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리그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7년 리그컵은 2007년에 개최된 대한민국의 리그컵 대회이다. 울산 현대 호랑이가 FC 서울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득점왕은 루이지뉴, 도움왕은 이청용이 차지했다. 예선 조별리그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과 2위 팀, 그리고 2006년 K리그 챔피언, 2006년 FA컵 우승 팀이 본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리그컵 시즌 - 2006년 리그컵
2006년 리그컵은 K리그 컵 대회로 FC 서울이 우승했으며, 최성국이 득점왕, 두두가 도움왕을 차지했다. - 대한민국 리그컵 시즌 - 2010년 리그컵
2010년 리그컵(포스코컵)은 K리그 15개 구단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과 결선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로, FC 서울이 전북 현대를 꺾고 우승했으며 데얀이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 K리그에 관한 - K리그2
K리그2는 2012년 K리그 분할 시스템 도입으로 출범한 대한민국의 2부 프로 축구 리그로, 초기에는 K리그 챌린지로 불렸으나 2018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K리그1 승격팀을 결정하고 단일 리그 방식을 유지하며, 2025년부터 외국인 선수 등록 규정 변경 및 홈그로운 선수, U-22 출전 의무 규정이 도입될 예정이다. - K리그에 관한 - 설기현
설기현은 2002년 월드컵 이탈리아전 동점골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유럽 및 아시아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A매치 82경기 19골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대학 및 프로팀 감독을 역임했다.
2007년 리그컵 | |
---|---|
대회 정보 | |
대회 | 삼성 하우젠컵 |
연도 | 2007년 |
기간 | 2007년 3월 14일 – 2007년 6월 27일 |
국가 | 대한민국 |
참가 팀 수 | 14 |
경기 수 | 65 |
총 득점 | 137 |
시즌 결과 | |
우승 | 울산 현대 호랑이 |
우승 횟수 | 4 |
준우승 | FC 서울 |
개인 수상 | |
득점왕 | 루이징요 (7골) |
이전/다음 시즌 | |
이전 시즌 | 2006 |
다음 시즌 | 2008 |
2. 예선 조별리그
2007년 리그컵은 12개 팀이 6팀씩 2개 조로 나뉘어 리그를 진행하였다. A조에서는 울산 현대 호랑이와 인천 유나이티드가, B조에서는 FC 서울과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각각 4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
2. 1. A조
울산 현대 호랑이와 인천 유나이티드가 승점 19점으로 4강 토너먼트에 직행하였다. 두 팀은 승점이 같았으나, 경기 결과에 따라 울산 현대 호랑이가 1위, 인천 유나이티드가 2위를 기록했다.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울산 현대 호랑이 | 10 | 5 | 4 | 1 | 10 | 4 | +6 | 19 |
2 | 인천 유나이티드 | 10 | 6 | 1 | 3 | 20 | 15 | +5 | 19 |
3 | 대구 FC | 10 | 4 | 1 | 5 | 13 | 16 | -3 | 13 |
4 | 전북 현대 모터스 | 10 | 3 | 3 | 4 | 9 | 10 | -1 | 12 |
5 | 포항 스틸러스 | 10 | 2 | 5 | 3 | 8 | 10 | -2 | 11 |
6 | 제주 유나이티드 | 10 | 2 | 2 | 6 | 4 | 9 | -5 | 8 |
2. 1. 1. A조 경기결과
2. 2. B조
B조에서는 FC 서울과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각각 승점 21점과 17점으로 4강 토너먼트에 직행하였다.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FC 서울 | 10 | 6 | 3 | 1 | 17 | 6 | +11 | 21 |
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0 | 5 | 2 | 3 | 20 | 12 | +8 | 17 |
3 | 광주 상무 불사조 | 10 | 3 | 3 | 4 | 6 | 12 | -6 | 12 |
4 | 부산 아이파크 | 10 | 2 | 5 | 3 | 7 | 8 | -1 | 11 |
5 | 대전 시티즌 | 10 | 2 | 5 | 3 | 6 | 10 | -4 | 11 |
6 | 경남 FC | 10 | 1 | 4 | 5 | 3 | 11 | -8 | 7 |
2. 2. 1. B조 경기 결과
팀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FC 서울 | 6 | 3 | 1 | 17 | 6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5 | 2 | 3 | 20 | 12 |
광주 상무 불사조 | 3 | 3 | 4 | 6 | 12 |
부산 아이파크 | 2 | 5 | 3 | 7 | 8 |
대전 시티즌 | 2 | 5 | 3 | 6 | 10 |
경남 FC | 1 | 4 | 5 | 3 | 11 |
[1]
2007년 리그컵 본선 토너먼트는 예선 A, B조 1위 팀은 4강에 직행하고, 2위 팀들과 K리그 2006 챔피언, FA컵 우승 팀은 6강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6강 플레이오프 결과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인천 유나이티드가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는 울산 현대 호랑이가 수원 삼성 블루윙즈를, FC 서울은 인천 유나이티드를 각각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울산 현대 호랑이가 FC 서울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 본선 토너먼트
3. 1. 6강 플레이오프
2007년 5월 30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성남 일화 천마의 경기에서 안정환, 백지훈, 나드손이 득점하고, 성남은 조병국이 득점하여 수원이 4-1로 승리, 4강에 진출했다.
같은 날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인천 유나이티드와 전남 드래곤즈의 경기에서는 김상록, 방승환이 득점하고, 전남은 레안드롱이 득점하여 인천이 2-1로 승리, 4강에 진출했다.[1]
3. 2. 준결승전
2007년 6월 20일, 울산 현대 호랑이는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준결승전에서 이천수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1] 같은 날, FC 서울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인천 유나이티드와 1-1 무승부를 기록한 후,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날짜 및 시간 |
---|---|---|---|---|
울산 현대 호랑이 | 1 - 0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2007년 6월 20일 19:30 KST (UTC+09) |
FC 서울 | 1 - 1 (승부차기 4 - 3) | 인천 유나이티드 | 서울월드컵경기장 | 2007년 6월 20일 20:00 KST (UTC+09) |
3. 3. 결승전
2007년 6월 27일 20시에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FC 서울과 울산 현대 호랑이의 결승전에서 울산 현대 호랑이가 양동현과 박동혁의 골로 김은중이 득점한 FC 서울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4. 수상
순위 | 선수 | 클럽 | 득점 | 출장 경기 수 |
---|---|---|---|---|
1 | Luizinho|루이지뉴pt | 대구 FC | 7 | 9 |
2 | 안정환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5 | 10 |
Дејан Дамјановић|데얀 다먀노비치sr | 인천 유나이티드 FC | 5 | 10 | |
데닐손 | 대전 시티즌 | 5 | 10 | |
김상록 | 인천 유나이티드 FC | 5 | 11 | |
6 | 나드손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4 | 7 |
김은중 | FC 서울 | 4 | 7 | |
양동현 | 울산 현대 호랑이 | 4 | 9 | |
박재현 | 인천 유나이티드 FC | 4 | 9 | |
방승환 | 인천 유나이티드 FC | 4 | 9 | |
Mato Neretljak|마토 네레틀랴크hr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4 | 11 |
5. 대회 통계
순위 | 선수 | 클럽 | 득점 | 출장 경기 수 |
---|---|---|---|---|
1 | 루이스 카를루스 페르난데스|루이징pt | 대구 FC | 7 | 9 |
2 | 안정환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5 | 10 |
데얀 담야노비치|데얀sr | 인천 유나이티드 FC | 5 | 10 | |
데닐손 마르틴스 나시멘토|데닐손pt | 대전 시티즌 | 5 | 10 | |
김상록 | 인천 유나이티드 FC | 5 | 11 | |
6 | 나드손 호드리게스 데 수자|나드손pt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4 | 7 |
김은중 | FC 서울 | 4 | 7 | |
양동현 | 울산 현대 호랑이 | 4 | 9 | |
박재현 | 인천 유나이티드 FC | 4 | 9 | |
방승환 | 인천 유나이티드 FC | 4 | 9 | |
마토 네레틀랴크|마토hr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4 | 11 |
2007년 리그컵의 개인별 득점 순위이다.
5. 1. 구단별 관중수
팀 | 경기수 | 총 관중수 | 평균 관중수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6 | 104,607명 | 17,435명 |
FC 서울 | 7 | 100,203명 | 14,315명 |
인천 유나이티드 | 6 | 44,834명 | 7,472명 |
울산 현대 호랑이 | 6 | 40,692명 | 6,782명 |
대전 시티즌 | 5 | 33,877명 | 6,775명 |
경남 FC | 5 | 28,140명 | 5,628명 |
전북 현대 모터스 | 5 | 19,881명 | 3,976명 |
대구 FC | 5 | 12,388명 | 2,568명 |
제주 유나이티드 | 5 | 9,899명 | 1,980명 |
광주 상무 불사조 | 5 | 9,571명 | 1,914명 |
포항 스틸러스 | 5 | 9,281명 | 1,844명 |
부산 아이파크 | 5 | 8,423명 | 1,685명 |
합계 | 65 | 421,796명 | 6,489명 |
플레이오프 및 결승전 관중수를 포함한 통계이다. 성남 일화 천마와 전남 드래곤즈는 챔피언스리그 참가로 인해 컵대회 예선 및 홈 경기가 없어서 제외되었다. 2007년 컵대회에서는 정규리그보다 구단별 관중수 차이가 극명하게 갈렸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평균 1만 7천 명이 넘는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지만, 부산 아이파크는 거기에 10%도 되지 않는 관중만이 아시아드 경기장을 찾았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