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94kg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94kg급 경기는 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에서 2008년 8월 17일에 열렸다. 폴란드의 시몬 코우에츠키가 금메달을, 조지아의 아르센 카사비에프가 은메달을, 쿠바의 요안드리 에르난데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카자흐스탄의 일리야 일린은 도핑 테스트에서 스타노졸롤 양성 반응을 보여 금메달을 박탈당했고, 러시아의 카지무라 아카에프는 데히드로클로로메틸테스토스테론 양성 반응으로 동메달을 박탈당했다. 또한 아제르바이잔의 니자미 파샤예프도 도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3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3kg급 경기는 프라파와디 자로엔라타나타라쿤이 금메달을, 윤진희가 은메달을, 나스타샤 노비카바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노비카바는 약물 검사로 실격 처리되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은 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에서 개최되어 천셰샤가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도핑으로 실격 처리되어 천웨이링, 임정화, 펜시리 라오시리쿨이 메달을 획득하였다. - 올림픽 역도 -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남자 8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된 역도 경기로, 26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윤진희의 동메달로 종합 15위를 기록했으며 도핑 문제로 순위가 변경되기도 했다. - 올림픽 역도 -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아테네 파나티나이코 스타디움에서 남자 경기만 진행되었으며, 한손과 양손 두 종목에 5개국 7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비고 옌센과 론세스톤 엘리엇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역도에 관한 -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남자 8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된 역도 경기로, 26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윤진희의 동메달로 종합 15위를 기록했으며 도핑 문제로 순위가 변경되기도 했다. - 올림픽 역도에 관한 -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아테네 파나티나이코 스타디움에서 남자 경기만 진행되었으며, 한손과 양손 두 종목에 5개국 7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비고 옌센과 론세스톤 엘리엇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94kg급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남자 94kg급 역도 |
대회 | 2008년 하계 올림픽 |
개최지 | 베이징 |
경기장 | 베이항 대학 체육관 |
날짜 | 8월 17일 |
참가 선수 | 18 |
참가 국가 | 14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일리야 일린 |
금메달 국가 | KAZ |
은메달 | 시몬 코우에츠키 |
은메달 국가 | POL |
동메달 | 카지무라 아카에프 |
동메달 국가 | RUS |
올림픽 역도 남자 94kg급 | |
이전 대회 | 2004 |
다음 대회 | 2012 |
2. 경기장
이번 대회 모든 경기는 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에서 열렸다.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UTC+8) 기준이다.
3. 경기 일정
3. 1. 경기 시간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
4. 기록
종목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인상 | Ακάκιος Καχιασβίλης|아카키오스 카키아실리스el (그리스) | 188 kg | 그리스 아테네 | 1999년 11월 27일 |
용상 | Szymon Kołecki|시몬 코레키pl (폴란드) | 232 kg | 불가리아 소피아 | 2000년 4월 29일 |
합계 | Ακάκιος Καχιασβίλης|아카키오스 카키아실리스el (그리스) | 412 kg | 그리스 아테네 | 1999년 11월 27일 |
인상 | 올림픽 기준 | 187 kg | — | 1997년 1월 1일 |
용상 | 올림픽 기준 | 227 kg | — | 1997년 1월 1일 |
합계 | 올림픽 기준 | 415 kg | — | 1997년 1월 1일 |
4. 1. 기존 기록
종목 | 선수 | 나라 | 기록 | 장소 | 날짜 | |
---|---|---|---|---|---|---|
세계 기록 | 인상 | 아카키오스 카히아스빌리스 | Ακάκιος Καχιασβίλης|아카키오스 카히아스빌리스el | 188kg | 그리스 아테네 | 1999년 11월 27일 |
용상 | 시몬 코우에츠키 | Szymon Kołecki|시몬 코우에츠키pl | 232kg | 불가리아 소피아 | 2000년 4월 29일 | |
합계 | 아카키오스 카히아스빌리스 | Ακάκιος Καχιασβίλης|아카키오스 카히아스빌리스el | 412kg | 그리스 아테네 | 1999년 11월 27일 | |
올림픽 기록 | 인상 | 187.5kg | ||||
용상 | 227.5kg | |||||
합계 | 415kg |
4. 2. 대회 기록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94kg급 종목에서는 신기록이 갱신되지 않았다.5. 출전 선수
순위 | 선수 | 생년월일 | 개인 기록[4] | 비고 |
---|---|---|---|---|
1 | Nizami Pashayev|니자미 파샤예프영어 (아제르바이잔) | 1981년 2월 2일 | 405kg | -- 2005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2 | Joandry Hernández|호안드리 에르난데스es (쿠바) | 1980년 5월 25일 | 393kg | -- 2007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3 | Eduardo Guadamud|에두아르도 과다무드es (에콰도르) | 1986년 6월 11일 | 355kg | -- 2008년 아메리카 역도 선수권 대회 |
4 | José Juan Navarro|호세 후안 나바로es (스페인) | 1981년 4월 14일 | 378kg | |
5 | Arsen Kasabiev|아르센 카사비에프ka (조지아) | 1987년 11월 15일 | 378kg | |
6 | Jürgen Spieß|위르겐 슈피스de (독일) | 1984년 3월 26일 | 373kg | |
7 | Konstantinos Gkaripis|콘스탄티노스 가리피스el (그리스) | 1981년 3월 12일 | 365kg | |
8 | Anastasios Triantafyllou|아나스타시오스 트리안타필루el (그리스) | 1987년 5월 30일 | 325kg | |
9 | Asghar Ebrahimi|아스가르 에브라히미fa (이란) | 1982년 4월 11일 | 387kg | -- 2008년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
10 | Ilya Ilyin|일리 일리야ru (카자흐스탄) | 1988년 5월 24일 | 401kg | -- 2005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2006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11 | Evgheni Bratan|에브게니 브라탄ro (몰도바) | 1981년 5월 22일 | 382kg | |
12 | Vadim Vacarciuc|바딤 바카르치우크ro (몰도바) | 1972년 10월 1일 | 400kg | |
13 | Ravi Bhollah|라비 볼라프랑스어 (모리셔스) | 1981년 9월 28일 | 282kg | 와일드 카드 |
14 | Bartłomiej Bonk|바르트워미에이 봉크pl (폴란드) | 1984년 10월 11일 | 385kg | |
15 | Szymon Kołecki|시몬 코웨츠키pl (폴란드) | 1981년 10월 12일 | 397kg | -- 2006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2007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16 | Khadzhimurat Akkayev|카지무라트 아카예프ru (러시아) | 1985년 3월 27일 | 405kg |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94kg급 |
17 | Roman Konstantinov|로만 콘스탄티노프ru (러시아) | 1983년 8월 15일 | 397kg | -- 2007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2006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18 | Artem Ivanov|아르템 이바노프uk (우크라이나) | 1987년 12월 16일 | 363kg |
6. 경기 결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94kg급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 | 선수 | 조 | 몸무게 | 인상 (kg) | 용상 (kg) | 합계(kg) | ||||||
---|---|---|---|---|---|---|---|---|---|---|---|---|
1 | 2 | 3 | 기록 | 1 | 2 | 3 | 기록 | |||||
시몬 코우에츠키(폴란드) | A | 93.73 | 174.0 | 177.0 | 179.0 | 179.0 | 217.0 | 224.0 | 224.0 | 403.0 | ||
아르센 카사비에프(조지아) | A | 93.69 | 172.0 | 176.0 | 176.0 | 215.0 | 223.0 | 223.0 | 399.0 | |||
요안드리 에르난데스(쿠바) | A | 92.30 | 172.0 | 178.0 | 178.0 | 215.0 | 215.0 | 393.0 | ||||
4 | 아스가르 에브라히미(이란) | A | 92.32 | 180.0 | 180.0 | 212.0 | 212.0 | 392.0 | ||||
5 | 로만 콘스탄티노프(러시아) | A | 93.90 | 175.0 | 175.0 | 212.0 | 212.0 | 387.0 | ||||
6 | 위르겐 스피에슈(독일) | A | 93.74 | 170.0 | 173.0 | 173.0 | 206.0 | 211.0 | 211.0 | 384.0 | ||
7 | 호세 나바로(스페인) | B | 93.97 | 165.0 | 173.0 | 173.0 | 206.0 | 210.0 | 210.0 | 383.0 | ||
8 | 아르템 이바노프(우크라이나) | A | 93.97 | 170.0 | 170.0 | 205.0 | 210.0 | 210.0 | 380.0 | |||
9 | 바딤 바카르치우츠(몰도바) | B | 93.69 | 168.0 | 168.0 | 205.0 | 205.0 | 373.0 | ||||
10 | 에브게니 브라탄(몰도바) | B | 93.71 | 170.0 | 170.0 | 200.0 | 200.0 | 370.0 | ||||
11 | 콘스탄티노스 그카리피스(그리스) | B | 93.01 | 150.0 | 160.0 | 160.0 | 190.0 | 195.0 | 200.0 | 200.0 | 360.0 | |
12 | 아나스타시오스 트란타필루(그리스) | B | 93.90 | 147.0 | 155.0 | 155.0 | 185.0 | 190.0 | 196.0 | 196.0 | 351.0 | |
13 | 라비 볼라(모리셔스) | B | 93.03 | 125.0 | 125.0 | 145.0 | 150.0 | 150.0 | 275.0 | |||
- | 바르틀로미에이 본크(폴란드) | A | 93.00 | 175.0 | 175.0 | – | DNF | |||||
- | 에두아르도 구아다무드(에콰도르) | B | 93.71 | 165.0 | 165.0 | – | DNF | |||||
실격 | 일리야 일린(카자흐스탄) | A | 93.64 | 175.0 | 180.0 | – | 180.0 | 223.0 | 226.0 | 226.0 | 406.0 | |
실격 | 카지무라 아카에프(러시아) | B | 92.99 | 178.0 | 182.0 | 185.0 | 185.0 | 212.0 | 215.0 | 217.0 | 217.0 | 402.0 |
실격 | 니자미 파샤예프(아제르바이잔) | A | 93.83 | 181.0 | 181.0 | 215.0 | 215.0 | 396.0 |
- 일리야 일린(카자흐스탄)은 금메달, 카지무라 아카에프(러시아)는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실격 처리되었다.[1][2][3]
- 니자미 파샤예프(아제르바이잔)는 5위를 기록했으나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실격 처리되었다.[2][3]
6. 1. 순위
순위 | 선수 | 조 | 몸무게(kg) | 인상(kg) | 용상(kg) | 합계(kg) |
---|---|---|---|---|---|---|
시몬 코우에츠키(폴란드) | A | 93.73 | 179 | 224 | 403 | |
아르센 카사비에프(조지아) | A | 93.69 | 176 | 223 | 399 | |
요안드리 에르난데스(쿠바) | A | 92.30 | 178 | 215 | 393 | |
4 | 아스가르 에브라히미(이란) | A | 92.32 | 180 | 212 | 392 |
5 | 로만 콘스탄티노프(러시아) | A | 93.90 | 175 | 212 | 387 |
6 | 위르겐 스피에슈(독일) | A | 93.74 | 173 | 211 | 384 |
7 | 호세 나바로(스페인) | B | 93.09 | 173 | 210 | 383 |
8 | 아르템 이바노프(우크라이나) | A | 93.97 | 170 | 210 | 380 |
9 | 바딤 바카르치우츠(몰도바) | B | 93.69 | 168 | 205 | 373 |
10 | 에브게니 브라탄(몰도바) | B | 93.71 | 170 | 200 | 370 |
11 | 콘스탄티노스 그카리피스(그리스) | B | 93.01 | 160 | 200 | 360 |
12 | 아나스타시오스 트란타필루(그리스) | B | 93.90 | 155 | 196 | 351 |
13 | 라비 볼라(모리셔스) | B | 93.03 | 125 | 150 | 275 |
- | 바르틀로미에이 본크(폴란드) | A | 93.00 | 175 | - | - |
- | 에두아르도 구아다무드(에콰도르) | B | 93.71 | 165 | - | - |
실격 | 일리야 일린(카자흐스탄) | A | 93.64 | 180 | 226 | 406 |
실격 | 카지무라 아카에프(러시아) | B | 92.99 | 185 | 217 | 402 |
실격 | 니자미 파샤예프(아제르바이잔) | A | 93.83 | 181 | 215 | 396 |
일리야 일린(카자흐스탄)은 원래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스타노졸롤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1]
카지무라 아카에프(러시아)는 원래 동메달을 획득했지만, 데히드로클로로메틸테스토스테론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2][3]
니자미 파샤예프(아제르바이잔)는 원래 5위를 기록했지만, 데히드로클로로메틸테스토스테론, 옥산드롤론, 스타노졸롤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2][3]
7. 메달리스트
메달 | 선수 | 국가 | 대회 |
---|---|---|---|
금메달 | 일리 일야 | 2008년 하계 올림픽 | |
은메달 | 시몬 코우에츠키 | 2008년 하계 올림픽 | |
동메달 | 카지무라 아카에프 | 2008년 하계 올림픽 |
8. 도핑 적발 및 메달 박탈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94kg급 경기는 2016년에 실시된 도핑 재검사에서 여러 선수의 도핑 위반 사실이 드러났다. 카자흐스탄의 일리야 일린은 원래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스타노졸롤 양성 반응을 보여 실격 처리되었다.[1] 러시아의 하지무라트 아카예프는 원래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데히드로클로로메틸테스토스테론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2][3] 아제르바이잔의 니자미 파샤예프는 원래 5위를 기록했으나, 데히드로클로로메틸테스토스테론, 옥산드롤론, 스타노졸롤 양성 반응을 보여 실격 처리되었다.[2][3]
참조
[1]
웹사이트
IOC sanctions seven athletes for failing anti-doping tests at Beijing 2008 and London 2012
https://www.olympic.[...]
IOC
2016-11-25
[2]
웹사이트
Public disclosures
http://www.iwf.net/2[...]
[3]
웹사이트
IOC sanctions 16 athletes for failing anti-doping test at Beijing 2008
https://www.olympic.[...]
IOC
2016-11-17
[4]
데이터베이스
personal best in this weight class or below in the IWF database
http://www.iwf.net/r[...]
[4]
데이터베이스
personal best in this weight class or below in the database of the University of Leipzig
http://www.iat.un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