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말레이시아의 6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는 총 24개 팀이 참가했으며, 조별 리그를 거쳐 16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아르헨티나가 우루과이를 결승전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아다이우통(브라질)이 득점왕, 니콜라스 올리베라(우루과이)가 골든볼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청소년 축구 - 1997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1997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이집트에서 개최되어 브라질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호나우지뉴, 이케르 카시야스, 사비 에르난데스 등 미래의 축구 스타들이 참가했다.
  •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1997년 8월 1일부터 10일까지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된 국제 육상 대회로, 세르히 부브카의 장대높이뛰기 우승 등 세계적인 선수들이 기량을 겨뤘으나 도핑 적발 및 판정 논란 등의 사건도 있었다.
  •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997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1997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이집트에서 개최되어 브라질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호나우지뉴, 이케르 카시야스, 사비 에르난데스 등 미래의 축구 스타들이 참가했다.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다른 명칭Piala Dunia B-20 FIFA 1997
Piala Dunia Belia FIFA 1997
1997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로고
1997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개최국말레이시아
개최 기간1997년 6월 16일 – 1997년 7월 5일
참가 팀 수24개국
참가 연맹 수6
개최 도시 수6
경기장 수6
경기 수52
총 득점165
총 관중 수655827
결과
우승아르헨티나 (3회)
준우승우루과이
3위아일랜드
4위가나
페어 플레이 상아르헨티나
개인 수상
최다 득점자아다이우통 (10골)
최우수 선수니콜라스 올리베라
대회 연혁
이전 대회1995년
다음 대회1999년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경기는 6개의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도시경기장수용 인원
샤알람샤알람 스타디움80,000명
알로르스타르다룰 아만 스타디움32,387명
조호르바루탄 스리 다토 하지 하산 유노스 스타디움30,000명
캉아르투앙쿠 셰드 푸트라 스타디움20,000명
쿠안탄다룰 막무르 스타디움40,000명
쿠칭사라왁 스타디움40,000명


3. 본선 진출 팀

총 2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연맹예선본선 진출 팀
AFC (아시아)199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CAF (아프리카)1997년 아프리카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CONCACAF (북중미&카리브)1996년 CONCACAF U-20 토너먼트


CONMEBOL (남아메리카)1997년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


OFC (오세아니아)1997년 O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유럽)1996년 UEFA U-18 축구 선수권 대회




개최국

4. 조별 리그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조별 리그는 6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1, 2위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상위 4개 팀이 16강에 진출했다.


  • 시간은 현지 시간 (UTC+8)


각 조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A조: 우루과이, 모로코, 벨기에 16강 진출, 말레이시아 탈락.
  • B조: 브라질, 프랑스 16강 진출,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한민국 탈락.
  • C조: 가나, 아일랜드, 미국 16강 진출, 중국 탈락.
  • D조: 스페인, 일본 16강 진출, 파라과이, 코스타리카 탈락.
  • E조: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16강 진출, 헝가리 탈락.
  • F조: 잉글랜드, 멕시코, 아랍에미리트 16강 진출, 코트디부아르 탈락.


각 조 3위 팀 간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경기승점
A벨기에31114404
E캐나다31113304
C미국310223-13
F아랍에미리트3102210-83
D파라과이302156-12
B남아프리카 공화국301226-41



벨기에, 캐나다, 미국, 아랍에미리트가 16강에 추가로 진출했다.

4. 1. A조

득점: 세크티우이 , 캄마 , 엘바로디1997년 6월 17일 20:003 – 0샤알람 스타디움2,000명득점: 포데스타 , 코엘료1997년 6월 19일 17:301 – 3샤알람 스타디움10,000명득점: 파들리
득점: 살라예타 , 할렛 , 로페스1997년 6월 19일 20:001 – 1샤알람 스타디움8,000명득점: 테르미나
득점: 판 한덴호번1997년 6월 22일 17:300 – 3샤알람 스타디움25,000명득점: 판 한덴호번 , 르마클1997년 6월 22일 20:000 – 0샤알람 스타디움25,000명


4. 2. B조

, 가 16강에 진출하였고, , 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 대한민국은 브라질에 3-10으로 대패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1]

B조 경기 결과
경기승점
3300153+129
320187+16
301226-41
3012514-91



일시팀 1팀 2경기장
1997년 6월 17일0 – 0사라왁 스타디움, 쿠칭
1997년 6월 17일0 – 3사라왁 스타디움, 쿠칭
1997년 6월 19일2 – 4사라왁 스타디움, 쿠칭
1997년 6월 19일0 – 2사라왁 스타디움, 쿠칭
1997년 6월 22일3 – 10사라왁 스타디움, 쿠칭
1997년 6월 22일2 – 4사라왁 스타디움, 쿠칭


4. 3. C조

, , 16강 진출. 조별 리그 탈락.[3]

경기승점
321042+27
31114404
310223-13
302123-12

4. 4. D조

는 3승으로 16강에 진출하였고, 는 1승 1무 1패로 그 뒤를 이었다. 는 2무 1패, 는 1무 2패로 탈락하였다.

경기승점
330082+69
3111107+34
align=left |302156-12
align=left |3012311-81



경기 결과
일시팀 1팀 2경기장관중
1997년 6월 18일 17:301 – 2다룰막무르 스타디움 (쿠안탄)5,000명
득점: 이나가와
득점: 파리뇨스 , 안굴로
1997년 6월 18일 20:001 – 1다룰막무르 스타디움 (쿠안탄)5,000명
득점: 브라이스
득점: 로만
1997년 6월 20일 17:306 – 2다룰막무르 스타디움 (쿠안탄)9,000명
득점: 오노 , 나카무라 , 죠죠 , 후쿠다 , 나가이
득점: 레데즈마 , 솔리스
1997년 6월 20일 20:002 – 1다룰막무르 스타디움 (쿠안탄)9,000명
득점: 데우스
득점: 모리니고
1997년 6월 23일 17:303 – 3다룰막무르 스타디움 (쿠안탄)5,000명
득점: 죠죠 , 히로야마 , 이나가와
득점: 카세레스 , 다 실바 , 사무디오
1997년 6월 23일 20:004 – 0다룰막무르 스타디움 (쿠안탄)5,000명
득점: 리베라 , 알벨다 , 파리뇨스 , 리베라


4. 5. E조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320185+36
321053+27
31113304
300316-50



E조에서는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가 16강에 진출했고, 헝가리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4. 6. F조

, , 3팀은 16강에 진출하였고, 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F조 순위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잉글랜드330081+79
멕시코311162+44
아랍에미리트3102210-83
코트디부아르301225-31

4. 7. 16강행을 위한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 , , 는 16강에 진출하였다. , 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

경기승점결과
A3111440416강전 진출
E31113304
C310223-13
F3102210-83
D302156-12조별 리그 탈락
B301226-41


5. 결선 토너먼트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의 결선 토너먼트는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진행되었다.

16강전에서는 브라질벨기에를 10-0으로 대파하며 대회 최다 점수 차 승리 기록을 세웠고,[1] 아르헨티나브라질을 2-0으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 우루과이프랑스와 승부차기 끝에 8강에 진출했고, 일본가나에 연장전 끝에 패하며 8강 진출에 실패했다.

8강전, 준결승전을 거쳐 결승전에서는 아르헨티나우루과이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3, 4위전에서는 아일랜드가나를 2-1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1]

5. 1. 16강전

16강전은 1997년 6월 25일, 26일, 29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경기일시간팀1득점팀2경기장관중
1997년 6월 25일16:15브라질10 - 0벨기에사라왁 스타디움 (쿠칭)8,267명
1997년 6월 25일17:30우루과이3 - 0미국샤알람 스타디움 (샤알람)2,500명
1997년 6월 25일19:15멕시코0 - 1프랑스사라왁 스타디움 (쿠칭)10,101명
1997년 6월 25일20:30아일랜드2 - 1 (연장)모로코샤알람 스타디움 (샤알람)3,000명
1997년 6월 26일16:30오스트레일리아0 - 1일본우타마 스타디움[2] (캉가르)8,000명
1997년 6월 26일17:15잉글랜드1 - 2아르헨티나탄 스리 다토 하지 하산 유노스 스타디움 (조호르바루)17,000명
1997년 6월 26일19:40가나3 - 0아랍에미리트다룰 아만 스타디움 (알로르 세타르)17,000명
1997년 6월 26일19:40스페인2 - 0캐나다다룰막무르 스타디움 (쿠안탄)10,000명
1997년 6월 29일17:00우루과이1 - 1 (연장, 승부차기 7-6)프랑스샤알람 스타디움 (샤알람)9,000명
1997년 6월 29일17:00아르헨티나2 - 0브라질사라왁 스타디움 (쿠칭)34,896명
1997년 6월 29일20:00스페인0 - 1아일랜드샤알람 스타디움 (샤알람)9,000명
1997년 6월 29일20:00일본1 - 2 (연장)가나탄 스리 다토 하지 하산 유노스 스타디움 (조호르바루)18,700명

5. 2. 8강전

(PSO 7-6)France|프랑스프랑스어샤알람 스타디움9,000명팔라 은도예1997년 6월 29일20:00Spain|스페인es0 - 1Republic of Ireland|아일랜드영어샤알람 스타디움9,000명레온 파드로 보르하1997년 6월 29일17:00Argentina|아르헨티나es2 - 0Brazil|브라질pt사라왁 스타디움34,896명질 베시에르1997년 6월 29일20:00Japan|일본일본어1 - 2
(AET)Ghana|가나영어라킨 스타디움18,700명우발도 아키노1997년 7월 2일16:30Republic of Ireland|아일랜드영어0 - 1Argentina|아르헨티나es사라왁 스타디움14,976명김영주1997년 7월 2일20:30Uruguay|우루과이영어3 - 2
(AET)Ghana|가나영어샤알람 스타디움15,000명칼에리크 닐손


5. 3. 준결승전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준결승전은 1997년 7월 2일에 열렸다.

5. 4. 3·4위전

1997년 7월 5일 17시 30분, 샤 알람 스타디움에서 가나아일랜드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가나는 술레가 전반 5분에 득점하였고, 아일랜드는 베이커가 전반 2분, 더프가 전반 33분에 득점하여 아일랜드가 2-1로 승리했다.[1] 관중 수는 28,000명이었으며, 심판은 자메이카의 피터 프렌더개스트가 맡았다.

가나아일랜드
술레 (전반 5분)1 - 2베이커 (전반 2분)
더프 (전반 33분)


5. 5. 결승전

1997년 7월 5일 20시 30분, 말레이시아 샤알람샤알람 스타디움에서 1997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우루과이아르헨티나에 1-2로 패배했다. 가르시아가 전반 15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캄비아소가 전반 26분에 동점골을, 킨타나가 전반 43분에 역전골을 넣어 아르헨티나가 승리했다. 이날 경기에는 62,000명의 관중이 입장했으며, 쿠웨이트의 사드 마네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1]

우루과이 선수 정보
포지션번호이름비고
GK1구스타보 무뉴아
DF2알바로 페레아
DF3마르틴 리바스
DF4카를로스 디아스
DF6세사르 펠레그린
DF13알레한드로 멜로뇨
MF5파블로 가르시아
MF7크리스티안 카예하스
MF8파비안 코엘료
FW9마르셀로 잘라예타
FW10니콜라스 올리베라
MF15마리오 레게이로
MF18세바스티안 카르타헤나
FW17로드리고 로페스
감독: 빅토르 푸아



아르헨티나 선수 정보
포지션번호이름비고
GK1레오 프랑코
RB18리오넬 스칼로니
CB3발터 사무엘
CB13파비안 쿠베로
LB2레안드로 쿠프레
DM5에스테반 캄비아소
RM4후안 세리수엘라
LM14디에고 플라센테
AM8후안 로만 리켈메
SS7디에고 킨타나
CF9베르나르도 로메오
MF10파블로 아이마르
MF11파블로 로드리게스
FW15마르틴 페레스린도
감독: 호세 페케르만


6. 우승

'''아르헨티나'''
'''3번째 우승'''

7. 수상

골든슈골든볼페어플레이상
아다이우통니콜라스 올리베라아르헨티나


8. 최종 순위

순위경기수득실차승점
1아르헨티나7601157+818
2우루과이7421146+814
3아일랜드741297+213
4가나7412128+413
5브라질5401255+2012
6스페인5401103+712
7프랑스5311108+210
8일본5212129+37
9잉글랜드430193+69
10오스트레일리아421154+17
11모로코412154+15
12멕시코411263+34
13캐나다411235-24
14벨기에4112414-104
15미국410326-43
16아랍에미리트4103213-113
17파라과이302156-12
18중국302123-12
19코트디부아르301225-31
20남아프리카 공화국301226-41
21코스타리카3012311-81
22대한민국3012514-91
23헝가리300316-50
24말레이시아300329-70

[1]

참조

[1] 문서 FIFA Official Report on Júnior
[2] 문서 FIFA Record on Stadium for the Match
[3] 문서 FIFA Match Record
[4] 문서 FIFA Information on Group E Stadi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