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요하네스버그, 더반, 블룸폰테인, 포트엘리자베스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나이지리아가 불참하고 기니가 대신 출전하지 못하면서 총 16개국이 참가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튀니지를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잠비아의 칼루샤 부왈랴가 5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자이르, 카메룬, 튀니지 등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고, 나이지리아는 기권했다.
  • 199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프리카 항공 295편 추락 사고
    남아프리카 항공 295편 추락 사고는 1987년 남아프리카 항공 소속 항공기가 인도양 상공에서 화재로 인해 공중 분해되어 탑승자 전원이 사망한 사고로, 화물칸 화재 발생 사실은 밝혀졌으나 정확한 발화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으며 아파르트헤이트 정권과의 연관성 논란이 있다.
  • 1996년 1월 - 1996년 에어아프리카 충돌 사고
    1996년 에어아프리카 충돌 사고는 콩고 민주 공화국 엔돌로 공항에서 발생한 항공 사고로, 과적과 과다 연료 적재로 이륙 중 활주로를 이탈한 안토노프 An-32B 항공기가 시장에 추락하여 225명에서 348명에 이르는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복잡한 임대 계약, 정치적 불안정, 부실한 안전 관리 시스템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 1996년 1월 - 1996년 CONCACAF 골드컵
    1996년 CONCACAF 골드컵은 미국에서 열린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주최 세 번째 대회로, 멕시코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했으며 미국, 멕시코, 캐나다, 온두라스,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트리니다드 토바고,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과 초청팀 브라질 U-23 대표팀이 참가하여 로스앤젤레스, 샌디에이고, 애너하임에서 경기를 진행했다.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연도1996
개최국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회 기간1월 13일 – 2월 3일
참가 팀 수15
경기장 수4
도시 수4
이전 대회1994
다음 대회1998
결과
우승남아프리카 공화국
우승 횟수1
준우승튀니지
3위잠비아
4위가나
통계
총 경기 수29
총 득점 수78
총 관중 수640880
득점왕칼루샤 브왈랴 (5골)
최우수 선수마크 윌리엄스
시각 자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96 공식 로고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도시경기장관중 수용 규모
요하네스버그FNB 경기장80000
더반킹스 파크 경기장52500
블룸폰테인프리스테이트 경기장40000
포트엘리자베스ERPU 경기장33852


3. 예선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1995년 6월 4일부터 1995년 7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전 대회 우승팀인 나이지리아를 제외한 40개 팀이 예선에 참가하여 14장의 본선 진출권을 놓고 경쟁하였다. 나이지리아는 대회 직전 선수들의 안전을 이유로 불참을 선언하였고,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은 나이지리아의 1996년 대회 참가 자격을 박탈하고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 금지 처분을 내렸다.

예선을 통과한 팀은 다음과 같다.

자격 조건자격 획득일이전 대회 출전 기록
가봉5조 우승팀1995년 6월 4일1994년
자이르1조 우승팀1995년 6월 4일1965년, 1968년, 1970년, 1972년, 1974년, 1976년, 1988년, 1992년, 1994년
잠비아5조 준우승팀1995년 7월 15일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2년, 1994년
알제리4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196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앙골라6조 우승팀1995년 7월 30일(첫 출전)
부르키나파소7조 우승팀1995년 7월 30일1978년
카메룬1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1970년, 1972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이집트4조 우승팀1995년 7월 30일1957년, '1959년', 1962년, 1963년, 1970년, 1974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가나3조 우승팀1995년 7월 30일'1963년', 1965년, 1968년, 1970년, '197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92년, 1994년
코트디부아르7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1965년, 1968년, 1970년, 1974년, 1980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라이베리아2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첫 출전)
모잠비크6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1986년
시에라리온3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1994년
튀니지2조 우승팀1995년 7월 30일1962년, 1963년, 1965년, 1978년, 1982년, 1994년


3. 1. 본선 진출국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이 참가했다. 나이지리아는 전 대회 우승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으나, 대회 개막 직전 선수들의 안전을 이유로 불참을 선언했다.[3][4][5] 이는 넬슨 만델라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이 사니 아바차가 이끌던 나이지리아 군부 독재 정부의 인권 운동가 처형을 비난한 것에 대한 반발로 해석되었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은 나이지리아의 1996년 대회 참가 자격을 박탈하고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 금지 처분을 내렸다. 기니가 나이지리아를 대신하여 대회에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성사되지 않았다.[6]

자격 조건자격 획득일이전 대회 출전 기록
남아프리카 공화국개최국해당 없음(첫 출전)
가봉5조 우승팀1995년 6월 4일1994년
자이르1조 우승팀1995년 6월 4일1965년, 1968년, 1970년, 1972년, 1974년, 1976년, 1988년, 1992년, 1994년
잠비아5조 준우승팀1995년 7월 15일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2년, 1994년
알제리4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196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앙골라6조 우승팀1995년 7월 30일(첫 출전)
부르키나파소7조 우승팀1995년 7월 30일1978년
카메룬1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1970년, 1972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이집트4조 우승팀1995년 7월 30일1957년, '1959년', 1962년, 1963년, 1970년, 1974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가나3조 우승팀1995년 7월 30일'1963년', 1965년, 1968년, 1970년, '197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92년, 1994년
코트디부아르7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1965년, 1968년, 1970년, 1974년, 1980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라이베리아2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첫 출전)
모잠비크6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1986년
시에라리온3조 준우승팀1995년 7월 30일1994년
튀니지2조 우승팀1995년 7월 30일1962년, 1963년, 1965년, 1978년, 1982년, 1994년


4. 조별 리그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별 리그에서는 각 조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했다.

4. 1. A조

경기승점
남아프리카 공화국320141+36
이집트320143+16
카메룬311157-24
앙골라301246-21



A조 경기 결과
일시구장경기 결과
1996년 1월 13일FNB 경기장 (요하네스버그)남아프리카 공화국3 – 0카메룬
1996년 1월 15일FNB 경기장 (요하네스버그)이집트2 – 1앙골라
1996년 1월 18일FNB 경기장 (요하네스버그)카메룬2 – 1이집트
1996년 1월 20일FNB 경기장 (요하네스버그)남아프리카 공화국1 – 0앙골라
1996년 1월 24일FNB 경기장 (요하네스버그)남아프리카 공화국0 – 1이집트
1996년 1월 24일킹스 파크 경기장 (더반)앙골라3 – 3카메룬



8강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이집트가 진출했다.

4. 2. B조

경기승점
잠비아321091+87
알제리321041+37
시에라리온310227−53
부르키나파소300339−60

4. 3. C조

경기승점
Gabon|가봉프랑스어210132+13
Zaïre|자이르프랑스어21012203
Liberia|라이베리아영어210123-13
Nigeria|나이지리아영어기권


  • 나이지리아는 대회 개막 직전에 기권했다. 이에 따라 예선에서 탈락한 기니를 참가시킬 계획을 세웠지만 성사되지 않았고, 3팀만이 경기를 치렀다.


경기 결과
날짜팀 1득점팀 2경기장
1996년 1월 16일Gabon|가봉프랑스어1 – 2Liberia|라이베리아영어킹스 파크 경기장, 더반
1996년 1월 19일Gabon|가봉프랑스어2 – 0Zaïre|자이르프랑스어킹스 파크 경기장, 더반
1996년 1월 25일Zaïre|자이르프랑스어2 – 0Liberia|라이베리아영어FNB 경기장, 요하네스버그


4. 4. D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가나9330061+5
튀니지4311154+1
코트디부아르3310225-3
모잠비크1301214-3


  • 가나튀니지가 8강전에 진출하였다.

5. 결선 토너먼트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알제리를 2-1로, 가나가 자이르를 1-0으로 꺾었다. 잠비아이집트를 3-1로 이겼고, 튀니지가봉과 1-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4-1로 승리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가나를 3-0으로, 튀니지가 잠비아를 4-2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잠비아가 가나를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튀니지를 2-0으로 꺾고 대회 첫 우승을 달성했다.

5. 1. 8강전

1996년 1월 27일, 요하네스버그FNB 경기장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알제리의 경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2-1로 승리했다. 피쉬가 후반 72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모쇼에우가 85분에 추가골을 넣었다. 알제리는 라지지가 84분에 한 골을 만회했지만,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이 경기의 관중은 80,000명이었고, 심판은 아랍에미리트의 알리 부자임이었다.

같은 날 블룸폰테인의 프리스테이트 경기장에서는 잠비아이집트를 3-1로 꺾었다. 리타나가 후반 58분, 무탈레가 65분, 로타가 76분에 연속골을 넣으며 잠비아가 승기를 잡았다. 이집트는 S. 카무나가 전반 43분에 한 골을 넣었지만, 추가 득점에는 실패했다. 이 경기의 관중은 8,500명이었고, 심판은 우간다의 찰스 마셈베였다.

1월 28일, 더반의 킹스 파크 경기장에서는 가봉튀니지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튀니지가 4-1로 승리했다. 바야가 전반 10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마카야가 16분에 동점골을 넣었다. 승부차기에서는 셀리미, 페키, 벤 슬리마네, 엘 오에르가 모두 성공시킨 튀니지가 승리했다. 가봉은 마카야와 응고마가 실축하고 베코고만이 성공했다. 이 경기의 관중은 4,000명이었고, 심판은 모리셔스의 림 키 충이었다.

같은 날 포트엘리자베스의 EPRU 경기장에서는 가나가 자이르를 1-0으로 이겼다. 예보아가 전반 22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이 경기의 관중은 8,000명이었고, 심판은 말리의 시디 베카예 마가사였다.

경기일경기장팀 1득점팀 2비고
1996년 1월 27일FNB 경기장, 요하네스버그남아프리카 공화국2 – 1알제리
1996년 1월 27일프리스테이트 경기장, 블룸폰테인잠비아3 – 1이집트
1996년 1월 28일킹스 파크 경기장, 더반가봉1 – 1 (연장전)튀니지승부차기: 튀니지 4-1 승
1996년 1월 28일EPRU 경기장, 포트엘리자베스가나1 – 0자이르


5. 2. 준결승전

1996년 1월 31일에 두 경기가 열렸다. 요하네스버그FNB 경기장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가나의 경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3-0으로 승리했다. 이날 경기에서 모쇼에우는 2골(22분, 87분)을, 바틀렛은 1골(46분)을 기록했다. 이 경기의 심판은 이집트의 가말 알-간두르였으며, 75,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1]

같은 날 더반의 킹스 파크 경기장에서 열린 잠비아튀니지의 경기에서는 튀니지가 4-2로 승리했다. 잠비아는 로타(68분)와 마카사(90분)가 득점했고, 튀니지는 셀리미(16분, 85분-페널티킥), 바야(20분), 고드바네(47분)가 득점했다. 이 경기의 심판은 니제르의 뤼시앵 부샤도였으며, 5,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2]

5. 3. 3·4위전

1996년 2월 3일 요하네스버그FNB 경기장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잠비아가나를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존슨 뱔랴가 후반 6분에 결승골을 기록하였다.[1]

5. 4. 결승전

1996년 2월 3일, 요하네스버그FNB 스타디움에서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이 열렸다. 이 경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튀니지를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8만 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우간다 출신 찰스 마셈베 심판의 주관으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마크 윌리엄스는 후반 73분과 75분에 연속골을 터뜨리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1]

이로써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첫 우승을 달성하였다.[1]

6. 우승

'''남아프리카 공화국'''
'''첫 번째 우승'''

1996년 2월 3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요하네스버그의 FNB 스타디움에서 열린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튀니지를 2-0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1] 마크 윌리엄스가 후반 73분과 75분에 연속골을 기록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승리를 이끌었다.[1] 이날 경기는 8만 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찰스 마셈베 (우간다) 주심이 진행하였다.[1]

7. 최종 순위

순위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남아프리카 공화국6501112+915
2튀니지6222109+18
3잠비아6411156+913
4가나640275+212
5알제리421153+27
6이집트420256-16
7가봉311143+14
8자이르310223-13
9카메룬311157-24
10라이베리아210123-13
11코트디부아르310225-33
12시에라리온310227-53
13앙골라301246-21
14모잠비크301214-31
15부르키나파소300339-60


8. 개인 기록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총 29경기에서 78골이 기록되었다.


  • 득점왕: 칼루샤 부왈랴 (5골)

  • 득점 순위

순위선수득점
1칼루샤 부왈랴5
2존 모쇼에우4
2마크 윌리엄스4
3아베디 펠레3
3아흐메드 엘-카스3
3이메드 벤 유네스3
3데니스 로타3
4알리 메카비2
4킨지뉴2
4프랑수아 오맘-비이키2
4브라이스 마카야2
4토니 예보아2
4주베르 바야2
4아델 셀리미2
4존슨 부왈랴2
4케네스 말리톨리2


  • 1골 기록 선수

: 빌렐 지리, 타레크 라지지, 칼레드 루니시

: 조니, 파울랑

: 아부바카리 우에드라오고, 유수프 트라오레, 부레마 종고

: 조르주 무이에메, 알퐁스 차미

: 조엘 티에히, 무사 트라오레

: 사미르 이브라힘, 알리 마헤르

: 오렐리앵 베코고, 기 은젠

: 펠릭스 아보아지에, 찰스 아코노르, 콰메 아예우

: 매스 사르 주니어, 켈빈 세브웨

: 티코-티코

: 모하메드 칼론, 그바사이 세사이

: 숀 바틀렛, 마크 피쉬, 필 마신가

: 압델카데르 벤 하센, 헤디 베르키사, 카이에스 고드바네

: 리옴비 에센데, 로제 루카쿠

: 엘리야 리타나, 힐러리 마카사, 빈센트 무탈레

  • 자책골: 헬데르 비센테 (카메룬전)

  • 베스트 11

포지션선수
GK쇼크리 엘 우아르
DF야세르 라드완
DF마크 피쉬
DF엘리야 라이타나
DF아이작 아사레
MF주베르 바야
MF하젬 에맘
MF아베디 펠레
MF마크 윌리엄스
FW칼루샤 부왈랴
FW안토니 예보아


참조

[1] 웹사이트 Nigerian players back boycott of finals https://www.independ[...] 1996-01-10
[2] 뉴스 'South Africa's Rugby World Cup win was big – but this was even bigger' https://www.bbc.com/[...] 2022-02-03
[3] 뉴스 "<해외스포츠>나이지리아, 阿'컵 출전 포기" https://v.daum.net/v[...] 1995-12-31
[4] 뉴스 나이지리아 아프리카컵축구 불참 https://newslibrary.[...] 1996-01-01
[5] 뉴스 "<해외스포츠> 나이지리아, 阿'컵 불참 재천명" https://v.daum.net/v[...] 1996-01-06
[6] 뉴스 "<해외축구>CAF,나이지리아 아프리카컵 출전금지" https://v.daum.net/v[...] 1996-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