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SK 와이번스 시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SK 와이번스 시즌은 SK 와이번스 야구단의 2004년 시즌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승호는 15승, 이진영은 타율 0.342를 기록하며 활약했고, 김기태는 지명타자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김민재, 이진영, 이호준은 올스타로 선정되었으며, 박경완은 34홈런, 이호준은 112타점으로 팀 내 최다 기록을 세웠다. 퓨처스리그에서는 김경태가 평균자책점 1위, 박정권이 타율 1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K 와이번스 시즌 - 2005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5년 SK 와이번스는 신영철 사장, 민경삼 단장 체제 아래 김원형, 신승현 등이 활약하고 김재현 골든글러브 수상, 이호준, 크루즈, 이진영 KBO 월간 MVP 수상, 조동화 희생번트 기록 경신, 위재영 준플레이오프 전 경기 출전 등의 기록을 세웠다. - SK 와이번스 시즌 -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은 KBO 리그에서 7위를 기록했으며, 페르난도 에르난데스와 이승호의 14승 활약, 틸슨 브리또의 올스타 선정, 그리고 김건한의 퓨처스리그 노히트노런 달성 등이 있었다. - SSG 랜더스 시즌 - 2005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5년 SK 와이번스는 신영철 사장, 민경삼 단장 체제 아래 김원형, 신승현 등이 활약하고 김재현 골든글러브 수상, 이호준, 크루즈, 이진영 KBO 월간 MVP 수상, 조동화 희생번트 기록 경신, 위재영 준플레이오프 전 경기 출전 등의 기록을 세웠다. - SSG 랜더스 시즌 -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은 KBO 리그에서 7위를 기록했으며, 페르난도 에르난데스와 이승호의 14승 활약, 틸슨 브리또의 올스타 선정, 그리고 김건한의 퓨처스리그 노히트노런 달성 등이 있었다.
| 2004년 SK 와이번스 시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2004년 SK 와이번스 시즌 | |
![]() | |
| 클럽 | SK 와이번스 |
| 시즌 | 2004 |
| 구단주 이름 | 손길승 (대행 조정남) |
| 구단주 직책 | 구단주 |
| 감독 | 조범현 |
| 연고지 | 인천광역시 |
| 경기장 | 인천문학경기장 야구장 |
| 리그 | 2004년 한국프로야구 |
| 리그 성적 | 5위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 홈 평균 관중 | 5116명 |
| 선수 | |
| 최다 승리 투수 | 이승호 (15승) |
| 최다 홈런 타자 | 박경완 (34개) |
| 최고 타율 타자 | 이진영 (0.342) |
| 최다 안타 타자 | 이호준 (139개) |
2. 선수단
2004년 SK 와이번스 선수단은 투타에서 주축 선수들의 활약을 바탕으로 시즌을 운영했다. 투수진은 에이스 이승호가 선발진을 이끌었고, 정대현, 조웅천 등이 불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며, 카브레라가 마무리 투수로 기용되었다. 야수진에서는 박경완, 이호준, 이진영, 김기태 등이 타선의 중심을 이루었고, 김민재, 브리또, 정경배, 조원우, 채종범 등 주전 선수들이 각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2. 1. 투수
2004년 SK 와이번스의 투수진은 이승호를 중심으로 한 선발진, 정대현과 조웅천 등이 활약한 구원진, 그리고 외국인 투수 카브레라가 마무리로 나선 구성이었다. 선발진에서는 이승호가 에이스 역할을 수행했고, 구원진에서는 정대현과 조웅천 등이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마무리 투수로는 카브레라가 주로 기용되었다.2. 1. 1. 선발 투수
이승호, 엄정욱, 김원형, 제춘모 등이 선발 투수로 나섰다. 특히 '''이승호'''는 15승 9패, 평균자책점 3.99를 기록하며 팀의 에이스 역할을 수행했다.
2. 1. 2. 구원 투수
2004년 SK 와이번스의 구원진은 정대현, 김건한, 조웅천, 김경태, 신승현, 송은범 등이 주축을 이루었다. 특히 정대현은 52경기에 등판하여 16홀드와 평균자책점 2.34를 기록하며 팀의 핵심 불펜 투수로 활약했다. 조웅천 역시 55경기에서 10홀드 9세이브, 평균자책점 3.08로 좋은 모습을 보였고, 김건한은 47경기 6홀드, 평균자책점 3.55, 김경태는 21경기 4홀드, 평균자책점 2.33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신승현, 송은범, 윤길현, 고효준, 김영수 등이 불펜에서 힘을 보탰으며, 신인 정우람도 2경기에 등판했다. 상세 기록은 아래와 같다.| 이름 | 경기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탈삼진 | 평균자책점 |
|---|---|---|---|---|---|---|---|---|
| 정대현 | 52 | 69.1 | 2 | 3 | 16 | 2 | 50 | 2.34 |
| 김건한 | 47 | 99 | 3 | 3 | 6 | 1 | 53 | 3.55 |
| 조웅천 | 55 | 79 | 6 | 6 | 10 | 9 | 85 | 3.08 |
| 김경태 | 21 | 38.2 | 5 | 2 | 4 | 0 | 21 | 2.33 |
| 신승현 | 58 | 107 | 2 | 7 | 3 | 0 | 64 | 4.88 |
| 송은범 | 27 | 59 | 2 | 5 | 1 | 0 | 32 | 5.19 |
| 박권수 | 1 | 0.2 | 0 | 0 | 0 | 0 | 0 | 0.00 |
| 정우람 | 2 | 2.2 | 0 | 0 | 0 | 0 | 0 | 6.75 |
| 김종민 | 1 | 1 | 0 | 0 | 0 | 0 | 0 | 18.00 |
| 윤길현 | 14 | 25.2 | 0 | 1 | 1 | 0 | 24 | 7.01 |
| 고효준 | 31 | 45.1 | 2 | 1 | 0 | 0 | 37 | 5.96 |
| 김영수 | 37 | 28 | 1 | 3 | 4 | 0 | 27 | 7.07 |
2. 1. 3. 마무리 투수
2004년 시즌 SK 와이번스의 주요 마무리 투수로는 카브레라와 이상훈 등이 있었다. 특히 카브레라는 12세이브, 평균자책점 4.65를 기록하며 팀의 뒷문을 책임졌다.
2. 2. 야수
2004년 SK 와이번스의 야수진은 박경완, 이호준, 이진영, 김기태 등 강력한 타자들이 중심을 이루었다. 포수 박경완은 34홈런, 1루수 이호준은 30홈런 112타점을 기록하며 팀 공격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1] 2루수는 정경배, 유격수는 김민재, 3루수는 브리또가 주전으로 나섰다. 외야에서는 좌익수 조원우, 중견수 이진영(타율 .342), 우익수 채종범이 활약했으며, 지명타자로는 베테랑 김기태가 .320의 타율을 기록하며 타선을 이끌었다.2. 2. 1. 포수
주전 포수 박경완은 13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95, 34홈런, 79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공격을 이끌었다. 백업 포수로는 강성우와 최경철이 출전했다.
2. 2. 2. 1루수
주전 1루수는 이호준이었다. 이호준은 30홈런, 112타점, 타율 0.280을 기록하며 팀의 중심 타자 역할을 수행했다.[1]|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 이호준 | 133 | 139 | 30 | 112 | 87 | 7 | .280 | .881 |
2. 2. 3. 2루수
주전 2루수는 '''정경배'''였으며, 105경기에 출전하여 .296의 타율과 9홈런 47타점을 기록했다. 그 외 송재익, 이대수 등이 백업으로 출전했다.|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 정경배 | 105 | 107 | 9 | 47 | 51 | 2 | .296 | .802 |
| 신주일 | 1 | 0 | 0 | 0 | 0 | 0 | .000 | .000 |
| 김형철 | 23 | 7 | 0 | 5 | 0 | 1 | .171 | .439 |
| 송재익 | 68 | 2 | 0 | 0 | 6 | 1 | .043 | .178 |
| 이대수 | 105 | 17 | 0 | 5 | 11 | 0 | .165 | .402 |
2. 2. 4. 유격수
주전 유격수는 김민재였다.|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 김민재 | 129 | 113 | 4 | 40 | 57 | 11 | .260 | .622 |
2. 2. 5. 3루수
브리또가 주전 3루수로 활약했으며, 안재만이 백업으로 출전했다. 윤현식과 윤형국도 간간이 경기에 나섰다.
2. 2. 6. 좌익수
주전 좌익수는 조원우가 맡았다. 조원우는 119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77, 3홈런, 35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좌익수 자리를 지켰다. 그 외에도 조중근, 조경환, 박정권, 양승학 등이 좌익수로 출전했다.|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 조원우 | 119 | 107 | 3 | 35 | 59 | 5 | .277 | .716 |
| 양승학 | 2 | 0 | 0 | 0 | 0 | 0 | .000 | .000 |
| 조중근 | 41 | 18 | 2 | 7 | 5 | 1 | .273 | .704 |
| 조경환 | 92 | 54 | 5 | 31 | 27 | 4 | .239 | .668 |
| 박정권 | 24 | 5 | 0 | 0 | 1 | 0 | .179 | .412 |
2. 2. 7. 중견수
주전 중견수는 이진영이었다. 이진영은 117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342, 15홈런, 63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중심 타선에서 활약했다. 백업으로는 송수근이 28경기에 출전했다.|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 이진영 | 117 | 138 | 15 | 63 | 74 | 8 | .342 | .943 |
| 송수근 | 28 | 2 | 0 | 0 | 3 | 0 | .154 | .368 |
2. 2. 8. 우익수
주전 우익수는 채종범이었다. 채종범은 104경기에 출전하여 팀 내 우익수 중 가장 많은 경기를 소화했다. 백업으로는 임훈, 김강민 등이 출전했다.
2. 2. 9. 지명타자
주전 지명타자는 김기태였다. 그는 126경기에 출전하여 129안타, 10홈런, 67타점, 타율 0.320, OPS 0.857을 기록하며 팀 타선을 이끌었다. 김원과 강혁도 지명타자로 간간이 출전했다.
3. 코칭 스태프
4. 타이틀
5. 퓨처스리그
6. 특이 사항
- 4월 4일에 최태원의 은퇴식이 진행되었다.
- 박계원 코치의 등번호 88번은 이때 구단 사상 처음 사용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