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16개 국가가 참가하여 리그전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 야구 대회이다. 대회는 1라운드, 2라운드, 준결승, 결승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라운드에서 상위 팀들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일본이 쿠바를 꺾고 초대 우승을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6승 1패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3위에 머물렀다. 이 대회는 선수 명단, 경기 방식, 심판 판정, 스즈키 이치로의 발언 등 다양한 논란을 낳았으며, 야구의 세계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에서 개최된 야구 대회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16개국이 참가하여 더블 엘리미네이션과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을 거쳐 일본이 우승,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차지한 국제 야구 대회이다.
  • 미국에서 개최된 야구 대회 -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주식회사 주최로 일본, 대만, 미국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39경기를 치른 국제 야구 대회이며, 도미니카 공화국이 우승했다.
  •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06년 FIFA 클럽 월드컵
    2006년 FIFA 클럽 월드컵은 각 대륙 클럽 챔피언십 우승팀과 개최국 대표를 포함한 6개 클럽이 참가하여 SC 인테르나시오나우가 우승, 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가 5위를 기록한 국제 클럽 축구 대회이다.
  •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06년 FIBA 세계 선수권 대회
    2006년 FIBA 세계 선수권 대회는 일본에서 개최된 농구 월드컵으로, 24개국이 참가하여 스페인이 우승하고 파우 가솔이 MVP, 야오밍이 득점 1위를 기록했다.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관한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16개국이 참가하여 더블 엘리미네이션과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을 거쳐 일본이 우승,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차지한 국제 야구 대회이다.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관한 - 야마모토 고지 (1946년)
    야마모토 고지는 1969년부터 1986년까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서 활약한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로, 1975년 MVP를 수상하며 팀의 첫 리그 우승을 이끌었고, 통산 4번의 홈런왕과 3번의 타점왕을 차지했으며, 은퇴 후에는 히로시마의 감독과 야구 해설 위원으로 활동했다.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회 개요
대회 명칭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영어 명칭2006 World Baseball Classic
개최 기간2006년 3월 3일 ~ 2006년 3월 20일
개최국일본
푸에르토리코
미국
참가 국가 수16개국
경기장 수7개
결과
우승국일본
우승 횟수1회
준우승국쿠바
3위대한민국
4위도미니카 공화국
통계
총 경기 수39경기
총 관중 수737,112명
경기당 평균 관중 수18,900명
최다 관중 경기2006년 3월 12일 제2라운드 멕시코대한민국: 42,979명
총 홈런 수70개
개인 수상
MVP마쓰자카 다이스케
대회 연혁
이전 대회없음
다음 대회2009년
시각 자료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
2006년 3월 13일, [[미국]] [[애너하임]] 에인절 스타디움에서 열린 WBC 경기
2006년 3월 13일, 미국 애너하임 에인절 스타디움에서 열린 WBC 경기

2. 대회 형식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16개국이 참가하여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4개 조로 나뉘어 각 조 4팀이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팀은 2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는 1라운드 A조와 B조의 상위 2팀(1조), C조와 D조의 상위 2팀(2조)이 각각 다시 리그전을 치렀다. 각 조 상위 2팀은 준결승에 진출하여 단판 승부를 벌였다. 준결승 승리 팀은 결승전에서 맞붙어 우승팀을 가렸다.[31]

2라운드에서는 1라운드에서 같은 조였던 팀들이 다시 맞붙는 방식이 채택되어, 미국에 유리한 방식이라는 논란이 있었다.[31]

1, 2라운드에서 동률이 발생할 경우, 다음 우선순위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 동률 팀 간의 상대 전적 승리 팀

# 동률 팀 간의 상대 전적에서 9이닝당 최소 실점(RA/9) 팀

# 동률 팀 간의 상대 전적에서 9이닝당 최소 자책점(ERA) 팀

# 동률 팀 간의 상대 전적에서 최고 타율(AVG) 팀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주식회사(WBCI)가 시행하는 추첨

투구 수 제한도 있었는데, 1라운드는 65구, 2라운드는 80구, 준결승과 결승은 95구로 제한되었다. 투구 중에 제한 수를 넘긴 투수는 해당 타자가 타석을 마칠 때까지 투구할 수 있었다. 50구 이상 투구 시 4일, 30구 이상 50구 미만 또는 30구 미만이라도 연투한 경우에는 1일 휴식이 의무였다.

2라운드까지는 콜드 게임 규정(5·6회 15점 차 이상, 7·8회 10점 차 이상)이 적용되었다. 1, 2라운드 경기는 연장전은 14회까지였고, 무승부 시 재경기는 없었으며, 승률은 0.5승으로 계산되었다.

3. 조 편성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참가하는 팀들은 "세계 최고의 야구 국가이며, 이 대회를 전 세계에 대표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선정되었다.[1] 별도의 예선전은 없었으며, 국가들의 전력을 평가할 국제 야구 연맹의 세계 랭킹도 존재하지 않았다.[2][3]


4. 경기장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는 총 7개의 경기장이 사용되었다.

A조 – 도쿄B조 – 피닉스B조 – 스코츠데일C조/2조 – 산후안
도쿄 돔체이스 필드스코츠데일 스타디움히람 비손 스타디움
수용인원 : 42,000수용인원 : 49,033수용인원 : 8,500수용인원 : 18,000
D조 – 레이크 부에나 비스타1조 – 애너하임결승전 – 샌디에이고
크래커 잭 스타디움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펫코 파크
수용인원 : 9,500수용인원 : 45,050수용인원 : 56,000
--


5. 선수 명단

각 참가 국가 연맹은 45명의 예비 로스터를 제출했고, 이후 13명 이상의 투수와 2명 이상의 포수를 포함한 28명의 최종 로스터를 제출했다. 부상 선수가 발생하면 토너먼트 시작 전까지 교체할 수 있었다.[1]

MLB 기구는 다음 16개 국가 및 지역을 초청했다. 첫 대회이므로 모든 국가가 처음으로 출전했다.

출전 국가·지역소속 연맹출전 횟수
중화인민공화국BFA첫 출전
중화 타이베이BFA첫 출전
일본BFA첫 출전
대한민국BFA첫 출전
캐나다COPABE첫 출전
멕시코COPABE첫 출전
남아프리카 공화국ABSA첫 출전
미국COPABE첫 출전
쿠바COPABE첫 출전
네덜란드CEB첫 출전
파나마COPABE첫 출전
푸에르토리코COPABE첫 출전
호주BCO첫 출전
도미니카 공화국COPABE첫 출전
이탈리아CEB첫 출전
베네수엘라COPABE첫 출전


6. 1라운드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별도의 예선전 없이 "세계 최고의 야구 국가이며, 이 대회를 전 세계에 대표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선정된 16개 국가·지역이 참가했다.[1] 당시 국제 야구 연맹의 세계 랭킹은 존재하지 않았다.[2][3]



참가국들은 4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상위 2팀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A조는 일본 도쿄도쿄 돔에서, B조는 미국 피닉스의 체이스 필드와 스코츠데일의 스코츠데일 스타디움에서, C조는 푸에르토리코 산후안히람 비손 스타디움에서, D조는 미국 올랜도의 크래커 잭 스타디움에서 경기가 열렸다.

A조에서는 대한민국일본, 대만, 중국을 모두 꺾고 3전 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특히 일본과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하며 강력한 우승 후보로 떠올랐다. B조에서는 멕시코, 미국, 캐나다가 2승 1패로 동률을 이뤘으나, 대회 규정에 따라 팀 간 실점률을 계산하여 멕시코미국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C조에서는 푸에르토리코가 3전 전승, 쿠바가 2승 1패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D조에서는 도미니카 공화국이 3전 전승, 베네수엘라가 2승 1패(이탈리아와 오스트레일리아에 완봉승)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6. 1. A조

순위width=50|width=35|width=35|width=50|
1align=left |0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2align=left |1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3align=left |2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4align=left |3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일시원정팀스코어홈팀이닝장소개시 시각관중 수
3월 3일2-0align=left |도쿄 돔11:305,193명
3월 3일18-2align=left |8도쿄 돔18:3015,869명
3월 4일align=right |1-10도쿄 돔11:003,925명
3월 4일14-3align=left |7도쿄 돔18:0031,047명
3월 5일12-3align=left |도쿄 돔11:004,577명
3월 5일3-2align=left |도쿄 돔18:0040,353명



순위승수패수득점실점
1-○3-2○2-0○10-130153
2●2-3-○14-3○18-221348
3style="text-align: left"|●0-2●3-14-○12-3121519
4style="text-align: left"|●1-10●2-18●3-12-03640



대한민국은 일본, 대만, 중국을 상대로 3전 전승을 거두며 1라운드를 통과했다. 특히 일본과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하며 강력한 우승 후보임을 입증했다.

6. 2. B조

Group B영어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B조는 미국, 멕시코, 캐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속해 있었다. 경기는 2006년 3월 7일부터 3월 10일까지 애리조나주 피닉스체이스 필드와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스코츠데일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 경기 시간은 미국 중부 표준시(UTC-5) 기준이다.

순위팀명승수패수득점실점득실차
1-●0-2○9-1○10-421197+6
2○2-0-●6-8○17-0212580
3●1-9○8-6-○11-8212023-6
4●4-10●0-17●8-11-031238-



멕시코, 미국, 캐나다가 2승 1패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대회 규정에 따라 팀 간 실점률을 계산하여 멕시코와 미국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일시원정팀스코어홈팀이닝장소개시 시각관중 수
3월 7일체이스 필드|14:00|32727|11=[https://www.mlb.com/gameday/mexico-vs-united-states/2006/03/07/39907/final/box Boxscore]
3월 7일11–8스코츠데일 스타디움|19:00|5829|11=[https://www.mlb.com/gameday/canada-vs-south-africa/2006/03/07/39910/final/box Boxscore]
3월 8일8–6체이스 필드|14:00|16993|11=[https://www.mlb.com/gameday/canada-vs-united-states/2006/03/08/39912/final/box Boxscore]
3월 8일스코츠데일 스타디움|19:00|7937|11=[https://www.mlb.com/gameday/south-africa-vs-mexico/2006/03/08/39915/final/box Boxscore]
3월 9일9–1체이스 필드|18:00|15744|11=[https://www.mlb.com/gameday/mexico-vs-canada/2006/03/09/39919/final/box Boxscore]
3월 10일17–0스코츠데일 스타디움|13:00|11975|11=[https://www.mlb.com/gameday/united-states-vs-south-africa/2006/03/10/39921/final/box Boxscore]


6. 3. C조

C조는 쿠바, 푸에르토리코 등이 속한 조였다. 경기는 푸에르토리코 산후안히람 비손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현지 시각(UTC+4)으로 진행되었다.

순위팀명 푸에르토리코 쿠바 네덜란드 파나마승수패수득점실점
1푸에르토리코-○12-2○8-3○2-130226
2쿠바●2-12-○11-2○8-6212120
3네덜란드●3-8●2-11-○10-0121519
4파나마●1-2●6-8●0-10-03720



결과적으로 전승을 거둔 푸에르토리코와 2승 1패를 기록한 쿠바가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6. 4. D조

wikitext

순위팀명승수패수득점실점
1도미니카 공화국-○11-5○8-3○6-4302512
2베네수엘라●5-11-○6-0○2-0211311
3이탈리아●3-8●0-6-○10-0121314
4오스트레일리아●4-6●0-2●0-10-03418


7. 2라운드

2라운드는 1라운드 A조와 B조, C조와 D조의 각 상위 2개 국가·지역이 같은 조가 되어,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과 푸에르토리코 산후안히람 비손 스타디움에서 3월 13일부터 3월 15일까지 3일간 풀 리그전을 치렀다.

순위승자승실점수비 이닝9이닝당 실점
1align=left|30
2align=left|121−1517.22.55
3align=left|121−1517.02.65
4align=left|121−1718.03.50



일시원정팀스코어홈팀이닝장소개시 시각관중 수
3월 12일align=right3-4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13:0032,896명
3월 12일align=right1-2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20:0042,979명
3월 13일align=right3-7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19:0021,288명
3월 14일6-1align=left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16:0016,591명
3월 15일2-1align=left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19:0039,679명
3월 16일align=right1-2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16:3038,284명



1조에서는 대한민국이 3전 전승으로 2라운드를 통과하였고, 일본, 미국, 멕시코가 1승 2패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대회 규정에 따라 일본이 2라운드를 통과했다.

2조에서는 도미니카 공화국쿠바가 2승 1패로 동률을 이루어 준결승에 진출했다.

7. 1. 1조

대한민국은 1라운드에서 일본, 미국, 멕시코와 함께 1조에 편성되었다. 대한민국은 미국과 멕시코를 꺾고 일본에게 다시 한번 승리하며 3전 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순위승자승실점수비 이닝9이닝당 실점
1align=left|30
2align=left|121−1517.22.55
3align=left|121−1517.02.65
4align=left|121−1718.03.50



일시원정팀스코어홈팀이닝장소개시 시각관중 수
3월 12일align=right3-4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13:0032,896명
3월 12일align=right1-2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20:0042,979명
3월 13일align=right3-7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19:0021,288명
3월 14일6-1align=left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16:0016,591명
3월 15일2-1align=left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19:0039,679명
3월 16일align=right1-2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16:3038,284명



1라운드에서는 미국이 캐나다에, 일본이 한국에 패배하는 이변이 있었지만, 미국과 일본의 2라운드 진출이 유력시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대표팀이 3전 전승으로 2라운드 진출을 확정지은 것 외에는 혼돈의 리그전이 되었다.

미국은 일본에 신승했으나, 한국전에서는 선발 돈트렐 윌리스가 캐나다전과 마찬가지로 난조를 보였고, 최종전 멕시코에도 패배하여 1승 2패를 기록했다. 일본도 미국전, 한국전에서 아깝게 패배하며 1승 2패를 기록했다. 멕시코는 미국에만 승리하여 역시 1승 2패로 세 국가가 동률을 이루었고, 룰에 의해 해당 팀 간의(=각각 한국전을 제외한) 실점률이 가장 좋았던 일본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일본에서는 "애너하임의 기적"이라고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7. 2. 2조

2조에는 도미니카 공화국, 쿠바, 베네수엘라, 푸에르토리코가 편성되었다. 이 조는 중미의 야구 강호국들이 모여 '죽음의 조'로 불렸으며, 조 편성이 추첨이 아닌 사전 결정 방식이었기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1]

순위팀명승수패수득점실점
1도미니카 공화국-○7-3○2-1●1-7211011
2쿠바●3-7-○7-2○4-3211412
3베네수엘라●1-2●2-7-○6-01299
4푸에르토리코○7-1●3-4●0-6-121011



일시원정팀스코어홈팀이닝장소개시 시각관중 수
3월 12일쿠바7–2베네수엘라히람 비손 스타디움14:0013,697명
3월 12일푸에르토리코7–1도미니카 공화국히람 비손 스타디움21:0019,692명
3월 13일도미니카 공화국7–3쿠바히람 비손 스타디움14:006,594명
3월 13일베네수엘라6–0푸에르토리코히람 비손 스타디움20:0019,400명
3월 14일베네수엘라1–2도미니카 공화국히람 비손 스타디움20:0013,007명
3월 15일쿠바4–3푸에르토리코히람 비손 스타디움20:0019,773명

8. 준결승 및 결승

준결승전은 2006년 3월 1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펫코 파크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일시원정팀스코어홈팀이닝장소개시 시각관중 수
3월 18일쿠바3-1도미니카 공화국펫코 파크12:0041,268명
3월 18일일본6-0대한민국펫코 파크19:0042,639명



첫 경기에서는 쿠바도미니카 공화국을 3-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두 번째 경기에서는 일본대한민국을 6-0으로 완파하고 결승에 올랐다. 대한민국은 준결승에서 일본에 다시 패하며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결승전은 3월 20일 펫코 파크에서 열렸으며, 일본이 쿠바를 10-6으로 꺾고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의 초대 우승팀이 되었다.

2006년 WBC 우승팀
일본

일본
1번째 우승


9. 최종 순위

순위타이브레이커
1align=left|53-
결승에서 패배
2align=left|53-
준결승에서 패배
3align=left|61-
4align=left|52-
2라운드에서 탈락
5align=left|42-
6align=left|332.72 RA/9
7align=left|333.40 RA/9
8align=left|333.75 RA/9
1라운드에서 탈락
9align=left|21-
10align=left|125.48 RA/9
11align=left|126.84 RA/9, 6.48 ERA
12align=left|126.84 RA/9, 6.84 ERA
13align=left|036.85 RA/9
14align=left|036.92 RA/9
15align=left|0314.40 RA/9
16align=left|0315.55 RA/9



WBCI는 최종 순위에 관여하지 않았으며, 계산하지 않았다. 따라서 IBAF에서 계산했다.

최종 순위에서 동률일 경우, 다음 우선 순위에 따라 순위를 결정했다.

# 모든 경기에서 9이닝당 최소 실점(RA/9)을 기록한 팀

# 모든 경기에서 9이닝당 최소 자책점(ERA)을 기록한 팀

# 모든 경기에서 최고 타율(AVG)을 기록한 팀

10. 올 WBC 팀



대회 최우수 선수(MVP)는 마쓰자카 다이스케였다.[4]

11. 기록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의 개인별 기록과 팀별 기록은 다음과 같다.

=== 개인 기록 ===

기록선수합계/평균
타율* 애덤 스턴.667
안타 마쓰나카 노부히코13
득점 마쓰나카 노부히코11
홈런 이승엽5
타점 켄 그리피 주니어
이승엽
10
볼넷 데이비드 오티즈8
삼진 다무라 히토시9
도루 니시오카 쓰요시5
출루율* 애덤 스턴.727
장타율* 애덤 스턴1.333
OPS* 애덤 스턴2.061
마쓰자카 다이스케3
로드리고 로페스
요한 산타나
돈트렐 윌리스
2
세이브 박찬호3
이닝 우에하라 고지17.0
피안타 우에하라 고지17
실점 칼 마이클스10
자책점 칼 마이클스10
ERA* 야델 마르티0.00**
볼넷 돈트렐 윌리스6
탈삼진 우에하라 고지16
WHIP* 샤이론 마티스0.14


  • 경기당 최소 2.7 타석[33]
  • * 경기당 최소 0.8이닝 투구, 마르티는 0.00 ERA로 다른 10명과 동률을 이루었지만 12.2이닝으로 가장 많은 이닝을 투구.[34]


=== 팀별 투구 기록 ===

승리패전평균자책점경기수완투승완봉승세이브이닝피안타실점자책점피홈런사구볼넷탈삼진WHIP홀드경기 종료 투수
align=left|612.00701463.04514147418501.0087
align=left|422.08600152.03317123522281.0656
align=left|532.49801268.25221197811620.9238
align=left|522.57700363.05626183423531.2567
align=left|332.77600152.04116164317371.1246
align=left|333.06603153.03920186020551.1176
align=left|333.75602148.04320204317481.2546
align=left|534.13800472.06643337641511.4928
align=left|124.30301023.0211411428161.2603
align=left|035.19300026.03320152513171.7703
align=left|126.48311025.0301918538141.5202
align=left|126.84300025.03119191214221.8003
align=left|036.85300023.22418183226162.1103
align=left|217.33300227.03223223313181.6723
align=left|039.72300025.04840276410162.3203
align=left|0313.50300022.04238335222132.9103



대한민국은 평균자책점 2.00, WHIP 1.00으로 가장 안정적인 투수진을 운영했고, 일본은 평균자책점 2.49, 62탈삼진으로 투수력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다.[34]

11. 1. 팀별 타격 기록

경기수타수득점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총루볼넷삼진도루도루 실패출루율장타율타율OPS
827060849310571293239132.390.478.311.868
619733577293295192611.359.482.289.841
620332589083191243473.365.448.286.813
82794479121841117245134.357.419.283.776
3104202910421753232422.419.510.279.928
310215273001130112200.342.294.265.636
31021527901113972131.342.382.265.724
72336618092896333364.364.412.262.776
3871222310112773402.330.310.253.640
7218265313162686165120.305.394.243.699
6189234411152172153620.292.381.233.673
39513198221337112400.290.389.200.679
618822356072062354021.323.330.186.653
39261740252793302.286.293.185.579
391715301721101601.276.231.165.507
3804920031173232.191.138.113.329

[32]

'''타율''' (경기당 최소 2.7 타석[33])



'''안타'''

'''득점'''

'''2루타'''

'''3루타'''

  • 15명의 선수 - 1개


'''홈런'''

'''타점'''

'''볼넷'''

'''삼진'''

'''도루'''

'''출루율'''

'''장타율'''

'''OPS'''

11. 2. 팀별 투구 기록

승리패전평균자책점경기수완투승완봉승세이브이닝피안타실점자책점피홈런사구볼넷탈삼진WHIP홀드경기 종료 투수
align=left|612.00701463.04514147418501.0087
align=left|422.08600152.03317123522281.0656
align=left|532.49801268.25221197811620.9238
align=left|522.57700363.05626183423531.2567
align=left|332.77600152.04116164317371.1246
align=left|333.06603153.03920186020551.1176
align=left|333.75602148.04320204317481.2546
align=left|534.13800472.06643337641511.4928
align=left|124.30301023.0211411428161.2603
align=left|035.19300026.03320152513171.7703
align=left|126.48311025.0301918538141.5202
align=left|126.84300025.03119191214221.8003
align=left|036.85300023.22418183226162.1103
align=left|217.33300227.03223223313181.6723
align=left|039.72300025.04840276410162.3203
align=left|0313.50300022.04238335222132.9103

[34]

대한민국은 평균자책점 2.00, WHIP 1.00으로 가장 안정적인 투수진을 운영했고, 일본은 평균자책점 2.49, 62탈삼진으로 투수력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다.

기록선수합계/평균
마쓰자카 다이스케3
로드리고 로페스
요한 산타나
돈트렐 윌리스
2
세이브 박찬호3
이닝 우에하라 고지17.0
피안타 우에하라 고지17
실점 칼 마이클스10
자책점 칼 마이클스10
ERA* 야델 마르티0.00**
볼넷 돈트렐 윌리스6
탈삼진 우에하라 고지16
WHIP* 샤이론 마티스0.14


  • 경기당 최소 0.8이닝 투구
  • * 마르티는 0.00 ERA로 다른 10명과 동률을 이루었지만 12.2이닝으로 가장 많은 이닝을 투구했다.

11. 3. 개인 기록

기록선수합계/평균
타율* 애덤 스턴.667
안타 마쓰나카 노부히코13
득점 마쓰나카 노부히코11
홈런 이승엽5
타점 켄 그리피 주니어
이승엽
10
볼넷 데이비드 오티즈8
삼진 다무라 히토시9
도루 니시오카 쓰요시5
출루율* 애덤 스턴.727
장타율* 애덤 스턴1.333
OPS* 애덤 스턴2.061


  • 경기당 최소 2.7 타석[33]


기록선수합계/평균
마쓰자카 다이스케3
로드리고 로페스
요한 산타나
돈트렐 윌리스
2
세이브 박찬호3
이닝 우에하라 고지17.0
피안타 우에하라 고지17
실점 칼 마이클스10
자책점 칼 마이클스10
ERA* 야델 마르티0.00**
볼넷 돈트렐 윌리스6
탈삼진 우에하라 고지16
WHIP* 샤이론 마티스0.14


  • 경기당 최소 0.8이닝 투구[34]
  • * 마르티는 0.00 ERA로 다른 10명과 동률을 이루었지만 12.2이닝으로 가장 많은 이닝을 투구했다.

12. 논란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논란이 있었다.

; 대회 형식

대한민국은 처음 두 라운드를 무패(6승)로 통과했지만, 이미 두 번이나 이긴 일본과 준결승전을 치러야 했다. 대한민국은 이 경기에서 패배하여, 최종 성적 6승 1패로 최다승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3위에 머물렀다. 이는 FIFA 월드컵과 같은 다른 국제 스포츠 대회가 팀들이 세 번이나 서로 경기를 할 수 없도록 구성된 것과 비교된다. 최대 두 번, 즉 풀 리그 조별 예선에서 한 번, 그리고 챔피언십 또는 3위 결정전에서 다시 한 번 만날 수 있다. 또한, 팀들의 지역별 그룹 배분도 불균등하게 이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 심판 판정

대회 주최 측은 MLB 심판 노조와 합의에 이르지 못하여 마이너 리그 심판들이 클래식을 관장했다.

; 대한민국 대표팀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었을 때, 선수들은 애너하임엔젤 스타디움 투수 마운드에 태극기를 꽂았다.[6]

; 중화 타이베이 대표팀

중화 타이베이 팀은 원래 "타이완"으로 표기되었고, 중화민국 국기를 사용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의 압력으로 인해 표기가 중화 타이베이로 변경되었고,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가 사용되었다.

; 약물 검사

세계반도핑기구IBAF의 약물 검사 프로그램에 대해 비판했으며, MLB가 "문제를 덮으려고 한다"고 주장하며 대회의 제재 철회를 위협했다.[7] 대한민국 투수 박명환은 대회 기간 중 금지 약물 양성 반응을 보여 WBC에서 퇴출되었다.[39] 베네수엘라 투수 프레디 가르시아는 마리화나 양성 반응을 보였다.

; 선수 참가

배리 본즈,[8] 블라디미르 게레로,[9] 매니 라미레즈[10] 등 다수의 MLB 선수들이 다양한 이유로 대회 참가를 포기했다. 특히 쿠바는 올란도 에르난데스, 그의 이복형제 리반 에르난데스, 호세 콘트라레스 등 이전에 망명했던 쿠바 선수들의 팀 합류를 막았다.[11]

12. 1. 대회 운영 방식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4개 팀씩 4개 조로 나뉘어 각 팀이 한 경기씩 치렀다. A조와 B조 1, 2위 팀은 2라운드 1조에, C조와 D조 1, 2위 팀은 2라운드 2조에 편성되어 다시 경기를 치렀다. 2라운드 각 조 1, 2위 팀은 승자전을 통해 결승전에 진출했다. 2라운드 1조 1, 2위 팀끼리, 2조 1, 2위 팀끼리 경기를 치르고, 각 경기 승자가 결승에서 맞붙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대진 방식은 미국에 유리하고 비정상적이라는 논란이 많았다.[31] 특히, 조별 리그 후 일반적인 순위별 교차 토너먼트가 아닌, 같은 조에 속했던 팀들이 다시 맞붙는 방식은 미국이 강팀과의 대전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을 받았다.[37]

대한민국은 1, 2라운드에서 일본을 두 번이나 이겼음에도 불구하고, 준결승에서 다시 일본을 만나 패배(최종 성적 6승 1패, 3위)하는 불이익을 겪었다. 이는 FIFA 월드컵 등 다른 국제 스포츠 대회에서는 팀들이 세 번이나 맞붙는 경우가 없다는 점과 비교되며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팀들의 지역별 그룹 배분도 불균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대회 주최 측은 MLB 심판 노조와 합의에 이르지 못해 마이너 리그 심판들이 경기를 진행했다.

투구 수 제한도 있었다. 1라운드는 65구, 2라운드는 80구, 준결승과 결승은 95구로 제한되었다. 투구 중 제한 수를 넘긴 투수는 해당 타자가 타석을 마칠 때까지 투구할 수 있었다. 등판 간격은 50구 이상 투구 시 4일, 30~49구 또는 30구 미만이라도 연투 시 1일 휴식이 의무였다.

2라운드까지는 콜드 게임 규정(5·6회 15점 차 이상, 7·8회 10점 차 이상)이 적용되었다. 1·2라운드 경기는 연장 14회까지 진행되었고, 무승부 시 재경기는 없었으며, 승률은 0.5승으로 간주되었다. 1·2라운드 각 리그에서 팀 승률이 같을 경우, 다음 우선 순위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 상대 전적에서 승리한 팀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1이닝당 득실점 차가 가장 많은 팀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1이닝당 자책점에 의한 득실점 차가 가장 많은 팀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타율이 높은 팀

# 동전 던지기

3위 결정전은 선수들이 소속 구단으로 빨리 복귀하여 시즌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열리지 않았다.

12. 2. 심판 판정 문제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라운드 미국-일본전에서 일본의 득점이 오심으로 인해 무효 처리되었다는 논란이 있었다.[40] 8회초 1사 만루에서 니시오카가 3루에서 홈으로 터치업할 때 2루심은 세이프를 선언했지만, 벅 마르티네스 감독이 항의하자 구심 밥 데이비드슨은 아웃으로 판정을 번복했다. TV 중계를 담당한 ESPN에서도 아나운서와 해설자들이 구심의 판단에 의문을 제기했다. 왕정치 감독은 기자 회견에서 "야구가 시작된 나라인 미국에서, 그런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라며 판정 과정의 문제를 비판했다. 니노미야 기요스미는 "미국의 야구가 죽은 날"이라고 평했다[28]조선일보는 "미국은 뻔뻔한 사기극을 벌였다"라고 비판했고, 미국 언론도 "Oh, What a bad call"(얼마나 형편없는 판정인가)이라고 비판했다. WBC 대회 본부는 "판정은 정당하다"라는 견해를 밝혔다.

2라운드 미국-멕시코전에서는 멕시코의 홈런이 2루타로 판정되는 오심이 발생했다.[41] 3회말, 마리오 발렌수엘라가 친 타구가 우익수 폴에 맞았지만 밥 데이비드슨은 2루타로 판정했다. 멕시코 감독은 "경기장 전체가 홈런이라고 생각했을 텐데, 심판만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라고 언급했다.

12. 3. 스즈키 이치로 선수 발언

일본스즈키 이치로 선수는 1라운드가 시작되기 전, "대전 상대가 향후 30년은 일본을 이기는 힘들겠구나라는 생각이 들 만한 내용으로 이기고 싶다."(戦った相手が『向こう30年は日本に手は出せないな』という感じで勝ちたいと思う。일본어)[36]라는 발언을 하였다. 대한민국언론에서는 이 발언을 대한민국을 상대로 한 것으로 해석하고, '대한민국야구가 앞으로 30년 동안 일본을 이길 수 없는 수준'이라는 식으로 보도하여 대한민국 내에서 반(反)이치로 감정이 고조되었다.[36]

이치로의 이 발언은 특정 국가를 지칭한 것은 아니었으며, 대회 몇 달 전부터 이번 대회에 남다른 열정을 보였던 이치로가 일본 대표팀을 격려하는 맥락에서 한 말이었다.[36] 하지만, 이 내용이 한국 언론에 의해 "(한국은) 30년 동안 일본에 이길 수 없다"는 식으로 보도되면서, 한국 팬들에게 "도발적인 발언"으로 받아들여졌다.[19][20] 한국 감독도 준결승 종료 후 기자회견에서 이치로의 발언에 대한 오보를 인정하는 발언을 했다.[19][20]

이후 세 차례 열린 한일전에서 한국 응원단의 이치로에 대한 심한 야유와 한국 선수들이 일본 선수를 도발하는 듯한 행동이 여러 차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준결승에서 정성훈이 이치로에게 공을 던진 사건[21], 김병현오가사와라 미치히로에게 데드볼[22] 등이 있었다.

이치로는 한국과의 두 번째 대결에서 패배한 후 벤치에서 큰 소리로 격노했고, 이후 인터뷰에서 "내 야구 인생 최대의 굴욕"이라는 발언을 했다. 이는 한국 팀이 일본에 승리한 직후 투수 마운드에 태극기를 꽂는 것을 목격한 것[23][24], 같은 상대에게 두 번이나 졌고 준결승 진출이 절망적으로 보였던 것[25]이 주된 원인이었다. 하지만, 이 내용이 앞서 언급한 오보와 겹쳐 "한국에게 두 번이나 진 것이 인생 최대의 굴욕"이라고 발언한 것으로 한국 팬들에게 받아들여져 반일 감정에 불을 지폈다. 세 번째 대결이 될 준결승 전 한국 스포츠 신문에서는 "(일본을) 30년 동안 울려주겠다"는 제목이 나올 정도로 파문을 일으켰다.[26]

12. 4. 쿠바의 참가 여부

미국 재무부의 해외 자산 관리국은 미국의 대 쿠바 금수 조치를 이유로 쿠바 대표팀의 미국 입국을 initially 거부했다. 쿠바가 WBC에 참가하여 배당금을 받는 것이 금수 조치에 위배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사무국과 선수 노조는 쿠바가 배당금을 받지 않는 조건으로 미국 입국을 허용했다. 피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도 WBC 배당금을 미국의 허리케인 피해자에게 전액 기부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쿠바의 WBC 참가를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에 따라 미국 재무부도 쿠바 대표팀의 미국 입국을 허용했다.

12. 5. 약물 검사

세계반도핑기구IBAF의 약물 검사 프로그램을 비판했으며, MLB가 "문제를 덮으려고 한다"고 주장하며 대회의 제재 철회를 위협했다.[7] 대한민국 투수 박명환은 대회 기간 중 금지 약물 양성 반응을 보여 WBC에서 퇴출되었다.[39] 베네수엘라 투수 프레디 가르시아는 마리화나 양성 반응을 보였다.

13. 평가 및 영향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은 메이저 리그 선수들이 대거 참가하여 야구의 세계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Sports Illustrated)의 톰 버두치(Tom Verducci)는 1라운드 상품 판매량이 조직위의 예상을 뛰어넘었다고 보도하며 대회의 상업적 성공을 강조했다. 히람 비손 스타디움(Hiram Bithorn Stadium)에서 열린 푸에르토리코 경기는 매진되었고, 월드 시리즈보다 많은 4,000개의 미디어 자격증이 발급되는 등 높은 인기를 증명했다.

닐슨 시청률(Nielsen ratings)에 따르면, ESPN의 초기 시청률은 예상을 넘어 일부 경기에서 100만 명 이상의 시청자를 기록했다. 이는 대부분의 경기가 녹화 방송(tape delay (broadcasting))되었고, 경기 시간이 좋지 않았음에도 달성한 결과였다.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미국과 멕시코 간의 1라운드 경기가 ESPN Dos 역사상 세 번째로 많은 시청자를 기록했다.

쿠바는 아마추어 선수로만 구성되었음에도 준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리그전에서 6연승, 멕시코는 미국을 꺾는 등 약체로 평가받던 국가들의 선전이 돋보였다. 반면, 우승 후보였던 미국은 2라운드에서 탈락하고 1라운드에서 캐나다에 패하는 등 부진했다.

그러나 대회 운영 방식은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다. 미국 편중적인 대진표, 불공정한 경기 일정, 심판 판정 문제 등이 논란이 되었다. 특히, 대한민국은 6전 전승을 거두고도 준결승에서 일본에 패하며 3위에 머물러 불만을 샀다. 일본은 준결승까지 대한민국에 2패를 포함해 총 3패를 기록했음에도 우승했다.

국제 야구 연맹(IBAF) 주최의 IBAF 월드컵이 존재함에도 WBC가 개최된 이유는, MLB 사무국 주도로 프로 선수들이 참가하는 진정한 세계 챔피언을 결정하는 대회를 만들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MLB 사무국의 주도로 규칙 설정 및 운영이 이루어지면서 참가국들의 불만이 터져 나왔다.

MLB 사무국은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선수들을 출전시키지 않아 미국의 올림픽 지역 예선 탈락을 초래한 바 있다. WBC는 이러한 굴욕을 씻고 미국의 야구 실력을 알릴 기회였지만, 미국에 유리한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2라운드에서 탈락하고 심판 판정 문제까지 일으키며 대회 자체의 신뢰성을 훼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Baseball Classic http://web.worldbase[...] 2009-03-13
[2] 웹사이트 IBAF World Ranking Released https://websites.myg[...] MyGameday 2022-08-20
[3] 웹사이트 IBAF publishes first-ever World Ranking https://www.mister-b[...] Mister-Baseball 2022-08-20
[4] 웹사이트 World Baseball Classic: Previous champs, results, medal count, MVPS, All-WBC teams https://www.cbssport[...] 2017-03-23
[5] 웹사이트 Dutch Minor Leaguer No-Hits Panama https://apnews.com/a[...] 2023-03-14
[6] 웹사이트 World Baseball Classic: News https://web.archive.[...] 2007-04-26
[7] 웹사이트 MSN http://www.msnbc.msn[...]
[8] 웹사이트 Bonds says he doesn't want to risk injury https://www.espn.com[...] 2006-01-23
[9] 웹사이트 Guerrero Pulls Out of Classic https://www.latimes.[...] 2006-03-02
[10] 웹사이트 Red Sox owner: Manny not playing in WBC https://www.espn.com[...] 2006-02-23
[11] 뉴스 Searching for a Home Base Cuban Defectors Are Left Without a Country to Play for in Inaugural Classic https://www.washingt[...] 2003-03-03
[12] 웹사이트 知恵蔵 web版 http://kotobank.jp/d[...] 朝日新聞社
[13] 웹사이트 スポーツナビ WBCとは http://sportsnavi.ya[...]
[14] 웹사이트 共同通信ニュース特集 ワールド・ベースボール・クラシック http://www.kyodonews[...]
[15] 웹사이트 World Baseball Classic Tournament Rules and Regulations "POOL PLAY AND TIE-BREAKING PROCEDURES" http://web.worldbase[...] 2013-03-01
[16] 웹사이트 【野球】なぜ3位決定戦はないのか 侍Jが優勝を狙うWBC 主催者に聞いてみた https://www.daily.co[...] 2023-03-19
[17] 웹사이트 World Rankings ENG http://ibaf.org/file[...] 2024-03-04
[18] 웹사이트 World Baseball Classic 2006 Stats https://www.mlb.com/[...]
[19] 뉴스 이 치로, ‘30년 발언’은 어떻게 된 거야?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6-03-07
[20] 뉴스 日언론 '이치로 30년 발언에 韓 발끈' http://sports.media.[...] 스포츠서울 2006-02-28
[21] 문서 2006년 3월 19일 준결승: 일본-한국 경기 분석
[22] 문서 2006년 3월 19일 준결승: 일본-한국 경기 분석 (2)
[23] 뉴스 韓国「マウンド国旗立て」に「イチローさんも怒ってた」多村仁志氏語る06年WBC「あれはない」 https://web.archive.[...] J-CASTニュース 2022-08-19
[24] 뉴스 【WBC】06年は韓国選手がマウンドに国旗 イチロー「最も屈辱的な日」/過去の主な日韓戦 https://web.archive.[...] 日刊スポーツ 2023-03-10
[25] 문서 미국-멕시코전 경기 전망
[26] 웹사이트 イチローの「30年発言」から生まれた因縁……激闘だった第1回WBCの韓国戦(2/3) https://www.excite.c[...] エキサイトニュース 2017-03-22
[27] 웹사이트 asahi.com:韓国投手が薬物検査で陽性反応 WBC - スポーツ https://www.asahi.co[...] 2024-11-21
[28] 간행물 number 2006년 4월호
[29] 웹사이트 テレビ・ラジオ放送予定 {{!}} 2006 WORLD BASEBALL CLASSIC https://npb.jp/wbc/2[...] 2024-11-21
[30] 문서 BS-TBS
[31] 뉴스 [WBC] 합리적이고 공정한 대회 운영 필요해 https://news.naver.c[...] 스포츠서울 2006-03-20
[32] 웹인용 http://ww2.worldbaseballclassic.com https://web.archive.[...] 2008-06-29
[33] 웹인용 http://ww2.worldbaseballclassic.com https://archive.toda[...] 2006-07-04
[34] 웹인용 http://ww2.worldbaseballclassic.com https://web.archive.[...] 2008-06-29
[35] 웹인용 http://ww2.worldbaseballclassic.com https://web.archive.[...] 2008-07-13
[36] 웹인용 www.sanspo.com http://www.sanspo.co[...] 2006-03-18
[37] 뉴스 희한한 미 '꼼수대진표' 한국이 최대피해자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6-03-19
[38] 웹사이트 www.msnbc.msn.com http://www.msnbc.msn[...]
[39] 웹사이트 www.signonsandiego.com http://www.signonsan[...]
[40] 뉴스 [NoCut 포토] WBC 美-日전 오심 파문…억울한 일본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06-03-13
[41] 뉴스 [WBC 미국―멕시코전] 멀쩡한 홈런이 2루타?…심판들 또 ‘미국 편들기 판정’ https://news.naver.c[...] 쿠키뉴스 2006-03-17
[42] 웹사이트 http://english.donga.com http://english.donga[...]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