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57kg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57kg급 경기는 2000년 9월 28일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의 스테이트 스포츠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정재은(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쩐히에우응언(베트남)을 꺾고 금메달을, 쩐히에우응언이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하미데 븍츤 토순(튀르키예)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경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패자부활전을 통해 동메달 수상자를 결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 경기는 9월 30일 시드니에서 12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에서 천중이 금메달을, 동메달 결정전에서 도미니크 보샤르와 나타샤 베즈마르가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49kg급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49kg급 경기는 시드니에서 진행되었으며, 로렌 번스가 금메달을, 우비아 멜렌데스가 은메달을, 지수루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0년 태권도 -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 경기는 9월 30일 시드니에서 12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에서 천중이 금메달을, 동메달 결정전에서 도미니크 보샤르와 나타샤 베즈마르가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0년 태권도 -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49kg급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49kg급 경기는 시드니에서 진행되었으며, 로렌 번스가 금메달을, 우비아 멜렌데스가 은메달을, 지수루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67kg급 경기는 9월 30일 시드니에서 12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에서 천중이 금메달을, 동메달 결정전에서 도미니크 보샤르와 나타샤 베즈마르가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49kg급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49kg급 경기는 시드니에서 진행되었으며, 로렌 번스가 금메달을, 우비아 멜렌데스가 은메달을, 지수루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57kg급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종목 | 여자 57kg급 태권도 |
대회 | 2000년 하계 올림픽 |
개최지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경기장 | 스테이트 스포츠 센터 |
날짜 | 2000년 9월 28일 |
참가 선수 | 12명 |
참가 국가 | 12개국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정재은 |
금메달 국가 | 대한민국 |
은메달 | 쩐히에우응언 |
은메달 국가 | 베트남 |
동메달 | 하미데 븍츤 토순 |
동메달 국가 | 튀르키예 |
올림픽 태권도 | |
이전 대회 | 1992 |
다음 대회 | 2004 |
2. 경기장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57kg급 경기는 시드니의 스테이트 스포츠 센터에서 열렸다. 이곳에서는 태권도 외에도 탁구 경기가 진행되었다.
모든 시간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여름시간(UTC+10:00) 기준이다.
3. 일정
2000년 9월 28일에 예선전(16강), 8강, 준결승전(4강), 금메달 결정전이 모두 진행되었다. 경기 시간은 하위 섹션 "경기 시간"에 상세히 나와있다.
3. 1. 경기 시간
모든 시간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여름 시간 (UTC+10:00) 기준이다.[1]
날짜 | 시간 | 경기 |
---|---|---|
2000년 9월 28일 | 09:00 | 예선전(16강) |
4. 경기 방식
200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여자 57kg급 경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금메달 결정전으로 마무리되었다. 본선에서 두 결승 진출자에게 패한 선수들은 패자부활전에 진출하여 동메달을 결정했다.[3]
경기 방식은 다음과 같다:
- '''RSC''' - 주심직권승 (Win by Referee Stops Contest)
- '''PTF''' - 최종점수승 (Win by final score)
- '''PTG''' - 점수차승 (Win by point gap)
- '''GDP''' - 골든포인트승 (Win by Golden Point)
- '''SUP''' - 우세승 (Win by Superiority)
- '''WDR''' - 기권승 (Win by withdrawal)
- '''DSQ''' - 실격승 (Win by disqualification)
- '''PUN''' - 반칙승 (Win by referee's punitive declaration)
점수차승은 2회전 종료 시점 또는 3회전 중 언제라도 12점 차가 날 경우 주심이 경기를 중단시키고 승자에게 선언한다.
4. 1. 경기 결과
예선(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수치링 (徐 筑翎|쉬 쭈링중국어) ( TPE) 6 - 0 신시아 카메론 () | 하미데 븍츤 토순 () 6 - 3 수치링 (徐 筑翎|쉬 쭈링중국어) ( TPE) | 하미데 븍츤 토순 () 2 - 3 정재은 () | 정재은 () 2 - 0 쩐히에우응언 () |
크리스티아나 코르시 () 5 - 2 카르멘 실바 () | |||
크리스티아나 코르시 () 1 - 8 정재은 () | |||
아레티 아타나소폴로우 () 7+ - 7 시마 아피피 () | |||
버지니아 로렌 () 8 - 6 아레티 아타나소폴로우 () | 버지니아 로렌 () 6 - 9 쩐히에우응언 () | ||
쩐히에우응언 () 2 - 0 셰릴 안상카르 () | |||
쩐히에우응언 () 8 - 3 자스민 스트라찬 () | |||
패자부활전 1 | 패자부활전 2 | 동메달 결정전 | |
자스민 스트라찬 () 5+ - 5 셰릴 안상카르 () | 하미데 븍츤 토순 () 9 - 3 자스민 스트라찬 () | 하미데 븍츤 토순 () 7 - 5 버지니아 로렌 () | |
버지니아 로렌 () 6 - 5 크리스티아나 코르시 () | |||
- '''PTG''' — 점수차 승
- '''SUP''' — 우세승
- '''OT''' — 연장전 승 (골든 포인트)
- '''WO''' — 기권승
4. 2. 본선
본선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금메달 결정전으로 마무리되었다. 본선에서 두 결승 진출자에게 패한 태권도 선수들은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 이 경기를 통해 동메달 수상자를 결정했다.[3]예선 (16강) | 8강 | 준결승 (4강) | 결승 |
---|---|---|---|
수치링(TPE) 6 – 0 신시아 카메론(AUS) | 하미데 븍츤 토순(TUR) 6 – 3 수치링(TPE) | 하미데 븍츤 토순(TUR) 2 – 3 정재은(KOR) | 정재은(KOR) 2 – 0 쩐히에우응언(VIE) |
크리스티아나 코르시(ITA) 5 – 2 카르멘 실바(BRA) | |||
크리스티아나 코르시(ITA) 1 – 8 정재은(KOR) | |||
아레티 아타나소폴로우(GRE) 7+ – 7 시마 아피피(EGY) | |||
버지니아 로렌(NED) 8 – 6 아레티 아타나소폴로우(GRE) | 버지니아 로렌(NED) 6 – 9 쩐히에우응언(VIE) | ||
쩐히에우응언(VIE) 2 – 0 셰릴 안상카르(TRI) | |||
쩐히에우응언(VIE) 8 – 3 자스민 스트라찬(PHI) |
4. 3. 패자부활전
패자부활전은 본선에서 두 결승 진출자에게 패한 선수들이 참가하여 동메달을 결정하는 경기이다.[3]경기 | 선수 1 | 결과 | 선수 2 |
---|---|---|---|
패자부활전 1 | 자스민 스트라찬 (필리핀) | 5+ | 셰릴 안상카르 (트리니다드 토바고) |
colspan="4" | | |||
경기 | 선수 1 | 결과 | 선수 2 |
패자부활전 2 | 하미데 븍츤 토순 (터키) | 9 | 자스민 스트라찬 (필리핀) |
버지니아 로렌 (네덜란드) | 6 | 크리스티아나 코르시 (이탈리아) |
5. 메달리스트
6. 참가 선수
선수 | 국가 |
---|---|
하미데 빅친 토순 | 터키 |
쉬츠링 | 중화 타이베이 |
신시아 캐머런 | 오스트레일리아 |
크리스티아나 코르시 | 이탈리아 |
카르멘 실바 | 브라질 |
정재은 | 대한민국 |
버지니아 로렌스 | 네덜란드 |
아레티 아타나소풀루 | 그리스 |
쉬마 아피피 | 이집트 |
쩐히에우응안 | 베트남 |
체릴 앤 샹카르 | 트리니다드 토바고 |
재스민 스트라찬 | 필리핀 |
참조
[1]
뉴스
Taekwondo Yields One Gold, One Silver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0-09-28
[2]
뉴스
Medal first for Vietnam
http://news.bbc.co.u[...]
BBC Sport
2000-09-28
[3]
웹사이트
Taekwondo – Competition format
https://www.sports-r[...]
Sports Reference
2014-12-23
[4]
웹사이트
2000 Summer Olympics – Sydney, Australia – Taekwondo
http://www.databaseo[...]
2008-08-23
[5]
뉴스
Medal first for Vietnam
http://news.bbc.co.u[...]
2000-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