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부산, 울산, 창원, 양산 4개 도시의 6개 경기장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남자부는 조별 리그 후 8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여자부는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남자 축구에서는 이란이 일본을 꺾고 금메달을, 여자 축구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선수 명단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선수 명단은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오만, 베트남 등 여러 국가의 대표팀 선수 명단을 각 조별로 제공하며, 대한민국은 남자 U-23 대표팀과 여자 대표팀이 참가했고 박지성, 이운재, 이천수, 이동국 등이 남자 대표팀의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대회 개요
종목축구
대회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픽토그램
축구 픽토그램
개최지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경기장울산문수축구경기장
마산종합운동장
구덕운동장
양산공설운동장
창원종합운동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날짜2002년 9월 27일 – 2002년 10월 13일
참가 선수573명
참가국25개국
이전 대회1998년 아시안 게임 축구
다음 대회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축구
금메달이란 (23세 이하)
은메달일본 (23세 이하)
동메달대한민국 (23세 이하)
여자 축구
금메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은메달중국
동메달일본
남자 축구 상세 정보
참가 팀 수24개 팀
경기 수44경기
총 득점151골
득점왕알리레자 바흐디 니크바흐트
나카야마 사토시
득점5골
여자 축구 상세 정보
참가 팀 수6개 팀
경기 수15경기
총 득점37골

2. 경기장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경기는 부산, 울산, 창원, 양산 4개 도시의 6개 경기장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2. 1. 경기장 목록

부산울산창원양산
구덕운동장울산종합운동장마산종합운동장양산종합운동장
수용인원: 24,363명수용인원: 19,665명수용인원: 21,484명수용인원: 22,061명
구덕운동장
울산종합운동장
마산종합운동장
--
울산창원부산
울산문수축구경기장창원종합운동장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수용인원: 44,102명수용인원: 27,085명수용인원: 53,769명
울산문수축구경기장
창원종합운동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3. 대회 진행 방식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경기는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남자부는 조별 리그를 거쳐 8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여자부는 6개 팀이 참가하여 풀리그 방식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경기↓/날짜 →27일
(금)
28일
(토)
29일
(일)
30일
(월)
1일
(화)
2일
(수)
3일
(목)
4일
(금)
5일
(토)
6일
(일)
7일
(월)
8일
(화)
9일
(수)
10일
(목)
11일
(금)
12일
(토)
13일
(일)
남자PPPPPP¼½F
여자



라운드최종 라운드P예선 라운드¼8강½준결승F결승


3. 1. 남자 축구

2002년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는 24개 팀이 참가하여 6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각 조 1위 팀과 2위 팀 중 성적이 좋은 2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 이후 8강, 준결승,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렸으며, 이란일본을 꺾고 금메달을, 대한민국태국을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축구 경기는 9월 27일부터 10월 13일까지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에는 다음과 같은 팀들이 참가했다.

A조B조C조D조E조F조



몽골요르단은 대회에서 기권했고, 아프가니스탄팔레스타인이 대신 참가했다. 타지키스탄은 FIFA에 의해 출전 정지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신 참가했다.

3. 1. 1. 조별 리그 결과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조별 리그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몽골, 요르단, 타지키스탄이 대회 불참으로 인해 각각 아프가니스탄, 팔레스타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신 참가하였다.

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93300132+11
오만6320185+3
말레이시아3310236−3
몰디브03003112−11


  • 9월 27일


  • 9월 30일


  • 10월 3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태국9330091+8
아랍에미리트4311134−1
예멘3310235−2
베트남1301205−5


  • 9월 27일


  • 9월 30일


  • 10월 3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중국9330090+9
인도6320163+3
투르크메니스탄3310248−4
방글라데시0300319−8


  • 9월 27일


  • 9월 30일


  • 10월 3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일본9330082+6
바레인63201105+5
우즈베키스탄3310224−2
팔레스타인0300309−9


  • 9월 28일


  • 10월 1일


  • 10월 5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이란????????
카타르????????
레바논????????
아프가니스탄????????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쿠웨이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홍콩????????
파키스탄????????



(E조와 F조는 경기 결과에 대한 상세 정보가 원본 소스에 없어 물음표(?)로 표시함)

3. 1. 2. 8강 토너먼트 결과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8강 토너먼트에서는 이란, 대한민국, 일본, 태국이 4강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이란이 일본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3-4위전에서는 대한민국이 태국을 3:0으로 이기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3. 2. 여자 축구

2002년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베트남 총 6개 팀이 풀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순위를 결정했다.

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style="text-align:left;"|13541080+8
style="text-align:left;"|115320113+8
style="text-align:left;"|10531183+5
style="text-align:left;"|6520368-2
style="text-align:left;"|1501427-5
style="text-align:left;"|15014216-14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2년 10월 2일

40



01



01


2002년 10월 4일

30



12



00


2002년 10월 7일

01



41



01


2002년 10월 9일

11



22



20


2002년 10월 11일

02



04



04


4. 메달 리스트

에브라힘 미르자푸르
메흐디 아미르아바디
야흐야 골모하마디
사에드 로트피
자바드 네쿠남
이만 모바리
자바드 카제미안
알리 다에이
알리레자 바헤디 니크바흐트
메흐디 라흐마티
호세인 카에비
모하람 나비드키아
아볼파즐 하지자데
모흐센 바야티니아
알리 바다비
시아바시 아크바르푸르
잘랄 카멜리 모프라드
모하마드 노스라티
하미드 아지자데
에르샤드 유세피일본|일본일본어
후지야 요스케
모니와 테루유키
이케다 쇼헤이
나스 다이스케
코마노 유이치
아베 유키
오쿠보 요시토
모리사키 카즈유키
마츠이 다이스케
마에다 료이치
다나카 타츠야
네모토 유이치
스즈키 케이타
이시카와 나오히로
미타 히카루
노자와 타쿠야
다나카 하유마
구로카와 타카야
나카야마 사토시
아오키 타케시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이운재
조병국
현영민
박요셉
김영철
박용호
변성환
김두현
이천수
박지성
최태욱
이영표
김동진
박규선
조성환
김용대
최성국
김은중
박동혁
이동국여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리 종히
윤 인실
조 송옥
신 금옥
라 미애
리 금숙
박 금춘
호 순희
진 렬히
윤 영희
장 옥경
송 종순
오 금란
리 운경
양 경희
전 경화
리 향옥
김 은옥중국|중국중국어
샤오 젠
순 루이
리 지에
가오 홍샤
판 윈지에
자오 리홍
푸 웨이
바이 릴리
바이 지에
쑨 웬
셰 차이샤
저우 샤오샤
멍 쥔
비 옌
런 리핑
류 야리
판 리나
자오 얀일본|일본일본어
야마고 노조미
미야자키 유카
카사지마 요시에
야마기시 야스요
사카이 토모에
오베 유미
코바야시 야요이
나카치 마이
미야모토 토모미
사와 호마레
오타니 미오
아이자와 마이
이토 카나코
이사카 미토
카와카미 나오코
야나기타 미유키
마루야마 카리나
후쿠모토 미호


5. 논란 및 비판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는 선수 차출, 병역 특례, 낮은 경기력 등 여러 논란과 비판이 있었다.

5. 1. 선수 차출 논란

2002년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대표팀은 23세 이하 선수들로 구성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병역 미필 선수들의 병역 특례 문제가 불거졌다. 특히, 이동국, 박지성 등 일부 핵심 선수들의 차출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5. 2. 병역 특례 논란

당시 아시안 게임 금메달은 병역 특례 혜택이 주어졌기 때문에, 병역 미필 선수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기회였다. 그러나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4강에 진출하면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결국, 정부는 월드컵 4강 진출 선수들에게도 병역 특례 혜택을 부여하는 것으로 결정했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다.

5. 3. 낮은 경기력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4강 신화를 달성하면서 국민들의 기대치가 높아졌지만, 아시안 게임 대표팀의 경기력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조별 리그에서 약체 팀에게 고전하는 모습을 보여 많은 비판을 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