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된 AFC 주관 19세 이하 축구 대회이다. 아랍에미리트, 이란, 카타르,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일본, 대한민국, 뉴질랜드가 참가했으며, 조별 예선 결과 A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와 일본, B조에서는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대한민국은 일본을,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랍에미리트를 꺾고 결승에 올랐으며, 결승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가 대한민국을 2-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대한민국은 1993년 FIFA U-20 월드컵에 아시아 대표로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청소년 축구 - 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UEFA 주관으로 32개 팀이 참가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의 유럽 지역 예선을 겸하여 이탈리아가 우승하고 덴마크, 이탈리아, 스웨덴, 폴란드가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였다. - 1992년 청소년 축구 - 1992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199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8개국이 참가하여 중국이 우승했으며, 중국과 카타르는 199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 1992년 9월 - 검은 수요일
검은 수요일은 1992년 9월 16일 영국이 유럽 환율 메커니즘에서 탈퇴한 사건으로, 투기 세력의 파운드화 공격과 정부의 방어 실패로 인해 발생했으며, 경제적 충격과 정치적 변화를 야기했지만 이후 예상 밖의 경제 회복을 가져와 평가가 엇갈린다. - 1992년 9월 - 도쿄 사가와큐빈 사건
도쿄 사가와큐빈 사건은 1987년 정치 자금 및 폭력 조직 연루 의혹에서 시작되어 정치인 불법 헌금 수수 의혹을 불러일으키며 55년 체제 붕괴와 정계 개편에 영향을 미쳤다. - 1992년 10월 - 윤금이 피살 사건
1992년 동두천 기지촌에서 발생한 윤금이 피살 사건은 주한미군 병사에 의한 잔혹한 살인으로, 미군의 부실 수사와 미온적 태도가 반미 감정을 고조시키고 한미 관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주한미군 범죄, 기지촌 여성 인권, 한미 SOFA 개정 논의의 중요한 사례로 남아있다. - 1992년 10월 - 1992년 일본 시리즈
1992년 일본 시리즈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대결로, 세이부 라이온스가 4승 3패로 우승했으며, MVP는 이시이 다케히로가 수상했다.
1992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AFC 유스 챔피언십 |
연도 | 1992년 |
개최국 | 아랍에미리트 |
개최 기간 | 9월 24일 – 10월 6일 |
참가 팀 수 | 9개국 |
참가 연맹 | 2개 |
경기장 수 | 1개 |
도시 수 | 1개 |
결과 | |
우승 | 사우디아라비아 |
준우승 | 대한민국 |
3위 | 일본 |
4위 | 아랍에미리트 |
경기 수 | 20 |
총 득점 | 62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90 |
다음 대회 | 1994 |
2. 예선
1992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 팀은 개최국인 아랍에미리트와 각 지역 예선을 통과한 팀들, 그리고 1992년 O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 특별 초청된 뉴질랜드로 구성되었다. 예선은 총 5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의 상위 팀들이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2. 1. 본선 진출팀
1992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 팀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팀 | 진출 자격 |
---|---|
아랍에미리트 | 개최국 |
카타르 | 예선 1조 1위 |
이란 | 예선 1조 2위 |
사우디아라비아 | 예선 2조 1위 |
인도 | 예선 3조 1위 |
태국 | 예선 4조 1위 |
일본 | 예선 5조 1위 |
대한민국 | 예선 5조 2위 |
뉴질랜드 | 1992년 O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특별 출전) |
조별 예선은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A조에서는 개최국 아랍에미리트와 일본이 각각 조 1, 2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B조에서는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가 나란히 승점 6점을 기록하는 치열한 경쟁 끝에, 골득실에서 앞선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3. 조별 예선
3. 1. A조
A조의 모든 경기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렸다.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아랍에미리트 | 3 | 2 | 1 | 0 | 5 | 0 | +5 | 5 |
일본 | 3 | 2 | 0 | 1 | 4 | 2 | +2 | 4 |
이란 | 3 | 1 | 1 | 1 | 2 | 2 | 0 | 3 |
인도 | 3 | 0 | 0 | 3 | 0 | 7 | −7 | 0 |
- '''1992년 9월 25일'''
- * 아랍에미리트 0 - 0 이란
- * 인도 0 - 2 일본
- ** 득점: 야마구치 다카유키 42' (페널티), 사토 가즈키 85' [2]
- '''1992년 9월 27일'''
- * 일본 2 - 0 이란
- ** 득점: 이토 데루요시 1', 야마구치 다카유키 76'
- * 인도 0 - 3 아랍에미리트
- '''1992년 9월 29일'''
- * 아랍에미리트 2 - 0 일본
- * 이란 2 - 0 인도
A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와 일본이 각각 조 1, 2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3. 2. B조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가 나란히 승점 6점을 기록했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대한민국(+9)과 사우디아라비아(+6)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카타르(+4)는 골득실에서 밀려 탈락했다.
날짜 | 팀 1 | 스코어 | 팀 2 | 경기장 |
---|---|---|---|---|
1992년 9월 24일 | 카타르 | 2 - 0 | 사우디아라비아 | 두바이 |
1992년 9월 24일 | 대한민국 | 8 - 1 | 태국 | 두바이 |
1992년 9월 26일 | 뉴질랜드 | 1 - 5 | 대한민국 | 두바이 |
1992년 9월 26일 | 태국 | 0 - 2 | 사우디아라비아 | 두바이 |
1992년 9월 28일 | 뉴질랜드 | 0 - 2 | 태국 | 두바이 |
1992년 9월 28일 | 대한민국 | 3 - 1 | 카타르 | 두바이 |
1992년 9월 30일 | 사우디아라비아 | 3 - 1 | 뉴질랜드 | 두바이 |
1992년 9월 30일 | 태국 | 2 - 3 | 카타르 | 두바이 |
1992년 10월 2일 | 사우디아라비아 | 4 - 0 | 대한민국 | 두바이 |
1992년 10월 2일 | 카타르 | 3 - 0 | 뉴질랜드 | 두바이 |
4.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두바이에서 단판 승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92년 10월 4일에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개최국 아랍에미리트를 연장전 끝에 2-0으로 이겼고, 대한민국은 일본을 2-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1992년 10월 6일에 열린 3·4위전에서는 일본이 아랍에미리트를 3-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열린 결승전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대한민국을 2-0으로 누르고 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준우승을 기록했다.
4. 1. 준결승전
wikitext
4. 2. 3·4위전
山口 貴之|야마구치 타카유키일본어 (84)大柴 健二|오사이 켄지일본어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