스 (주장) 등이 있다.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나이) | 출전 경기 수 | 소속 클럽 |
---|---|---|---|---|
바예호스 | 골키퍼 | 1944년 7월 16일 | 13 | 우니온 에스파뇰라 |
롤란도 가르시아 | 수비수 | 1942년 12월 15일 | 14 | 콜로-콜로 |
알베르토 킨타노 | 수비수 | 1946년 4월 26일 | 33 | 크루스 아술 |
안토니오 아리아스 | 수비수 | 1944년 10월 9일 | 25 | 우니온 에스파뇰라 |
엘리아스 피게로아 | 수비수 | 1946년 10월 25일 | 19 | 스포르트 클루브 인테르나시오나우 |
후안 로드리게스 | 수비수 | 1944년 1월 16일 | 24 | 아틀레티코 에스파뇰 |
카를로스 카스젤리 | 공격수 | 1950년 7월 5일 | 20 | 레반테 UD |
프란시스코 발데스 (주장) | 미드필더 | 1943년 3월 19일 | 44 | 콜로-콜로 |
세르히오 아후마다 | 공격수 | 1948년 10월 2일 | 12 | 콜로-콜로 |
카를로스 레이노소 | 미드필더 | 1945년 3월 7일 | 25 | 클루브 아메리카 |
레오나르도 벨리즈 | 공격수 | 1945년 9월 3일 | 18 | 콜로-콜로 |
후안 마추카 | 수비수 | 1951년 3월 7일 | 18 | 우니온 에스파뇰라 |
라파엘 곤살레스 | 수비수 | 1950년 4월 24일 | 10 | 콜로-콜로 |
알폰소 라라 | 미드필더 | 1946년 4월 27일 | 27 | 콜로-콜로 |
마리오 갈린도 | 수비수 | 1951년 8월 10일 | 6 | 콜로-콜로 |
기예르모 파에스 | 미드필더 | 1945년 4월 18일 | 11 | 콜로-콜로 |
기예르모 야바르 | 공격수 | 1943년 3월 26일 | 24 | 클루브 데 푸트볼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 |
호르헤 소시아스 | 미드필더 | 1951년 10월 6일 | 2 |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 |
로헬리오 파리아스 | 미드필더 | 1949년 8월 13일 | 10 | 우니온 에스파뇰라 |
오스발도 카스트로 | 공격수 | 1947년 4월 14일 | 24 | 클루브 아메리카 |
후안 올리바레스 | 골키퍼 | 1941년 2월 20일 | 32 | 우니온 에스파뇰라 |
아돌포 네프 | 골키퍼 | 1946년 1월 18일 | 26 | 콜로-콜로 |
2. 4. 오스트레일리아 (Australian Soccer Federation)
Australian Soccer Federation영어는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사상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대표팀은 유고슬라비아 출신 레일 라시치 감독이 이끌었다.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 출장 경기 수 | 소속 클럽 |
---|---|---|---|---|
잭 레일리 | 골키퍼 | 1945-08-27영어 | 12 | 멜버른 하코아 |
짐 밀리사브례비치 | 골키퍼 | 1951-04-15영어 | 0 | 풋스크레이 JUST |
앨런 매허 | 골키퍼 | 1950-07-21영어 | 0 | 서덜랜드 샤크스 |
더그 우테세노비치 | 수비수 | 1946-10-08영어 | 20 | 세인트 조지-부다페스트 |
피터 윌슨 (주장) | 수비수 | 1947-09-15영어 | 31 | 세이프웨이 유나이티드 |
맨프레드 새퍼 | 수비수 | 1943-02-12영어 | 46 | 세인트 조지-부다페스트 |
콜린 쿠란 | 수비수 | 1947-08-21영어 | 12 | 웨스턴 서브러브 |
해리 윌리엄스 | 수비수 | 1951-05-07영어 | 2 | 세인트 조지-부다페스트 |
이보 루디치 | 수비수 | 1942-01-24영어 | 0 | 판-헬레닉 |
데이브 하딩 | 수비수 | 1946-08-14영어 | 1 | 판-헬레닉 |
래이 리처즈 | 미드필더 | 1946-05-18영어 | 28 | 마르코니 페어필드 |
지미 루니 | 미드필더 | 1945-12-10영어 | 20 | APIA 레이크하르트 |
지미 매케이 | 미드필더 | 1943-12-19영어 | 28 | 시드니 하코아 |
조니 워렌 | 미드필더 | 1943-05-17영어 | 41 | 세인트 조지-부다페스트 |
피터 올레턴 | 미드필더 | 1951-05-20영어 | 4 | APIA 레이크하르트 |
맥스 톨슨 | 미드필더 | 1945-07-18영어 | 16 | 세이프웨이 유나이티드 |
조니 왓키스 | 미드필더 | 1941-03-28영어 | 23 | 시드니 하코아 |
어니 캠벨 | 미드필더 | 1949-10-20영어 | 8 | 마르코니 페어필드 |
개리 매누엘 | 공격수 | 1950-02-20영어 | 4 | 판-헬레닉 |
아틸라 아보니 | 공격수 | 1946-08-16영어 | 39 | 세인트 조지-부다페스트 |
애드리언 앨스턴 | 공격수 | 1949-02-06영어 | 33 | 세이프웨이 유나이티드 |
브란코 불례베치 | 공격수 | 1947-09-06영어 | 19 | 풋스크레이 JUST |
주요 선수로는 피터 윌슨 (주장), 더그 우테세노비치, 조니 워렌, 아틸라 아보니 등이 있다.
3. 2조
팀 감독 주장 평균 연령 브라질 마리우 자갈루 피아자 26.6세 스코틀랜드 윌리 오먼드 빌리 브렘너 26.5세 유고슬라비아 밀랸 밀랴니치 자이치 26.3세 자이르 Благоје Видинић|블라고예 비디니치|블라고예 비디니치sr 해당 정보 없음 25.4세
197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2조의 팀들은 다음과 같다.3. 1. 유고슬라비아 (Fudbalski savez Jugoslavije)
밀랸 밀랴니치 감독이 이끈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은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주장 드라간 자이치를 비롯해 이반 불리얀, 요시프 카탈린스키, 브란코 오블라크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수 | 소속팀 | |
---|---|---|---|---|---|
마리치 | 골키퍼 | Енвер Марић|Enver Marićsr | 1948년 4월 23일 | 23 | 벰레즈 모스타르 |
불리얀 | 수비수 | Ivan Buljanhr | 1949년 12월 11일 | 7 | 하이두크 스플리트 |
하지아브디치 | 수비수 | Enver Hadžiabdićbs | 1945년 11월 6일 | 5 | 젤레즈니차르 |
무지니치 | 미드필더 | Dražen Mužinićhr | 1953년 1월 25일 | 3 | 하이두크 스플리트 |
카탈린스키 | 수비수 | Josip Katalinskibs | 1948년 5월 12일 | 21 | 젤레즈니차르 |
보기세비치 | 미드필더 | Владислав Богићевић|Vladislav Bogićevićsr | 1950년 11월 7일 | 9 | 츠르베나 즈베즈다 |
페트코비치 | 공격수 | Илија Петковић|Ilija Petkovićsr | 1945년 9월 22일 | 38 | 트로와 |
오블라크 | 미드필더 | Branko Oblaksl | 1947년 5월 27일 | 29 | 하이두크 스플리트 |
슈랴크 | 공격수 | Ivica Šurjakhr | 1953년 3월 23일 | 7 | 하이두크 스플리트 |
아치모비치 | 미드필더 | Јован Аћимовић|Jovan Aćimovićsr | 1948년 6월 21일 | 43 | 츠르베나 즈베즈다 |
자이치 (주장) | 공격수 | Драган Џајић|Dragan Džajićsr | 1946년 5월 30일 | 72 | 츠르베나 즈베즈다 |
예르코비치 | 미드필더 | Jurica Jerkovićhr | 1950년 2월 25일 | 25 | 하이두크 스플리트 |
파블로비치 | 미드필더 | Мирослав Павловић|Miroslav Pavlovićsr | 1942년 10월 23일 | 45 | 츠르베나 즈베즈다 |
페루조비치 | 수비수 | Luka Peruzovićhr | 1952년 2월 26일 | 0 | 하이두크 스플리트 |
도이치노브스키 | 수비수 | Кирил Дојчиновски|Kiril Dojčinovskimk | 1943년 10월 17일 | 6 | 츠르베나 즈베즈다 |
블라디치 | 미드필더 | Franjo Vladićbs | 1951년 10월 19일 | 16 | 벰레즈 모스타르 |
포피보다 | 공격수 | Danilo Popivodasl | 1947년 5월 1일 | 8 | 올림피야 류블랴나 |
카라시 | 공격수 | Станислав Караси|Stanislav Karasisr | 1946년 11월 8일 | 6 | 츠르베나 즈베즈다 |
바예비치 | 공격수 | Dušan Bajevićbs | 1948년 12월 10일 | 28 | 벰레즈 모스타르 |
V. 페트로비치 | 미드필더 | Владимир Петровић|Vladimir Petrovićsr | 1955년 7월 1일 | 5 | 츠르베나 즈베즈다 |
O. 페트로비치 | 골키퍼 | Огњен Петровић|Ognjen Petrovićsr | 1948년 1월 2일 | 2 | 츠르베나 즈베즈다 |
메슈코비치 | 골키퍼 | Rizah Meškovićbs | 1947년 8월 10일 | 1 | 하이두크 스플리트 |
3. 2. 브라질 (Confederação Brasileira de Desportos)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
1 | GK | 레앙 | 1949년 7월 11일 (24세) |
2 | DF | 루이스 파헤이라 | 1949년 3월 4일 (25세) |
3 | DF | 마리뉴 페레스 | 1947년 3월 19일 (27세) |
4 | DF | 제 마리아 | 1949년 5월 18일 (25세) |
5 | MF | 피아싸 | 1943년 3월 7일 (31세) |
6 | DF | 마리뉴 사가스 | 1944년 7월 30일 (29세) |
7 | FW | 자이르지뉴 | 1944년 12월 25일 (29세) |
8 | MF | 레이비냐 | 1949년 3월 11일 (25세) |
9 | FW | 세사르 | 1945년 4월 19일 (29세) |
10 | MF | 히벨리누 | 1946년 1월 1일 (28세) |
11 | MF | 파울루 리마 | 1949년 7월 16일 (24세) |
12 | GK | 헤나투 | 1944년 12월 5일 (29세) |
13 | MF | 바우두미루 | 1946년 3월 28일 (28세) |
14 | DF | 넬리뉴 | 1950년 7월 26일 (23세) |
15 | MF | 알프레두 | 1946년 10월 16일 (27세) |
16 | MF | 마르코 안토니우 | 1951년 2월 6일 (23세) |
17 | MF | 카르페지아니 | 1949년 2월 7일 (25세) |
18 | MF | 아데미르 다 지아 | 1942년 4월 3일 (32세) |
19 | MF | 미한디냐 | 1946년 7월 16일 (27세) |
20 | FW | 에두 | 1949년 8월 6일 (24세) |
21 | MF | 지르세우 | 1949년 6월 16일 (25세) |
22 | GK | 바우지르 페레스 | 1951년 2월 11일 (23세) |
감독: 자갈루 |
마리우 자갈루 감독이 이끈 브라질 대표팀은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했다. 주요 선수로는 자이르지뉴, 히벨리누, 파울루 리마, 레앙 등이 있다.
3. 3. 스코틀랜드 (Scottish Football Association)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수 | 골 | 소속 클럽 | |
---|---|---|---|---|---|---|---|
1 | GK | 데이비드 하비 | David Harvey|데이비드 하비영어 | 1948년 2월 7일 (26세) | 7 | 0 | 리즈 유나이티드 |
2 | DF | 샌디 자딘 | Sandy Jardine|샌디 자딘영어 | 1948년 12월 31일 (25세) | 16 | 0 | 레인저스 |
3 | DF | 대니 맥그레인 | Danny McGrain|대니 맥그레인영어 | 1950년 5월 1일 (24세) | 12 | 0 | 셀틱 |
4 | MF | 빌리 브렘너 (주장) | Billy Bremner|빌리 브렘너영어 | 1942년 12월 9일 (31세) | 48 | 3 | 리즈 유나이티드 |
5 | DF | 짐 홀턴 | Jim Holton|짐 홀턴영어 | 1951년 4월 11일 (23세) | 11 | 2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6 | DF | 존 블랙리 | John Blackley|존 블랙리영어 | 1948년 5월 12일 (26세) | 3 | 0 | 히버니언 |
7 | MF | 지미 존스톤 | Jimmy Johnstone|지미 존스톤영어 | 1944년 9월 30일 (29세) | 21 | 4 | 셀틱 |
8 | FW | 케니 댈글리시 | Kenny Dalglish|케니 댈글리시영어 | 1951년 3월 4일 (23세) | 19 | 6 | 셀틱 |
9 | FW | 조 조던 | Joe Jordan|조 조던영어 | 1951년 12월 15일 (22세) | 11 | 2 | 리즈 유나이티드 |
10 | MF | 데이비드 헤이 | David Hay|데이비드 헤이영어 | 1948년 1월 29일 (26세) | 24 | 0 | 셀틱 |
11 | FW | 피터 로리머 | Peter Lorimer|피터 로리머영어 | 1946년 12월 14일 (27세) | 14 | 3 | 리즈 유나이티드 |
12 | GK | 톰슨 앨런 | Thomson Allan|톰슨 앨런영어 | 1946년 10월 5일 (27세) | 2 | 0 | 던디 |
13 | GK | 짐 스튜어트 | Jim Stewart|짐 스튜어트영어 | 1954년 3월 9일 (20세) | 0 | 0 | 킬마녹 |
14 | DF | 마틴 부찬 | Martin Buchan|마틴 부찬영어 | 1949년 3월 6일 (25세) | 13 | 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15 | MF | 피터 코맥 | Peter Cormack|피터 코맥영어 | 1946년 7월 17일 (27세) | 9 | 0 | 리버풀 |
16 | DF | 윌리 도나키 | Willie Donachie|윌리 도나키영어 | 1951년 10월 5일 (22세) | 11 | 0 | 맨체스터 시티 |
17 | MF | 도널드 포드 | Donald Ford|도널드 포드영어 | 1944년 10월 25일 (29세) | 3 | 0 | 하트 오브 미들로시안 |
18 | MF | 토미 허치슨 | Tommy Hutchison|토미 허치슨영어 | 1947년 9월 22일 (26세) | 8 | 0 | 코번트리 시티 |
19 | FW | 데니스 로 | Denis Law|데니스 로영어 | 1940년 2월 24일 (34세) | 54 | 30 | 맨체스터 시티 |
20 | FW | 윌리 모건 | Willie Morgan|윌리 모건영어 | 1944년 10월 2일 (29세) | 19 | 1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21 | DF | 고든 맥퀸 | Gordon McQueen|고든 맥퀸영어 | 1952년 6월 26일 (21세) | 1 | 0 | 리즈 유나이티드 |
22 | DF | 에리히 셰들러 | Erich Schaedler|에리히 셰들러영어 | 1949년 8월 6일 (24세) | 1 | 0 | 히버니언 |
윌리 오르먼드 감독이 이끈 스코틀랜드 대표팀은 1974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무패를 기록하며 선전했다. 주요 선수로는 주장 빌리 브렘너와 케니 댈글리시, 데니 맥그레인, 피터 로리머 등이 있다.
3. 4. 자이르 (Fédération Zaïroise de Football Association)
Благоје Видинић|블라고예 비디니치sr 감독이 이끈 자이르 대표팀은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아프리카 대표로 출전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3전 전패를 당하며 탈락했다.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나이) | 클럽 |
---|---|---|---|
카자디 | 골키퍼 | 1947년 7월 30일 (26세) | TP 마젬베|TP 마젬베프랑스어 |
음웨푸 | 공격수 | 1949년 8월 22일 (24세) | TP 마젬베|TP 마젬베프랑스어 |
무콤보 | 수비수 | 1945년 12월 17일 (28세) | TP 마젬베|TP 마젬베프랑스어 |
브왕가 | 수비수 | 1949년 1월 4일 (25세) | TP 마젬베|TP 마젬베프랑스어 |
로빌로 | 수비수 | 1950년 8월 15일 (23세) | AS 비타 클뢰브|AS 비타 클뢰브프랑스어 |
킬라수 | 미드필더 | 1950년 3월 22일 (24세) | AS 빌리마|AS 빌리마프랑스어 |
문다 | 미드필더 | 1946년 5월 8일 (28세) | TP 마젬베|TP 마젬베프랑스어 |
마나 | 미드필더 | 1947년 10월 10일 (26세) | CS 동 보스코|CS 동 보스코프랑스어 |
켐보 켐보 | 공격수 | 1947년 12월 27일 (26세) | AS 비타 클뢰브|AS 비타 클뢰브프랑스어 |
만탄투 | 미드필더 | 1946년 11월 17일 (27세) | CS 이마나|CS 이마나프랑스어 |
바보 | 공격수 | 1950년 3월 19일 (24세) | AS 빌리마|AS 빌리마프랑스어 |
은딤비 | 골키퍼 | 1948년 3월 15일 (26세) | AS 비타 클뢰브|AS 비타 클뢰브프랑스어 |
물람바 | 미드필더 | 1948년 11월 4일 (25세) | AS 비타 클뢰브|AS 비타 클뢰브프랑스어 |
마쿠 | 공격수 | 1948년 10월 31일 (25세) | AS 비타 클뢰브|AS 비타 클뢰브프랑스어 |
기봉게 | 미드필더 | 1952년 7월 12일 (21세) | CS 이마나|CS 이마나프랑스어 |
음와페 | 골키퍼 | 1951년 9월 30일 (22세) | 니앙가|니앙가프랑스어 |
은고이에 | 공격수 | 1949년 11월 11일 (24세) | TP 마젬베|TP 마젬베프랑스어 |
마뷔바 | 수비수 | 1949년 11월 22일 (24세) | AS 비타 클뢰브|AS 비타 클뢰브프랑스어 |
음붕구 | 공격수 | 1947년 11월 24일 (26세) | CS 이마나|CS 이마나프랑스어 |
은툼바 | 공격수 | 1949년 1월 7일 (25세) | AS 비타 클뢰브|AS 비타 클뢰브프랑스어 |
카코코 | 공격수 | 1950년 11월 22일 (23세) | VfB 슈투트가르트|VfB 슈투트가르트de |
칼람바이 | 미드필더 | 1948년 11월 12일 (25세) | TP 마젬베|TP 마젬베프랑스어 |
4. 3조
1974년 FIFA 월드컵 3조에는 네덜란드, 스웨덴, 불가리아, 우루과이가 속해 있었다.
네덜란드는 리누스 미헬스 감독의 지휘 아래 '토털 풋볼'을 선보이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요한 크라위프가 주장을 맡았고, 요한 네이스켄스, 뤼트 크롤 등 뛰어난 선수들이 활약했다. 네덜란드는 선수 이름의 알파벳 순서대로 등번호를 배정했지만, 크라위프는 예외적으로 14번을 달았다.
스웨덴은 예오리 에릭손 감독이 이끌었으며,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비에른 노르드크비스트가 주장을 맡았고, 로니에 헬스트룀, 보 라르손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불가리아는 흐리스토 믈라데노프 감독이 지휘했으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흐리스토 보네프가 주장을 맡았고, 디미터르 페네프, 도브로미르 제체프 등이 주요 선수였다.
우루과이는 로베르토 포르타 감독이 이끌었으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마스니크가 주장을 맡았고, 마주르키에비츠, 로차 등이 주요 선수였다.
4. 1. 네덜란드 (Koninklijke Nederlandse Voetbalbond)
리뉘스 미헐스 감독이 이끄는 네덜란드 대표팀은 '토털 풋볼'을 선보이며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요한 크라위프 (주장), 요한 네이스컨스, 뤼트 크롤, 로프 렌센브링크 등 뛰어난 선수들이 활약했다. 네덜란드 대표팀은 성씨 알파벳 순으로 등번호를 배정하는 독특한 방식을 채택했지만, 요한 크라위프는 예외적으로 자신의 선호 번호인 14번을 사용했다.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수 | 소속 클럽 |
---|---|---|---|---|---|
1 | GK | 헤일스 | |||
2 | MF | 한 | |||
3 | MF | 판 하네험 | |||
4 | DF | 판 이르설 | |||
5 | DF | 이스라엘 | |||
6 | MF | 얀선 | |||
7 | MF | 더 용 | |||
8 | GK | 욘블루트 | |||
9 | FW | 케이저르 | |||
10 | MF | R. 판 더 케르크호프 | |||
11 | MF | W. 판 더 케르크호프 | |||
12 | DF | 크롤 | |||
13 | MF | 네이스컨스 | |||
14 | FW | 크라위프 (주장) | |||
15 | FW | 렌센브링크 | |||
16 | FW | 렙 | |||
17 | DF | 레이스베르헌 | |||
18 | GK | 스레이버르스 | |||
19 | DF | 스트리크 | |||
20 | DF | 쉬르비르 | |||
21 | GK | 트레에이털 | |||
22 | DF | 포스 | |||
감독: 미헐스 |
4. 2. 스웨덴 (Svenska Fotbollförbundet)
예오리 에릭손 감독이 이끈 스웨덴 대표팀은 1974년 FIFA 월드컵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주요 선수로는 주장 비에른 노르드크비스트, 로니에 헬스트룀, 보 라르손, 랄프 에드스트롬 등이 있다.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
---|---|---|
헬스트룀 | ||
올손 | ||
카를손 | ||
노르드크비스트 (주장) | ||
안데르손 | ||
그란 | ||
B. 라르손 | ||
토르스텐손 | ||
킨드발 | ||
에드스트롬 | ||
산드베리 | ||
S. 라르손 | ||
그리프 | ||
타페르 | ||
마그누손 | ||
에이데르스테트 | ||
하그베리 | ||
오우구스트손 | ||
크롱크비스트 | ||
린드만 | ||
페르손 | ||
알스트룀 |
4. 3. 불가리아 (Български футболен съюз)
Български футболен съюзbg 감독은 흐리스토 믈라데노프였다. 불가리아 대표팀은 1974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주요 선수로는 흐리스토 보네프 (주장), 디미터르 페네프, 도브로미르 제체프, 보인 보이노프 등이 있다.선수 번호 | 포지션 | 선수 이름 | 생년월일 (대회 당시 나이) | 출장 경기 수 | 소속 클럽 |
---|---|---|---|---|---|
1 | GK | 루먄초 고라노프 | 1950년 3월 17일 (24세) | 21 | 로코모티프 소피아 |
2 | DF | 이반 자피로프 | 1947년 12월 30일 (26세) | 30 | CSKA 소피아 |
3 | DF | 도브로미르 제체프 | 1942년 11월 12일 (31세) | 73 | 레프스키-스파르타크 소피아 |
4 | MF | 스테프코 벨리치코프 | 1949년 2월 15일 (25세) | 22 | 에타르 벨리코 타르노보 |
5 | DF | 보질 콜레프 | 1949년 5월 20일 (25세) | 35 | CSKA 소피아 |
6 | DF | 디미터르 페네프 | 1945년 7월 12일 (28세) | 83 | CSKA 소피아 |
7 | FW | 보인 보이노프 | 1952년 9월 7일 (21세) | 11 | 레프스키-스파르타크 소피아 |
8 | FW | 흐리스토 보네프 (주장) | 1947년 2월 3일 (27세) | 68 |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 |
9 | FW | 아타나스 미하일로프 | 1949년 7월 5일 (24세) | 40 | 로코모티프 소피아 |
10 | MF | 이반 스토야노프 | 1949년 1월 20일 (25세) | 18 | 레프스키-스파르타크 소피아 |
11 | MF | 게오르기 데네프 | 1950년 4월 18일 (24세) | 29 | CSKA 소피아 |
12 | DF | 스테판 알라조프 | 1947년 10월 18일 (26세) | 27 | 레프스키-스파르타크 소피아 |
13 | DF | 믈라덴 바실레프 | 1947년 7월 29일 (26세) | 25 | 아카데미크 소피아 |
14 | FW | 키릴 밀라노프 | 1948년 10월 17일 (25세) | 9 | 레프스키-스파르타크 소피아 |
15 | FW | 파벨 파노프 | 1950년 9월 14일 (23세) | 10 | 레프스키-스파르타크 소피아 |
16 | FW | 보지다르 그리고로프 | 1945년 7월 27일 (28세) | 4 | 슬라비아 소피아 |
17 | MF | 아스파루흐 니코디모프 | 1945년 8월 21일 (28세) | 23 | CSKA 소피아 |
18 | MF | 초뇨 바실레프 | 1952년 1월 7일 (22세) | 6 | CSKA 소피아 |
19 | MF | 키릴 이프코프 | 1946년 6월 21일 (27세) | 22 | 레프스키-스파르타크 소피아 |
20 | FW | 크라시미르 보리소프 | 1950년 4월 8일 (24세) | 7 | 레프스키-스파르타크 소피아 |
21 | GK | 스테판 스타이코프 | 1949년 10월 3일 (24세) | 5 | 레프스키-스파르타크 소피아 |
22 | GK | 시메온 시메오노프 | 1946년 4월 26일 (28세) | 34 | 슬라비아 소피아 |
4. 4. 우루과이 (Asociación Uruguaya de Fútbol)
포르타 감독이 이끈 우루과이 대표팀은 1974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주요 선수로는 마주르키에비츠, 마스니크 (주장), 로차, 모레나 등이 있다.선수 | 포지션 |
---|---|
마주르키에비츠 | 골키퍼 |
산토스 | 골키퍼 |
페르난데스 | 골키퍼 |
고메스 | 골키퍼 |
하우레기 | 수비수 |
마스니크 | 수비수 |
포를란 | 수비수 |
몬테로 카스티요 | 수비수 |
시모네 | 수비수 |
가리스토 | 수비수 |
곤살레스 | 수비수 |
파보니 | 미드필더 |
쿠비야 | 미드필더 |
에스파라고 | 미드필더 |
로차 | 미드필더 |
카르다시오 | 미드필더 |
히메네스 | 미드필더 |
만테가차 | 미드필더 |
모레나 | 공격수 |
코르보 | 공격수 |
밀라르 | 공격수 |
실바 | 공격수 |
5. 4조
팀 | 감독 | 주장 | 평균 연령 | 비고 |
---|---|---|---|---|
폴란드 | 카지미에시 구르스키 | 카지미에시 데이나 | 25.8세 | 3위 |
아르헨티나 | 블라디슬라오 카프es | 로베르토 페르푸모es | 26.1세 | 2차 조별 리그 탈락, 선수단 등번호는 골키퍼를 제외하고 성씨 알파벳 순으로 배정 |
이탈리아 | 페루초 발카레지 | 자친토 파케티 | 28.3세 | 조별 리그 탈락 |
아이티 | 앙투안 타시ht | 윌네 나제르ht | 불명 | 북중미카리브 대표, 조별 리그 3전 전패 탈락 |
5. 1. 폴란드 (Polski Związek Piłki Nożnej)
Polski Związek Piłki Nożnejpl는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3위를 차지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카지미에시 구르스키 감독이 이끌었으며, 주요 선수로는 카지미에시 데이나 (주장), 그제고시 라토, 안제이 샤르마흐, 로베르트 가도하 등이 있다.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 출장 경기 | 소속팀 |
---|---|---|---|---|
피셰르 | GK | |||
토마셰프스키 | GK | |||
칼리노프스키 | GK | |||
시마노프스키 | DF | |||
구트 | DF | |||
고르곤 | DF | |||
비에초레크 | DF | |||
불자츠키 | DF | |||
주무다 | DF | |||
무시아우 | DF | |||
츠미키에비치 | MF | |||
데이나 (주장) | MF | |||
카스페르차크 | MF | |||
마슈치크 | MF | |||
야쿠프차크 | MF | |||
라토 | FW | |||
샤르마흐 | FW | |||
가도하 | FW | |||
도마르스키 | FW | |||
카프카 | FW | |||
크미에치크 | FW | |||
쿠스토 | FW |
5. 2. 아르헨티나 (Asociación del Fútbol Argentino)
블라디슬라오 카프es 감독이 이끈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1974년 FIFA 월드컵 2차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골키퍼에게 전통적인 등번호(1, 12, 21번)를 부여하고, 나머지 선수들에게는 성씨 알파벳 순으로 등번호를 배정했다.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경기 수 | 소속 클럽 |
---|---|---|---|---|---|
1 | GK | 카르네발리 | 1946년 12월 4일es (27세) | 14 | UD 라스 팔마스es |
2 | FW | 아얄라 | 1950년 1월 8일es (24세) | 15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es |
3 | MF | 바빙톤 | 1949년 9월 20일es (24세) | 7 | 클루브 아틀레티코 우라칸es |
4 | FW | 발부에나 | 1945년 9월 1일es (28세) | 6 | 클루브 아틀레티코 인데펜디엔테es |
5 | DF | 바르가스 | 1946년 10월 29일es (27세) | 20 | FC 낭트프랑스어 |
6 | MF | 브린디시 | 1950년 10월 8일es (23세) | 31 | 클루브 아틀레티코 우라칸es |
7 | DF | 카라스코사 | 1948년 8월 15일es (25세) | 7 | 클루브 아틀레티코 우라칸es |
8 | MF | 차사레타 | 1947년 7월 29일es (26세) | 7 |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es |
9 | DF | 글라리아 | 1948년 3월 10일es (26세) | 4 |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es |
10 | DF | 에레디아 | 1951년 2월 26일es (23세) | 18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es |
11 | MF | 오우세만 | 1953년 7월 19일es (20세) | 7 | 클루브 아틀레티코 우라칸es |
12 | GK | 피욜 | 1950년 7월 21일es (23세) | 0 | 클루브 아틀레티코 리버 플레이트es |
13 | FW | 켐페스 | 1954년 7월 15일es (19세) | 5 | 로사리오 센트랄es |
14 | DF | 페르푸모 (주장) | 1942년 10월 3일es (31세) | 34 | 크루제이루 ECpt |
15 | FW | 로이 | 1945년 9월 14일es (28세) | 1 | 로사리오 센트랄es |
16 | DF | 사 | 1945년 10월 25일es (28세) | 7 | 클루브 아틀레티코 인데펜디엔테es |
17 | MF | 스케오 | 1948년 6월 4일es (26세) | 4 | 라싱 클럽es |
18 | MF | 텔치 | 1943년 11월 6일es (30세) | 17 |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es |
19 | MF | 토그네리 | 1942년 11월 27일es (31세) | 1 |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 플라타es |
20 | DF | 올프 | 1949년 2월 21일es (25세) | 16 | 클루브 아틀레티코 리버 플레이트es |
21 | GK | 산토로 | 1942년 2월 27일es (32세) | 13 | 클루브 아틀레티코 인데펜디엔테es |
22 | FW | 야살데 | 1946년 5월 29일es (28세) | 12 | 스포르팅 CPpt |
주요 선수로는 페르푸모 (주장), 켐페스, 오우세만, 피욜 등이 있었다.
5. 3. 이탈리아 (Federazione Italiana Giuoco Calcio)
페루초 발카레지 감독이 이끈 이탈리아 대표팀은 1974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주요 선수로는 파케티 (주장), 초프, 마촐라, 리바 등이 있다.등번호 | 포지션 | 선수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소속 클럽 |
---|---|---|---|---|
1 | GK | 초프 | 1942년 2월 28일 (32세) | 유벤투스 |
2 | DF | 스피노시 | 1950년 5월 9일 (24세) | 유벤투스 |
3 | DF | 파케티 (주장) | 1942년 7월 18일 (31세) | 인테르나치오날레 |
4 | MF | 베네티 | 1945년 10월 20일 (28세) | 밀란 |
5 | DF | 모리니 | 1944년 8월 12일 (29세) | 유벤투스 |
6 | DF | 부르니치 | 1939년 4월 25일 (35세) | 인테르나치오날레 |
7 | MF | 마촐라 | 1942년 11월 8일 (31세) | 인테르나치오날레 |
8 | MF | 카펠로 | 1946년 6월 18일 (27세) | 유벤투스 |
9 | FW | 키날리아 | 1947년 1월 24일 (27세) | 라치오 |
10 | MF | 리베라 | 1943년 8월 18일 (30세) | 밀란 |
11 | FW | 리바 | 1944년 11월 7일 (29세) | 칼리아리 |
12 | GK | 알베르토시 | 1939년 11월 2일 (34세) | 칼리아리 |
13 | DF | 사바디니 | 1949년 3월 26일 (25세) | 밀란 |
14 | DF | 벨루지 | 1950년 2월 7일 (24세) | 인테르나치오날레 |
15 | DF | 윌손 | 1945년 10월 27일 (28세) | 라치오 |
16 | MF | 율리아노 | 1943년 1월 1일 (31세) | 나폴리 |
17 | MF | 레 체코니 | 1948년 12월 1일 (25세) | 라치오 |
18 | MF | 카우시오 | 1949년 2월 1일 (25세) | 유벤투스 |
19 | FW | 아나스타시 | 1948년 4월 7일 (26세) | 유벤투스 |
20 | FW | 보닌세냐 | 1943년 11월 13일 (30세) | 인테르나치오날레 |
21 | FW | 풀리치 | 1950년 4월 27일 (24세) | 토리노 |
22 | GK | 카스텔리니 | 1945년 12월 12일 (28세) | 토리노 |
5. 4. 아이티 (Fédération Haïtienne de Football)
아이티 축구 국가대표팀(Fédération Haïtienne de Footballht)은 앙투안 타수 감독이 이끌었으며,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북중미카리브 대표로 출전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3전 전패를 당하며 탈락했다. 주요 선수로는 나자일리 (주장), 사논, 포일론, 보르비 등이 있다.포지션 | 이름 | 비고 |
---|---|---|
GK | 포일론 | |
DF | 루이스 | |
DF | 아유지스티 | |
DF | 안드레 | |
DF | 지우스티 | |
DF | 바이요니 | |
MF | 보르비 | |
MF | 데지어 | |
FW | 안토이니 | |
MF | 파울리스트 | |
FW | G. 사인트 빌 | |
GK | 지온 주셉 | |
DF | 라이니 | |
DF | 나자일리 | 주장 |
FW | R. 사인트 빌 | |
MF | F. 리온드리 | |
FW | J. 리온드리 | |
MF | 바텔레미아 | |
GK | 아이스틴 | |
FW | 사논 | |
GK | 피온트 | |
DF | 주셉 | |
감독 | ||
타수시울 |
6. 감독 국적
감독 | 국적 |
---|---|
헬무트 쇤 | |
게오르크 부슈너 | |
Рале Рашић|랄레 라시치sh | |
루이스 알라모스 | |
예오르 에릭손 | |
바디슬라오 카프 | |
앙투안 타시 | |
흐리스토 믈라데노프 | |
마리우 자갈루 | |
페루초 발카레지 | |
리뉘스 미헐스 | |
카지미에시 구르스키 | |
윌리 오먼드 | |
밀랸 밀랴니치 | |
로베르토 포르타 | |
밀로반 치리치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