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SK 와이번스 시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SK 와이번스 시즌은 신영철 사장, 명영철 단장 체제 하에 박종훈 수석코치를 중심으로 한 코칭 스태프와 선수단이 활동했다. 정근우는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고, 이진영은 사랑의 골든글러브를, 박재홍, 이진영, 김재현, 정대현, 정우람 등은 각종 시상 및 국제 대회에서 활약했다. 2006 WBC에서는 조범현 코치와 정대현, 이진영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아시안 게임에서는 정근우, 이진영, 박재홍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신승현이 개막전 선발 투수로 등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K 와이번스 시즌 - 2005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5년 SK 와이번스는 신영철 사장, 민경삼 단장 체제 아래 김원형, 신승현 등이 활약하고 김재현 골든글러브 수상, 이호준, 크루즈, 이진영 KBO 월간 MVP 수상, 조동화 희생번트 기록 경신, 위재영 준플레이오프 전 경기 출전 등의 기록을 세웠다. - SK 와이번스 시즌 -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은 KBO 리그에서 7위를 기록했으며, 페르난도 에르난데스와 이승호의 14승 활약, 틸슨 브리또의 올스타 선정, 그리고 김건한의 퓨처스리그 노히트노런 달성 등이 있었다. - SSG 랜더스 시즌 - 2005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5년 SK 와이번스는 신영철 사장, 민경삼 단장 체제 아래 김원형, 신승현 등이 활약하고 김재현 골든글러브 수상, 이호준, 크루즈, 이진영 KBO 월간 MVP 수상, 조동화 희생번트 기록 경신, 위재영 준플레이오프 전 경기 출전 등의 기록을 세웠다. - SSG 랜더스 시즌 -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은 KBO 리그에서 7위를 기록했으며, 페르난도 에르난데스와 이승호의 14승 활약, 틸슨 브리또의 올스타 선정, 그리고 김건한의 퓨처스리그 노히트노런 달성 등이 있었다.
| 2006년 SK 와이번스 시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2006년 SK 와이번스 시즌 | |
| 클럽 | SK 와이번스 |
| 시즌 | 2006 |
| 구단주 이름 | 손길승 (대행 조정남) |
| 구단주 직책 | 구단주 |
| 감독 | 조범현 |
| 연고지 | 인천광역시 |
| 경기장 | 인천문학경기장 야구장 |
| 리그 | 2006년 한국프로야구 |
| 리그 성적 | 6위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 선수 | |
| 최다 승리 투수 | 신승현 (8승) 정대현 (8승) |
| 최다 홈런 타자 | 박재홍 (18개) |
| 최고 타율 타자 | 김재현 (0.287) |
| 최다 안타 타자 | 정근우 (122개) |
| 관중 | |
| 홈 평균 관중 | 5256명 |
2. 프런트
2006년 당시 SK 와이번스의 사장은 신영철, 단장은 명영철이었다. 전력분석원은 김정준, 노석기가 담당하였다.
박종훈 수석코치를 필두로, 김상진, 성준 코치가 투수 파트를 담당했고, 김동재 코치가 수비를 담당했다. 타격 코치는 강영수, 김성래, 황병일 코치가 담당했으며, 최태원 코치가 작전 및 주루 코치를, 장재중 코치가 배터리 코치를 담당했다. 양승관 코치는 재활을 담당했고, 김기태 코치가 타격 보조를 담당했다.
정근우가 골든글러브(2루수)를 수상했다. 이진영은 사랑의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박재홍 (외야수), 이진영 (외야수), 김재현 (지명타자)이 올스타로 선정되었고, 정대현은 올스타전 추천선수로 뽑혔다. 정우람은 투수 부문 최다 경기(82경기)에 출장 및 구원 등판했다.
3. 코칭 스태프
4. 주요 타이틀 및 수상
2006 WBC에서 조범현이 코치로, 정대현, 이진영이 선수로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06 도하 아시안게임에서는 정근우, 이진영, 박재홍이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06 대륙간컵에는 김선규가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4. 1. 개인 수상
정근우가 골든글러브(2루수)를 수상했다. 이진영은 사랑의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박재홍 (외야수), 이진영 (외야수), 김재현 (지명타자)이 올스타로 선정되었고, 정대현은 올스타전 추천선수로 뽑혔다. 정우람은 투수 부문 최다 경기(82경기)에 출장 및 구원 등판했다. 조범현(코치), 정대현, 이진영은 2006 WBC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정근우, 이진영, 박재홍은 2006 도하 아시안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김선규는 2006 대륙간컵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신승현은 개막전 선발투수로 등판했다.
4. 2. 주요 기록
정근우가 2루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하였다. 박재홍(외야수), 이진영(외야수), 김재현(지명타자)이 올스타로 선정되었으며, 정대현은 올스타전 추천선수로 뽑혔다. 정우람은 82경기에 투수 및 구원등판으로 출장하였다. 이진영은 사랑의 골든글러브를 수상하였다. 조범현(코치), 정대현, 이진영은 2006 WBC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정근우, 이진영, 박재홍은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김선규는 2006 대륙간컵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개막전 선발투수는 신승현이었다.
4. 3. 국제 대회
2006 WBC에서 조범현이 코치로, 정대현, 이진영이 선수로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06 도하 아시안게임에서는 정근우, 이진영, 박재홍이 참가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06 대륙간컵에는 김선규가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5. 선수단
5. 1. 투수
2006년 SK 와이번스의 투수진은 선발, 구원, 마무리 투수로 나뉘어 운영되었다.;선발 투수
| 이름 | 경기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탈삼진 | ERA |
|---|---|---|---|---|---|---|---|---|
| 채병용 | 27 | 152.2 | 7 | 8 | 0 | 0 | 97 | 3.07 |
| 윤길현 | 32 | 140.2 | 5 | 9 | 2 | 1 | 91 | 3.90 |
| 김원형 | 24 | 139.1 | 5 | 9 | 0 | 0 | 52 | 4.07 |
| 신승현 | 24 | 107.1 | 8 | 6 | 0 | 0 | 53 | 3.44 |
| 세라노 | 13 | 63.1 | 2 | 3 | 0 | 0 | 58 | 4.12 |
| 김성훈 | 2 | 6.1 | 0 | 1 | 0 | 0 | 4 | 2.84 |
;구원 투수
| 이름 | 경기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탈삼진 | ERA |
|---|---|---|---|---|---|---|---|---|
| 이영욱 | 55 | 92.2 | 6 | 5 | 3 | 0 | 52 | 3.11 |
| 정우람 | 82 | 46.2 | 3 | 3 | 20 | 0 | 47 | 4.24 |
| 조영민 | 21 | 20 | 0 | 0 | 1 | 0 | 9 | 3.60 |
| 김종민 | 1 | 0.1 | 0 | 0 | 0 | 0 | 0 | 0.00 |
| 조웅천 | 51 | 63.1 | 6 | 2 | 11 | 1 | 46 | 4.69 |
| 송은범 | 25 | 61.1 | 4 | 3 | 0 | 0 | 34 | 4.55 |
| 박희수 | 5 | 2.1 | 0 | 0 | 0 | 0 | 1 | 7.71 |
| 엄정욱 | 2 | 1.2 | 0 | 0 | 1 | 0 | 3 | 10.80 |
| 위재영 | 29 | 36.2 | 3 | 5 | 3 | 0 | 25 | 4.91 |
| 김경태 | 32 | 19.2 | 1 | 1 | 0 | 0 | 2 | 5.03 |
| 고효준 | 14 | 23 | 0 | 2 | 0 | 0 | 22 | 9.39 |
;마무리 투수
| 이름 | 경기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탈삼진 | ERA |
|---|---|---|---|---|---|---|---|---|
| 정대현 | 59 | 74.1 | 8 | 4 | 11 | 15 | 52 | 1.94 |
| 카브레라 | 28 | 27.2 | 1 | 3 | 0 | 16 | 23 | 1.63 |
| 이한진 | 13 | 19 | 0 | 0 | 0 | 0 | 9 | 2.84 |
| 김태환 | 3 | 2.1 | 0 | 0 | 0 | 0 | 0 | 0.00 |
| 정병희 | 8 | 8.2 | 0 | 0 | 0 | 0 | 7 | 5.19 |
| 조형식 | 7 | 6.1 | 0 | 1 | 0 | 0 | 5 | 5.68 |
| 장찬 | 7 | 8.1 | 1 | 0 | 0 | 0 | 9 | 6.48 |
5. 1. 1. 선발 투수
wikitable| 이름 | 경기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탈삼진 | ERA |
|---|---|---|---|---|---|---|---|---|
| 채병용 | 27 | 152.2 | 7 | 8 | 0 | 0 | 97 | 3.07 |
| 윤길현 | 32 | 140.2 | 5 | 9 | 2 | 1 | 91 | 3.90 |
| 김원형 | 24 | 139.1 | 5 | 9 | 0 | 0 | 52 | 4.07 |
| 신승현 | 24 | 107.1 | 8 | 6 | 0 | 0 | 53 | 3.44 |
| 세라노 | 13 | 63.1 | 2 | 3 | 0 | 0 | 58 | 4.12 |
| 김성훈 | 2 | 6.1 | 0 | 1 | 0 | 0 | 4 | 2.84 |
5. 1. 2. 구원 투수
wikitable| 이름 | 경기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탈삼진 | ERA |
|---|---|---|---|---|---|---|---|---|
| 이영욱 | 55 | 92.2 | 6 | 5 | 3 | 0 | 52 | 3.11 |
| 정우람 | 82 | 46.2 | 3 | 3 | 20 | 0 | 47 | 4.24 |
| 조영민 | 21 | 20 | 0 | 0 | 1 | 0 | 9 | 3.60 |
| 김종민 | 1 | 0.1 | 0 | 0 | 0 | 0 | 0 | 0.00 |
| 조웅천 | 51 | 63.1 | 6 | 2 | 11 | 1 | 46 | 4.69 |
| 송은범 | 25 | 61.1 | 4 | 3 | 0 | 0 | 34 | 4.55 |
| 박희수 | 5 | 2.1 | 0 | 0 | 0 | 0 | 1 | 7.71 |
| 엄정욱 | 2 | 1.2 | 0 | 0 | 1 | 0 | 3 | 10.80 |
| 위재영 | 29 | 36.2 | 3 | 5 | 3 | 0 | 25 | 4.91 |
| 김경태 | 32 | 19.2 | 1 | 1 | 0 | 0 | 2 | 5.03 |
| 고효준 | 14 | 23 | 0 | 2 | 0 | 0 | 22 | 9.39 |
5. 1. 3. 마무리 투수
wikitable| 이름 | 경기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탈삼진 | ERA |
|---|---|---|---|---|---|---|---|---|
| 정대현 | 59 | 74.1 | 8 | 4 | 11 | 15 | 52 | 1.94 |
| 카브레라 | 28 | 27.2 | 1 | 3 | 0 | 16 | 23 | 1.63 |
| 이한진 | 13 | 19 | 0 | 0 | 0 | 0 | 9 | 2.84 |
| 김태환 | 3 | 2.1 | 0 | 0 | 0 | 0 | 0 | 0.00 |
| 정병희 | 8 | 8.2 | 0 | 0 | 0 | 0 | 7 | 5.19 |
| 조형식 | 7 | 6.1 | 0 | 1 | 0 | 0 | 5 | 5.68 |
| 장찬 | 7 | 8.1 | 1 | 0 | 0 | 0 | 9 | 6.48 |
5. 2. 야수
wikitext|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 시오타니 | 23 | 27 | 3 | 19 | 15 | 1 | .297 | .790 |
| 김태균 | 116 | 49 | 1 | 14 | 21 | 1 | .224 | .574 |
| 김성현 | 5 | 1 | 0 | 0 | 2 | 0 | 1.000 | 2.000 |
| 김동건 | 21 | 5 | 0 | 1 | 3 | 0 | .156 | .500 |
| 김형철 | 60 | 7 | 0 | 1 | 11 | 2 | .149 | .354 |
|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 박재홍 | 124 | 117 | 18 | 73 | 61 | 22 | .259 | .784 |
|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 이진영 | 118 | 117 | 11 | 41 | 54 | 3 | .273 | .721 |
5. 2. 1. 포수
wikitable
5. 2. 2. 1루수
피커링은 60경기에 출전하여 59안타, 9홈런, 34타점, 23득점, 2도루, 타율 .278, OPS .840을 기록했다. 최정은 92경기에 출전하여 62안타, 12홈런, 40타점, 25득점, 3도루, 타율 .221, OPS .664를 기록했다. 조중근은 54경기에 출전하여 15안타, 1홈런, 5타점, 7득점, 3도루, 타율 .188, OPS .474를 기록했다.5. 2. 3. 2루수
wikitext
5. 2. 4. 유격수
'''이대수'''는 122경기에 출장하여 98안타, 5홈런, 26타점, 46득점, 5도루, .253의 타율, .658의 OPS를 기록했다.홍명찬은 2경기에 출장하였으나 기록은 없다.
5. 2. 5. 3루수
wikitable|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 시오타니 | 23 | 27 | 3 | 19 | 15 | 1 | .297 | .790 |
| 김태균 | 116 | 49 | 1 | 14 | 21 | 1 | .224 | .574 |
| 김성현 | 5 | 1 | 0 | 0 | 2 | 0 | 1.000 | 2.000 |
| 김동건 | 21 | 5 | 0 | 1 | 3 | 0 | .156 | .500 |
| 김형철 | 60 | 7 | 0 | 1 | 11 | 2 | .149 | .354 |
5. 2. 6. 좌익수
김강민은 96경기에 출장하여 40안타, 1홈런, 14타점, 20득점, 8도루, 타율 .276, OPS .714를 기록했다.박재상은 65경기에 출장하여 43안타, 3홈런, 23타점, 24득점, 6도루, 타율 .250, OPS .698을 기록했다.
조동화는 65경기에 출장하여 28안타, 0홈런, 12타점, 20득점, 8도루, 타율 .201, OPS .547을 기록했다.
조경환은 4경기에 출장하여 0안타, 0홈런, 0타점, 0득점, 0도루, 타율 .000, OPS .167을 기록했다.
5. 2. 7. 중견수
|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 박재홍 | 124 | 117 | 18 | 73 | 61 | 22 | .259 | .784 |
5. 2. 8. 우익수
wikitext|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 이진영 | 118 | 117 | 11 | 41 | 54 | 3 | .273 | .721 |
5. 2. 9. 지명타자
5. 3. 퓨처스리그
임훈은 2006년 퓨처스리그의 북부리그에 75경기를 출장하였다.6. 기타
6. 1. 응원단
응원단장은 원명호였다. 장내 아나운서는 박종민이 맡았고, 탑 아나운서는 김지훈이었다.6. 2. 특이 사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