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9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는 나시오날과 라싱 클럽이 참가하여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의 클럽 간의 대결로 펼쳐졌다. 나시오날은 198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우승하여, 라싱 클럽은 1988년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우승하여 출전 자격을 얻었다. 1차전은 나시오날이 1-0으로 승리했고, 2차전은 0-0 무승부로 끝나 나시오날이 합산 점수 1-0으로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싱 클루브 경기 - 1967년 인터콘티넨털컵
1967년 인터콘티넨털컵은 셀틱 FC와 라싱 클루브 간의 대회로, 합계 스코어 동률 후 플레이오프에서 라싱 클루브가 우승했으나 세 경기 모두 과격하고 폭력적인 양상으로 진행되어 논란이 되었다. -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경기 - 1971년 인터콘티넨털컵
1971년 인터콘티넨털컵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 나시오날과 유러피언컵 준우승팀 파나티나이코스가 참가하여, 1차전 1-1 무승부 후 2차전에서 나시오날이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경기 - 1980년 인터콘티넨털컵
1980년 인터콘티넨털컵은 1981년 2월 11일 도쿄에서 열린 노팅엄 포리스트와 나시오날의 경기로, 나시오날이 1-0으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 1989년 1월 - 제46회 골든 글로브상
1989년 영화와 텔레비전 분야의 뛰어난 작품과 배우들에게 수여된 제46회 골든 글로브상에서는 영화 부문에서 《레인 맨》과 《워킹 걸》이, 텔레비전 부문에서는 《thirtysomething》과 《원더 이어스》가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시고니 위버는 영화 부문에서 2관왕, 도리스 데이는 세실 B. 데밀 상을 수상했다. - 1989년 1월 - 1989년 FIFA 풋살 세계 선수권 대회
1989년 FIFA 풋살 세계 선수권 대회는 네덜란드에서 개최된 첫 번째 FIFA 풋살 월드컵으로, 브라질이 우승을 차지하고 네덜란드, 미국, 벨기에가 각각 2, 3, 4위를 기록했다.
1989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
---|---|
경기 정보 | |
대회 |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날짜1 | 1989년 1월 31일 |
경기장1 |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
도시1 | 몬테비데오 |
관중수1 | 20,221명 |
심판1 |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 (브라질) |
날짜2 | 1989년 2월 6일 |
경기장2 | 에스타디오 호세 아말피타니 |
도시2 | 부에노스아이레스 |
관중수2 | 50,000명 |
심판2 | 가브리엘 곤살레스 (파라과이) |
경기 결과 | |
팀1 | 나시오날 |
팀1득점 | 1 |
팀2 | 라싱 |
팀2득점 | 0 |
1차전 | 1차전 |
팀1득점1 | 1 |
팀2득점1 | 0 |
2차전 | 2차전 |
팀1득점2 | 0 |
팀2득점2 | 0 |
대회 정보 | |
이전대회 | 초대 대회 |
다음대회 | 1990 |
2. 대회 배경
1988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뉴웰스 올드 보이스를 꺾고 통산 세 번째 우승을 차지한 나시오날과, 1988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크루제이루를 꺾고 우승한 라싱이 1989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맞붙었다. 나시오날은 8년 만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을 차지했고, 라싱은 1967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이후 첫 국제 대회 우승이었다.
두 팀은 1989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이전까지 남미 대회에서 네 번 만났다. 196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조별 리그에서 나시오날은 홈에서 라싱을 3-2로 이겼고, 아베야네다 원정에서는 2-2로 비겼다. 5년 뒤 1967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는 두 경기 모두 0-0 무승부를 기록, 플레이오프 끝에 라싱이 2-1로 승리했다.
2. 1. 참가팀
팀 | 이전 결승 진출 |
---|---|
나시오날 | 없음 |
라싱 | 없음 |
198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뉴웰스 올드 보이스를 합계 3-1로 꺾고 통산 세 번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을 차지한 나시오날은 대회에 진출했다. 1988년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크루제이루를 승점 3-1로 꺾고 우승한 라싱도 대회에 진출했는데, 이는 196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이후 첫 국제 대회 우승이었다.
2. 2. 경기 규칙
레코파 수다메리카나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2경기로 진행되었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를 통해 진출한 팀이 1차전을 홈에서 치렀다. 2경기 합산 승점(승리 시 2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 가장 높은 팀이 챔피언이 되었다. 2차전 정규 시간 종료 후 두 팀의 승점이 동률일 경우, 골 득실차가 더 높은 팀이 승리했다. 두 팀의 골 득실차가 동일할 경우, 경기 규칙에 따라 승부차기를 진행했다.2. 3. 경기장
1차전은 193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이 열렸고 우루과이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929년부터 1930년 사이에 건설된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열렸다. 이 경기장은 FIFA가 선정한 세계 축구의 고전적인 경기장 중 하나이다.[3]
2차전은 클루브 아틀레티코 벨레스 사르스필드의 홈 구장인 호세 아말피타니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1947년에 건설되었고 1978년 FIFA 월드컵을 준비하기 위해 개조되었다.
3. 경기
1989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는 198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팀인 나시오날과 1988년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 팀인 라싱이 맞붙은 대회이다. 경기는 1, 2차전으로 진행되었다.
1차전은 1989년 1월 31일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의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열렸으며, 나시오날이 다니엘 폰세카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1] 2차전은 1989년 2월 6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에스타디오 호세 아말피타니에서 열렸으며, 양 팀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합계 1-0으로 나시오날이 우승을 차지했다.
3. 1. 1차전
1989년 1월 31일,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의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열린 1차전에서 나시오날이 라싱을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브라질의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 심판이 주관한 이 경기에 20,221명의 관중이 입장했다.[1]나시오날은 후반 26분 다니엘 폰세카가 교체 투입되어 결승골을 기록했다.[1]
; 경기 정보
1989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1차전 | |
---|---|
팀 1 | 나시오날 |
점수 | 1 - 0 |
팀 2 | 라싱 |
득점1 | 폰세카 |
경기장 |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몬테비데오 |
관중 | 20,221명 |
심판 |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 (브라질) |
; 선발 명단
포지션 | 선수 이름 |
---|---|
GK | 호르헤 세레 |
DF | 토니 고메스 |
DF | 다니엘 펠리페 레벨레스 |
DW | 우고 데 레온 |
DF | 호세 핀토스 살다냐 |
MF | 산티아고 오스톨라사 |
MF | 호르헤 다니엘 카르다시오 |
MF | 하비에르 카브레라 |
MF | 윌리암 카스트로 |
FW | 훌리오 소피 |
FW | 세르히오 올리베라 |
교체 선수 | |
FW | 다니엘 폰세카 |
DF | 카를로스 파비에르 소카 |
포지션 | 선수 이름 |
---|---|
GK | 훌리오 세사르 발레리오 |
DF | 카를로스 에두아르도 바스케스 |
DF | 구스타보 코스타스 |
DF | 네스토르 파브리 |
MF | 카를로스 올라란 |
MF | 호르헤 오스마르 아쿠냐 |
MF | 우고 움베르토 라마드리드 |
MF | 마리오 에르난 비델라 |
FW | 노르베르토 오르테가 산체스 |
FW | 라몬 메디나 베요 |
FW | 왈테르 레네 페르난데스 |
교체 선수 | |
FW | 호세 라울 이글레시아스 |
MF | 미겔 앙헬 콜롬바티 |
감독 | |
알피오 바실레 |
3. 2. 2차전
1989년 2월 6일,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에스타디오 호세 아말피타니에서 열린 2차전 경기는 라싱과 나시오날 양 팀 모두 득점 없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관중 수는 50,000명이었으며, 주심은 파라과이 출신의 가브리엘 곤살레스였다.
{| class="wikitable"
|-
! width="45%" | 라싱
! width="10%" |
! width="45%" | 나시오날
|-
|
GK | 12 | 훌리오 세사르 발레리오 | |
DF | 4 | 카를로스 에두아르도 바스케스 | |
DF | 2 | 구스타보 코스타스 | |
DF | 6 | 네스토르 파브리 | |
MF | 3 | 카를로스 올라란 | |
MF | 7 | 호르헤 오스마르 아쿠냐 | |
MF | 23 | 우고 움베르토 라마드리드 | |
MF | 13 | 마리오 에르난 비델라 | |
FW | 18 | 라몬 메디나 베요 | |
FW | 9 | 호세 라울 이글레시아스 | |
FW | 11 | 왈테르 레네 페르난데스 | |
교체 선수: | |||
---|---|---|---|
DF | 16 | 코스메 사칸티 | |
MF | 10 | 미겔 앙헬 콜롬바티 | |
감독: | |||
알피오 바실레 |
|
|
GK | 1 | 호르헤 세레 | |
DF | 2 | 토니 고메스 | |
DF | 4 | 다니엘 펠리페 레벨레스 | |
DF | 3 | 우고 데 레온 | |
DF | 카를로스 파비에르 소카 | ||
MF | 6 | 산티아고 오스톨라사 | |
MF | 8 | 호르헤 다니엘 카르다시오 | |
MF | 하비에르 카브레라 | ||
MF | 윌리암 카스트로 | ||
FW | 훌리오 소피 | ||
FW | 세르히오 올리베라 | ||
교체 선수: | |||
---|---|---|---|
FW | 9 | 다니엘 폰세카 | |
DF | 엔리케 사라비아 | ||
감독: | |||
엑토르 누녜스 |
|}
4. 심판
1차전 주심은 브라질의 호무아우두 아르피 필류가 맡았다. 그는 1986년 FIFA 월드컵 결승전, 1987년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등을 맡은 경험이 있는 베테랑 심판이었다. 2차전 주심은 파라과이의 가브리엘 곤살레스가 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Recopa 1988
https://www.rsssf.or[...]
[2]
뉴스
Nacional de 1989: cuando eran los reyes del mundo
https://www.elobserv[...]
El Observador
2020-05-03
[3]
웹사이트
Centenario
https://web.archive.[...]
2008-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