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AFC 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년 AFC 아시안컵은 일본에서 개최된 대회로, 예선에는 20개국이 참가하여 6개 조로 나뉘어 본선 진출을 다퉜다. 개최국 일본과 전 대회 우승국 사우디아라비아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일본은 결승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미우라 가즈요시가 최우수 선수, 파하드 알비시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AFC 아시안컵 - 1992년 AFC 아시안컵 예선
1992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1992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해 6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하고 사우디 아라비아와 일본은 자동 진출했다. - 히로시마현의 축구 -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는 일본 히로시마시에 위치한 축구 전용 경기장이며, 2024년 2월에 개장하여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28,520명을 수용할 수 있다. - 1992년 일본 - 미야자와 내각 (개조)
미야자와 내각 (개조)는 정치 개혁을 추진했으나, 자민당 내 갈등과 사건으로 인해 법안 통과에 실패하고, 내각 불신임 결의안 가결과 총선거 패배로 자민당의 장기 집권을 종식시켰다. - 1992년 일본 - 미야자와 내각
미야자와 내각은 미야자와 기이치 총리와 와타나베 미치오 부총리 겸 외무대신을 중심으로 1991년 11월 6일부터 1993년 8월 8일까지 존속했던 자유민주당 중심의 일본 내각이며, 1992년 12월 12일 개각을 통해 일부 구성원이 변경되었다.
1992년 AFC 아시안컵 | |
---|---|
1992년 AFC 아시안컵 | |
기본 정보 | |
대회 이름 | AFC 아시안컵 |
다른 이름 | 第10回アジアカップ1992 |
개최 연도 | 1992 |
개최국 | 일본 |
개최 기간 | 10월 29일 – 11월 8일 |
참가팀 수 | 8 |
연맹 | AFC |
경기장 수 | 3 |
도시 수 | 2 |
결과 | |
우승팀 | 일본 |
우승 횟수 | 1 |
준우승팀 | 사우디아라비아 |
3위팀 | 중국 |
4위팀 | 아랍에미리트 |
통계 | |
총 경기 수 | 16 |
총 득점 | 31 |
총 관중 수 | 316496 |
득점왕 | 파하드 알비시 (3골) |
최우수 선수 | 미우라 가즈요시 |
대회 기록 | |
이전 대회 | 1988 |
다음 대회 | 1996 |
2. 예선
일본은 개최국 자격으로, 사우디아라비아는 1988년 AFC 아시안컵 우승팀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나머지 본선 진출권을 두고 총 20개 국가가 예선에 참가하여 6개 조로 나뉘어 경쟁했으며, 각 조의 1위 팀만이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예선을 통과한 본선 진출국은 다음과 같다.
팀 | 예선 통과 자격 | 예선 통과일 | 이전 출전 기록 |
---|---|---|---|
일본 | 개최국 | 해당 없음 | 1회 (1988년) |
사우디아라비아 | 1988년 AFC 아시안컵 우승 | 1988년 12월 18일 | 2회 (1984년, 1988년) |
카타르 | A조 우승 | 1992년 5월 31일 | 3회 (1980년, 1984년, 1988년) |
아랍에미리트 | B조 우승 | 1992년 5월 30일 | 3회 (1980년, 1984년, 1988년) |
이란 | C조 우승 | 1992년 5월 15일 | 6회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D조 우승 | 1992년 6월 7일 | 1회 (1980년) |
중국 | E조 우승 | 1992년 4월 26일 | 4회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
태국 | F조 우승 | 1992년 6월 23일 | 1회 (1972년) |
2년 후 1994년 아시안 게임 운영 리허설 대회를 겸하여 실제 경기가 열리는 경기장을 사용하였다.
조별 리그는 2개 조로 나뉘어 각 조 상위 2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경기 시간은 일본 표준시 (UTC+9)를 따른다.
한편, 한국은 전 대회에 이어 대학생 및 실업팀 선발 선수 위주로 팀을 구성하여 예선에 참가했으나, 1992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탈락하여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는 아쉬운 결과를 맞았다.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도시 경기장 수용 인원 이미지 히로시마 히로시마 빅 아치 50,000명 히로시마 스타디움 13,800명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구장 정보 없음 -- 오노미치 빙고 경기장 9,245명
4. 조별 리그
4. 1. A조
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비고 |
---|---|---|---|---|---|---|---|---|---|---|
1 | -- 일본 | 4 | 3 | 1 | 2 | 0 | 2 | 1 | +1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2 | -- 아랍에미리트 | 4 | 3 | 1 | 2 | 0 | 2 | 1 | +1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3 | -- 이란 | 3 | 3 | 1 | 1 | 1 | 2 | 1 | +1 | 조별 리그 탈락 |
4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3 | 0 | 1 | 2 | 2 | 5 | -3 | 조별 리그 탈락 |
- 승점은 승리 2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으로 계산되었다.
- 일본과 아랍에미리트는 승점, 득실차, 다득점에서 모두 동률을 이루었으나, 조 추첨 결과 일본이 1위, 아랍에미리트가 2위가 되었다.
'''경기 결과'''
1992년 10월 30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2 | -- 이란 | 빙고 스포츠 파크 경기장, 오노미치 |
득점자: 피우스 (30), 가예그란 (80) 관중: 8,000명 심판: 오메르 알메한나 (사우디아라비아) |
- ---
1992년 10월 30일
- ---
1992년 11월 1일
- ---
1992년 11월 1일
-- 일본 | 1 - 1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
득점자: 나카야마 (80) / 김광민 (29 PK) 관중: 32,000명 심판: 라시드 알자사스 (쿠웨이트) |
- ---
1992년 11월 3일
-- 아랍에미리트 | 2 - 1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
득점자: K. 무바라크 (81), 바키트 (85) / 김광민 (69br>관중: 33,000명 심판:''' 네지 주이니 (튀니지) |
- ---
1992년 11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