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부르키나파소에서 개최되었으며, 와가두구와 보보디울라소의 경기장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나이지리아는 1996년 대회 기권으로 인해 예선 출전이 금지되었으며, 예선을 거쳐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이집트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콩고 민주 공화국은 3위, 부르키나파소는 4위를 기록했다. 호삼 하산과 베니 맥카시가 7골로 공동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부르키나파소에서 개최될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대회로, 예비 라운드와 조별 리그를 거쳐 가나, 앙골라, 코트디부아르 등 14개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나이지리아는 기권으로 출전 금지, 감비아 등 5개국은 예선 도중 기권했다.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기타 명칭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COCA-COLA African Cup of Nations Burkina Faso 1998
Coupe d'Afrique des nations de football 1998
개최국부르키나파소
대회 기간1998년 2월 7일 – 2월 28일
참가 팀 수16
경기장 수3
도시 수2
우승 팀에집트
우승 횟수4
준우승 팀남아프리카 공화국
3위 팀콩고 민주 공화국
4위 팀부르키나파소
총 경기 수32
총 득점 수93
총 관중 수388800
최다 득점 선수호삼 하산
베니 매카시
최다 득점7골 (각 선수)
최우수 선수베니 매카시
이전 대회1996
다음 대회2000
엠블럼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공식 로고
199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공식 로고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개최 도시 및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와가두구보보디울라소와가두구
스타드 드 카트르-우스타드 옴니스포르스타드 뮈니시팔
수용 인원: 40,000명수용 인원: 40,000명수용 인원: 30,000명
스타드 옴니스포르
스타드 뮈니시팔 (와가두구)


3. 예선

나이지리아1996년 대회 본선 진출 자격을 이미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회에 기권했기 때문에 이번 대회 예선 출전이 금지되었다. 또한 다음 국가들은 1996년 대회 예선 도중 기권하여 이번 대회 예선 출전이 금지되었다.

3. 1. 본선 진출국

다음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굵은 글씨는 해당 연도의 우승팀, ''이탤릭체''는 개최국을 나타낸다.

예선 통과 자격예선 통과 날짜이전 토너먼트 참가 횟수
부르키나파소개최국2 (1978년, 199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전년도 우승팀1996년 2월 3일1 ('1996년')
가나1조 우승팀1997년 7월 13일11 ('1963년', 1965년, 1968년, 1970년, '197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92년, 1994년,
1996년)
기니4조 준우승팀1997년 7월 13일5 (1970년, 1974년, 1976년, 1980년, 1994년)
튀니지4조 우승팀1997년 7월 13일7 (1962년, 1963년, 1965년, 1978년, 1982년, 1994년, 1996년)
알제리2조 준우승팀1997년 7월 27일9 (1968년, 1980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6년)
앙골라6조 준우승팀1997년 7월 27일1 (1996년)
카메룬5조 우승팀1997년 7월 27일9 (1970년, 1972년, 1982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6년)
콩고 민주 공화국6조 준우승팀1997년 7월 27일10 (1965년, 1968년, 1970년, 1972년, 1974년, 1976년, 1988년, 1992년, 1994년, 1996년)
이집트3조 준우승팀1997년 7월 27일15 (1957년, '1959년', 1962년, 1963년, 1970년, 1974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코트디부아르2조 우승팀1997년 7월 27일12 (1965년, 1968년, 1970년, 1974년, 1980년,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모로코3조 우승팀1997년 7월 27일7 (1972년, 1976년, 1978년, 1980년, 1986년, 1988년, 1992년)
모잠비크7조 준우승팀1997년 7월 27일2 (1986년, 1996년)
나미비아5조 준우승팀1997년 7월 27일0 (데뷔)
토고6조 우승팀1997년 7월 27일2 (1972년, 1984년)
잠비아7조 우승팀1997년 7월 27일8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4. 조별 리그

모든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인 그리니치 표준시(협정 세계시, UTC+0)를 따른다. 각 조에서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한다.

4. 1. A조

경기승점
카메룬321053+27
부르키나파소320132+16
기니31113304
알제리300325−30


  • '''초록색'''으로 표시된 팀은 8강전에 진출한다.

4. 2. B조

경기승점
튀니지320154+16
콩고 민주 공화국320143+16
가나31023303
토고310246−23


  • ---

'''콩고 민주 공화국''' 2 – 1 '''토고'''

:'''날짜''': 1998년 2월 9일 16:00

:'''장소''': 와가두구 시립 경기장

  • ---

'''가나''' 2 – 0 '''튀니지'''

:'''날짜''': 1998년 2월 9일 20:30

:'''장소''': 와가두구 4월 4일 경기장

  • ---

'''튀니지''' 2 – 1 '''콩고 민주 공화국'''

:'''날짜''': 1998년 2월 12일 16:00

:'''장소''': 와가두구 시립 경기장

  • ---

'''토고''' 2 – 1 '''가나'''

:'''날짜''': 1998년 2월 12일 20:30

:'''장소''': 와가두구 4월 4일 경기장

  • ---

'''콩고 민주 공화국''' 1 – 0 '''가나'''

:'''날짜''': 1998년 2월 16일 17:00

:'''장소''': 와가두구 4월 4일 경기장

  • ---

'''튀니지''' 3 – 1 '''토고'''

:'''날짜''': 1998년 2월 16일 17:00

:'''장소''': 와가두구 시립 경기장

4. 3. C조

경기승점
코트디부아르3210106+47
남아프리카 공화국312052+35
앙골라302158−32
나미비아3012711−41


  • ---

1998년 2월 8일 15:00

남아프리카 공화국 0 – 0 앙골라

경기장: 스타드 뮤니시펄, 보보디울라소

  • ---

1998년 2월 8일 18:00

코트디부아르 4 – 3 나미비아

경기장: 스타드 뮤니시펄, 보보디울라소

  • ---

1998년 2월 11일 17:15

코트디부아르 1 – 1 남아프리카 공화국

경기장: 스타드 뮤니시펄, 보보디울라소

  • ---

1998년 2월 12일 18:15

앙골라 3 – 3 나미비아

경기장: 스타드 뮤니시펄, 보보디울라소

  • ---

1998년 2월 16일 20:00

코트디부아르 5 – 2 앙골라

경기장: 스타드 뮤니시펄, 와가두구

  • ---

1998년 2월 16일 20:00

남아프리카 공화국 4 – 1 나미비아

경기장: 스타드 뮤니시펄, 보보디울라소

4. 4. D조

wikitext

경기승점
모로코321051+47
이집트320161+56
잠비아311146−24
모잠비크300318−70



1998년 2월 9일 18:15, 스타드 뮤니시펄, 보보디울라소


모로코 1 – 1 잠비아

1998년 2월 10일 18:00, 스타드 뮤니시펄, 보보디울라소


이집트 2 – 0 모잠비크

1998년 2월 13일 17:00, 스타드 뮤니시펄, 보보디울라소


이집트 4 – 0 잠비아

1998년 2월 13일 20:00, 스타드 뮤니시펄, 보보디울라소


모로코 3 – 0 모잠비크

1998년 2월 17일 16:00, 스타드 뮤니시펄, 보보디울라소


잠비아 3 – 1 모잠비크

1998년 2월 17일 16:00, 스타드 뮤니시펄, 와가두구


모로코 1 – 0 이집트

5.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1998년 2월 20일부터 2월 28일까지 녹아웃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 순서로 치러졌다. 경기는 주로 부르키나파소의 수도 와가두구에 위치한 4월 4일 경기장(수용 인원 40,000명)과 와가두구 시립 경기장(수용 인원 30,000명), 그리고 보보디울라소의 제네랄 아부바카르 상굴레 라미자나 경기장(수용 인원 40,000명)에서 열렸다.

와가두구 4월 4일 경기장


8강전은 1998년 2월 20일부터 2월 22일까지 열렸다. 콩고 민주 공화국카메룬을, 남아프리카 공화국모로코를, 개최국 부르키나파소튀니지를, 이집트코트디부아르를 각각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특히 부르키나파소와 이집트는 승부차기 끝에 다음 라운드에 올랐다.

준결승전은 1998년 2월 25일에 치러졌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연장전 접전 끝에 콩고 민주 공화국을 2-1로 이겼고, 이집트는 개최국 부르키나파소를 2-0으로 누르고 결승에 진출했다.

1998년 2월 27일에 열린 3·4위전에서는 콩고 민주 공화국부르키나파소와 정규 시간 및 연장전에서 4-4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1로 승리하여 3위를 차지했다.

1998년 2월 28일 와가두구의 4월 4일 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이집트남아프리카 공화국을 2-0으로 꺾고 통산 네 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을 달성했다.

5. 1. 8강전

(승부차기 7 – 8)부르키나파소튀니지: 아센 가브시 (89
부르키나파소:'' 카숨 웨드라오고 (45 페널티킥)35,000임 키촌 (모리셔스)1998년 2월 21일20:00스타드 뮤니시펄, 와가두구코트디부아르0 – 0 (연장)
(승부차기 4 – 5)이집트20,000이안 매클라우드 (남아프리카 공화국)1998년 2월 22일16:00스타드 뮤니시펄, 와가두구모로코1 – 2남아프리카 공화국모로코: 사이드 시바 (36
남아프리카 공화국:'' 베네딕트 매카시 (22), 데이비드 냐티 (79')2,000뤼시앙 부샤르도 (니제르)


5. 2. 준결승전

1998년 2월 25일 16:00, 와가두구의 스타드 두 4-아우트에서 열린 첫 번째 준결승전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을 연장 접전 끝에 2-1로 꺾었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에디 방부아나-케베가 48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베니 맥카시가 60분 동점골과 연장 후반 112분에 결승골을 기록하며 팀을 결승으로 이끌었다. 경기는 4,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찰스 마센베 (우간다) 심판이 주관했다.

같은 날 20:00, 보보디울라소의 스타드 뮤니시펄에서 열린 두 번째 준결승전에서는 이집트가 개최국 부르키나파소를 2-0으로 제압했다. 호삼 하산이 40분과 71분에 연속 골을 터뜨리며 이집트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 경기에는 40,000명의 관중이 모였으며, 킴 밀톤 닐센 (덴마크) 심판이 경기를 진행했다.

이 결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이집트가 결승전에 진출했다.

5. 3. 3·4위전

1998년 2월 28일 16:00, 와가두구의 스타드 뮈니시팔에서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이집트 출신의 가말 알간두르 심판이 주관했으며, 25,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

콩고 민주 공화국과 개최국 부르키나파소가 맞붙어, 정규 시간과 연장전까지 총 8골을 주고받는 난타전 끝에 4-4 무승부를 기록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는 로켄게 뭉공고가 76분과 89분에, 반자 카송고가 86분에, 제리 톤델라가 88분에 각각 득점했다. 부르키나파소에서는 알라산 웨드라오고가 6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우마르 바로가 52분, 시디 나퐁이 56분, 이브라히마 탈레가 86분에 득점하며 응수했다.

결국 승부차기로 승패를 가리게 되었고, 콩고 민주 공화국이 4-1로 승리하며 대회 3위를 차지했다.

'''득점 상세'''

콩고 민주 공화국시간부르키나파소
6'알라산 웨드라오고
52'우마르 바로
56'시디 나퐁
로켄게 뭉공고76'
반자 카송고86'이브라히마 탈레
제리 톤델라88'
로켄게 뭉공고89'



'''승부차기'''

순서콩고 민주 공화국결과부르키나파소결과
1심바성공S. 트라오레실패
2마말레성공F. 사누성공
3키솜베성공디아바테실패
4셀렝게성공


5. 4. 결승전

1998년 2월 28일 16:00,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에 위치한 스타드 드 카트르-우에서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이 경기에서 이집트남아프리카 공화국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전반 초반 이집트의 공세가 이어졌다. 경기 시작 5분 만에 아흐마드 하산이 선제골을 넣었고, 곧이어 13분에 타레크 모스타파가 추가골을 성공시키며 이집트가 2-0으로 앞서나갔다.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만회골을 넣기 위해 노력했지만, 이집트의 수비를 뚫지 못하고 경기는 그대로 종료되었다.

이날 경기장에는 40,000명의 관중이 들어찼으며, 주심은 모로코 출신의 사이드 벨콜라가 맡았다. 이 승리로 이집트는 통산 네 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6. 우승

이집트
네 번째 우승



1998년 2월 28일 와가두구의 스타드 뒤 4-오트에서 결승전이 열렸다. 이집트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상대로 전반 5분 아흐메드 하산의 골과 전반 13분 타레크 모스타파의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는 40,000명의 관중이 모였으며, 주심은 모로코 출신의 사이드 벨콜라가 맡았다. 이집트는 이 우승으로 통산 네 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정상에 올랐다.

7. 최종 순위

wikitext

순위경기수득실차승점
1이집트6411101+913
2남아프리카 공화국632196+311
3콩고 민주 공화국6312109+110
4부르키나파소622289-18
5코트디부아르4220106+48
6모로코421163+37
7튀니지421165+17
8카메룬421154+17
9기니31113304
10잠비아311146-24
11가나31023303
12토고310246-23
13앙골라302158-32
14나미비아3012711-41
15알제리300325-30
16모잠비크300318-70


8. 개인 기록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8. 1. 득점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