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트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트랩 경기는 2008년 8월 9일부터 10일까지 베이징 클레이 사격장에서 진행되었다. 체코의 다비드 코스텔레츠키가 결선 합계 146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기록을 세웠고, 지오반니 펠리엘로(이탈리아)가 은메달, 알렉세이 알리포프(러시아)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경기는 예선과 결선으로 진행되었으며, 예선에서 상위 6명의 선수가 결선에 진출하여 메달을 놓고 경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 경기는 팡웨이가 금메달, 진종오가 은메달, 제이슨 터너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김정수는 도핑 테스트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권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권총은 베이징 사격관에서 진행된 종목으로, 진종오가 금메달, 탄 종량이 은메달, 블라디미르 이사코프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은메달을 획득했던 김정수는 도핑 문제로 실격 처리되었다.
  • 올림픽 사격 -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은 2012년 7월 28일부터 8월 6일까지 런던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 3개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사격은 권총, 소총, 클레이 종목으로 진행되어 총 15개의 메달이 수여되었으며, 중국이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올림픽 신기록이 수립된 대회이다.
  • 올림픽 사격에 관한 -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은 2012년 7월 28일부터 8월 6일까지 런던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 3개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사격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사격은 권총, 소총, 클레이 종목으로 진행되어 총 15개의 메달이 수여되었으며, 중국이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올림픽 신기록이 수립된 대회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트랩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2008년 하계 올림픽 남자 트랩 사격
대회2008년 하계 올림픽
종목사격
세부 종목남자 트랩
개최지베이징
경기장베이징 클레이 사격장
날짜2008년 8월 9일 ~ 10일
참가 선수35명
참가 국가25개국
이전 대회2004년
다음 대회2012년
메달리스트
금메달다비드 코스텔레츠키
금메달 국가CZE
은메달지오반니 펠리엘로
은메달 국가ITA
동메달알렉세이 알리포프
동메달 국가RUS
우승 점수146점
관련 그림
금메달리스트 다비드 코스텔레츠키

2. 경기 방식

본 대회는 1996년에 도입된 125+25의 2라운드 형식을 사용했다.[2] 2005년 규칙 변경으로 결선 라운드에서는 표적당 한 발만 허용되었다.

경기는 예선과 결선 두 라운드로 구성되었다. 예선에서 각 사수는 트랩 사격에서 5세트의 25개 표적을 발사했으며, 각 세트마다 10개의 표적은 왼쪽, 10개는 오른쪽, 5개는 정면으로 던져졌다. 사수는 각 표적에 대해 두 발을 쏠 수 있었다.

예선 상위 6명의 사수는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 최종 순위는 150개 표적의 점수를 사용하여 결정했으며, 동점일 경우 슛오프를 통해 순위를 정했다.[2]

2. 1. 예선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트랩 경기는 예선과 결선 두 라운드로 구성되었다. 예선에서는 각 선수가 트랩 사격 방식으로 5세트, 총 125개의 표적을 사격했다. 각 세트마다 10개의 표적은 왼쪽, 10개는 오른쪽, 5개는 정면에서 날아왔다. 선수는 각 표적에 대해 두 발까지 사격할 수 있었다.[2] 2005년 규칙 변경으로 결선 라운드에서는 표적당 한 발만 허용되었지만, 예선에서는 이전과 같이 두 발까지 사격이 가능했다.[2]

2. 2. 결선

본 대회는 1996년에 도입된 125+25의 2라운드 형식을 사용했다.[2] 2005년 규칙 변경으로 결선 라운드에서는 표적당 한 발만 허용되었다.

예선 상위 6명의 선수가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에서는 25개의 표적에 대해 추가 사격을 진행했으며, 각 표적당 한 발만 사격할 수 있었다. 예선과 결선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동점 발생 시 슛오프(Shoot-off)를 통해 순위를 결정했다. 슛오프는 더 이상 동점이 없을 때까지 한 번에 한 발씩 추가 사격을 실시했다.

3. 경기 일정

모든 시간은 중국 표준시(UTC+8) 기준이다.

날짜시간경기
2008년 8월 9일9:00-13:30본선
2008년 8월 10일9:00-12:00본선
2008년 8월 10일15:00-15:45결선


4.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트랩 경기는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클레이 사격장에서 열렸다.

도시경기장비고
베이징베이징 클레이 사격장전 경기


5. 참가 자격

이번 경기는 남자 국제사격연맹 올림픽 트랩 종목의 20번째 경기였다. 이 경기는 1896년부터 1924년까지(1904년에는 사격 경기가 열리지 않음)와 1952년부터 2016년까지 모든 하계 올림픽에서 개최되었으며, 1968년부터 1992년까지 여성에게도 개방되었다.[1]

국가 올림픽 위원회 (NOC)는 쿼터를 확보하거나 자격을 획득한 선수가 충분할 경우 최대 2명의 사수를 출전시킬 수 있었다. 출전하기 위해서는 쿼터 자리를 확보하고 최소 자격 점수(MQS)를 획득해야 했다. 일단 사수가 사격 종목에서 쿼터 자리를 사용하면, MQS를 획득한 다른 모든 사격 종목에도 출전할 수 있었다(교차 자격).

트랩 종목에는 다음과 같이 총 32개의 쿼터 자리가 할당되었다.


  • 개최국: 1자리
  •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 1자리
  • 2002년 월드컵 대회: 5자리
  •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3자리
  • 2007년 월드컵 대회: 4자리
  • 2007년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1자리
  • 2007년 유럽 선수권 대회: 4자리
  • 2007년 팬 아메리카 게임: 2자리
  •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1자리
  • 2007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3자리
  • 2007년 오세아니아 선수권 대회: 1자리
  • 초청: 2자리


이후 교환, 재할당, 교차 자격으로 3개의 자리가 추가로 사용되었다.

6. 기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트랩 종목에서는 예선에서 여러 선수가 125점으로 세계 기록을 세웠고, 마이클 다이아몬드알렉세이 알리포프가 124점으로 올림픽 기록을 보유했다. 카르스텐 빈드리히는 149점으로 결선 세계 기록을 세웠으나, 2005년 경기 규정 변경으로 올림픽 결선 기록은 집계되지 않았다. 이번 대회에서 다비드 코스텔레츠키가 결선 총점 146점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

6. 1. 기존 기록

이 대회 전까지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유형선수기록장소날짜
예선Giovanni Pellielo|조반니 펠리에로it (이탈리아)
Ray Ycong|레이 아이콩영어 (미국)
Marcello Tittarelli|마르첼로 티타렐리it (이탈리아)
Lance Bade|랜스 베이드영어 (미국)
Pavel Gurkin|파벨 구르킨ru (러시아)
David Kostelecký|다비드 코스텔레츠키cs (체코)
125키프로스 니코시아
핀란드 라흐티
독일
스페인 바르셀로나
브라질 아메리카나
스페인 그라나다
1994년 4월 1일
1995년 6월 9일
1996년 6월 11일
1998년 7월 23일
2005년 8월 10일
2006년 10월 5일
예선마이클 다이아몬드 (오스트레일리아)
알렉세이 알리포프 (러시아)
124미국 애틀랜타
그리스 아테네
1996년 7월 21일
2004년 8월 15일
결선Karsten Bindrich|카르스텐 빈드리히de (독일)149키프로스 니코시아2008년 7월 10일
결선2005년 1월 1일부터 경기 규정이 변경되어 올림픽 결선 기록은 집계되지 않음.



다비드 코스텔레츠키가 결선 총점에서 146개의 표적을 맞춰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1]

6. 2. 올림픽 신기록

이 대회 전까지 기존의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2005년 1월 1일부터 경기 규정이 변경되어 결선 라운드에서 표적당 한 발로 제한되면서, 결선 라운드 올림픽 기록은 존재하지 않았다.

유형선수기록장소날짜
예선 기록Giovanni Pellielo|지오반니 펠리에로영어 (이탈리아)
Ray Ycong|레이 아이콩영어 (미국)
Marcello Tittarelli|마르첼로 티타렐리영어 (이탈리아)
Lance Bade|랜스 베이드영어 (미국)
Pavel Gurkin|파벨 구르킨영어 (러시아)
David Kostelecký|다비드 코스텔레츠키cs (체코)
125키프로스 니코시아
핀란드 라흐티
독일
스페인 바르셀로나
브라질 아메리카나
스페인 그라나다
1994년 4월 1일
1995년 6월 9일
1996년 6월 11일
1998년 7월 23일
2005년 8월 10일
2006년 10월 5일
예선 올림픽 기록마이클 다이아몬드 (오스트레일리아)
알렉세이 알리포프 (러시아)
124미국 애틀랜타
그리스 아테네
1996년 7월 21일
2004년 8월 15일
결선 기록Karsten Bindrich|카르스텐 빈드리히de (독일)149키프로스 니코시아2008년 7월 10일
결선 올림픽 기록2005년 1월 1일부로 경기 규정 변경|



다비드 코스텔레츠키가 결선 총점에서 146개의 표적을 맞춰 최초의 올림픽 기록을 세웠다.[1]

7. 경기 결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트랩 경기는 8월 9일과 10일에 걸쳐 예선과 결선으로 진행되었다. 예선 상위 6명의 선수가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은 8월 10일 15시(중국 표준시)에 열렸다. 다비드 코스텔레츠키(체코)는 예선 121점에 결선 25점을 더해 총점 146점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1] 조반니 펠리에로(이탈리아)는 총점 143점(예선 120점, 결선 23점)으로 은메달을 차지했다.[1] 알렉세이 알리포프(러시아)와 마이클 다이아몬드(오스트레일리아)는 142점으로 동률을 이뤘으나, 연장 사격에서 알리포프가 승리해 동메달을 획득했다.[1] 요시프 글라스노비치(크로아티아)와 에르미니오 프라스카(이탈리아)는 140점으로 5, 6위를 결정하는 연장 사격을 가졌고, 그 결과 글라스노비치가 5위를 차지했다.[1]

순위선수국가예선결선합계5위 결정
슛오프
동메달
슛오프
비고
다비드 코스텔레츠키align=left|12125146colspan=2 rowspan=2 |올림픽 기록
조반니 펠리에로align=left|12023143
알렉세이 알리포프align=left|121211423
4마이클 다이아몬드align=left|119231422
5요시프 글라스노비치align=left|119211402rowspan=2 |
6에르미니오 프라스카align=left|120201401


7. 1. 예선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트랩 예선 경기는 이틀에 걸쳐 진행되었다. 8월 9일 토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중국 표준시, UTC+8) 1일차 세 라운드가, 8월 10일 일요일 오전 9시부터 낮 12시까지 2일차 두 라운드가 진행되었다.[1]

순위선수국가1일차2일차총점연장비고
1알렉세이 알리포프7249121Q[1]
2다비드 코스텔레츠키7348121Q[1]
3Erminio Frasca7248120Q[1]
4지오반니 펠리엘로7347120Q[1]
5마이클 다이아몬드72471193Q[1]
6Josip Glasnović72471193Q[1]
7Karsten Bindrich71481192[1]
8Mansher Singh6948117[1]
9Erik Varga7245117[1]
10Jesús Serrano6848116[1]
11Pavel Gurkin6947116[1]
12Manavjit Singh Sandhu7046116[1]
13Glenn Kable6748115[1]
14Mário Filipovič7045115[1]
15이영식7045115[1]
16리 양6946115[1]
17Yves Tronc6946115[1]
18Naser Meqlad7144115[1]
19Juan Carlos Dasque7045115[1]
20Graeme Ede6549114[1]
21Li Yajun6548113[1]
22Bret Erickson6548113[1]
23Dominic Grazioli6944113[1]
24Stefan Ruettgeroth6647113[1]
25Stéphane Clamens6547112[1]
26Giuseppe Di Salvatore6646112[1]
27Manuel Silva6843111[1]
28Lee Wung Yew6941110[1]
29Derek Burnett6941110[1]
30Ahmed Al Maktoum6941110[1]
31Craig Henwood6643109[1]
32Adham Medhat6444108[1]
33Alberto Fernández6343106[1]
34Cesar David Menacho Flores6739106[1]
35Eric Ang6541106[1]



알렉세이 알리포프(러시아)와 다비드 코스텔레츠키(체코)는 121점으로 예선 공동 1위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했다.[1] 에르미니오 프라스카(이탈리아)와 지오반니 펠리엘로(이탈리아)는 120점으로 공동 3위를 기록, 결선에 진출했다.[1] 마이클 다이아몬드(오스트레일리아)와 요십 글라스노비치(크로아티아)는 119점으로 동점을 이뤘으나, 연장 사격에서 각각 3점을 기록하여 결선 진출권을 획득했다.[1]

7. 2. 결선

[1] 2008년 8월 10일 다비드 코스텔레츠키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146점(121+25)으로 올림픽 기록을 세웠다.

결선은 중국 표준시(UTC+8) 15:00에 열렸다.

순위선수국가예선결선합계5위 결정
슛오프
동메달
슛오프
비고
다비드 코스텔레츠키align=left|12125146colspan=2 rowspan=2 |
조반니 펠리에로align=left|12023143
알렉세이 알리포프align=left|121211423
4마이클 다이아몬드align=left|119231422
5요시프 글라스노비치align=left|119211402rowspan=2 |
6에르미니오 프라스카align=left|120201401


8. 메달리스트

순위선수국가
다비드 코스텔레츠키
지오반니 펠리엘로
알렉세이 알리포프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al Results https://www.issf-spo[...] International Shooting Sport Federation 2021-06-11
[2] 웹사이트 Trap, Men https://www.olympedi[...] 2021-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