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주로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며,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펑타이 스포츠센터, 셴농탄 경기장 등 다양한 경기장이 사용되었다. 이란이 북한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북한이 은메달, 대한민국이 태국을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축구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 |
---|---|
대회 요약 | |
종목 | 남자 축구 |
대회 | 1990년 아시안 게임 |
경기장 | 셴농탄 경기장 펑타이 경기장 노동자 경기장 |
날짜 | 1990년 9월 23일 - 10월 6일 |
참가 국가 | 14개국 |
메달 집계 |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86년 |
다음 대회 | 1994년 |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1990년 아시안 게임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
남자 선수 명단 | 1990년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대표팀 선수 명단 |
2. 경기장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주로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다양한 경기장이 활용되었다.
주요 경기장으로는 80,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노동자 경기장, 30,000명을 수용하는 펑타이 스포츠센터, 그리고 24,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셴농탄 경기장이 있다. 노동자 경기장은 규모가 가장 큰 경기장이며, 펑타이 스포츠센터는 30,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 셴농탄 경기장은 24,000명을 수용 가능하다.
2. 1.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은 80,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2. 2.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센터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 센터의 수용 인원은 30,000명이다.2. 3. 셴농탄 경기장
3. 선수 명단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에 참가한 각 팀별 선수 명단은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 남자 팀 명단 문서를 참고한다.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조별 리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3 | 0 | 0 | 16 | 0 | +16 | 6 | |
3 | 2 | 0 | 1 | 8 | 3 | +5 | 4 | |
3 | 1 | 0 | 2 | 7 | 13 | -6 | 2 | |
3 | 0 | 0 | 3 | 1 | 16 | -15 | 0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2 | 2 | 0 | 0 | 5 | 1 | +4 | 4 | |
2 | 0 | 1 | 1 | 1 | 2 | -1 | 1 | |
2 | 0 | 1 | 1 | 0 | 3 | -3 | 1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2 | 1 | 0 | 4 | 1 | +3 | 5 | |
3 | 1 | 1 | 1 | 3 | 3 | 0 | 3 | |
3 | 1 | 0 | 2 | 3 | 4 | -1 | 2 | |
3 | 0 | 2 | 1 | 0 | 2 | -2 | 2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2 | 2 | 0 | 0 | 6 | 0 | +6 | 4 | |
2 | 1 | 0 | 1 | 3 | 2 | +1 | 2 | |
2 | 0 | 0 | 2 | 0 | 7 | -7 | 0 |
A조에서는 대한민국이 압도적인 득점력으로 3전 전승을 거두며 조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2승 1패로 2위, 싱가포르는 1승 2패로 3위, 파키스탄은 3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 1990년 9월 23일: 대한민국 7 – 0 싱가포르 (베이징 시안농탄 경기장)
: 홍명보(10', 페널티킥), 김주성(48', 59'), 고정운(51', 61'), 서정원(58', 62') 득점.
: 셰 위신(15', 46'), 마이 차오(90') 득점
- 1990년 9월 25일: 대한민국 7 – 0 파키스탄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센터)
: 황선홍(21', 41', 82'), 김상호(47', 51'), 정종수(58'), 노정윤(77') 득점.
: 셰 위신(14'), 마이 차오(50'), 우 춘리(55'), 류 하이광(60', 88'), 하론(31') 득점
- 1990년 9월 27일: 대한민국 2 – 0 중국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 서정원(57', 75') 득점.
: 토키잔(15'), 아흐마드(17'), 슨드라무르티(31', 42', 62'), 누르(78'), 샤라파트(35') 득점
B조에서는 이란이 2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북한이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말레이시아는 1무 1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9월 24일 베이징에서 열린 경기에서 이란은 말레이시아를 3-0으로 완파했다. 피우스가 31분, 54분, 78분에 득점하며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9월 26일, 베이징의 시앤농탄 경기장에서 열린 북한과 말레이시아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9월 28일, 시앤농탄 경기장에서 열린 이란과 북한의 경기에서는 이란이 2-1로 승리했다. 김윤철이 87분에 골을 넣었지만, 피우스와 샤흐로흐 바야니의 골로 이란이 승리했다. 심판은 좡 진판(중화 타이베이)이 맡았다.
C조에서는 태국이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했으며, 쿠웨이트가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차지하여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9월 23일 예멘와 태국은 0-0으로 비겼다. 같은 날 홍콩은 쿠웨이트에 1-2로 패배했다. 9월 25일 태국은 홍콩을 2-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쿠웨이트와 예멘은 0-0으로 비겼다. 9월 27일 태국은 쿠웨이트를 2-1로 이겼다. 같은 날 홍콩은 예멘을 2-0으로 이겼다.
D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일본이 1승 1패로 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방글라데시는 2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8강전은 10월 1일에 베이징에서 열렸다. 대한민국은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쿠웨이트와의 8강전에서 구상범의 결승골(59분)으로 1-0 승리를 거두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당시 관중은 55,000명이었으며, 심판은 중국의 웨이 지홍이 맡았다. 같은 날, 이란은 일본을 1-0으로 꺾었고, 태국은 중국을 1-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북한의 경기는 0-0으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북한이 4-3으로 승리했다.
준결승전은 10월 3일에 열렸다. 대한민국은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이란과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0-1로 아쉽게 패배했다. 시루스 가예그란이 연장 후반 107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이 경기에는 55,000명의 관중이 찾았으며, 주심은 다치 기이치로(일본)가 맡았다. 같은 날 열린 다른 준결승전에서 북한은 태국을 1-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3·4위전은 10월 5일에 열렸으며, 대한민국은 태국을 1-0으로 이겨 동메달을 획득했다. 황보관이 대한민국의 승리를 이끄는 골을 기록했다.
결승전은 10월 6일에 열렸고, 이란이 북한을 승부차기 끝에 0-0(4-1 PSO)으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4. 경기 결과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조별 리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조에서는 대한민국이 압도적인 득점력으로 3전 전승, 승점 6점으로 조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2승 1패로 승점 4점을 기록하며 2위로 진출했다. 싱가포르는 1승 2패, 파키스탄은 3전 전패를 기록했다. 9월 23일, 대한민국은 싱가포르를 7-0으로 대파했으며, 같은 날 중국은 파키스탄을 3-0으로 꺾었다. 9월 25일, 대한민국은 파키스탄을 7-0으로 다시 한번 크게 이겼고, 중국은 싱가포르를 5-1로 제압했다. 9월 27일, 대한민국은 중국과의 경기에서 서정원의 멀티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으며, 싱가포르는 파키스탄을 6-1로 꺾었다.
B조에서는 이란이 2승으로 승점 4점을 얻어 조 1위를 차지했고, 북한이 1무 1패로 승점 1점을 기록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말레이시아 역시 1무 1패를 기록했지만, 득실차에서 밀려 탈락했다. 이란은 9월 24일 말레이시아를 3-0으로 꺾었고, 9월 28일 북한과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북한과 말레이시아는 9월 26일 0-0으로 비겼다.
C조에서는 태국이 2승 1무로 승점 5점을 획득하며 조 1위를, 쿠웨이트가 1승 1무 1패로 승점 3점을 얻어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홍콩과 예멘은 각각 승점 2점으로 탈락했다. 9월 23일, 예멘과 태국은 0-0으로 비겼고, 홍콩은 쿠웨이트에 1-2로 패했다. 9월 25일, 태국은 홍콩을 2-0으로 이겼고, 쿠웨이트와 예멘은 0-0으로 비겼다. 9월 27일, 태국은 쿠웨이트를 2-1로 꺾었고, 홍콩은 예멘을 2-0으로 꺾었다.
D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승으로 승점 4점을 얻어 조 1위를, 일본이 1승 1패로 승점 2점을 얻어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방글라데시는 2패로 탈락했다. 9월 24일, 사우디아라비아가 방글라데시를 4-0으로 이겼고, 9월 26일 일본이 방글라데시를 3-0으로 꺾었다. 9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는 일본을 2-0으로 꺾었다.
결선 토너먼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월 1일 열린 8강전에서 대한민국은 쿠웨이트를 구상범의 결승골로 1-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이란은 일본을, 태국은 중국을 각각 1-0으로 꺾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북한은 0-0으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북한이 4-3으로 승리했다.
준결승전은 10월 3일에 열렸다. 이란은 대한민국을 연장전 끝에 1-0으로 꺾었고, 북한은 태국을 1-0으로 이겼다. 시루스 가예그란이 연장 후반 107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윤종수가 전반 42분에 득점에 성공했다.
3·4위전은 10월 5일에 열렸으며, 대한민국은 황보관의 결승골로 태국을 1-0으로 이겨 동메달을 획득했다.
결승전은 10월 6일에 열렸고, 이란이 북한을 승부차기 끝에 4-1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란은 시루스 가예그란, 모하마드 하산 안사리파르드, 알리 에프테하리, 마지드 남주-모틀라그가 승부차기 골을 성공시켰다. 북한은 팡광철과 윤정수가 실축하고, 탁영빈만이 골을 넣었다.
대한민국의 투혼은 높이 살만하다.
4. 1. 조별 리그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3 | 0 | 0 | 16 | 0 | +16 | 6 | |
3 | 2 | 0 | 1 | 8 | 3 | +5 | 4 | |
3 | 1 | 0 | 2 | 7 | 13 | -6 | 2 | |
3 | 0 | 0 | 3 | 1 | 16 | -15 | 0 |
- ---
1990년 9월 23일, 18:00, 7 – 0
: 베이징 시안농탄 경기장, 베이징
: 관중수: 15,000명
: 심판: 오메르 살레 알-메나나
: 홍명보
: 김주성
: 고정운
: 서정원
- ---
1990년 9월 23일, 3 – 0
- ---
1990년 9월 25일, 20:00, 7 – 0
: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센터, 베이징
: 관중수: 29,534명
: 심판: 스테픈 오비니스
: 황선홍
: 김상호
: 정종수
: 노정윤
- ---
1990년 9월 25일, 5 – 1
- ---
1990년 9월 27일, 20:00, 2 – 0
: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베이징
: 관중수: 32,767명
: 심판: 마누체르 나자리
: 서정원
- ---
1990년 9월 27일, 6 – 1
-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2 | 2 | 0 | 0 | 5 | 1 | +4 | 4 | |
2 | 0 | 1 | 1 | 1 | 2 | -1 | 1 | |
2 | 0 | 1 | 1 | 0 | 3 | -3 | 1 |
- ---
1990년 9월 24일, 3 – 0
- ---
1990년 9월 26일, 0 – 0
- ---
1990년 9월 28일, 2 – 1
-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2 | 1 | 0 | 4 | 1 | +3 | 5 | |
3 | 1 | 1 | 1 | 3 | 3 | 0 | 3 | |
3 | 1 | 0 | 2 | 3 | 4 | -1 | 2 | |
3 | 0 | 2 | 1 | 0 | 2 | -2 | 2 |
- ---
1990년 9월 23일, 0 – 0
- ---
1990년 9월 23일, 1 – 2
- ---
1990년 9월 25일, 2 – 0
- ---
1990년 9월 25일, 0 – 0
- ---
1990년 9월 27일, 2 – 1
- ---
1990년 9월 27일, 2 – 0
-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2 | 2 | 2 | 0 | 6 | 0 | +6 | 4 | |
2 | 1 | 0 | 1 | 3 | 2 | +1 | 2 | |
2 | 0 | 0 | 2 | 0 | 7 | -7 | 0 |
- ---
1990년 9월 24일, 4 – 0
- ---
1990년 9월 26일, 3 – 0
- ---
1990년 9월 28일, 0 – 2
4. 1. 1. A조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A조에서는 대한민국, 중국, 싱가포르, 파키스탄이 경기를 치렀다.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3 | 0 | 0 | 16 | 0 | +16 | 6 | |
3 | 2 | 0 | 1 | 8 | 3 | +5 | 4 | |
3 | 1 | 0 | 2 | 7 | 13 | -6 | 2 | |
3 | 0 | 0 | 3 | 1 | 16 | -15 | 0 |
대한민국은 압도적인 득점력으로 3전 전승을 거두며 조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2승 1패로 2위, 싱가포르는 1승 2패로 3위, 파키스탄은 3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 1990년 9월 23일: 대한민국 7 – 0 싱가포르 (베이징 시안농탄 경기장)
: 홍명보(10', 페널티킥), 김주성(48', 59'), 고정운(51', 61'), 서정원(58', 62') 득점.
: 셰 위신(15', 46'), 마이 차오(90') 득점
- 1990년 9월 25일: 대한민국 7 – 0 파키스탄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센터)
: 황선홍(21', 41', 82'), 김상호(47', 51'), 정종수(58'), 노정윤(77') 득점.
: 셰 위신(14'), 마이 차오(50'), 우 춘리(55'), 류 하이광(60', 88'), 하론(31') 득점
- 1990년 9월 27일: 대한민국 2 – 0 중국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 서정원(57', 75') 득점.
: 토키잔(15'), 아흐마드(17'), 슨드라무르티(31', 42', 62'), 누르(78'), 샤라파트(35') 득점
4. 1. 2. B조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B조에서는 이란, 북한, 말레이시아가 경쟁했다.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2 | 2 | 0 | 0 | 5 | 1 | +4 | 4 | |
2 | 0 | 1 | 1 | 1 | 2 | -1 | 1 | |
2 | 0 | 1 | 1 | 0 | 3 | -3 | 1 |
9월 24일, 베이징에서 열린 경기에서 이란은 말레이시아를 3-0으로 완파했다. 피우스가 31분, 54분, 78분에 득점하며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9월 26일, 베이징의 시앤농탄 경기장에서 열린 북한과 말레이시아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9월 28일, 시앤농탄 경기장에서 열린 이란과 북한의 경기에서는 이란이 2-1로 승리했다. 김윤철이 87분에 골을 넣었지만, 피우스와 샤흐로흐 바야니의 골로 이란이 승리했다. 심판은 좡 진판(중화 타이베이)이 맡았다.
최종적으로 이란이 2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북한이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말레이시아는 1무 1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4. 1. 3. C조
1990년 9월 23일 예멘와 태국은 0-0으로 비겼다.
1990년 9월 23일 홍콩은 쿠웨이트에 1-2로 패배했다.
1990년 9월 25일 태국은 홍콩을 2-0으로 이겼다.
1990년 9월 25일 쿠웨이트와 예멘은 0-0으로 비겼다.
1990년 9월 27일 태국은 쿠웨이트를 2-1로 이겼다.
1990년 9월 27일 홍콩은 예멘을 2-0으로 이겼다.
C조에서는 태국이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했으며, 쿠웨이트가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차지하여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4. 1. 4. D조
1990년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D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방글라데시가 경쟁했다.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2 | 2 | 0 | 0 | 6 | 0 | +6 | 4 | |
2 | 1 | 0 | 1 | 3 | 2 | +1 | 2 | |
2 | 0 | 0 | 2 | 0 | 7 | -7 | 0 |
사우디아라비아가 2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일본이 1승 1패로 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방글라데시는 2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축구 경기 정보|날짜=9월 24일
|팀1=
|점수=4–0
|팀2=
|득점1= 압둘샤쿠르
압둘라
알-비시
|득점2=
|심판= 로버트 리 (싱가포르)
|경기장=셴농탄 경기장, 베이징 }}
{{축구 경기 정보|날짜=9월 26일
|팀1=
|점수=0–3
|팀2=
|득점1=
|득점2= 하시라타니
하세가와
|심판= 김인수 (대한민국)
|경기장=펑타이 경기장, 베이징 }}
{{축구 경기 정보|날짜=9월 28일
|팀1=
|점수=0–2
|팀2=
|득점1=
|득점2= 알-비시
알-무왈리드
|심판= 김인수 (대한민국)
|경기장=펑타이 경기장, 베이징 }}
4. 2. 결선 토너먼트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8강전은 10월 1일에 베이징에서 열렸다. 대한민국은 쿠웨이트를 1-0으로 이겼으며, 이란은 일본을 1-0으로 꺾었다. 태국은 중국을 1-0으로, 북한은 사우디아라비아를 승부차기 끝에 0-0(4-3 PSO)으로 각각 이겼다.{{footballbox
|date= 1990년 10월 1일
|time= 18:00
|team1=
|score= 1 – 0
|team2=
|report=
|goals1= 구상범
|goals2=
|stadium=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센터, 베이징
|관중수= 55,000명
|referee= 웨이 지홍
}}
{{footballbox
|date= 1990년 10월 1일
|time=
|team1=
|score= 1 – 0
|team2=
|report =
|goals1=
|goals2=
|stadium=
|관중수 =
|referee =
}}
{{footballbox
|date= 1990년 10월 1일
|time=
|team1=
|score= 1 – 0
|team2=
|report =
|goals1=
|goals2=
|stadium=
|referee=
}}
{{footballbox
|date= 1990년 10월 1일
|time=
|team1=
|score= 0 – 0 (3 – 4 PSO)
|team2=
|report =
|goals1=
|stadium=
|referee=
}}
준결승전은 10월 3일에 열렸다. 이란은 대한민국을 연장전 끝에 1-0으로 이겼고, 북한은 태국을 1-0으로 이겼다. 대한민국은 아쉽게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footballbox
|date= 1990년 10월 3일
|time= 19:45
|team1=
|score= 0 – 1 (AET)
|team2=
|report =
|goals1=
|goals2= 가예그란
|stadium=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베이징
|관중수= 55,000명
|referee= 다치 기이치로
}}
{{footballbox
|date= 1990년 10월 3일
|time=
|team1=
|score= 0 – 1
|team2=
|report=
|goals1=
|goals2=
|stadium=
|관중수 =
|referee=
}}
3·4위전은 10월 5일에 열렸으며, 대한민국은 태국을 1-0으로 이겨 동메달을 획득했다. 황보관이 대한민국의 승리를 이끄는 골을 기록했다.
{{footballbox
|date= 1990년 10월 5일
|time= 19:45
|team1=
|score= 1 – 0
|team2=
|report=
|goals1= 황보관
|goals2=
|stadium= 베이징 시안농탄 경기장, 베이징
|관중수= 17,585명
|referee= 마누체르 나자리
}}
결승전은 10월 6일에 열렸고, 이란이 북한을 승부차기 끝에 0-0(4-1 PSO)으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footballbox
|date= 1990년 10월 6일
|time=
|team1=
|score= 0 – 0 (4 – 1 PSO)
|team2=
|report =
|goals1=
|goals2=
|stadium=
|referee=
}}
4. 2. 1. 8강전
1990년 10월 1일, 대한민국은 베이징 펑타이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쿠웨이트와의 8강전에서 구상범의 결승골(59분)으로 1-0 승리를 거두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당시 관중은 55,000명이었으며, 심판은 중국의 웨이 지홍이 맡았다.같은 날, 이란은 일본을 1-0으로 꺾었고, 태국은 중국을 1-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북한의 경기는 0-0으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북한이 4-3으로 승리했다. 마르파비는 6분만에 득점에 성공했으며, 창문은 51분 득점에 성공했다.
경기 | 결과 |
---|---|
대한민국 vs 쿠웨이트 | 1 – 0 |
이란 vs 일본 | 1 – 0 |
태국 vs 중국 | 1 – 0 |
사우디아라비아 vs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0 (3 – 4 PSO) |
4. 2. 2. 준결승전
1990년 10월 3일, 대한민국은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에서 열린 준결승전에서 이란과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0-1로 아쉽게 패배했다. 시루스 가예그란이 연장 후반 107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이 경기에는 55,000명의 관중이 찾았으며, 주심은 다치 기이치로(일본)가 맡았다.같은 날 열린 다른 준결승전에서 북한은 태국을 1-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윤종수가 전반 42분에 득점에 성공했다. 셴농탄 경기장에서 진행된 이 경기의 주심은 오메르 알-메하나(사우디 아라비아)가 맡았다.
4. 2. 3. 3·4위전
1990년 10월 5일 19시 45분, 대한민국은 베이징 시안농탄 경기장에서 열린 태국과의 3·4위전에서 황보관의 결승골(51분)으로 1-0 승리를 거두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 관중수는 17,585명이었으며, 심판은 마누체르 나자리(이란)가 맡았다.4. 2. 4. 결승전
1990년 10월 6일, 이란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에서 결승전을 치렀다. 경기는 연장전까지 0-0으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고, 승부차기에서 이란이 4-1로 승리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천성차이(중국) 심판이 주관한 이 경기에서 이란은 시루스 가예그란, 모하마드 하산 안사리파르드, 알리 에프테하리, 마지드 남주-모틀라그가 승부차기 골을 성공시켰다. 북한은 팡광철과 윤정수가 실축하고, 탁영빈만이 골을 넣었다.
5. 득점 순위
4골
- 파르샤드 피우스(IRN)
- 서정원(KOR)
3골
- 셰위신(CHN)
- 황선홍(KOR)
- V. 순드라무르티(SIN)
2골
1골
- 우춘리(CHN)
- 차우 치싱(HKG)
- 구 캄 파이(HKG)
- 라이 윙 총(HKG)
- 샤흐로흐 바야니(IRN)
- 시루스 가예그란(IRN)
- 사마드 마르파비(IRN)
- 하세가와 겐타(JPN)
- 정종수(KOR)
- 구상범(KOR)
- 홍명보 (KOR)
- 황보관(KOR)
- 노정윤(KOR)
- 아드난 압둘샤쿠르(KSA)
- 칼레드 알-무왈리드(KSA)
- 나와프 자디드 알-에네지(KUW)
- 살레 알-메스나드(KUW)
- 안바르 사에드(KUW)
- 샤라파트 알리(PAK)
- 김윤철 (PRK)
- 윤종수(PRK)
- 판디 아흐마드(SIN)
- 하스님 하론(SIN)
- 압둘라 누르(SIN)
- D. 토키잔(SIN)
- 비툰 키즈몽콜삭(THA)
- 분플릭 누노이(THA)
1 자책골
- 오사마 후세인(KUW) (THA 상대)
6. 최종 순위
다음은 1990년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최종 순위이다.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이란 | 5 | 4 | 1 | 0 | 7 | 1 | +6 | 9 | |
북한 | 5 | 1 | 3 | 1 | 2 | 2 | 0 | 5 | |
대한민국 | 6 | 5 | 0 | 1 | 18 | 1 | +17 | 10 | |
4 | 태국 | 6 | 3 | 1 | 2 | 5 | 3 | +2 | 7 |
5 | 사우디아라비아 | 3 | 2 | 1 | 0 | 6 | 0 | +6 | 5 |
6 | 중국 | 4 | 2 | 0 | 2 | 8 | 4 | +4 | 4 |
7 | 쿠웨이트 | 4 | 1 | 1 | 2 | 3 | 4 | −1 | 3 |
8 | 일본 | 3 | 1 | 0 | 2 | 3 | 3 | 0 | 2 |
9 | 홍콩 | 3 | 1 | 0 | 2 | 3 | 4 | −1 | 2 |
10 | 예멘 | 3 | 0 | 2 | 1 | 0 | 2 | −2 | 2 |
11 | 싱가포르 | 3 | 1 | 0 | 2 | 7 | 13 | −6 | 2 |
12 | 말레이시아 | 2 | 0 | 1 | 1 | 0 | 3 | −3 | 1 |
13 | 방글라데시 | 2 | 0 | 0 | 2 | 0 | 7 | −7 | 0 |
14 | 파키스탄 | 3 | 0 | 0 | 3 | 1 | 16 | −15 | 0 |
한편, 대한민국은 3위를 기록하며 값진 동메달을 획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