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2년 AFC 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년 AFC 아시안컵은 일본에서 개최된 대회로, 예선에는 20개국이 참가하여 6개 조로 나뉘어 본선 진출을 다퉜다. 개최국 일본과 전 대회 우승국 사우디아라비아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일본은 결승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미우라 가즈요시가 최우수 선수, 파하드 알비시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AFC 아시안컵 - 1992년 AFC 아시안컵 예선
    1992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1992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해 6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하고 사우디 아라비아와 일본은 자동 진출했다.
  • 히로시마현의 축구 -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는 일본 히로시마시에 위치한 축구 전용 경기장이며, 2024년 2월에 개장하여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28,520명을 수용할 수 있다.
  • 1992년 일본 - 미야자와 내각 (개조)
    미야자와 내각 (개조)는 정치 개혁을 추진했으나, 자민당 내 갈등과 사건으로 인해 법안 통과에 실패하고, 내각 불신임 결의안 가결과 총선거 패배로 자민당의 장기 집권을 종식시켰다.
  • 1992년 일본 - 미야자와 내각
    미야자와 내각은 미야자와 기이치 총리와 와타나베 미치오 부총리 겸 외무대신을 중심으로 1991년 11월 6일부터 1993년 8월 8일까지 존속했던 자유민주당 중심의 일본 내각이며, 1992년 12월 12일 개각을 통해 일부 구성원이 변경되었다.
1992년 AFC 아시안컵
1992년 AFC 아시안컵
기본 정보
대회 이름AFC 아시안컵
다른 이름第10回アジアカップ1992
개최 연도1992
개최국일본
개최 기간10월 29일 – 11월 8일
참가팀 수8
연맹AFC
경기장 수3
도시 수2
결과
우승팀일본
우승 횟수1
준우승팀사우디아라비아
3위팀중국
4위팀아랍에미리트
통계
총 경기 수16
총 득점31
총 관중 수316496
득점왕파하드 알비시 (3골)
최우수 선수미우라 가즈요시
대회 기록
이전 대회1988
다음 대회1996

2. 예선

일본은 개최국 자격으로, 사우디아라비아1988년 AFC 아시안컵 우승팀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나머지 본선 진출권을 두고 총 20개 국가가 예선에 참가하여 6개 조로 나뉘어 경쟁했으며, 각 조의 1위 팀만이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예선을 통과한 본선 진출국은 다음과 같다.



예선 통과 자격예선 통과일이전 출전 기록
일본개최국해당 없음1회 (1988년)
사우디아라비아1988년 AFC 아시안컵 우승1988년 12월 18일2회 (1984년, 1988년)
카타르A조 우승1992년 5월 31일3회 (1980년, 1984년, 1988년)
아랍에미리트B조 우승1992년 5월 30일3회 (1980년, 1984년, 1988년)
이란C조 우승1992년 5월 15일6회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조 우승1992년 6월 7일1회 (1980년)
중국E조 우승1992년 4월 26일4회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태국F조 우승1992년 6월 23일1회 (1972년)



한편, 한국은 전 대회에 이어 대학생 및 실업팀 선발 선수 위주로 팀을 구성하여 예선에 참가했으나, 1992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탈락하여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는 아쉬운 결과를 맞았다.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년 후 1994년 아시안 게임 운영 리허설 대회를 겸하여 실제 경기가 열리는 경기장을 사용하였다.

도시경기장수용 인원이미지
히로시마히로시마 빅 아치50,000명
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스타디움13,800명
히로시마 스타디움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구장정보 없음--
오노미치빙고 경기장9,245명
빙고 경기장


4. 조별 리그

조별 리그는 2개 조로 나뉘어 각 조 상위 2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경기 시간은 일본 표준시 (UTC+9)를 따른다.

4. 1. A조

A조 순위
순위승점경기비고
1-- 일본4312021+1결선 토너먼트 진출
2-- 아랍에미리트4312021+1결선 토너먼트 진출
3-- 이란3311121+1조별 리그 탈락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301225-3조별 리그 탈락


  • 승점은 승리 2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으로 계산되었다.
  • 일본과 아랍에미리트는 승점, 득실차, 다득점에서 모두 동률을 이루었으나, 조 추첨 결과 일본이 1위, 아랍에미리트가 2위가 되었다.


'''경기 결과'''

1992년 10월 30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 - 2-- 이란빙고 스포츠 파크 경기장, 오노미치
득점자: 피우스 (30), 가예그란 (80)
관중: 8,000명
심판: 오메르 알메한나 (사우디아라비아)


  • ---

1992년 10월 30일

-- 일본0 - 0-- 아랍에미리트빙고 스포츠 파크 경기장, 오노미치
관중: 9,000명
심판: 웨이지훙 (중국)


  • ---

1992년 11월 1일

-- 이란0 - 0-- 아랍에미리트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관중: 25,000명
심판: 자말 알샤리프 (시리아)


  • ---

1992년 11월 1일

-- 일본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득점자: 나카야마 (80) / 김광민 (29 PK)
관중: 32,000명
심판: 라시드 알자사스 (쿠웨이트)


  • ---

1992년 11월 3일

-- 아랍에미리트2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득점자: K. 무바라크 (81), 바키트 (85) / 김광민 (69br>관중: 33,000명
심판:''' 네지 주이니 (튀니지)


  • ---

1992년 11월 3일

-- 일본1 - 0-- 이란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득점자: 미우라 (87br>관중: 37,000명
심판:''' 자말 알샤리프 (시리아)


4. 2. B조

시루스 가예그란 (80분)관중: 8,000명심판: 오메르 알메한나 (사우디아라비아)



1992년 10월 30일

일본0 – 0아랍에미리트빙고 스포츠 파크 경기장, 오노미치
관중: 10,000명
심판: 웨이지훙 (중국)



1992년 11월 1일

이란0 – 0아랍에미리트빙고 스포츠 파크 경기장, 오노미치
관중: 25,000명
심판: 자말 알샤리프 (시리아)



1992년 11월 1일

일본1 – 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나카야마 마사시 (80분)김광민 (29분)
관중: 32,000명
심판: 라시드 알자사스 (쿠웨이트)



1992년 11월 3일

아랍에미리트2 – 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카미스 사드 무바라크 (81분)
주하이르 바키트 빌랄 (85분)
김광민 (69분)
관중: 33,000명
심판: 네지 주이니 (튀니지)



1992년 11월 3일

일본1 – 0이란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미우라 가즈요시 (85분)
관중: 37,000명
심판: 자말 알샤리프 (시리아)


5. 결선 토너먼트

모든 시간은 일본 표준시 (UTC+9) 기준이다.

{| class="wikitable" style="margin: 1em auto; text-align: center;"

|-

! 준결승전 !! 결승전

|- style="vertical-align: top;"

|

11월 6일히로시마
일본3
중국2



| rowspan="2" |

11월 8일히로시마
일본1
사우디아라비아0



|- style="vertical-align: bottom;"

|

11월 6일히로시마
사우디아라비아2
아랍에미리트0



|-

! colspan="2" | 3·4위전

|-

| colspan="2" |

11월 8일히로시마
중국 ()1 (4)
아랍에미리트1 (3)



|}

5. 1. 준결승전

1992년 11월 6일 16시 30분, 히로시마 스타디움에서 개최국 일본중국의 첫 번째 준결승전이 열렸다. 경기 시작 1분 만에 중국의 셰위신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후반전에 일본이 경기를 뒤집었다. 후쿠다 마사히로 (48분), 기타자와 쓰요시 (57분)가 연속골을 넣으며 역전했다. 중국의 리샤오가 70분에 동점골을 넣으며 경기는 다시 원점이 되었지만, 84분 나카야마 마사시가 결승골을 터뜨려 일본이 3-2로 승리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 경기에는 15,000명의 관중이 모였으며, 주심은 이란의 호세인 코슈칸이 맡았다.

같은 날 19시, 같은 장소인 히로시마 스타디움에서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의 두 번째 준결승전이 진행되었다. 팽팽하던 경기는 후반 막판에 갈렸다. 77분 사이드 알오와이란이 선제골을 기록했고, 3분 뒤인 80분 파하드 알비시가 추가골을 넣어 사우디아라비아가 2-0으로 승리하며 결승에 올랐다. 이 경기에는 12,000명의 관중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쿠웨이트의 라시드 알자사스가 맡았다.

5. 2. 3·4위전

1992년 11월 8일 12:00,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중국아랍에미리트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관중은 40,000명이었으며, 튀니지 출신의 네지 주이니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https://web.archive.org/web/20211204133050/http://www.weltfussball.de/spielbericht/asian-cup-1992-in-japan-3-platz-china-va-emirate/ 경기 결과

경기는 전반 10분, 아랍에미리트의 칼리드 이스마일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5분 뒤인 전반 15분 중국의 하오 하이둥이 동점골을 기록했다. 이후 양 팀은 득점 없이 정규 시간 90분과 연장전까지 1-1로 비겨 승부차기로 승부를 가리게 되었다.

승부차기에서는 중국이 4-3으로 승리하며 대회 3위를 차지했다.

'''승부차기 결과'''
순서-- 중국결과-- 아랍에미리트결과
1판 지이실패알 탈리아니실패
2차이 생성공(선수 정보 없음)성공
3우 춘리성공(선수 정보 없음)성공
4펑 웨이궈성공(선수 정보 없음)성공
5푸 위빈성공칼리드 이스마일실패
총점4총점3


5. 3. 결승전

1992년 11월 8일 14시 30분, 히로시마의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결승전이 열렸다. 일본사우디아라비아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약 50,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 주심은 시리아의 자말 알 샤리프가 맡았고, 부심은 대한민국의 노병일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해일이 맡았다.

결승골은 전반 36분에 다카기 다쿠야가 기록했다.

'''선발 명단'''
일본사우디아라비아
포지션등번호선수비고포지션등번호선수비고
GK19마에카와 가즈야GK21샤케르 알-슈자
RB4호리이케 타쿠미경고 45분CB2압둘라 알-도사리경고 88분
CB5하시라타니 테쓰지 (주장)CB4압둘 라흐만 알-루미
CB7이하라 마사미CB5모하메드 알-킬라이위
LB6쓰나미 사토시RM3살렘 알-알라위
DM15요시다 미쓰노리교체 아웃 86분CM6푸아드 안와르 아민 (주장)
RM14키타자와 쓰요시CM8파하드 알-비시경고 70분
LM10루이 라모스경고 69분LM14칼레드 알-무왈리드
AM8후쿠다 마사히로RF7사이드 알-오와이란
CF20다카기 다쿠야득점 36분CF9함자 이드리스교체 아웃 66분
CF11미우라 가즈요시경고 75분LF15유수프 알-투나얀
교체 선수
DF3카쓰야 도시노부교체 투입 86분FW11파하드 알-메할렐교체 투입 66분
감독
네덜란드 한스 오프트브라질 넬싱요 로사


6. 우승국

일본이 1992년 AFC 아시안컵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는 일본의 통산 첫 번째 AFC 아시안컵 우승이다.

7. 최종 순위

wikitext

순위경기수득실차승점
1일본532063+38
2사우디아라비아522183+56
3중국51316605
4아랍에미리트513134-15
5이란311121+13
6카타르302134-12
7태국302115-42
8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01225-31


8. 수상

9. 득점 선수

3골을 기록한 파하드 알비시가 이 대회 득점왕이다. 총 24명의 선수가 자책골 없이 31골을 넣었다.

'''3 골'''



'''2 골'''

'''1 골'''

10. 팀별 득점 순위

wikitext

득점
8사우디아라비아
6중국
일본
3카타르
UAE
2이란
북한
1태국


참조

[1] 웹사이트 How the 1992 Asian Cup awoke Japanese football, the continent's sleeping giant https://web.archive.[...] 2019-01-04
[2] 웹사이트 Asian Cup of Nations 1992 https://www.rsssf.or[...] 2023-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